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8월12일 샹탈의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프레미오♬Lauda Sion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2-11 ㅣ No.1519


 

축일:8월12일

샹탈의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프레미오, O.F.S.
Santa Giovanna Francesca de Chantal Religiosa
Digione, Francia, 1572 - Moulins, Francia, 13 dicembre 1641

Saint Jeanne de Chantal
Also known as : Jane Frances of Chantel, Jane Frances Fremiot de Chantal
Born : 28 January 1572 at Dijon, Burgundy, France
Died : 13 December 1641 at the Visitationist convent at Moulins, France of natural causes
relics at Annecy, Savoy (in modern France
Beatified : 21 November 1751 by Pope Benedict XIV
Canonized : 16 July 1767 by Pope Clement XIII
Giovanna = il Signore è benefico, dono del Signore, dall'ebraico

 

 

요안나 프란체스카는 아내요 어머니였으며, 수녀인 동시에 수도 공동체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그녀의 어머니는 그녀가 태어난 지 18개월이 되었을 때 세상을 떠나고

프랑스 디종의 국회 의장이었던 아버지가 그녀의 교육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그녀는 아름답고 섬세하며 성격이 쾌활하고 사랑스러운 여인으로 성장했다.

21세가 되었을 때 그녀는 샹탈 남작과 결혼하여 여섯명의 아이를 낳았는데 그 중 셋은 어려서 죽었다.

그녀는 자기가 거처하는 성에서 매일 미사에 참여했으며 여러 가지 자선 사업에도 신중하게 참여했다.

그녀의 남편은 결혼한지 7년 만에 살해되었고, 그녀는 깊은 실의에 잠겨 친정에서 4개월 동안 있었다.

 

그녀의 시아버지는 그녀가 자기 집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아이들에게 재산을 상속하지 않겠다고 위협했다.

그는 75세의 노인으로 난폭하고 무례하며 허풍쟁이였다.

요안나 프란체스카는 시아버지와 그의 횡포한 관리인 때문에 고통을 받으면서도

명랑하게 살아가려고 노력했다.

 

그녀는 32세에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성인을 만났다.  

그는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었으며 전임 영적 지도자가 그녀에게 부과했던

몇 가지 무리한 부담을 덜어 주었다.

그녀는 수녀가 되기를 원했지만 그는 이 결정을 연기하도록 설득했다.

그녀는 수절할 것과 자기 영적 지도자에게 순종할 것을 서원했다.

 

3년 후에 살레시오는 건강 때문에 혹은 나이나 그 외에 다른 이유로

이미 설립된 기존 수도원에 들어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한 여성 단체를 설립할 계획에 대해

요안나 프란체스카와 의논하였다.

그곳은 봉쇄 구역도 없고 자유로이 영적 일과 육체적 일을할 수 있는 곳이었다.

 

그들은 우선 엘리사벳을 방문한 마리아의 덕행인 겸손과 온순함을 본받고자 했다.

여기서 그들의 이름인 ’방문회 수녀’(Order of the Visitation of Our Lady)란 말이 생겼다.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방문 축일:5월31일.게시판1187번.1792번.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프란치스코 드 살)주교 축일:1월24일.게시판905번,1584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The Visitation

 

흔히 그렇듯이 그들은 반대를 받게 되었고 프란치스코 살레시오는 이 수녀회를

성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에 따라 봉쇄 수녀원으로 만들어야 했다.

살레시오는 그들을 위하여 그의 유명한 저서’신애론’을 썼다.

 

이 수녀원은 세 명의 부인(마리파브르, 샤를론 브레샤르, 안느 코스트)으로 시작되었고

그때 요안나 프란체스카는 45세였다.

요안나는 크나큰 고통을 당하게 되었다.

즉 프란치스코 살레시오가 죽고 그녀의 아들이 살해되었으며

전염병이 온 프랑스를 휩쓸었고 그녀의 며느리와 사위가 죽는 등 어려운 일이 계속되었다.

그녀는 전염병과 희생자들을 위하여 지방 관리들을 설득하는 데 큰 힘을 기울였으며

병자들을 위해 사용되도록 수녀원의 모든 재산을 내놓았다.

 

그녀는 수도 생활을 하면서 한때 커다란 영적 시련을 겪기도 하였다.

그것은 내적 고민과 암담함,영적 무미 건조함이었다.

그녀는 공동체의 분원들을 방문하는 중에 세상을 떠났다.

 

 

우리 중에 어떤 사람들은 성인이 내적 고민과 암담함, 영적 무미 건조를 느꼈다면

이상하게 생각하고 놀랄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그러한 일들은 일반적으로 죄 많은 ’보통’사람들에게만 나타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의 영적 활력이 결핍된 것은 사실 어느 정도 우리의 잘못일 수 있다.

