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화(聖化, sanctification) 는 신약 성경의 고유한 용어이다 540_ 587_ [번역오류]

인쇄

. [218.55.90.*]

2015-07-16 ㅣ No.1651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1: 다음의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제공의 개신교측의 우리말본 성경들(즉, 개역개정, 개역한글, 표준새번역, 새번역)의 본문 검색에 의하면, "성화(sanctification, 聖化)"는 성경 용어가 아닌데, 신약 성경 본문에서, "성화(聖化)" 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은 몇 군데인지요?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Searchlist.aspx?version=GAE
&type=and&keyword1=%uC131%uD654&keyword2=&range=all&book1=gen&book2=
gen&fontString=12px&fontSize=1
 <----- 클릭하여 직접 확인하십시오

 

질문 2: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서, "성화(聖化)" 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항들은 몇 군데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우선적으로,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anctification(성화, 聖化)"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성화(sanctification, 聖化)" 에 세 단계들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s/s124.htm

(발췌 시작)

SANCTIFICATION

 

Being made holy. The first sanctification takes place at baptism, by which the love of God is infused by the Holy Spirit (Romans 5:5). Newly baptized persons are holy because the Holy Trinity begins to dwell in their souls and they are pleasing to God. The second sanctification is a lifelong process in which a person already in the state of grace grows in the possession of grace and in likeness to God by faithfully corresponding with divine inspirations. The third sanctification takes place when a person enters heaven and becomes totally and irrevocably united with God in the beatific vision. (Etym. Latin sanctificare, to make holy.)

 

성화(聖化, sanctification)(*2)

 

거룩하게 마련됨/만들어짐(being made holy)을 말합니다.(*1) 첫 번째 성화(聖化)(the first sanctification)는 세례에서 발생하며, 세례에 의하여 하느님의 사랑(the love of God)이 성령에 의하여 주입됩니다(로마 5,5). 새롭게 세례를 받은 자들은 거룩한데(holy) 왜냐하면 성삼위께서 그들의 영혼들 안에 거주하기 시작하시고 그리하여 그들이 하느님께 즐겁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성화(聖化)(the second sanctification)는, 그 안에서 이미 은총의 지위에 있는 당사자가, 신성한 감화(divine inspirations)들에 충실하게 대응함으로써, 은총의 소유에 있어 그리고 하느님에 비슷함에 있어 성장하는, 한 개의 일생의 과정(a lifelong process) 입니다. 세 번째 성화(聖化)(the third sanctication)는, 당사자가 하늘(heaven, 천당, 천국)에 들어가 그리고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으로 하느님과 전적으로(totally) 및 취소할 수 없게(irrevocably) 결합될 때에, 발생합니다.(*3) [어원. Latin sanctificare, to make holy(거룩하게 만들어지다/미련되다)]  

 

----- 

(*1) 번역자 주: 

(1) "being made holy" 를, "거룩하게 " 으로 번역하지 않고, "거룩하게 만들어짐" 혹은 "거룩하게 마련됨" 으로 직역 번역(literal traanslation)을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being made holy" 를 "거룩하게 " 으로 번역하였을 경우에, (i) 이에 대응하는 영어 표현이,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NAB(New American Bible) 성경 본문에서 사용하지 않는 표현인, 그리고 펠라지오/펠라지우스(Pelagius, 355-425년) 이단(#)의 경우처럼 "하느님의 은총의 필연적인 도움 없이 스스로/자력만으로 거룩하게 됨"을 또한 의미할 수도 있는, "becoming holy" 이라고, 교리적으로 대단히 잘못된 연상을 국내의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할 수도 있는 반면에, (ii) 그러나 "being made holy" 는 오로지 하느님의 일(오푸스 데이, Opus Dei)에 의하여, 즉, 하느님의 은총작용에 의하여 당사자가 거룩하게 변화하게 됨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 게시자 주: 펠라지오/펠라지우스(Pelagius, 355-425년) 이단에 대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1.htm 

-----

 

(2) 그런데,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성화(聖化, sanctification)" 는 곧 "거룩하게 마련됨/만들어짐(being made holy)"을 말하므로, 바로 이 정의하는 문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형용사 "거룩한(holy)" 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의미/정의(definition)를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하여 다루는 글들인, "성스러운(sacred)""거룩한(holy)" 이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들이 나타내는 개념들의 차이점은 다음의 글들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바로 아래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아무리 바쁘더라도, 제1328번 글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sacred_vs_holy.htm <----- 필독 권고

