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번제물과 화제물 용어들에 대하여 [성경_번역] [성경_용어]

인쇄

. [116.122.103.*]

2010-01-08 ㅣ No.902

 
 + 찬미 예수
 
이 글에서는 성경, 특히 구약 성경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번역 용어인, "번제물"과 "화제물" 용어들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성경"에서는, "번제물" 단어와 "화제물" 단어 둘 다를 사용하고 있음과, 문맥들을 잘 비교해 보면, 이들이 내용면에서 같은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새 번역] 성경"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 "번제물" 용어가 사용된 절들을 모두 찾아 볼 수 있습니다: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새 번역] 성경"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 "화제물" 용어가 사용된 절들을 모두 찾아 볼 수 있습니다:
 
-----
참고:
그러나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공동번역성서"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 "화제물" 용어가 사용된 절들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새 번역] 성경"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 "향기로운 번제물" 표현이 사용된 절들을 모두 찾아 볼 수 있습니다:
https://maria.catholic.or.kr/bible/search/bible_search.asp?n=&p=&bb_no=&code=&JangNo=&JeolNo=&submit_root=ctindex&ctxtPlace=search&page=&ctindex=old2&prindex=0&Keyword=%ED%96%A5%EA%B8%B0%EB%A1%9C%EC%9A%B4+%EB%B2%88%EC%A0%9C%EB%AC%BC 5
 
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새 번역] 성경"의 구약 성경 본문 중에 "향기로운 화제물" 용어가 사용된 절들을 모두 찾아 볼 수 있습니다:
https://maria.catholic.or.kr/bible/search/bible_search.asp?n=&p=&bb_no=&code=&JangNo=&JeolNo=&submit_root=&ctxtPlace=search&page=&ctindex=old2&prindex=0&Keyword=%ED%96%A5%EA%B8%B0%EB%A1%9C%EC%9A%B4+%ED%99%94%EC%A0%9C%EB%AC%BC 20
 
그런데
5.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 후원으로 출판된 NAB(New American Bible) 에서는, "성경"의 구약 성경 중에서 "번제물" 혹은 "화제물"로 번역이 된 표현들을, 거의 모두 "holocaust"로 번역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https://maria.catholic.or.kr/bible/search/bible_search.asp?n=&p=&bb_no=&code=&JangNo=&JeolNo=&submit_root=&ctxtPlace=search&page=&ctindex=old2&ctindex=nab&prindex=0&Keyword=holocaust 282
 
즉,
5-1.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NAB 본문 중에서 "burnt offering"이라는 표현이 약 6번 사용되었음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maria.catholic.or.kr/bible/search/bible_search.asp?n=&p=&bb_no=&code=&JangNo=&JeolNo=&submit_root=&ctxtPlace=search&page=&ctindex=old2&ctindex=nab&prindex=0&Keyword=burnt+offering 8 
 
그리고,
5-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NAB 본문 중에서 "burnt offerings"이라는 표현를 약 10번 사용하였음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
6.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톨릭용 영어 성경인 New Jerusalem Bible 에서는, "성경"의 구약 성경 중에서 "번제물" 혹은 "화제물"로 번역이 된 표현들을, 거의 모두 "burnt offering"로 번역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6-1.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New Jerusalem Bible 본문 중에 "burnt offerings"이라는 표현을 또한 많이 사용하였음을 할 수 있습니다.
 
6-2.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New Jerusalem Bible 본문 중에 "holocaust"이라는 표현을 거의(구글 검색으로는 전혀 잡히지 않음) 사용하지 않았음을 할 수 있습니다.

6-3. 여기를 클릭하시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New Jerusalem Bible 본문 중에 "holocausts"이라는 표현을 거의(구글 검색으로는 전혀 잡히지 않음) 사용하지 않았음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영어로 "burnt offering"으로 번역한 것은 칠십인역 그리스어 구약 성경을 따른 것이며, 영어로 "holocaust"라고 번역한 것은 고대 그리스어를 따른 것이라는 설명도 인터넷 영문 자료들(예를 들어, http://en.wikipedia.org/wiki/Whole_offering)에서 읽었습니다만, 이것이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는 이야기인지에 대하여서는 아직까지 제가 자세히 확인을 하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7.
여기를 클릭하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라틴어 불가타 성경을 영어로 번역한 Douay-Rheims 성경의 본문에서도 "holocaust"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주석으로 이 표현이 "burnt offering"과 같은 뜻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7-1.
여기를 클릭하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Douay-Rheims 성경의 본문 중에서 "burnt offering" 용어를 사용 중인 구약 성경의 절들을, 더 자세한 검색을 통하여, 찾아 볼 수 있습니다.
 
Douay-Rheims Bible을 많이 참조하였던 1611년판 KJV의 고어를 현대어로 바꾸는 등의 작업에 가톨릭측과 개신교측이 함께 참여하여 내 놓았던, RSV(Revised Standard Version)의 본문 중에는 "holocaust" 단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burnt offering", "burnt offerings" 를 사용한 것을 또한 파악하였습니다.
 
 
참고: 지금은, 요즈음 하고 있는 "성경공부 해설서 다해-II" 집필 작업 관계로, 이 정도로 그치고..., 다음에 시간이 있을 때에, 위에 말씀드린 "holocaust" 혹은 "burnt offering" 용어가 등장하는 영어 성경들의 절들과, "성경"의 해당 절들을, 다른 영문 자료들도 참고를 하면서, 서로 비교/검토해 볼 생각입니다.
 
----------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2시간
 
 
 


1,57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