그러나 신앙생활은 어디까지나 믿음 속에서 사는 것이며

때로는 어둠이 너무나 짙어 믿음의 한계를 넘어설 수도 있는 것이다.

 

빈첸시오 아 바울로 성인은 요안나 프란체스카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

"그녀는 신앙으로 가득 차 있었지만 일생 동안 그에 상반되는 생각으로 고통을 당했다.

외적으로는 그녀가 완덕의 높은 경지에 이른 영혼의 안락한 마음과 평화를 즐기는 것 같았지만,

그녀의 마음은 그녀가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지 않으려고 애써야 할 만큼

온갖 종류의 혐오감으로 가득 차 있다고 가끔 나에게 말할 정도로 내적 시련으로 고통을 당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고통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얼굴 모습은 위엄을 잃지 않았으며

하느님께서 그녀에게 요구한 충실함에서 한 번도 벗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나는 내가 지금까지 지상에서 만난 가장 거룩한 영혼 가운데 하나로 그녀를 바라본다."

(버틀러,’성인전’)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The Visitation-UNKNOWN MASTER, Spanish

1480-1500.Panel, 126 x 155 cm.Museo del Prado, Madrid

 

1572년 프랑스의 디종에서 태어났다. 샹탈의 남작과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낳았고 그들을 경건히 길러냈다.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 프란치스꼬 살레시오의 지도하에 완덕의 길을 기꺼이 걸어갔고

특히 가난한 이들과 병자들 가운데에 자선사업을 많이 했다.

’방문회’라고 하는 수녀회를 설립하여 슬기롭게 지도했다. 1641년에 세상을 떠났다.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까 수녀의 제자가 쓴 [비망록]에서

(Francoise-Madeleine de chaugy, Memoires sur la vie et les vertus

de Sainte J.-F. de Chantal, III, 3: 3th edit., Paris 1853, pp. 306-307)

 

사랑은 죽음만큼 강하다

 

 어느 날 복되신 요안나는 다음과 같은 열정적인 말씀을 하셨다. 이 말씀은 즉시 충실히 기록되었다.

"지극히 사랑하는 딸들이어, 교회의 기둥인 우리의 많은 교부들은 순교를 당하지 못했습니다.

왜 그러했다고 생각합니까?" 자매들 각자가 이 질문에 대답한 후 복되신 어머니는 말씀을 계속하셨다.

"그것은 사랑의 순교라고 하는 또 다른 순교가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순교에서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종들이 당신의 영광을 위해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그들이 생명을 존속시키시어 그들이 동시에 순교자와 증거자가 되게 하십니다.

방문회의 자매들은 이러한 순교로 부름받았습니다. 그리고 하느님께서 원하신다면

여러분 중 그것을 청하는 가장 복된 이들은 이 순교를 이룰 것입니다."

 

이때 어떤 자매가 이런 순교를 실제로 어떻게 할 수 있느냐고 질문했다. 어머니는 이렇게 대답하셨다.

"여러분 자신을 하느님께 온전히 바친다면 그것을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실상 하느님의 사랑은 우리 영혼의 가장 깊숙하고 은밀한 데까지 당신의 칼로 찔러 넣으시어,

우리를 우리 자신에게서 잘라 내시기까지 하십니다.

나는 어떤 폭군이 칼로 영혼을 육신에게서 잘라 내듯 사랑이 자기가 좋아했던 모든 것에서

잘라 버리게 한 한사람을 알았습니다."

 

우리는 어머니께서 자신에 대해 이 말을 하고 계시다는 것을 깨달았다.

다른 자매가 이러한 순교가 얼마나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느냐고 여쭈어 보았다.

어머니의 대답은 이러했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무조건적으로 하느님께 바치는 순간부터 죽는 순간까지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아낌없이 바치고 자신을 위해선 아무것도 남겨 두지 않으며

사랑을 충실히 섬기는 사람에게만 되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연약한 사람이나 사랑과 항구심이 부족한 사람에게 이 순교의 은혜를 주시지 않고,

다만 그들이 당신에게서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평범한 길로 나아가는 것을 허락하십니다.

그분은 우리의 자유 의지를 강제하시지 않습니다."

 

끝으로 누군가가 이러한 사람의 순교가 육신적 순교에 비교될 수 있는 순교인지 여쭈어 보았다.

어머니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비교에 대해 염려하지 마십시오. 여하튼 ’사랑은 죽음만큼 강하다.’는 말이 있듯이

육신적 순교에 못지않게 이 사랑의 순교도 위대합니다.

사랑의 순교자들은 하느님의 뜻을 완수하려 할 때,

순교자들이 신앙과 사랑과 충실성을 증명하려고 일천 번 목숨을 바칠 때보다 생활하는 동안

일천 번 더 잔혹한 고통을 당하게 됩니다."

