인창동성당 게시판

4월25일 성 마르코 복음사가♬Alleuia-Gregorian Chant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4-25 ㅣ No.1729

 

The Four Evangelists-GOZZOLI, Benozzo  

1464-65 Fresco Apsidal chapel, Sant’Agostino, San Gimignano

 

축일:4월25일

성 마르코 복음사가

St. Marcus

St. Mark the Evangelist

San Marco Evangelista

Died:martyred 25 April 68 at Alexandria; relics at Venice, Italy

Marco = nato in marzo, sacro a Marte, dal latino

= been born in March, sacred to Mars, from the Latin

 

 

 

마르코. 라틴어 Marcus.영어 Mark

복음사가(福音史家). 그의 이름을 딴 마르코 복음서가 있다.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파피아스(130년경 별세)에 의하면 마르코는 베드로의 통역이었는데

베드로가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에 관해서 가르친 것을 기억나는 대로 충실히 기록했다고 한다

(에우세비오, 교회사 3, 39,15).

 

신약성서에는 요한 마르코라는 인물이 열번 나오는데

요한은 이스라엘식 이름이고 마르코는 로마·그리스식 이름이다.

그는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예루살렘에 살았으며 그 집에 그리스도 교인들이 모이곤 하였다(사도 12:12).

바울로와 바르나바를 따라(사도 12:25) 45-49년경의 1차 전교여행을 함께 했는데(사도 13:5)

키프로스까지 동행한 후

그 다음 목적지인 소아시아의 주요지역 여행을 포기하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버렸다(사도 13:13).

 

이에 바울로가 그를 못마땅히 여긴 나머지 50-52년경의 2차 전교여행 때 동행하기를 거부하자

마르코는 사촌인(골로 4:10) 바르나바와 함께 키프로스섬으로 가 전교하였다(사도 15:37-39).

 

그러나 53-58년경의 3차 전교여행 때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바울로가 에페소에서 감옥에 갇혀 있을 때

마르코는 바울로 곁에 있어서 위로가 되어 주었다(골로 4:10, 필레 1:24).

한편 바울로가 마지막으로 로마에 투옥당해 있을 때 디모테오에게 마르코를 데려오도록 부탁한 적이 있다

(2디모 4:11).

베드로의 일행으로 로마에 있었던 마르코는 베드로에게

’나의 아들’(1베드 5:13)이라 여겨질 정도로 친근한 동료였다.

 

그리스도교 회화에서 마르코는 대개 복음서를 지니고 날개 달린 사자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사자의 모습은 세례자 요한을 ’광야에서 외치는 소리’(마르 1:3)로 표현한 데서 유래하는데

예술적 전승은 그 소리를 사자의 울음으로 비유하였다.

날개는 네 개 달린 ’생물체’에 관한 에제키엘의 환시를 네 복음사가에 적용시켜 이해한 데서 비롯한다.

전승에 의하면 마르코는 알렉산드리아의 주교를 역임하였고 거기서 순교하였다고 전한다.

축일은 4월 25일이며 9세기이래 지내오고 있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성 바르나바의 조카였다.

사도 성 바울로의 첫번째 선교 여행에 동행했고 나중에 그를 따라 로마에 갔다.

성 베드로의 제자로서 자신의 복음서에다 그의 가르침을 반영시켰다.

알렉산드리아의 교회를 세웠다고 전해져 온다.

 

 

성 이레네오 주교의 저서 [이단자를 거슬러] 에서

(Lib. 1,10,1-3: PG 7,550-554)

 

진리의 전파

땅 극변에까지 온 세상에 전파된 교회가 사도들과 그들의 제자들로부터 이어받은 신앙은

한 분이신 하느님이시고 하늘과 땅과 바다와 그 안에 있는 모든 것을 지으신 전능하신 아버지,

하느님의 아들이시며 우리 구원을 위해 사람이 되신 한 분 예수 그리스도, 그리고 예언자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드러내신 성령에 관한 신앙입니다.

성령께서 예언자들을 통하여 드러내신 하느님의 구원 계획은

사랑하올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내림하시고, 동정녀에게서 탄생하시며,

수난받으시고 죽은 이들 가운데서 부활하시며, 육신으로 승천하시고,

또한 하늘로부터 성부의 영광속에 다시 오시며, 만물을 일치시키시고

모든 인간 육체를 부활시키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보이지 않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하늘과 땅 위와 땅 아래에 있는 모든 것이 우리 주님이시요 하느님이시며

우리 구세주이시요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 앞에 무릎을 꿇고 모두가 입을 모아 그분을 찬미하고"

그분은 모든 이 위에 정의의 심판을 내리실 것입니다.