 

(*2) 번역자 주: "성화(聖化, sanctification)" 에 대한 글들의 모음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sanctification.htm

  

(*3) 번역자 주:
(1) 세례에 의한 바로 이 "첫 번째 성화(聖化)(the first sanctification)" 가, 특히 개신교 측에서 "성화(聖化, sanctification)"의 첫 단계로서가 아니라 그것만을 주로 말하는, "의화/의롭게 됨(justification)"논리적으로 동치이다(logically equivalent).

 

따라서, 바로 이 설명에 의하여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들에서 다루고 있듯이, 의화(justification)성화(聖化, sanctification)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에 주목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sanctification.htm

 

(2) 그리고 세례를 받은 자들은 가족 계약 언어(family covenant language)인 "하느님의 자녀(the sons of God, the children of God)들" 이라고 불리는데, 개신교 측에서 이들은 또한 "성도(saints)들" 이라고 불린다.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1-1: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 "sanctificaiton(聖化, 성화)"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가 주어져 있지 않음은, 예를 들어,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cc_glossary.htm#s

 

2. 

질문 1: 다음의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제공의 개신교측의 우리말본 성경들(즉, 개역개정, 개역한글, 표준새번역, 새번역)의 본문 검색에 의하면, "성화(sanctification, 聖化)"는 성경 용어가 아닌데, 신약 성경 본문에서, "성화" 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은 몇 군데인지요?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Searchlist.aspx?version=GAE
&type=and&keyword1=%uC131%uD654&keyword2=&range=all&book1=gen&book2=
gen&fontString=12px&fontSize=1
 <----- 클릭하여 직접 확인하십시오

 

질문 1에 대한 답변 시작

 

2-1. 그리스어 신약 성경의 본문에서 "hagiasmos [sanctification(성화, 聖化)]" 라는 용어와 그 파생 명사들이 총 10번 사용되고 있음은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색깔로 이들을 구분한 것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한 것입니다:

http://biblehub.com/greek/38.htm

로마서 6,19; 6,22; 1코린토 1,30; 1테살로니카 4,3; 1테살로니카 4,4; 4,7; 2테살로니카 2,13; 1티모테오 2,15; 히브리서 12,14; 1베드로 1,2

 

2-2.

2-2-1.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바로 위의 제2-1항에 나열된 그리스어 신약 성경 서간문들의 절들의 경우에, 히브리서 12,14제외하고성 예로니모(St. Jerome)에 의하여 마련된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의 및 1979년에 개정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의 대응하는 절들에서 "sanctification(聖化)" 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은 다음과 같이 총 9번입니다:

로마서 6,19; 6,22; 1코린토 1,30; 1테살로니카 4,3; 4,4; 4,7; 2테살로니카 2,13; 1티모테오 2,15;      ; 1베드로 1,2

 

2-2-2. 1979년에 개정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히브리서 12,14의 경우에, 대응하는 용어는, 다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sanctification(聖化)" 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bible/nova_vulgata/documents/
nova-vulgata_nt_epist-hebraeos_lt.html#12

(발췌 시작)

14 Pacem sectamini cum omnibus et sanctificationem, sine qua nemo videbit Dominum,

(이상, 발췌 끝)

 

무슨 말씀인고 하면, 성 예로니모(St. Jerome)에 의하여 마련된, 다음에 발췌된,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의 히브리서 12,14에서는, "sanctification(聖化)" 대신에, "성스러움/성성/거룩함(sanctimonia, sacredness, sanctity, holiness)"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어, 바로 위의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히브리서 12,14의 문장과 동일하지 않는데, 1979년에 개정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에서 위와 같이 바로 잡아졌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heb012.htm 

(발췌 시작)

14 Pacem sequimini cum omnibus, et sanctimoniam, sine qua nemo videbit Deum:

(이상, 발췌 끝)

 

2-2-3. 따라서, 바로 위의 제2-1항에 나열된 그리스어 신약 성경 서간문들의 절들의 경우에, 1979년에 개정된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의 대응하는 절들에서 "sanctification(聖化)" 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은, 바로 위의 제2-1항에 나열된 그리스어 신약 성경 서간문들의 절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총 10번임을 확인하였습니다

 

2-3. 1970년에 초판 발행되어, 가톨릭 교회의 미사 중에 독서들 및 복음 말씀들이 발췌되어 사용되는 것이 교황청 유관 부서에 의하여 승인된, 영어본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신약 본문에서 "sanctification(聖化)" 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이 총 5번임은,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용어 색인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5/FA.HTM

로마서 6,19; 6,22; 1코린토 1,30;      ;      ;      ; 2테살로니카 2,13;      ;      ; 1베드로 1,2

 

2-4.