(가톨릭홈에서)

 

 

 

 

상류 계급 출신의 여인으로서 부인이나 혹은 과부로 혹은 수녀로 각기 그 신분에 적합한 덕을 닦고

중인이 모범으로서 성녀가 된 예는 극히 드물지만,

요안나 프란치스카는 그런 드문 분 중의 한 분이다. 요안나는 세례명이고,

프란치스카는 프란치스코 성인을 사모하며 따르기 위한 그녀의 견진 본명이다.

 

그녀는 프랑스의 부르고뉴 주 디종 시의 귀족 프레미오가의 출신이다.

그녀의 아버지는 한때 주(州)의회 의장을 겸한 근면(勤勉)한 인사였으며,

생후 얼마 안되어 어머니를 여읜 요안나를 측은히 여겨 특별히 관심을 갖고 그녀의 양육에 힘을 기울였다.

 

요안나는 아직 나이 20세 미만이었을 때에, 어떤 부유한 귀족인 청년에게 구혼을 받았으나

그가 이단을 따르는 자란 것을 알자 즉시 거절해 버렸다.

이것만 보아도 그녀가 얼마나 독실한 신앙의 소유자였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그녀는 국왕의 충신이며 신앙심이 깊은 신자인 바롱크리스토퍼 드 샹탈 남작의 구혼을 받고

이것이 주님의 뜻인 줄 알고 승낙을 해 연분을 맺게 되었다.

 

남편은 아내를 사랑하고 아내는 남편을 존경하는 이 새 가정에는

봄 날씨와 같은 온화함이 깃들었고 즐거움뿐이었다.

남편인 샹탈이 혼인 전에는 가사보다도 국사(國事)에 치중하여 분망했던 관계로,

집안에는 약간의 부채가 있었으나 그것도 주부인 요안나의 알뜰한 살림에 의해

얼마 후에는 깨끗이 청산을 했다. 그로부터 9년간 그들에게는 여섯 명의 자녀가 태어났으며

그 자녀들의 교육도 알뜰히 시켰다.

 

그러나 세상이란 것은 믿지 못할 일이어서 보름달같이 원만하던 그녀의 가정에도 우수가 깃들게 되었다.

하루는 친구와 더불어 사냥을 간 남편이 친구의 오발로 인해 불의의 큰 부상을 입고 신음하게 되었다.

그리고 사랑하는 아내의 따뜻한 간호도 보람없이 며칠 후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평소에 정이 두터웠던 부부였던 만큼 프란치스카의 비통한 모습을 보는 사람은

저마다 눈시울을 적시지 않을 수 없었다. 그녀는 사람도 만나기 싫어 방안에 들어앉아 있던가,

혹은 산속에 가서 외로이 죽은 남편을 생각하며 하루종일 울기만 했다.

 

그러나 어느 날부터 이런 비통한 마음이 사라지고 동시에 하느님의 빛이

그녀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녀는 눈물을 씻고 머리를 들어 앞길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여생을 독신으로 살며 그리운 그분의 유물인 아이들을 잘 길러내서

초토에 파묻힌 남편의 영전에 보답할 것을 굳게 결심했다.

 

상(喪)을 벗은 요안나는 유산을 자녀들에게 분배하기 위해 그들을 데리고 마테본에 사는 시어머니 댁에 갔다.

시어머니는 본래 무뚝뚝한 성격에다가 그녀가 신임하는 여종까지 요안나를 눈에 티처럼 여겨

그 시어머니에게 여러 가지 나쁜 말을 했으므로 자연히 그녀의 입장은 곤란하게 되었다.

그러나 요안나는 사랑하는 아들들을 위해 모든 것을 잘 참고 시어머니나 그 여종이나 또는

그 여종의 아이들에게까지 한결같이 친절로써 대해주었다.

 

그러는 동안 요안나는 33세가 되었다.

그 해 그녀는 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디종에 있는 친정에 갔었는데,

때마침 유명한 프란치스코 드 살이 그곳에 와서 설교를 하고 있었다.

어느 날 성당에 가서 그의 설교를 들은 그녀는

이 분이야말로 자신의 지도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곧 그의 지도를 청했다.

이때부터 요안나는 성인의 지도를 받으며 성덕에 나아가게 된 것이다.

 

 

그녀는 프란치스코에게 육신의 고행보다도 영신적 극기에 대해서 지도를 받았고,

숨은 선덕의 아름다움을 배웠다.

그녀는 실수로 인해 자기 남편을 죽인 사람을 물론 미워하지는 않았지만,

어쩐지 만나고 싶은 생각이 없었으나 이래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한 그녀는

용기를 내어 그 사람을 만나서, 지금까지 맺혀있었던 모든 원한을 깨끗이 씻어버리는 뜻으로

그 사람의 딸의 세례 대모가 되어 주었다.