 

그리고 교회는 이어받은 이 가르침과 이 신앙을 충실히 간직합니다.

그래서 교회는 온 세상 곳곳에 퍼져 있지만 같은 한 집안에 사는 것과 같습니다.

온 교회는 마치 한 영혼과 한 마음만을 지니고 있듯 이것을 믿고,

또한 흡사 하나의 입만을 가지고 있듯 일치된 목소리로 그것을 전파하고 가르치고 또 전수해 줍니다.

세상의 언어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신앙을 전달하는 전승의 활력은 하나이며 같은 것입니다.

 

독일 지방에 세워진 교회들이 믿고 또 전수하는 것과 스페인이나 켈트 지방이나 동방의 교회들이나

에집트나 리비아의 교회들이나 세계 중심의 교회들이 믿고 전수하는 것은 다르지 않습니다.

하느님께서 지으신 피조물인 태양이 세상 어디에서나 똑같은 것처럼 진리의 선포도

세상 어디에서나 빛나고 진리를 알게 되기를 원하는 모든 사람들을 비추고 있습니다.

 

교회의 지도자들 가운데 웅변을 지닌 사람도 이것과 다른 어떤 것을 말해서는 안되고

(누구도 스승이신 그리스도의 위에 있어서는 안됩니다.),

또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전승의 효력을 감소시켜서는 안됩니다.

신앙은 하나이고 같은 것입니다.

신앙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사람은

그것을 불리지 말아야 하고 또 이야기를 적게 할 수 있는 사람도 그것을 축소시키지 말아야 합니다

(가톨릭홈에서)

 

*성 바르나바 사도 축일:6월11일.게시판1218번.

*성 이레네오 주교 순교자 축일:6월28일.1247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St Mark the Evangelist-GHIRLANDAIO, Domenico

1486-90 Fresco Cappella Tornabuoni, Santa Maria Novella, Florence

 

네 복음서를 집필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이름을 밝히지 않고 그냥 작품만 내놓았습니다.

요즘 우리들과는 달리 그들에게는 작품의 내용이 중요했지

지은 자신의 이름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입니다.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사실과는 다른 수많은 복음서들이 생겨나자 가짜 복음서들을 배격하고

참 복음서들을 지키고 사람들에게 전해야 한다는 것과

복음서들을 서로 구별할 필요성이 생겨서 비로소 누가 복음서들을 지었는지,

곧 복음서의 필자들을 거론하게 되었습니다.

 

누가 복음서를 집필하였는지 처음으로 밝힌 사람은 소아시아 지방의 히에라폴리스의 주교 파피아스였습니다.

그는 130년 경에 사망했는데, 평소에 요한 원로로부터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전해들었다고 했습니다.

즉, 마르코는 베드로의 통역이었는데 베드로가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에 관해서 가르친 것을

기억나는 대로 충실히 기록했다는 것입니다.

 

이 마르코에 대한 성서의 기록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신약성서에는 요한 마르코라는 인물이 열 번 나오는데,

요한은 이스라엘식 이름이고 마르코는 로마-그리스식 이름입니다.

그는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예루살렘에 살았으며 그 집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모이곤 하였습니다.(사도 12, 12)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그를 안티오키아로 데려갔다가(사도 12, 25)

45-49년경의 바오로의 1차 전도여행을 함께 했는데(사도 13, 5)

마르코는 도중에 전도를 그만두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가 버렸습니다.(사도 13, 13)

이에 바오로는 그를 못마땅하게 여긴 나머지 50-52년경의 2차 전도 여행 때에는 함께 가지 않자

마르코는 바르나바와 함께 키프로스 섬으로 가 전도를 하게 됩니다.(사도 15, 37-39)

그러나 53-58년 경 3차 전도 여행,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바오로가 에페소에서 감옥에 갇혀 있을 때

마르코는 바오로 곁에 있었습니다.(필레 24; 골로 4, 10)

그런가 하면 바오로가 순교한 다음 그 제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쓴 디모테오서 4장 11절에서는

바오로가 디모테오에게 마르코를 데려오도록 부탁한 적이 있습니다.

끝으로 60년대 초 로마에서 집필된 베드로의 첫 번째 편지 5장 13절에는

마르코가 베드로의 일행으로 로마에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이러한 신약성서의 증언과 파피아스의 말을 근거로 하면 바오로의 협조자며 베드로의 통역이었던 마르코가

마르코복음을 집필했다는 통설이 나오게 됩니다.

그러나 마르코 복음서를 자세히 검토해 보면 필자는 바오로나 베드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은 듯합니다.

