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적어도 부활 시기에는 영성체를 하라는 교회의 세 번째 규범에 대하여 [번역오류_가톨릭교회교리서]

인쇄

[175.115.209.*]

2010-03-07 ㅣ No.913

 
+ 찬미 예수님!
 
이 글에서는, 가톨리 교회의 다섯 개의 규범들 중의 세 번째 규범(precept)의 우리말 번역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041-2043항에서 제시되고 있는 다섯 개의 교회의 규범들입니다. 여러 나라 언어본들을 서로 비교하면서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index.htm (교황청 홈페이지)
 
 
 
(라틴어)
 
 II. Praecepta Ecclesiae
 
2041 Praecepta Ecclesiae in hac linea vitae moralis cum vita liturgica coniunctae et ab illa nutritae collocantur. Indoles obligatoria harum legum positivarum ab auctoritatibus pastoralibus promulgatarum, pro scopo habet fidelibus providere minimum pernecessarium in orationis spiritu et in morali nisu, in incremento amoris Dei et proximi.
 
2042 Primum praeceptum (« Diebus Dominicis ceterisque festis de praecepto Missam audire et ab operibus servilibus vacare ») a fidelibus exigit diem in quo resurrectio Domini commemoratur, necnon praecipuas liturgicas festivitates quae Domini, beatae Virginis Mariae et sanctorum honorant mysteria, sanctificare, imprimis eucharisticam participando celebrationem, in qua communitas congregatur christiana, atque ab illis requiescere laboribus et negotiis quae talem horum dierum sanctificationem possint impedire.
 
Secundum praeceptum (« Peccata saltem semel in anno confiteri ») ad Eucharistiam praestat praeparationem per receptionem sacramenti Reconciliationis, quod opus conversionis et veniae prosequitur Baptismi.
 
Tertium praeceptum (« Eucharistiae sacramentum saltem in Paschate recipere ») minimum praestat in corporis et sanguinis Domini receptione in conexione cum festis Paschalibus, origine et centro liturgiae christianae.
 
2043 Quartum praeceptum (« Diebus ab Ecclesia statutis ab esu carnium abstinere et ieiunium servare ») tempora tuetur asceseos et paenitentiae quae nos ad festa praeparant liturgica et ad acquirendum in nostros instinctus dominium et cordis libertatem.
 
Quintum praeceptum (« Ecclesiae necessitatibus subvenire ») enuntiat, fideles praeterea obligari ad subveniendum, singulos secundum suam facultatem, materialibus Ecclesiae necessitatibus.
-----
 
(이태리어)
 
II. I precetti della Chiesa

2041 I precetti della Chiesa si collocano in questa linea di una vita morale che si aggancia alla vita liturgica e di essa si nutre. Il carattere obbligatorio di tali leggi positive promulgate dalle autorità pastorali, ha
come fine di garantire ai fedeli il minimo indispensabile nello spirito di
preghiera e nell’impegno morale, nella crescita dell’amore di Dio e del
prossimo.

2042 Il primo precetto (« Partecipa alla Messa la domenica e le altre feste
comandate e rimani libero dalle occupazioni del lavoro
») esige dai fedeli che santifichino il giorno in cui si ricorda la risurrezione del Signore e le particolari festività liturgiche in onore dei misteri del Signore, della beata Vergine Maria e dei santi, in primo luogo partecipando alla celebrazione eucaristica in cui si riunisce la comunità cristiana, e che riposino da quei lavori e da quelle attività che potrebbero impedire una tale santificazione di questi giorni.

Il secondo precetto (« Confessa i tuoi peccati almeno una volta all’an-
no
») assicura la preparazione all’Eucaristia attraverso la recezione del sacramento della Riconciliazione, che continua l’opera di conversione e di perdono del Battesimo.

Il terzo precetto (« Ricevi il sacramento dell’Eucaristia almeno a Pasqua ») garantisce un minimo in ordine alla recezione del Corpo e del Sangue del Signore in collegamento con le feste pasquali, origine e centro della liturgia cristiana.

2043 Il quarto precetto (« In giorni stabiliti dalla Chiesa astieniti dal mangiare carne e osserva il digiuno ») assicura i tempi di ascesi e di penitenza, che ci preparano alle feste liturgiche e a farci acquisire il dominio sui nostri istinti e la libertà di cuore.

Il quinto precetto (« Sovvieni alle necessità della Chiesa ») enuncia che i fedeli sono tenuti a venire incontro alle necessità materiali della Chiesa, ciascuno secondo le proprie possibilità.
 