 

자녀들이 이제는 다 컸으므로 그녀는 어머니로서의 일도 적어졌다.

그래서 요안나는 소녀시절에 품었던 수도 생활에 대한 동경을 다시금 갖게 되었다.

그녀는 지도 신부인 성 프란치스코에게 그뜻을 밝혔다. 그녀는 가르멜회 입회를 원했지만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은 전부터 있던 수녀원에는 들어갈 수 없는 과부들을 위한

새 수도원을 세우려고 했던 참이므로 그 계획은 즉시 실현되어 요안나는 그 계획의 지도자가 되었다.

이것이 곧 ’방문회’의 시초이다.

 

수녀가 되려면 물론 사랑하는 자녀와 정든 아버지를 떠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것이 정이 많았던 요안나에게 있어 가장 어려운 것이었다.

더구나 그들이 한결같이 수도원 입회를 반대했으므로 그녀의 고민은 더욱 커질 따름이었다.

그러나 수도자가 되는 것이 하느님의 뜻인줄 안 요안나의 신념은 동요됨이 없이

결국 사랑하는 자녀와 아버지를 하느님의 섭리에 맡기고 수도 서원을 발했다.

그 외에 하느님과 개인적으로 선한 것이라 인정되는 것은 꼭 실행한다는 서원도 발했다.

 

그녀는 새로운 수도회의 총장으로서 그 자매들에게 될 수 있는 데까지

어머니다운 태도로써 대하고자 노력했다.

그리하여 기회 있는대로 건축한 분원(分院)의 수는 그녀의 임종 직전만 해도 무려 75개소에 달했다.

 

그동안 그녀의 성덕을 시기해 고의로 그녀의 사업을 방해하는 이도 있었다.

또 유게노 전투에서 큰아들을 잃었고, 딸과도 사별하게 된 일이 있었다.

이러한 것들의 하나 하나가 다 그녀에게는 비애의 날카로운 칼이 되었다.

그 중에도 가장 비통한 일은 그녀의 영적 아버지인 성 프란치스코 드 살의 서거였다.

그러나 그녀는 조금도 실망하지 않았다. 더욱 분발해 많은 자매들을 이끌고 덕행의 길로 매진하는 한편

수도회의 발전을 도모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 본부의 소재지인 아네시이에 무서운 페스트가 만연하자 사보아의 공작 부처는

요안나의 신변을 염려해 안전 지대로 피신할 것을 권유했으나,

그녀는 자매들을 남겨두고 떠날 수가 없다고 하며 도리어 시내에 나가 환자들을 돌봐 주었으므로,

사람들은 그녀를 위안의 천사라고까지 부르게 되었다.

 

1641년, 요안나는 파리에 있는 수녀원을 방문하고 아네시이로 돌아오는 도중 폐렴에 걸려 위독하게 되어

물렝에서 12월 13일에 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나 성 프란치스코 드 살 곁에 묻혔다.

그녀는 클레멘스 14세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대구대교구홈에서)

 

 

 

그녀는 수도 생활을 하면서 한때 커다란 영적 시련을 겪기도 하였다.

그것은 내적 고민과 암담함,영적 무미 건조함이었다.

샹탈은 영적인 무미건조함을 겪고 또 영혼의 어둔 밤을 수차례나 경험하면서 영성적으로 더욱 성장하였다.

그녀는 공동체의 분원들을 방문하는 중에 세상을 떠나 성 프란치스코 살레시오 곁에 묻혔다

수많은 난관이 있었지만, 이 수녀회는 프랑스 전역으로 펴져나갔으며

생존시에 이미 60여 수도원이 세워졌던 것이다.

성녀는 1767년에 시성되어 중세시대의 수도자 영성에 큰 발자취를 남긴 분으로 공경받는다.


 

 

    Visitation-ALBERTINELLI, Mariotto

    1503.Oil on wood, 232 x 146 cm.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1572년 1월 23일 프랑스 동부 부르고뉴(Bourgogne) 지방 디종(Dijon)에서 귀족 가문의 둘째 딸로 태어난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Joanna Francisca de Chantal)은 18개월 만에 어머니를 여의고 엄격한 가톨릭적 분위기 속에서 아버지로부터 폭 넓은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였다. 20세 때에 크리스토프 드 샹탈(Christophe de Chantal) 남작과 결혼한 그녀는 충실한 아내이자 헌신적인 어머니요 검소하고 알뜰한 주부로서 몰락의 위기에 처해 있던 집안을 일으켜 세웠다. 뿐만 아니라 그녀는 성(城)에서 매일미사를 봉헌하는 관례를 만들었고, 다른 성의 신심활동을 도입하여 소개하면서 자선활동도 열심히 하였다. 그들 부부는 6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 중 둘은 유아 때 사망하였다. 게다가 1601년 남편이 사냥을 나갔다가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자 그녀는 네 명의 자녀와 함께 친정으로 돌아와 신앙생활에 전념하였다. 그러나 이듬해 시아버지로부터 자신이 살고 있는 몽틀롱(Monthelon)으로 오지 않으면 손자들의 상속권을 박탈하겠다는 위협을 받고 할 수 없이 몽틀롱으로 가서 7년 동안 자녀교육에 힘쓰며 살았다.