왜냐하면 마르코 복음서에는 바오로 특유의 낱말 소재 사상을 거의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또 마르코 복음서에 수록된 예수님의 말씀은 50년대 아니면 60년대에 편찬된 예수 어록의 말씀보다

많이 변질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베드로가 전한 예수의 말씀을 그대로 마르코가 기록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또 마르코 복음서에 수록된 치유와 구마의 기적 이야기나 논쟁 혹은 담화의 이야기 역시

목격자 베드로가 전한 이야기라 할 수 없습니다.

사실 이 사화들은 대부분 그리이스의 이야기 양식을 따라 역어져 있는데

이는 오랜 전승의 과정을 거쳐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마르코가 마르코 복음서를 집필했다고 단정지어 말할 수 없으며,

그렇다고 누가 복음서를 집필했다고 밝힐 수도 없는 실정입니다.

그렇지만 교회는 거룩한 전승에 따라 마르코가 마르코 복음서의 저자로 보고 있습니다.

 

아무튼 마르코 복음서의 저자는 기존의 여러 그리스도교 전승을 충실히 수집하고 통합하여

복음서라는 새로운 양식을 창안한 탁월한 신학사상가라 할 수 있습니다.

또 복음서를 통해 예수님의 진정한 면모를 모든 사람들 특히 후대의 사람들에게도 알려준

사도 바오로의 뒤를 이은 위대한 그리스도인인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오늘의 이 축일은 축일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마르코’라는 한 인물에 대한 축일이 아니라,

마르코복음을 저술한 복음사가의 업적과 덕을 기리는 축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도 꼭 글로써만이 아니라 우리에게 주신 하느님의 달란트를 이용하여 삶으로써

예수 그리스도를 증언하여야 하겠습니다.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홈에서)

 

마르코는 ’비추이다’란 뜻이다.

마르코에 대하여 우리가 아는 것의 대부분은 신약 성서에 직접 의거한 것이다.

그는 보통 사도행전 12장 12절에 나오는 마르코와 동일시된다.

베드로가 감옥에서 나왔을 때 그는 마르코의 어머니 집으로 갔다.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첫번째 전교 여행에 그를 데리고 갔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마르코 혼자 예루살메으로 돌아왔다.

바오로가 바르나바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두 번째의 전교 여행에 마르코를 데리고 가지 않은 것으로 보아

마르코가 바오로의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나중에 바오로는 마르코에게 감옥으로 자기를 찾아오라고 청했다.

따라서 그들의 불화는 그리 오래 가지는 않은 것 같다.

 

4복음서 중에 가장 오래되고 가장 짧은 마르코 복음은 하느님의 영광스러운 파견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예수님을 배척했음을 강조한다.

아마도 로마에서 이방인 개종자들을 위해 기원 60년과 70년사이, 베드로와 바오로가 죽은 다음에 씌어졌다.

이 복음서에 등장하는 베드로는 (베드로는 마르코를 ’나의 아들’이라 불렀다) 고유한 인물이고

다른 등장 인물은 대부분 예루살렘 교회 (유대인들)와 안티오키아 교회 (대부분이 이방인들)사람들이다.

 

마르코는 다른 복음 사가인 루가처럼 12사도에 속하지 않는다.

우리는 그가 예수님을 개인적으로 알고 있었는지 확실히 알 수는 없다.

어떤 학자들은 그가 겟세마네에서 예수님의 체포를 이야기 할 때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말한다.

"몸에 고운 삼베만을 두른 젊은이가 예수를 따라가다가 사람들에게 붙들리게 되었다.

그러자 그는 삼베를 버리고 알몸으로 달아났다."

 

또 다른 사람들은 마르코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첫번째 주교였다고 한다.

성마르코 광장으로 유명한 베니스는 마르코가 그곳의 수호 성인이라고 한다.

그곳에 있는 웅장한 대성당은 그의 유물을 간직하고 있다고 전해 진다.

 

날개 달린 사자는 마르코의 상징이다.

사자는 마르코가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마르1,3)로 세례자 요한을 묘사한 데서 나왔다.

예술가들이 이 소리를 포효하는 사자와 비교하기 때문이다.

날개는 에제키엘이 날개 달린 네 마리 생물을 환시로 본 것을 복음 사가들에게 적용시킨데서 유래된 것이다.

 

 

마르코는 일생 동안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해야 할 소명,

즉 구원의 원천인 복음을 모든 사람들에게 선포하는 일을 계속하였다.

특별히 마르코의 방법은 글로 쓰는 것이었다.