-----
 
(프랑스어)
 
II. Les commandements de l’Église
 
2041 Les commandements de l’Église se placent dans cette ligne d’une vie morale reliée à la vie liturgique et se nourrissant d’elle. Le caractère obligatoire de ces lois positives édictées par les autorités pastorales, a pour but de garantir aux fidèles le minimum indispensable dans l’esprit de prière et dans l’effort moral, dans la croissance de l’amour de Dieu et du prochain :
 
2042 Le premier commandement ( " Les Dimanches et les autres jours de fête de précepte, les fidèles sont tenus par l’obligation de participer à la Sainte Messe et de s’abstenir des oeuvres serviles ") demande aux fidèles de sanctifier le jour où l’on commémore la Résurrection du Seigneur, ainsi que les principales fêtes liturgiques où l’on honore les mystères du Seigneur, de la Bienheureuse Vierge Marie et des Saints, avant tout en participant à la célébration eucharistique qui rassemble la Communauté chrétienne, et de se libérer de tous ces travaux et de ces affaires qui sont de nature à empêcher la sanctification de ces jours (cf. ⇒ CIC, can. 1246-1248; CCEO, can. 880, § 3 ; 881, §§ 1. 2. 4).
 
Le deuxième commandement (" Tout fidèle est tenu par l’obligation de confesser ses péchés au moins une fois par an ") assure la préparation à l’Eucharistie par la réception du sacrement de la Réconciliation, qui continue l’œuvre de conversion et de pardon du Baptême (cf. ⇒ CIC, can. 989; CCEO, can. 719).
 
Le troisième commandement ( " Tout fidèle est tenu par l’obligation de recevoir la Sainte Communion au moins chaque année à Pâques ") garantit un minimum dans la réception du Corps et du Sang du Seigneur en liaison avec les fêtes Pascales, origine et centre de la liturgie chrétienne (cf. ⇒ CIC, can. 920; CCEO, can. 708 ; 881, § 3).
 
2043 Le quatrième commandement (" Aux jours de pénitence fixés par l’Eglise, les fidèles sont tenus par l’obligation de s’abstenir de viande et d’observer le jeûne ") assure des temps d’ascèse et de pénitence qui nous préparent aux fêtes liturgiques et nous disposent à acquérir la maîtrise sur nos instincts et la liberté du cœur (cf. ⇒ CIC, can. 1249-1251; CCEO, can. 882).
 
Le cinquième commandement (" Les fidèles sont tenus par l’obligation de subvenir aux besoins de l’Eglise ") énonce que les fidèles sont tenus de subvenir aux nécessités matérielles de l’Église, chacun selon ses possibilités (cf. ⇒ CIC, can. 222; CCEO, can. 25 ; les conférences épiscopales peuvent établir d’autres préceptes ecclésiastiques pour leur territoire, cf. ⇒ CIC, can. 455).
-----
 
(영어)
참고: 현재 교황청 홈페이지에서 제공 중인 영문본 CCC의 제2043항이 다른 언어본 CCC의 제2043항과 다른 것으로 보아, 현재 교황청 홈페이지에서 제공 중인 영문본 CCC가, 라틴어 정본이 확정되어 공포된 1997년판(제2판)의 영문본 아닌, 1992년판(초판)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음의 영문본 CCC 제2014-2043항은 아래의 출처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출처 1: http://www.usccb.org/catechism/text/pt3sect1chpt3art3.shtml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증앙협의회 홈페이지)
 
II. THE PRECEPTS OF THE CHURCH
 
2041 The precepts of the Church are set in the context of a moral life bound to and nourished by liturgical life. The obligatory character of these positive laws decreed by the pastoral authorities is meant to guarantee to the faithful the very necessary minimum in the spirit of prayer and moral effort, in the growth in love of God and neighbor:
 
2042 The first precept ("You shall attend Mass on Sundays and holy days of obligation and rest from servile labor") requires the faithful to sanctify the day commemorating the Resurrection of the Lord as well as the principal liturgical feasts honoring the mysteries of the Lord, the Blessed Virgin Mary, and the saints; in the first place, by participating in the Eucharistic celebration, in which the Christian community is gathered, and by resting from those works and activities which could impede such a sanctification of these days.
 
The second precept ("You shall confess your sins at least once a year") ensures preparation for the Eucharist by the reception of the sacrament of reconciliation, which continues Baptism's work of conversion and forgiveness.
 
The third precept ("You shall receive the sacrament of the Eucharist at least during the Easter season") guarantees as a minimum the reception of the Lord's Body and Blood in connection with the Paschal feasts, the origin and center of the Christian liturgy.
 
2043 The fourth precept ("You shall observe the days of fasting and abstinence established by the Church") ensures the times of ascesis and penance which prepare us for the liturgical feasts and help us acquire mastery over our instincts and freedom of heart.
 
The fifth precept ("You shall help to provide for the needs of the Church") means that the faithful are obliged to assist with the material needs of the Church, each according to his own ability.
 
The faithful also have the duty of providing for the material needs of the Church, each according to his own abilities.
-----
 
(우리말)
 
출처: http://www.cbck.or.kr/book/book_list.asp?p_code=K5115#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II. 교회의 법규
 
2041 교회의 법규는 전례 생활과 연결되고 또 전례 생활로 자라나는 윤리 생활과 그 맥을 같이한다. 교회의 목자들이 제정한 이 실정법의 의무들은 신자들에게 기도 정신과 윤리적 책임, 그리고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의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최소한의 선을 제시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2042 첫째 법규(“주일과 의무 축일에는 미사에 참여하고, 육체노동을 삼가야 한다.” )는 주님의 부활을 기념하는 주일을 비롯하여, 주님과 복되신 동정 마리아와 성인들의 신비를 공경하는 주요 전례 축일들을 거룩하게 지내도록 신자들에게 요구한다. 신자들은 무엇보다도 그리스도교 공동체가 함께 모여 거행하는 성찬례에 참여하여야 하고 이날의 성화를 방해할 수 있는 모든 일과 노동을 삼가고 쉬어야 한다.
 