 
   1604년 사순시기 동안 친정아버지를 만나기 위해 디종을 방문한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마침 그곳을 방문한 제네바(Geneva)의 주교 성 프란치스코 드 살(Franciscus de Sales, 1월 24일)의 설교를 듣고 대단한 감명을 받아 그의 영적 지도를 청하였다. 처음에 다소 망설이던 주교는 결국 그녀의 간청을 받아들였고 여러 번의 만남을 통해 서로 영성적인 교감을 나누게 되었다. 그 후 그녀는 다시 결혼하지 않을 것과 주교에게 순종할 것을 서원하였다. 디종의 카르멜회 수녀들과 만남을 통해 큰 영향을 받은 그녀는 자신을 하느님께 전적으로 봉헌하고자 원했으나 주교는 좀 더 인내를 갖고 기다리도록 했다.
 

   1607년에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는 그녀에게 영성적으로는 성모 마리아가 엘리사벳을 방문하였을 때에 드러내었던 덕들을 따르고, 활동적으로는 노인들과 병들고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자선활동을 하는 수도 공동체를 세우려는 자신의 계획을 설명하였다. 이에 뜻을 같이 한 그녀는 주교의 도움으로 자녀들의 장래 문제와 집안의 대소사를 해결한 후 안시(Annecy)로 떠났는데, 그곳은 주교가 새로운 수도회를 세우고 싶어 하던 곳이었다. 1610년 6월 6일 삼위일체 대축일에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는 안시 수도원의 축성식을 거행하였다. 그녀와 2명의 동료들이 그 자리에 함께 참석해 주교로부터 정식으로 회칙을 받았으며 이듬 해 그들 모두 수도 서원을 하고 그녀가 원장이 되었다. 이 수도회의 이름과 회헌은 여러 번 바뀌어 오다가 마침내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를 공식 명칭으로 확정하였다. 이 수도회는 1612년 1월부터 병자방문을 시작하여 사람들로부터 칭찬과 경탄을 불러일으켰다. 이듬해 그녀는 시아버지의 사망과 함께 많은 재산을 상속받은 후 더욱 영성적인 성숙에 힘쓰며 수도회의 새로운 분원 설립에 주력하였다.



    1614년 리옹(Lyon)에 새로운 수도원을 설립하면서 많은 난관을 겪기도 했지만 그 모든 시련에도 불구하고 성녀 요안나 프란치스카 드 샹탈은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의 도움을 받아 수도원을 급속히 확장해 나갔고 많은 여성들이 입회하였다. 이러한 성공적인 확장은 육체적인 고행보다는 겸손과 온화함을 강조한 주교의 가르침과 그녀의 신중함과 헌신 덕분이었다. 1619년에 그녀는 파리(Paris) 분원을 설립하면서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Vincentius a Paulus, 9월 27일)를 만나게 되었는데,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는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의 초기 정신과 활동 방향을 옹호하였을 뿐만 아니라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가 사망한 후에는 그녀의 영적 지도자가 되어 주었다.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가 사망하던 1622년 당시 성 마리아 방문 수도회의 분원은 13개였고, 프랑스 전역으로 확장되어 그녀가 사망할 당시 약 86개의 분원이 있었다.



 

   그녀는 수도회 내적, 외적인 시련을 견디어 내면서 계속해서 분원을 설립하기 위해 거처를 옮겨 가며 생활하였다. 1628년 흑사병으로 많은 수도자들이 사망한 후 안시 수도원으로 돌아온 그녀는 다시금 장상을 역임하다가 1641년 마지막으로 파리에 가서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를 만나고 돌아온 후 느베르(Nevers)에서 병을 얻었다. 결국 물랭(Moulins)의 분원에서 몸져누운 그녀는 1641년 12월 13일에 그 수도원에서 선종하였다. 그녀의 시신은 안시로 옮겨져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의 무덤 곁에 묻혔다. 그녀는 1751년 11월 21일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시복되었고, 1767년 7월 16일 교황 클레멘스 13세(Clemens XIII)에 의해 시성되어 1769년부터 로마 전례력에 포함되었다. 그녀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성 프란치스코 드 살 주교가 쓴 “신심생활 입문”(The Introduction to the Devout Life)에 잘 나타나 있다.


