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반면교사(反面教師) 는 전통적 한문 문헌들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은 일본식 한자표현이다

인쇄

. [121.190.18.*]

2019-04-19 ㅣ No.1984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84.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질문 1: 요즈음 들어와, "반면교사"(反面教師)라는 생소한 표현이 간혹, 이런 저런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임의의 문맥 안에서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생각인데, 왜냐하면, 이 표현은, 예를 들어, 1981년신콘사이스 국어사전(동아출판사)1994년새국어사전(동아출판사)에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표현의 정확한 출처와 기원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질문 1에 대한 간락한 답변: "반면교사"(反面教師)라는 생소한 표현은 1957년 이후에 일본에서 만들어져 사용되기 시작한 표현이며, 이 표현은 1957년에 모택동이 처음으로/최초로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한 "反面教員"이 그 출처이고 기원인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제2항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2. 유관 자료들에 대한 분석

 

2-1.  

[단어(單語) 분석 제1단계]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反面教員"이라는 표현이 한문 문화권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아 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8D%E9%9D%A2%E6%95%99%E5%93%A1 0

https://ctext.org/post-han?searchu=%E5%8F%8D%E9%9D%A2%E6%95%99%E5%93%A1 0 

 

[단어(單語) 분석 제1단계]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反面教師"라는 표현이 한문 문화권의 대단히 방대한 분량의 한문 문헌들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아 왔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ctext.org/pre-qin-and-han?searchu=%E5%8F%8D%E9%9D%A2%E6%95%99%E5%B8%AB 0

https://ctext.org/post-han?searchu=%E5%8F%8D%E9%9D%A2%E6%95%99%E5%B8%AB 0

 

2-2.

2-2-1. [단어(單語) 분석 제2단계]

다른 한편으로, "反面教員"와 "反面教師" 둘 다는 "한한대사전"에는 표제어들로서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특히 중국의 정치인 모택동(毛澤東, 1893-1976년)이 처음으로/최초로 사용한 표현은, "反面教師"가 아니고, "反面教員"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guoxuedashi.com/hydcd/80373v.html [한어대사전]

(발췌 시작)

反面教員  

  

(反面教員,反面教员)
指從反面給人以教育的危害革命的階級、集團或個人。[졸번역: 부정적인 면(反面)들 사람들에게 제공하는 바를 쫓아 교육함으로써, [모택동이 주도하는 공산주의] 혁명에 위해를 가하는, 계급, 집단 혹은 개인을 가리킨다.]
 毛澤東《在省市自治區黨委書記會議上的講話》:“對少數壞人,除了最嚴重犯罪的以外,也不要捉,不要關,不要開除。要留在原單位,剝奪他的一切政治資本,使他孤立起來,利用他當反面教員。”
 陳毅《頤和園“五一”春游紀盛》詩:“孤立中國最蠢,反華自造牢籠,多謝反面教員,是火愈燒愈紅。”
 克非《春潮急》二七:“我們要拿他這個反面教員,教育我們的貧雇農和幹部。”

(이상, 발췌 끝)

 

2-2-2. 다음의 파란색 글자들을 클릭하면, 모택동1957년 1월 27일에 처음으로/최초로 이 표현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反面教員" "毛澤東" "自治區黨委書記會議"  <--- 여기를 클릭하여 필히 확인하라

 

2-3. 따라서, "표준국어대사전"에 제시된 다음의 설명 중의 두 번째 서술은 명백한 오류입니다:

 

출처: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반면교사"를 검색하세요]

(발췌 시작)

반면교사(反面敎師)

 

「명사」

 

「1」 사람이나 사물 따위의 부정적인 면에서 얻는 깨달음이나 가르침을 주는 대상을 이르는 말.

「2」 『사회 일반』 극히 나쁜 면만을 가르쳐 주는 선생이란 뜻으로, 중국에서 제국주의자ㆍ반동파ㆍ수정주의자를 이르는 말.

(이상, 발췌 끝)

 

2-4. 다른 한편으로, 중국의 작가 洪深(홍심, 1894-1955년)1943년 작품 "戲劇導演的初步知識"에서, 다음에 발췌된, "反面人物"(반면인물)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모택동이 이 작품을 읽고서 이 표현을 알게 된 후에, 이 표현에 근거하여 스스로 만들어낸 세속의 정치적 표현이 "反面教員"(반면교원)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발췌 시작)
反面人物  

指代表落後或反動的、被否定的人物。
 洪深《戲劇導演的初步知識》引言三:“那些反面人物,也是劇作者所經意創造的。”
(이상, 발췌 끝)   

 

2-5.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모택동이 처음으로/최초로 만들어 사용한 "反面教員"일본어 표현"反面教師"(반면교사)라는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tw.ichacha.net/hy/%E5%8F%8D%E9%9D%A2%E6%95%99%E5%93%A1.html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또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모택동이 처음으로/최초로 만들어 사용한 "反面教員"일본어 표현이 "反面教師"(반면교사)라는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yoji.jitenon.jp/yojie/2475.html [일본인들을 위한 4자성어 사전]

 

질문 2: 도대체 어떠한 이유로, 어떤 문헌에 근거하여, 누구에 의하여, 그리고 도대체 언제쯤에, 중국인들이 사용하지 않는, 그것도 1957년 이후에 일본에서만 오로지 사용되고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반면교사"(反面教師)라는 표제어가, 오류의 설명과 함께, 버젓이 실리게 되었는지요??? 국립국어원 제공의 "표준국어대사전"의 권위 때문에, 이 질문을 드립니다.

 

3. 제안/권고 한 개

 

지금부터라도, 공산주의자인 모택동문화혁명 중에 처음으로 사용한 "反面教員"(반면교원) 혹은, 그 이후에, 일본에서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反面教師"(반면교사) 대신에,

 

"以人為鑑"(이인위감)


혹은


"以人為鏡"(이인위경)

 

이라는 성어를 널리 사용할 것을 강력히 권고드립니다.

 

출처: http://www.guoxuedashi.com/hydcd/28712y.html 

(발췌 시작)

以人為鑑

 

(以人為鑑,以人为鉴)
《書‧酒誥》:“古人有言曰:‘人無於水監,當於民監。’”於,以;監,通“”,鏡。
 《國語‧吳語》:“王其盍亦鑑於人,無鑑於水。”
 韋昭注引《書》曰:“人無於水鑑,當於民鑑。”後以“以人為鑑”謂將別人的成敗得失作為自己的鑒戒。
 《新唐書‧魏徵傳》:“以銅為鑑,可正衣冠;以古為鑑,可知興替;以人為鑑,可明得失。”參見“以人為鏡”。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www.guoxuedashi.com/hydcd/28711d.html 

(발췌 시작)

以人為鏡

 

(以人為鏡,以人为镜)
把別人的成敗得失作為自己的鑒戒。語本《墨子‧非攻中》:“古者有語曰:‘君子不鏡於水而鏡於人。鏡於水,見面之容;鏡於人,則知吉與凶。’”
 《舊唐書‧魏徵傳》:“夫以銅為鏡,可以正衣冠;以古為鏡,可以知興替;以人為鏡,可以明得失。”參見“以人為鑑”。

(이상, 발췌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05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