둘째 법규( “최소한 일 년에 한 번은 자기의 죄를 고백해야 한다.” )는, 회개와 용서라는 세례의 작용을 지속시키는 고해성사를 받음으로써 성체를 모실 준비를 확실하게 하라는 것이다.
 
셋째 법규( “적어도 한 번 부활 시기에 성체를 받아 모셔야 한다.” )는 그리스도교 전례의 기원이며 중심인 부활 축제들과 연결시켜,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최소한의 규정이라도 준수하라는 것이다.
 
2043 넷째 법규(“교회가 정한 날에 금식재와 금육재를 지켜야 한다.”)는 전례 축일에 맞갖게 우리를 준비시키고 본능의 자제와 마음의 자유를 얻도록 돕는 참회와 고행의 시기를 가지라는 것이다.
 
다섯째 법규( “교회의 필요를 지원하여야 한다.” )는 신자들이 저마다 자신의 능력에 따라 교회의 물질적 필요를 지원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다.
 
----------
 
1.
제2041항에서는 이들 교회의 다섯 개의 precepts의 목적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법규( 法規 )"로 번역을 하고 있는, "precept"의 의미부터 알아야 할 것입니다. 
 
1-1. 다음은 Merriam-Webster On Line Dictionary에 주어져 있는 precept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Main Entry: pre·cept
Pronunciation: \ˈprē-ˌsept\
Function: noun
Etymology: Middle English, from Anglo-French, from Latin praeceptum, from neuter of praeceptus, past participle of praecipere to take beforehand, instruct, from prae- + capere to take — more at heave
Date: 14th century

1 : a command or principle intended especially as a general rule of action
2 : an order issued by legally constituted authority to a subordinate official

synonyms see law

1-2. 다음은 Merriam-Webster On Line Dictionary에 주어져 있는 Law와 동의어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비교/검토하면서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synonyms law, rule, regulation, precept, statute, ordinance, canon mean a principle governing action or procedure. law implies imposition by a sovereign authority and the obligation of obedience on the part of all subject to that authority law>. rule applies to more restricted or specific situations rules of the game>. regulation implies prescription by authority in order to control an organization or system <regulations affecting nuclear power plants>. precept commonly suggests something advisory and not obligatory communicated typically through teaching precepts of effective writing>. statute implies a law enacted by a legislative body statute requiring the use of seat belts>. ordinance applies to an order governing some detail of procedure or conduct enforced by a limited authority such as a municipality ordinance>. canon suggests in nonreligious use a principle or rule of behavior or procedure commonly accepted as a valid guide canons of good taste>.
 
(졸번역) 
"regulation"은 어떤 단체 혹은 시스템을 통제하기 위하여 권력에 의한 법규(prescription)를 뜻한다.
 
"precept"는, 전형적으로 가르침을 통하여 전달되는, 권고의 그리고 의무가 아닌 어떤 것을 보통 암시한다.
 
 
참고: 그리고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precept"를 "법규"로 번역하고 있으나, 그러나 영한 사전들을 참고하면, 위의 단어들 중에서 "regulations"를 "법규()"로 번역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precept"를 "법규()" 보다는 "규범()"으로 번역하는 것이 원래의 라틴어의 의미에 더 충실하다는 생각입니다.
 
  
2.
세 번째 precept를 서로 비교/검토해 보시면, 다른 언어본들과는 달리, 우리말본에만 "한 번"이라는 표현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추가는 1983년에 개정 공포된 교회법전 제920조의 내용과 관련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다음은 1983년판 교회법전 제920조 입니다:
 
제 920 조 ① 모든 신자는 지성한 성찬을 영하기 시작한 다음에는 매년 적어도 한 번 성체를 영할 의무가 있다.
② 이 계명은 부활 시기에 이행하여야 한다. 다만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연내 다른 시기에 수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교회 법전보다 상위의 교회 문헌인 1997년판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우리말로 번역하면서, 여러 나라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도 없는 표현인 "한 번"이, 위에서 자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42항에 있는 교회의 세 번쩨 규범(precept)의 본문 중에,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임의적으로, 추가된 것은 중대한 문제라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이 규범(precept)이, ‘교회법적으로 의무 조항인 1983년판 교회법전 제920조의 정신과 내용을 포함하는 규범으로서’, (1997년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제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3. 결론
 
라틴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뿐만이 아니라 이태리어, 프랑스어, 영어 등의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내용과도 일치하도록,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042항에 있는 교회의 세 번째 규범(precept)의 본문에서 "한 번"이라는 표현을 삭제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4시간
 
 


1,555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