다른 사람들은 음악이나 연극,시 또는 가족들이 둘러앉은 식탁에서

어린 아이들에게 가르침으로써 복음을 선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마르코 복음에는 다른 복음에 기록되지 않은 내용은 별로 없다.

고유한 구절이 넷 있는데 그 구절 가운데 하나는 다음의 것이다.

"예수께서 또 말씀하셨다.

’하느님 나라는 이렇게 비유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이 땅에 씨앗을 뿌려 놓았다.

하루하루 자고 일어나고 하는 사이에 씨앗은 싹이 트고 자라나지만

그 사람은 그것이 어떻게 자라는지 모른다.

땅이 저절로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인데 처음에는 싹이 돋고 그 다음에는 이삭이 패고

마침내 이삭에 알찬 낟알이 맺힌다.

곡식이 익으면 그 사람은 추수 때가 된 줄을 알고 곧 낫을 댄다." (마르 4,26-29)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Christ with the Four Evangelists-BARTOLOMEO, Fra

Wood. Galleria Palatina (Palazzo Pitti), Florence

 

요한 마르코라고도 불리우는(사도 12,12.25;15,37) 마르코 사가는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을 받은 한 예루살렘의 가정 출신인데,

그는 초대교인들에게 자신의 집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 장본인이다(사도2,12-16).

 

이 집은 예수님과 제자들에게도 제공되어 최후의 만찬이 이 집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마르코는 성 바오로의 첫 번째 선교여행에 동반했었는데(사도 12,25;13,5)

바오로 사도의 정열적인 활동에 별로 합세하지 않았던 것 같다.

따라서 그는 혼자서 예루살렘으로 되돌아 오는데(사도 13,13)

바오로 사도의 제2차 전도여행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바오로와 바르나바는

마르코에 대한 의견차로 격심한 토론을 하였다(사도 15,39-40).

마르코는 후에 베드로를 로마에 동반하여 베드로가 감옥에 있는 동안 그를 돌보았으며(골로 4,10)

후에는 또 다시 바오로를 섬기며 바오로 사도가 감옥에서 보내는 동안 그의 뒷바라지를 하였다(2디모 4,11).

 

마르코는 예수님의 제자들과 사도들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예수님을 우리에게 소개해 준다.

오늘날 세상에 예수님을 소개하기 위해서 질문을 던져 볼 수 있는데 그 질문이란

"그는 누구인가?"라는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해 마르코에 의한 복음은 아주 특별한 관점을 가지고 쓰여진 것이다.

병자를 치유하며(1,31), 용서를 베풀고(2,10), 악령들을 쫓아내시던 당당한 모습(1,24-11.23;5,7)과

사람들이 그분을 조롱하며 (5,40;6,2;15,29-32) 그분을 없애버리려고 하는(3,6;12,13;14,1)

아주 대조적인 모습으로 예수님을 우리에게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마르코 복음 사가는 이러한 대립은 제자들 사이에서도(4,13)

예수님의 가정 안에서도 있었음을(3,20-35) 서슴없이 털어놓는다.

그는 이러한 대립들을 부활의 신비로써(16장) 이 모든 것은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보여주며 (8,31;9,31;10,33),

이런 대립은 모든 크리스찬에게 또 다시 반복됨을 역설한다(8,34;9,35;10,24-39).

수치를 당하고 증오를 받았으며, 고통받다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메시아를 보여주는 이 복음은

결국 "이 사람이야말로 정말 하느님의 아들이었구나"라는 백인대장의 신앙고백을 가능케 한다.

 

마르코는 유다와 베드로의 배반에 대해 가장 관심을 보이는 복음 사가이다.

그리스도를 팔아버리는 것과 형제들 안에 있는 그리스도를 모른다고 거부하는 행위는

우리들의 최후의 만찬인 성체성사 후에 우리도 수없이 범하게 되는 배반이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Evangelist Mark-DONATELLO

1428-43.Polychrome stucco, diameter:215cm.

Old Sacristy,Church of San Lorenzo, Florence

 

사도행전 (12, 6-18)에 의하면 헤로데 아그리파 왕의 박해로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게 된 성 베드로는

어느 날 밤 두 천사의 힘으로 기묘하게 옥에서 구출된 후

마르코라 하는 요한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에서 머무르다가 원수들을 피하기 위해 다시 로마로 출발했다.

여기서 마르코라고 불리는 요한은 복음 사가(史家)로서 유명한 성 마르코이다.

성 베드로, 성 바오로가 각각 시몬과 사울이라는 유다 이름을 갖고 있었던 것처럼

마르코도 유다식으로 요한이라고 불렸다.

