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몽소승천(蒙召升天, Assumption) 이라는 차용 번역 용어의 출처는 개정판 성년광익 이다

인쇄

. [121.190.18.*]

2019-01-23 ㅣ No.1978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78.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질문 1: 성모님께서 선종하시자 마자, "하느님에 의하여 하늘로 들어올림 받으심(Assumption)"을 나타내는 번역 용어인 "몽소승천(蒙召升天)"의 출처와 기원을 알고 싶습니다.

 

질문 1에 대한 간략한 답변: 1738년 이후에 저술된 메야/마이야 신부님(1669-1748년)개정판 "성년광익", 추, 8월15일 성모승천 첨례일에, "聖母升天"(성모승천) 대신에, "聖母蒙召升天"(성모몽소승천)이라는 제목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 들어가면서

 

1-1. 다들 잘 알고 계시겠지만, 성모 마리아에 대한 네 개의 교의[dogmas, 믿을 교리, 즉, 반드시 믿어야 하는 교리: 1. 천주의 성모, 2. 평생동정, 3. 무염시태, 4. 몽소승천]들 중에서 가장 최근인 1950년에 교황 비오 12세에 의하여 정식화되어(formulated) 교의로 정의된(defined) 것이 바로 이 "聖母蒙召升天"(성모몽소승천) 교의 입니다.

 

1-2. (유의 사항 한 개) 성모님의 "몽소승천"과 관련하여 "성모님께서 [예수님처럼] 부활하신 후에 [즉, 지상으로 부활(소생)하신 후에] 하늘로 들어올림 받으셨다"고 주장/추정하는 분들이 간혹 계시는데, 그러나 이것은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이 아닙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의 졸글[제목: 성모님은 이미 부활하셨을까요? [부활vs승천]; 게시일자: 2007년 2월 8일]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662.htm <----- 바쁘지 않은 분들의 필독 권고

 

1-3. 바로 위의 제1-2항에서의 지적을 독자들에게 먼저 말씀드리는 이유는, 아래의 제2항에 안내된, 1583년과 그 이후에 그러나 1775년에 중국의 예수회가 해산되기 이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저술된, 성모님의 몽소승천에 대한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 중의 일부 서술들에는, 아직 이 교의가 1950년에 보편 교회 교도권에 의하여 정식화되어(formulated) 교의로 정의되기(defined) 이전인 시기에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적으로 불분명한 부분이 포함되었을 수도 있는데, 그러나 이미 성모과공 등의 어떤 편향된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 일부 독자들이 오래 전에 출판된 이들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을 읽고서 자칫, 성모님의 "몽소승천"과 관련하여 "성모님께서 [예수님처럼] 부활하신 후에 [즉, 지상으로 부활(소생)하신 후에] 하늘로 들어올림 받으셨다"는 잘못된 추정(presumption)의 근거로서 이들 한문본 문헌들을 사용하고자 시도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2. 유관 사료 분석 I

 

2-1. 다음은, 1616년과 1624년 사이에 저술되어 1631년에 초간된 것으로 알려진,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성모행실", 권1, 총술, 제16b쪽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발췌 시작)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다섯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2-2.

2-2-1. 예를 들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몽소승천"이라는 번역 용어의 사용 없는, 성모님의 "몽소승천"에 대한 언급들은, 바로 위의 제2-1항에 발췌된 알퐁소 바뇨니 신부님"성모행실" 이외의, 다음의 한문본 천주교 문헌들에 있으며, 그리고, 성모님의 "몽소승천"은, 지금까지도 또한 "한문 문화권" 내의 천주교회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러나 약간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용어인, "성모승천"이라고 말해지고 있음에 또한 주목하십시오:

 

(i) 1600년에 저술된 판토하 신부님"방자유전", 권3, 제3b쪽 [성모지 부생승천].

 

(ii) 1639년에 저술된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 등의 "구탁일초", 권8, 제17b-18a쪽[1639년(숭정12년) 7월 17일(양력: 8월 15일) 성모승천 첨례일 강론 [성모승천]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제2-2항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첫 번째 열(column)을 보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77.htm].

 

(iii) 1636년-1642년 사이에 초간된 쥬니오르 디아스 신부님"천주강생성경직해", 권15, 목록 [성모승천].

 

(iv) 1740년에 초간된 메야/마이야 신부님"성경광익", 권하, 목록 [성모승천].

 

2-2-2. 다음은,1740년에 초간된 메야/마이야 신부님"성경광익", 권하, 목록 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발췌 시작)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네 번쨰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2-3. 다른 한편으로, 그리고 예상 밖으로, 다음은, 초판 "성년광익"이 발행된 1738년 이후에 저술되어 출판된 메야/마이야 신부님(1669-1748년)개정판 "성년광익", 추, 8월 목록, 제4a쪽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8월15일 성모승천 첨례일의 제목에서 "聖母蒙召升天"(성모몽소승천)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습니다:

 

(발췌 시작)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일곱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20년 10월 13일]

게시자 주 2-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는 編者 미상의 한문본 "聖年廣益"이, 아무리 빠르더라도, 중국 본토에서 1856년 이전에 출판될 수 없었음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졸글/논문[제목: 편자 미상인 개정판 한문본 성년광익 의 출판년도는 예수 성심 대축일이 가톨릭 교회의 보편 교회 전례력에 도입된 해인 1856년 직후이다; 게시일자: 2020-06-19]]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7.htm <----- 필독 권고

[이상, 2020년 10월 13일자 내용 추가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06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