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주부덕으로서 거룩함의 정의 540_ [_거룩함][_성성][_성스러운][_성덕][_holy][_holiness][_sanctity]

인쇄

. [39.118.118.*]

2013-02-11 ㅣ No.1336


게시자 주:
(1) 이번 글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holiness"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특히 

"holiness" = "sanctity" (라틴어: sanctitas
          

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따라서,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고찰하고 있는 바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합니다:

     우리나라 가톨릭측              라틴어         중국 가톨릭측

"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 = sanctitas = 성덕(聖德, sanctity).

(3) 특히 아래의 글은 영성 신학적으로 그리고 윤리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되도록 많은 분들 (여기에는 성직자 및 수도자들 포함)께서 필독하실 것을 강력하게 권고드립니다.
-----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7386a.htm

(발췌 시작)

Holiness

거룩/거룩함(Holiness)

(A.S. hal, perfect, or whole). Sanctitas in the Vulgate of the New Testament is the rendering of two distinct words, hagiosyne (1 Thess., iii,13) and hosiotes (Luke 1:75; Ephesians 4:24). These two Greek words express respectively the two ideas connoted by "holiness" viz.: that of separation as seen in hagios from hagos, which denotes "any matter of religious awe" (the Latin sacer); and that of sanctioned (sancitus), that which is hosios has received God's seal. Considerable confusion is caused by the Reims version which renders hagiasmos by "holiness" in Hebrews 12:14, but more correctly elsewhere by "sanctification", while hagiosyne, which is only once rendered correctly "holiness", is twice translated "sanctification".

[앵글로-색슨(A.S.) hal, 완미한(perfect), 혹은 전체의(whole)]. 라틴말 대중 성경에 있어 신약 성경의 Sanctitas(*)는 두 개의 구분되는 단어들, hagiosyne (1테살로니카 3,13)와 hosiotes (루카 1,75; 에페소 4,24)의 옮김(rendering, 번역)입니다. 이들 두 그리스어 단어들은 "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에 의하여 각각 논리적 함축으로서 의미되는(connoted) 두 개의 개념들을, 달리 말하여(viz), "경신덕적 외경(畏敬)의 모든 사안(any matter of religious awe) 을 나타내는, hagos 로부터 유래하는 hagios 에서 보여지듯이 분리(separation)라는 의미(라틴어 sacer; 영어 sacred), 그리고, hosios 인 것인, 하느님의 인호(인증, (God's seal)를 이미 받은, 인가받은(sanctioned)이라는 의미(sancitus)를, 나타냅니다. 상당한 혼란이, 히브리서 12,14에서 hagiasmos 를 "holiness(거룩/거룩)"로 옮긴(번역한, renders), 그러나 다른 장소에서 더 올바르게 "sanctification(성화)"로 옮기고, 이와는 달리(while), 오로지 한 번 올바르게 "holiness(거룩/거룩함)"으로 옮겨진 hagiosyne 은 "sanctification" 으로 두 번 번역된, Reims 본 영어 성경에 의하여 야기되고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라틴어 "sanctitas"에 대응하는 영어 번역 단어는 "sanctity[성덕(聖德)]" 이다.
-----

 