 

그의 어머니 마리아에 대해서 잘 알려진 바는 없지만 성서에 예루살렘의 예비 신자들이

주로 그녀의 집에 모여 기도와 마사 참여를 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앙심이 깊은 신자로 아마 넓은 저택을 갖고 있던 부유한 과부였던 것 같다.

그런 그녀의 아들인 요한 마르코는 어머니의 훌륭한 표양과 훈육을 받아 경건하고도 독실한 청년이었다.

 

전승에 의하면 마르코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는

성령 강림날에 성 베드로에게 영세한 3천명의 신자 중의 한 명이었다고 한다.

베드로는 마르코를 유난히 아꼈다.

이는 대 사도 베드로가 소아시아의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의 끈머리에

그를 ’내 아들’이라고 부른 것으로 보아도 알 수 있다.

또한 실제로 마르코는 사도적 정신의 열정으로 보아도 성 베드로의 아들이라 불리울 가치가 있었다.

처음 그는 성 바르나바와 같이 성 바오로를 따라 제1차 전도 여행을 떠났으나,

도중에 어떤 사정으로 말미암아 예루살렘으로 돌아와

곧 다시 바르나바와 같이 키프로스 섬에 가서 주님의 복음을 전했다.

 

그 후 마르코는 로마에 가서 성 베드로를 도와 교회의 발전에 진력했다.

그가 신자들의 희망에 의해 성 베드로의 설교를 자료 삼아

간단 명료하고 강력한 필치로써 복음서를 저술한 것은 바로 이때였다.

주님의 공생활 3년동안 밤낮으로 그의 곁을 떠나지 않고 친히 거룩한 감화와 교육을 받은 성 베드로가

사랑하는 주님을 사모하는 줄거리는 마르코의 소박한 필적을 통해 지금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 복음서야말로 세상 끝나는 날까지 불멸의 빛을 발하는 대 금자탑의 하나로서 필자 마르코의 공적도

영구히 찬란하게 빛날 것이다.

 

그는 네로 황제의 박해 때 성 베드로, 성 바오로 양위 사도가 순교한 뒤

로마를 떠나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로 가서 그곳의 주교로서

은사 성 베드로의 정신을 따라 사람들을 인도하며 교회를 상당히 발전시키던 중에

그도 동양에서 자기 피로써 성스러운 신앙을 증명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가 부임한지 불과 10년도 못되어 그리스도교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 의인들은 그를 체포하여

목에 줄을 매어 읍내를 돌게 하고 마침내 참살하고 말았던 것이다.

이 순교의 최후에도 성 베드로의 제자로서 손색이 없었다.

지금 두 성인은 천국에서 영복을 누리고 계실 것이다.

성 마르코의 유해는 후에 이탈리아의 베네치아에 옮겨져, 유명한 성 마르코 대 성당에 지금까지 보존되어 있다.

 

서양 각국에서는 성 마르코 축일에 풍년 기원제를 행하는 습관이 있는데,

이것은 매우 오래된 행사로 그의 시초는 이교인들이 서리(霜)의 신에게 오곡 성숙을 기원하는 제사에 대항하여

시작된 그리스도교적 행사이다.

그 뒤 잠시 중지되었으나 그레고리오 1세 교황 치하에 부활되었고 날이 갈수록 발전되어 오늘에 이른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좌절을 극복한 마르코  

마르코 복음서의 저자인 ‘마르코’는 베드로 사도가 아들과 같이 아끼는 제자였다.

그의 유대식 이름은 ‘요한’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유대식 이름과 희랍어 이름을 동시에 갖는 것이

흔한 일이었다.

마르코는 열심한 믿음을 지녔던 그의 어머니 마리아와 함께 베드로 사도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또한 마르코는 희랍어에 능통했기 때문에 베드로 사도의 통역사로 전교의 일선에서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베드로 사도가 청중에게 복음을 전할 때 마르코는 예수 그리스도의 기쁜 소식에 관해

자연스럽게 많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베드로 사도가 전하는 주님의 복음에 관한 이야기를 듣고 정리한 내용이 바로 ‘마르코 복음서’였다.

 

마르코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은 예루살렘 초대 교회의 산실이었다.

마르코의 어머니는 자신의 집을 예배모임의 장소로 기꺼이 봉헌했다.

마르코의 어머니는 자신의 집을 신도들이 모임의 장소, 즉 교회로 사용할 수 있게 했을 정도로 신심이 깊었다.

이런 신심을 가진 어머니 밑에서 자라고 영향을 받은 마르코도 자연스럽게 어머니의 신심을 본받았을 것이다.