 

   2001년 12월 18일 교황청 경신성사성의 교령에 의해 성녀 축일의 전례적 기념일이 12월 12일에서 8월 12일로 변경되었다. 그 이유는 1999년 3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가 라틴아메리카의 수호자로 선포한 ‘과달루페(Guadalupe) 성모 축일’과 같은 날이어서 전례적인 기념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었다. 이런 이유로 미국에서는 그녀의 축일을 8월 18일로 변경하여 기념하고 있다.
(가톨릭홈에서)
 

 

 

♬Lauda Sion - monastic chants-christdesert(Benedict)

 

 

 

 

 

 

 

 

 

 

 

 

 Santa Giovanna Francesca de Chantal Religiosa
12 agosto - Memoria Facoltativa 
Digione, Francia, 1572 - Moulins, Francia, 13 dicembre 1641

 

La vita di Giovanna Frémiot è legata indissolubilmente alla figura di Francesco di Sales, suo direttore e guida spirituale, e di cui fu seguace e al tempo stesso ispiratrice e collaboratrice. Nata a Digione nel 1572, a vent'anni sposò il barone de Chantal, da cui ebbe numerosi figli. Rimasta vedova, avvertì sempre di più il desiderio di ritirarsi dal mondo e di consacrarsi a Dio. Sotto la guida di Francesco di Sales, diede vita a una nuova fondazione intitolata alla Visitazione e destinata all'assistenza dei malati. L'Istituto si diffuse rapidamente nella Savoia e nella Francia. Ben presto seguirono Giovanna, diventata suor Francesca, numerose ragazze, le Visitandine, come erano chiamate e universalmente note le suore dell'Isituto. Prima della sua morte, avvenuta a Moulins il 13 dicembre del 1641, le case della Visitazione erano 75, quasi tutte fondate da lei. (Avvenire)

Etimologia: Giovanna = il Signore è benefico, dono del Signore, dall'ebraico


Martirologio Romano: Santa Giovanna Francesca Frémiot de Chantal, religiosa: dal suo matrimonio cristiano ebbe sei figli, che educò alla pietà; rimasta vedova, percorse alacremente sotto la guida di san Francesco di Sales la via della perfezione, dedicandosi alle opere di carità soprattutto verso i poveri e i malati; diede inizio all’Ordine della Visitazione di Santa Maria, che diresse pure con saggezza. Il suo transito avvenuto a Moulins sulle rive dell’Allier vicino a Nevers in Francia ricorre il 13 dicembre.
(13 dicembre: Nel monastero della Visitazione a Moulins in Francia, anniversario della morte di santa Giovanna Francesca Frémiot de Chantal, la cui memoria si celebra il 12 agosto).


Ascolta da RadioVaticana:
   Ascolta da RadioRai:
   Ascolta da RadioMaria:
  

Nella storia della Chiesa troviamo alcuni casi in cui uomo e donna hanno agito insieme nel cammino della santità, ricordiamo così Francesco e Chiara, Elzeario di Sabran e Delfina di Glandève, Teresa d’Avila e Giovanni della Croce, Benedetto e Scolastica, Luigi e Zelia Martin (genitori di santa Teresina di Lisieux), Giulia e Carlo Tancredi di Barolo, i coniugi Beltrame. Altra “coppia” sorprendente fu quella composta da san Francesco di Sales e Giovanna Francesca Frémyot de Chantal. Fu infatti grazie all’incontro con il vescovo di Ginevra che Giovanna definì il suo percorso di santità.

I francesi la chiamano sainte Chantal e la venerano ad Annecy, dove riposa accanto a san Francesco di Sales.

Nasce a Digione il 23 gennaio 1572 in una famiglia dell’alta nobiltà borgognona. Suo padre è Benigno Frémyot, secondo presidente del Parlamento. Rimasta ben presto orfana di madre, crescerà sotto l’educazione e la morale paterne.

Il 29 dicembre 1592 Giovanna sposa Cristoforo II, barone di Chantal. Il loro è un matrimonio felice. Viene da subito chiamata «la dama perfetta» per quel suo prodigarsi nella tenuta di Bourbilly e per le attenzioni e premure che riserva al consorte. Da questa unione perfetta nascono sei figli: i primi due muoiono alla nascita, poi arrivano Celso Benigno, Maria Amata, Francesca e Carlotta.

Dolce, serena, affabile, Giovanna è amata dai suoi familiari, come dalla servitù. Quando Cristoforo si assenta dal castello per adempiere  ai suoi impegni di corte, Giovanna lascia gli abiti eleganti e si dedica ai poveri, ai quali non offre solo denaro, ma la propria persona, servendoli. La sua carità si fa immensa durante la carestia che colpisce la Borgogna nell’inverno 1600-1601. È qui che la baronessa, senza ascoltare i borbottii di molti e incoraggiata dal consorte, trasforma il maniero in un vero e proprio ospedale per ospitare madri e bambini in difficoltà e si occupa della costruzione di un nuovo forno per poter distribuire il pane a tutti coloro che bussano alla sua porta. Un giorno le viene detto che nel granaio non è rimasto che un solo sacco di segala… e lei, senza esitazioni, ordina di proseguire la distribuzione del pane, come prima… la segala finirà al nuovo raccolto.