St. Thomas (II-II:81:8) insists on the two aspects of holiness mentioned above, viz., separation and firmness, though he arrives at these meanings by dint of the etymologies of Origen and St. Isidore. Sanctity, says the Angelic Doctor, is the term used for all that is dedicated to the Divine service, whether persons or things. Such must be pure or separated from the world, for the mind needs to be withdrawn from the contemplation of inferior things if it is to be set upon the Supreme Truth — and this, too, with firmness or stability, since it is a question of attachment to that which is our ultimate end and primary principle, viz., God Himself — "I am sure that neither death, nor life, nor angels. . . nor any other creature shall be able to separate us from the love of God" (Romans 8:38-39). Hence St. Thomas defines holiness as that virtue by which a man's mind applies itself and all its acts to God; he ranks it among the infused moral virtues, and identifies it with the virtue of religion, but with this difference that, whereas religion is the virtue whereby we offer God due service in the things which pertain to the Divine service, holiness is the virtue by which we make all our acts subservient to God. Thus holiness or sanctity is the outcome of sanctification, that Divine act by which God freely justifies us, and by which He has claimed us for His own; by our resulting sanctity, in act as well as in habit, we claim Him as our Beginning and as the End towards which we daily unflinchingly tend. Thus in the moral order sanctity is the assertion of the paramount rights of God; its concrete manifestation is the keeping of the Commandments, hence St. Paul: "Follow peace with all men, and holiness [sanctimoniam, hagiasmon]: without which no man shall see God" (Hebrews 12:14). The Greek word should be noted; it is generally rendered "sanctification", but it is noteworthy that it is the word chosen by the Greek translators of the Old Testament to render the Hebrew (rendered as Ayin-Zayin), which properly means strength or stability, a meaning which as we have seen is contained in the word holiness. Thus to keep the Commandments faithfully involves a very real though hidden separation from this world, as it also demands a great strength of character or stability in the service of God.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신학 대전, II-II:81:8)는, 비록 그가 오리게네스(Origen)성 이시도로(St. Isidore)에 의한 어원의 설명(etymologies)들의 힘으로 이들 의미들에 도달하기는 하나, 위에 언급된 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의 두 양상들, 달리 말하여, 분리(separation)와 확고 부동(firmness)에 대하여 강조합니다(insist on). 이 천사적 박사는 성덕(sanctity, 聖德)이, 인격(persons)들 혹은 사물들이든지간에, 하느님을 섬김(the Divine service)에 바쳐진(dedicated) 모든 것(all)에 대하여 사용되는 용어라고 말합니다. 그러한 것들은 순수하여야만(pure) 혹은 세상으로부터 분리되어야만 하는데, 이는 마음(the mind)이, 만약에 마음이 지고의 거룩한 진리(the Supreme Truth)에 사용되고자 한다면, 저급의 사물(inferior things)들에 대한 응시(contemplation)로부터 물러나야 할(be withdrawn from) 필요가 있기 때문이며 - 그리고 이것, 또한, 확고 부동(firmness) 혹은 확고함(stability, 부동)으로써 이기 때문인데, 왜냐하면 이것이 우리의 궁극적 목표(untimate end)이며 그리고 주된 원리(primary principle), 달리 말하여, 하느님 당신 자신, 바로 그것을 향하는 애착(attachment)에 대한 어떤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 "나는 확신합니다. 죽음도, 삶도, 천사도, ... 그 밖의 어떠한 피조물도 ...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 (로마 8,38-39). 따라서 성 토마스 아퀴나스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을 그것에 의하여 한 사람의 마음이 하느님을 향하여 마음 자체 및 마음의 행위들 모두를 열중하는 바로 그 덕(virtue)으로서 정의하며(defines)(*), 그리고 그는 이 덕을 [하느님에 의하여] 주입되는 윤리덕(the infused moral virtues)들 사이에서 등급을 매기며(ranks), 그리고 이 덕을 경신덕(the virtue of religion)과 동일시하나, 그러나경신덕(종교, religion)이 바로 그것에 의하여 하느님을 섬김(the Divine service)에 적절한(pertain to) 일들 안에서 하느님께 마땅한 섬김(service)을 우리가 봉헌하는 바로 그 덕(virtue)인 반면에, 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은 그것에 의하여 우리가 하느님께 매우 기꺼히 순종하는(subservient) 우리의 행위들 모두를 우리가 하게 되는 바로 그 덕(virtue)이라는, 바로 이러한 차이점과 함께 입니다. 따라서 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 혹은 성덕(聖德, sanctity), 바로 그것에 의하여 하느님께서 우리를 자유로이 정의롭게 하시는(freely justifies), 그리고 바로 그것에 의하여 당신께서 당신의 전용물로서 우리를 가진다고 말씀해 오셨던(has claimed), 그리하여, 습관에 있어 뿐만이 아니라 또한 행위에 있어, 우리에게 결과로서 생기는(resulting) 성덕(聖德, sanctity)에 의하여, 그들을 향하여 우리가 날마다 물러서지 않으면서(unflinchingly)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는(tend), 우리의 거룩한 시작(Beginning)으로서 그리고 거룩한 끝(End, 목표)으로서 우리가 당신을 가진다고 말하는(claim), 바로 그러한 하느님의 행위(Divine act)인, 성화(sanctification)의 결과(outcome)입니다. 따라서 윤리적 질서/순서(the moral order)에 있어 성덕(聖德, sanctity)은 하느님의 최고의 정당한 요구(rights)들에 대한 단언(assertion)이고, 그리고 이것의 구체적인 나타남(manifestation)은 계명(the Commandments)들의 준수 행위이며, 따라서 성 바오로(St. Paul) [혹은 히브리서 저자는]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모든 사람들과 평화롭게 지내고 거룩하게 살도록[sanctimoniam, hagiasmon] 힘쓰십시오. 거룩해지지 않고는 아무도 주님을 뵙지 못할 것입니다." (히브리 12,14). 이 그리스어 단어는 주목되어져야만 하며, 그리고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성화(sanctification)"로 옮겨지나, 그러나 이 단어가, 우리가 이미 보았듯이 거룩함/성성(聖性, holiness)이라는 단어에 포함되어 있는, 굳셈 혹은 확고함(stability, 부동)을 고유하게 의미하는, (Ayin-Zayin 로 옮겨지는) 히브리어 단어를 옮기기 위하여, 구약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자들에 의하여 선택된 것은 주목할 만합니다. 따라서 계명들을 충실하게 지키는 것은, 그러한 행위가 또한 하느님을 섬김(the service of God)에 있어 품성(character)의 어떤 커다란 굳셈 혹은 확고함(stability, 부동)을 요구하듯이, 바로 이 세상으로부터, 비록 감추어져 있으나, 어떤 대단히 실제적인 분리(separation)를 수반합니다.