 

마르코의 집에서 주님의 제자들과 신자들이 함께 모임과 예배를 가졌다.

그러다 보니 마르코는 자연히 사도들과도 잘 알게 되었고,

세례를 베푼 베드로 사도와는 아주 절친한 사이가 되었던 것 같다.

그 단적인 예로 헤로데에 의해 감옥에 붙잡힌 베드로가 천사의 도움으로 탈출해서

제일 먼저 찾은 집이 바로 마르코의 어머니 마리아의 집이었다.

 

죽음의 위기에서 탈출한 베드로가 마르코의 집을 찾아 문을 두드렸다.

그러자 여종이 나와 베드로의 목소리를 듣고는 너무 반가와 황급히 안으로 들어가 소리쳤다.

“베드로 사도께서 문 앞에 와 계십니다.”

 

그러나 안에서 기도하고 있던 신도들은 여종의 말을 도대체 믿으려 하지 않았다.

“무슨 소리 하니? 야, 너 미쳤구나!”

 

그러나 계속해서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나서 문을 열었다.

정말 베드로 사도가 거짓말처럼 문 밖에 서 있는 것을 보고 모두 깜짝 놀랐다.

베드로 사도는 “쉿, 조용히들 하시오.

내가 감옥에서 천사들의 도움으로 빠져 나오게 된 경위를 다 말하리라. 어서들 들어가십시다.”하면서

 그간의 경위를 알려주었다.

 

 

마르코 어머니의 집은 대문을 지키는 여종이 있었던 재산이 많은 큰 주택이었던 것 같다.

또한 남편의 이름이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과부였던 것 같다.

그리고 마르코는 유명한 바르나바 사도와는 사촌지간이었다.

그래서 오순절 이후 유대지방에 큰 기근이 들었을 때 예루살렘에 구호를 위해

바르나바 사도가 바오로 사도와 함께 올라온 적이 있었다.

처음으로 사도 바오로는 마르코를 만나게 되었다. 바오로 사도는 대뜸 마르코의 됨됨이와 능력을 보고

자신들과 함께 같이 일할 것을 권고했다.

 

“마르코, 우리 같이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활동을 하지 않겠나? 우리 같이 떠나세”

“저는 모든 게 아직 부족한 사람인데요.…”

“이 사람 겸손하기는 아무 말 말고 함께 떠나세.”

 

두 사도는 예루살렘을 떠날 때 마르코를 데리고 갔다. 마르코는 바오로와 바르나바 사도와 함께

얼마동안 동고동락하며 전도 활동을 했다.

바오로 일행이 바포에서 배를 타고 밤필리아 지방 베르게로 건너갔을 때였다.

마르코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갑자기 고향으로 돌아가겠다고 했다.

 

“선생님, 저는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무슨 소리야, 이제 전도여행이 시작인데…”

 

마르코는 만류하는 바오로 사도와 헤어져 결국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바오로 사도는 몹시 실망했다. 그만큼 마르코에게 기대가 컸던 탓이었다.

부유한 생활을 했던 마르코가 바오로 사도의 권고에 따라 따라나섰지만

앞에 놓여있는 어려움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을 것이다.

베르게에서 시작되는 전도여행 앞에는 홍수 등 자연적인 재해, 유대인의 박해,

풍토병, 강도의 위험 등이 바오로 사도 일행을 괴롭혔다.

결국 두려움과 어려움을 이기지 못한 마르코는 일행에서 혼자 빠져 나와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던 것이다.

 

마르코는 고향으로 돌아오면서 깊은 좌절감에 빠졌다. 용기 없는 자신이 너무 초라하고 참담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예루살렘에 돌아온 마르코는 얼마 후 다시 용기를 내어 주님의 복음 전파자로 활동을 하게 되었으며,

베드로 사도의 통역을 맡아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열심히 전했다.

 

마르코는 과거의 실패를 거울삼아 다시 일어서는 기회로 삼았던 것이다.

마침내 초대교회에서 전승을 모아 마르코 복음서를 저술해서 오늘날의 신앙인들에게 귀한 복음을 전해주었다.

마르코에게 있어서 신앙의 길은 좌절과 낙담을 반복하면서도 끝내 희망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었다.

최후의 승리가 진정한 승리인 것이다.

(허영엽 신부.평화신문 654호에서)

 

마르코 복음서

마르코 복음사가는 복음의 서두에 세례자 요한의 설교와 함께

그리스도의 품위와 장중함을 강조했으므로 사자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마르코 복음서는 네 복음서 가운데서 제일 먼저 쓰여진 것으로, 공관복음서의 모체가 됩니다.