Ma ecco giungere la prima grande prova, la morte di Cristoforo, ucciso da un colpo di archibugio durante una battuta di caccia.

Resta vedova a soli 29 anni, vedova e madre di quattro creature di cui la prima ha solo cinque anni e l’ultima pochi giorni. Matura, in questo tempo di lutto e di dolore, il desiderio di consacrarsi a Cristo, ma i doveri familiari non le permettono una scelta di vita così drastica. In attesa di conoscere la volontà di Dio, Giovanna si dedica totalmente ai figli, all’amministrazione della  casa e alla preghiera.

Il suocero, barone di Chantal, la informa che deve subito trasferirsi da lui, a Monthélon se desidera che i figli prendano parte all’eredità e lei accetta, pur sapendo che nella residenza dell’anziano barone comanda una «servapadrona». Per lungo tempo dovrà sopportare le angherie di quest’ultima.

Il suo nome inizia a rendersi noto per la sua carità. Non è più chiamata «dama perfetta», ma la «nostra buona signora».

Un’altra difficile prova deve ora affrontare: la sua guida spirituale non comprende la sua persona, non sa leggere la sua anima. Un giorno suo padre  la invita a  Digione, questa volta per ascoltare il quaresimale del vescovo di Ginevra, Francesco di Sales, la cui fama si diffonde sempre più in Savoia e in tutta la Francia. Il primo incontro fra Giovanna e il vescovo avviene il 5 marzo del 1604. Da allora si instaura un camino di unione fraterna e spirituale straordinario. La direzione spirituale di Francesco di Sales si realizza soprattutto attraverso l’epistolario, dove l’umano è «divinizzato» e il divino «umanizzato».

In una lettera inviata al vescovo ginevrino Giovanna scrive: «… tutto quello che di creato c’è quaggiù non è niente per me se paragonato al mio carissimo Padre… Un giorno mi comandaste di distaccarmi e di spogliarmi di tutto. Oh Dio, quanto è facile lasciare quello che è attorno a noi, ma lasciare la propria pelle, la propria carne, le proprie ossa e penetrare nell’intimo delle midolla, che è, mi sembra, quello che abbiamo fatto è una cosa grande, difficile e impossibile se non alla grazia di Dio».

Nel 1610 firma di fronte al notaio un atto con il quale si spoglia di tutti i beni in favore dei figli. Lascia dunque la famiglia e  parte per Annecy e il 6 giugno, insieme a due compagne, Giacomina Favre e Giovanna Carlotta de Bréchard entra nella piccola ed umile «casa della Galleria», culla dell’Ordine della Visitazione.

Rimarrà sempre “madre”, continuando ad amare profondamente e teneramente i suoi figli. Nuove morti, nuovi lutti… tanto che soltanto la figlia Francesca le sopravviverà tra figli, fratelli, generi e nuora. Perciò Dio diventa per lei l’unica ricerca, l’unico fine della sua attuale vita. Alla scomparsa di Francesco di Sales (28 dicembre 1622), Giovanna si trova sola alla guida della nuova famiglia religiosa della Visitazione. Si fa pellegrina sulle strade di Francia, fondando ben 87 case visitandine. Consumata «nell’amore di opera e nell’opera di amore», come usava dire, si spegne il 13 dicembre 1641 nel monastero di Moulins.

Le «Lettere di amicizia e direzione» (tradotte per la prima volta in italiano, a cura dei monasteri della Visitazione d’Italia) sono la testimonianza più viva della grande spiritualità di Madre Chantal ed è la prova che fosse persona troppo intelligente e “libera” per ridursi ad un’ombra anonima di san Francesco di Sales.

Autore: Cristina Siccard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11-12-28
 

 

 

 

 
 
Saint Jeanne de ChantalDec 252009 
Also known as

Jane Frances of Chantel
Jane Frances Fremiot de Chantal

Memorial

12 December
18 August (United States)
formerly 21 August

Profile

Born to the nobility, the daughter of the president of the Parliment of Burgundy who raised her alone after the death of her mother when Jeanne was 18 months old. Married in 1592 at age twenty to Baron de Chantal. Mother of four. Widowed at 28 when the Baron was killed in a hunting accident and died in her arms. Taking a personal vow of chastity, she was forced to live with her father-in-law, which was a period of misery for her. She spent her free time in prayer, and received a vision of the man who would become her spiritual director. In Lent, 1604, she met Saint Francis de Sales, and recognized him as the man in her vision. She became a spiritual student and close friend of Saint Francis, and the two carried on a lengthy correspondence for years. On Trinity Sunday, 6 June 1610 she founded the Order of the Visitation of Our Lady at Annecy, France. The Order was designed for widows and lay women who did not wish the full life of the orders, and Jeanne oversaw the founding of 69 convents. Jeanne spent the rest of her days overseeing the Order, and acting as spiritual advisor to any who desired her wisdom. Visitationist nuns today live a contemplative life, work for women with poor health and widows, and sometimes run schools.
 