-----
(*) 번역자 주: "거룩함(holiness)"이 어떤 주부덕(an infused virtue), 더 구체적으로, 어떤 주입되는 윤리덕(an infused moral virtue)이라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에 의한 "거룩함(holiness)"정의(definition)는, 당연히, 피조물들인 사람(men)들의 거룩함에 대한 정의(definition)이다.
-----

It is manifest, however, that there are degrees in this separation from the world and in this stability in God's service. All who would serve God truly must live up to the principles of moral theology, and only so can men save their souls. But others yearn for something higher; they ask for a greater degree of separation from earthly things and a more intense application to the things of God. In St. Thomas's own words: "All who worship God may be called 'religious', but they are specially called so who dedicate their whole lives to the Divine worship, and withdraw themselves from worldly concerns, just as those are not termed 'contemplatives' who merely contemplate, but those who devote their whole lives to contemplation". The saint adds: "And such men subject themselves to other men not for man's sake but for God's sake", words which afford us the keynote of religious life strictly so-called (II-II:81:7, ad 5um). 

그러나, 세상으로부터 바로 이러한 분리(separation)에 있어 그리고 하느님을 섬김(God's service)에 있어 바로 이러한 확고함(stability, 부동)에 등급(degrees)들이 있음은 분명합니다. 하느님을 섬기겠다는(would) 모든 이는 윤리 신학(moral theology)의 원리(principles)들에 부끄럽지 않은 생활을 하여야만 하며, 그리고 오로지 그렇게 함으로써 사람들은 자신들의 영혼(souls)들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이들은 더 높은 그 무엇을 동경하며(yearn for), 그리하여 그들은 세속의 사물들로부터 분리(separation)에 있어서의 어떤 더 커다란 등급을 그리고 하느님의 일들에 대한 어떤 더 강렬한 전념(application)을 요구합니다.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고유한 말들로 다음과 같습니다: "하느님을 경배하는 자들 모두는 '종교적인/경신덕이 있는(religious)' 이라고 불릴 수도 있습니다만, 그러나, 단지 응시하는(contemplate) 자들이 아니라, 오로지 자신들의 전체 삶(whole lives)들을 관상(contemplation)에 바치는 자들이 '관상적인(contemplative)' 이라고 불리는 것과 꼭 마찬가지로, 하느님의 경배(the Divine worship)에 자신들의 전체 삶들을 바치고, 그리고 세상의 관심사들로부터 자기 자신들을 물러나게 하는(withdraw) 자들은 특별히 그렇게 불립니다." 이 성인은 다음과 같이 첨언하는데: "그리고 그러한 사람들은 사람을 위하여서가 아니라 하느님을 위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기 자신을 복종하게 합니다," 이것은 엄밀하게 그렇게 불리는 경신덕적 삶(수도 생활, religious life)의 요지(keynote)를 우리에게 제공하는 표현입니다(신학 대전, II-II:81:7, ad 5um).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8시간 
 



1,58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