 

예수님의 말씀보다는 행적을 위주로 한 이 책은

세련되지 못한 문장과 어휘로 짜임새가 허술해 보이나 예수님의 모습은 매우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필자와 독자

마르코 복음서는 베드로의 통역관인 요한 마르코가 기술했다는 견해가 있습니다.

신약성서에 마르코는 어머니인 마리아와 함께 예루살렘에서 살았으며(사도행전 12, 12),

바오로의 1차 전도여행의 동반자로 키프로스섬에 함께 가서 선교활동을 하기도 했고,

바오로가 에페소 감옥에 갇혔을 때 돌보기도 하였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마르코는 유다인들의 풍습을 잘 알고 있으며, 히브리어와 아랍어를 사용하였다는 것으로 보아

해외 문물을 익힌 유다계 그리스도인임을 알 수 있고,

또 배타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사고방식을 벗어난 이방인과 온 인류의 구원을 주장하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마르코는 이방계 그리스도인들을 두둔하는 입장으로 복음서를 집필했기 때문에

이 복음서의 여러 곳에서 이방인에 대한 필자의 특별한 관심이 나타납니다.

 

집필 장소 및 연대

마르코 복음서의 집필 연대와 장소에 대한 여러 학설이 있되 일반적으로 그 장소는 로마로 여기나,

오늘날 신학계에서 팔레스티나 밖으로도 보고 있으며,

집필연대는 필자가 예루살렘 함락(주 후 70 년)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70 년 경에 집필한 것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신학적 특징

마르코 복음서가 전하는 메시지의 핵심은

십자가에 못 박혀 돌아가신 예수님이 바로 하느님의 아들이시며, 그리스도이시다 는, 1 장 1 절의 말씀에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화해

바오로의 선교 여행과 관련하여 여러 번 성서에 등장한 성 마르코는

오랫동안 마르코 복음의 저자로도 여겨졌지만,

역사비평학자들은 그가 마르코 복음사가와 동일 인물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는 예수님이 가르치시던 당시에는 아마 10대 소년이었을 것이다.

성서에 쓰인 이야기들은 너무 옛날 일이어서

당시의 상황이라든가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보기가 쉽지 않다.

그렇지만 실제로 존재했던 사람들의 행적이 몇 천년 동안 전달되어 왔다는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예수님이 돌아가시고 10여 년이 흐른 뒤인 46년경 마르코는

바오로와 바르나바의 첫 번째 선교 여행에 동행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마르코는 바오로와 다투고 예루살렘으로 돌아간다.

마르코와 바오로는 그 후로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고 2차 선교 여행부터는 동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성서를 자세히 살펴보면 마르코와 바오로는 화해를 했던 것 같다.

마르코는 왜 집으로 돌아가려 했을까?

바오로는 무엇 때문에 그토록 화를 냈을까?

이런 질문들도 흥미진진하기는 하지만 그들이 어떻게 화해했는지가 더 궁금하다.

누가 먼저 화해를 청했을까?

무엇이 그들을 화해하도록 만들었을까?

누군가와 반목하고 있다면 성 마르코와 성 바오로의 경우를 기억하자.

진정 화해를 원한다면 누가 먼저 화해를 청하느냐는 크게 중요한 것이 아니다.

용서하는 것이 어려운가, 용서를 청하는 것이 어려운가?

용서받기 바라는 만큼 기꺼이 남을 용서하겠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Alleuia-Gregorian Chant

 

 

 

 

 

 

 

 

 

 

 

 

 

 

 

 

 

 

 

 

 

 

 

 

 

 

 

 

 

 

 

 

 

 

 

 

 

 

 

 

 

 

 

 

 

 

 

 

 

 

 

 

 

 

 

 

 

 

 

 

 

 

 

 

MARK the Evangelist

 

Memorial

25 April

Profile

Believed to be the young man who ran away when Jesus was arrested (Mark 14:51-52), and the "John whose other name was Mark" (Acts 12:25). Disciple of Saint Peter who travelled with him to Rome, and was referred to as "my son Mark" by the first Pope. Author of the earliest canonical Gospel. Travelled with his cousin Saint Barnabas, and with Saint Paul through Cyprus. Evangelized in Alexandria, established the Church there, and founded the first famous Christian school.