Born

28 January 1572 at Dijon, Burgundy, France

Died

13 December 1641 at the Visitationist convent at Moulins, France of natural causes
relics at Annecy, Savoy (in modern France

Beatified

21 November 1751 by Pope Benedict XIV

Canonized

16 July 1767 by Pope Clement XIII

Patronage

against in-law problems
against the death of parents
forgotten people
parents separated from children
widows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Catholic Encyclopedia, by Raphal Pernin
Catholic Online, by Terry Metz
New Catholic Dictionary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Patron Saints for Girls
Pictorial Lives of the Saints, by John Dawson Gilmary Shea

Readings

When shall it be that we shall taste the sweetness of the Divine Will in all that happens to us, considering in everything only His good pleasure, by whom it is certain that adversity is sent with as much love as prosperity, and as much for our good? When shall we cast ourselves undeservedly into the arms of our most loving Father in Heaven, leaving to Him the care of ourselves and of our affairs, and reserving only the desire of pleasing Him, and of serving Him well in all that we can? - Saint Jeanne

Hold your eyes on God and leave the doing to him. That is all the doing you have to worry about. - Saint Jeanne

She was full of faith, and yet all her life long she had been tormented by thoughts against it. Nor did she once relax in the fidelity God asked of her. And so I regard her as one of the holiest souls I have ever met on this earth. - Saint Vincent de Paul

One day Saint Jane spoke the following eloquent words, which listeners took down exactly as spoken: “My dear daughters, many of our holy fathers in the faith, men who were pillars of the Church, did not die martyrs. Why do you think this was? Each one present offered an answer; then their mother continued. “Well, I myself think it was because there is another martyrdom: the martyrdom of love. Here God keeps his servants and handmaids in this present life to that they may labor for him, and he makes of them both martyrs and confessors. I know,” she added, “that the Daughters of the Visitation are meant to be martyrs of this kind and that, by the favor of God, some of them, more fortunate than others in that their desire has been granted, will actually suffer such a martyrdom.” One sister asked what form this martyrdom took. The saint answered: “Yield yourself fully to God, and you will find out! Divine love takes its sword to the hidden recesses of our inmost soul and divides us from ourselves. I know one person whom love cut off from all that was dearest to her, just as completely and effectively as if a tyrant’s blade had severed spirit from body.” We realized that she was speaking of herself. When another sister asked how long the martyrdom would continue, the saint replied: “From the moment when we commit ourselves unreservedly to God, until our last breath. I am speaking, of course, of great-souled individuals who keep nothing back for themselves, but instead are faithful in love. Our Lord does not intend this martyrdom for those who are weak in love and perseverance. Such people he lets continue on their mediocre way, so that they will not be lost to him; he never does violence to our free will.” Finally, the saint was asked whether this martyrdom of love could be put on the same level as martyrdom of the body. She answered: “We should not worry about equality. I do think, however, that they martyrdom of love cannot be relegated to a second place, for ‘love is as strong as death.’ For the martyrs of love suffer infinitely more in remaining in this life so as to serve god, than if they died a thousand times over in testimony to their faith and love and fidelity.” - from the memoirs of the secretary of Saint Jane Frances de Chantal

Fidelity toward God consists in being perfectly resigned to his holy will, in enduring everything that his goodness allows in our lives, and in carrying out all our duties, especially that of prayer, with love and for love. In prayer we must converse very familiarly with our Lord, concerning our little needs, telling him what they are, and remaining submissive to anything he may wish to do with us… We should go to prayer with deep humility and an awareness of our nothingness. We must invoke the help of the Holy Spirit and that of our good angel, and then remain still in God‘s presence, full of faith that he is more in us than we are in ourselves. There is no danger if our prayer is without words or reflection because the good success of prayer depends neither on words nor on study. It depends upon the simple raising of our minds to God, and the more simple and stripped of feeling it is, the surer it is. We must never dwell on our sins during prayer. Regarding our offenses, a simple humbling of our soul before God, without a thought of this offense or that, is enough…such thoughts act as distractions. - Saint Jeanne de Chantal, from Wings to the Lord

MLA Citation

“Saint Jeanne de Chantal”. Saints.SQPN.com. 25 December 2009. Web. {today’s date}.

 

 

 

 

 

 

 

 

 

 

 

 

 

 

 

 

 

 

 

 

 

 

 

 

 

 

 



757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