Died

martyred 25 April 68 at Alexandria; relics at Venice, Italy

Patronage

against impenitence, attorneys, barristers, captives, Egypt, glaziers, imprisoned people, insect bites, lawyers, lions, notaries, prisoners, scrofulous diseases, stained glass workers, struma, diocese of Venice Florida, Venice Italy

Representation

lion; lion in the desert; bishop on a throne decorated with lions; helping Venetian sailors; holding a book with pax tibi Marce written on it; holding a palm and book; man with a book or scroll accompanied by a winged lion; man with a halter around his neck; man writing or holding his gospel; rescuing Christian slaves from Saracens winged lion;

 

 

 

 

San Marco Evangelista

 

25 aprile - Festa

sec. I

 

Marco era figlio di Maria di Gerusalemme, nella cui casa si rifugio Pietro liberato dal carcere. Collaboro con Barnaba all’opera apostolica di Paolo, al quale fu vicino anche nella prigionia di Roma. Discepolo fedele di Pietro (’mio figlio’ 1Pt 5,13), scrisse il secondo vangelo, raccogliendo la predicazione dell’apostolo sui detti e sui fatti di Gesu. Tema del suo annunzio e la proclamazione di Gesu, Figlio di Dio, rivelato dal Padre, riconosciuto perfino dai demoni, rifiutato e contraddetto dalle folle, dai capi, dai discepoli. Momento culminante del vangelo di Marco e la professione di fede del centurione ai piedi della croce. (Mess. Rom.)

 

Patronato:Segretarie

 

 

Etimologia: Marco = nato in marzo, sacro a Marte, dal latino

Emblema: Leone

Martirologio Romano: s

 

Nei libri del Nuovo Testamento Marco e ricordato dieci volte, col nome ebraico di Giovanni, col nome romano di Marco o col doppio nome di Giovanni Marco. Per alcuni studiosi si dovrebbero distinguere due o addirittura tre Marco. Noi accettiamo qui l’opinione piu comune di un solo Giovanni Marco, figlio di quella Maria nella cui casa si radunavano i primi cristiani di Gerusalemme e dove ando a rifugiarsi lo stesso S. Pietro dopo la prodigiosa liberazione dal carcere.

Marco, ebreo di origine, nacque probabilmente fuori della Palestina, da famiglia benestante. S. Pietro, che lo chiama "figlio mio", lo ebbe certamente con se nei viaggi missionari in Oriente e a Roma, dove avrebbe scritto il Vangelo. L’antichita cristiana, a cominciare da Papia (130), chiamo Marco "interprete di Pietro": "Marco, un interprete di Pietro, ha messo in iscritto esattamente tutto quello di cui si ricordava. Pero scrisse quello che dal Signore e stato detto o fatto, non secondo l’ordine. Marco cioe non ha udito il Signore, ne lo ha accompagnato; ma piu tardi ha udito Pietro, che disponeva i suoi insegnamenti secondo il bisogno... ".

Oltre alla familiarita con S. Pietro, l’evangelista Marco puo vantare una lunga comunita di vita con l’apostolo Paolo, che incontro la prima volta nel 44, quando Paolo e Barnaba portarono a Gerusalemme la generosa colletta della comunita di Antiochia. Al ritorno, Barnaba porto con se il giovane nipote Marco. Evangelizzata Cipro, quando Paolo progetto un piu faticoso e rischioso viaggio nel cuore dell’Asia Minore, tra le infide e bellicose popolazioni semibarbare del Tauro, Marco - si legge negli Atti degli Apostoli - "si separo da Paolo e Barnaba e torno a Gerusalemme". Poi Marco torno al fianco di S. Paolo mentre questi era prigioniero a Roma.

Nel 66 S. Paolo ci da l’ultima informazione su Marco, scrivendo dalla prigione romana a Timoteo: "Porta con te Marco. Posso bene aver bisogno dei suoi servizi".

I dati cronologici della vita di S. Marco rimangono incerti. Egli mori probabilmente nell’anno 140 dell’impero di Nerone (68), di morte naturale, secondo una relazione, e secondo un’altra come martire, ad Alessandria d’Egitto. Gli Atti di Marco, uno scritto della meta del quarto secolo, riferiscono che S. Marco il 24 aprile venne trascinato dai pagani per le vie di Alessandria legato con funi al collo. Gettato in carcere, il giorno dopo subi lo stesso atroce tormento e soccombette. Il suo corpo, dato alle fiamme, venne sottratto alla distruzione dai fedeli. Il trafugamento del suo corpo da parte di due mercanti veneziani nell’828 appartiene alla leggenda, ma e attorno a questa leggenda che e stata eretta dal 976 al 1071 la stupenda basilica veneziana dedicata all’autore del secondo Vangelo, simboleggiato dal leone.

Autore: Piero Bargellini

 

 

 

 

 



783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