2-4-1. "새 번역 성경"신약 본문에서 "성화" 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이 총 2임은, 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성화 

로마서 6,19; 6,22

 

게시자 주 2-4-1:

(1) 그런데, 구령(救靈)을 위한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핵심 가르침인 "성화(聖化, sanctification)"가 신약 성경 본문에 근거하고 있음을 국내의 그리스도교 신자들 모두가 확실하게 인지하는 데에는, 위의 제2-1항(그리스어 신약 성경)제2-2항(새 라틴말 성경(Nova Vultaga)에서 확인한 바와는 달리, "새 번역 성경" 의 신약 본문에서 단지 로마서 6,19; 6,22 두 개의 절들에서만 "성화(聖化)"라는 용어를 읽는 것으로는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2) 다른 한편으로, 주변의 가톨릭 신자 지인들에게 성화(聖化, sanctification)가 성경 용어인지를 질문하면, 대단히 유감스럽고 또 슬프게도, 이 용어가 성경 용어라고 분명하게 답변을 하는 분이 없는데, 이것은 상당히 아니라는 생각을 아니할 수 없습니다.

 

(3) 또 다른 한편으로, 다음에 있는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제공의 검색 기능를 사용하면, 공동번역성서를 포함하여, 국내의 개신교측의 우리말본 여러 성경 본문들에 대하여 "성화" 라는 키 워드로 검색을 하면, 위의 제2-1항에서 이미 함께 고찰하였듯이 영어로 "sanctification" 으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는 그리스어 신약 성경 단어를 우리말로 직역 번역을 하지 않기로 사전에 무슨 약속이라도 하였는지, 하여튼, 전후 문맥 안에서, "성화(成火) 가 아닌, "sanctification(聖化)" 을 말하는 "성화"로 번역된 단어는 한 개도 없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bskorea.or.kr/infobank/korSearch/korbibSearchlist.aspx?version=GAE
&type=and&keyword1=%uC131%uD654&keyword2=&range=all&book1=gen&book2=
gen&fontString=12px&fontSize=1

(이상, 게시자 주 2-4-1 끝)

 

2-4-2. "공동번역성서"신약 본문에서 전후 문맥 안에서, "성화(成火) 가 아닌, "sanctification(聖化)" 을 말하는 "성화"로 번역된 단어가 한 개도 없음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prindex=0&Keyword=성화 

 

2-4-3. "200주년 신약성서"신약 본문에서 "성화" 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이 총 5임은, 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200new&prindex=0&Keyword=성화 

1코린토 1,30;

1테살로니카 4,3; 4,4; 4,7;

2테살로니카 2,13;

1베드로 1,2;

 

게시자 주 2-4-3: 그런데 여기에 나열된 절들에는, "새 번역 성경" 신약 본문에서 "성화" 라는 번역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로마서 6,19; 6,22 없는데, 이것도 이상하다 아니할 수 없습니다. 그렇치 않는지요?

 

2-4-4. 다른 한편으로, 1테살로니카 4,3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췌 시작)
"여러분이 거룩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대신에 "여러분의 성화(聖化)입니다" 로 옮길 수 있다. ...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4:

(1) 다른 한편으로, "새 번역 성경" 의 구약 2마카베오 2,8에서 "성화되도록" 이라는 표현이, 사람이 아닌 특정 장소에 대하여, 단 1사용되고 있음은, 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성화 

 

그리고 위의 제2-3항NAB 본문 전체에 대한 용어색인에서도, 구약 본문에서 "sanctification" 이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2) (중간 결론 1) 따라서, 우선적으로, 이번 항에서 여기까지 함께 고찰한 바로부터, 우리는 "성화(聖化, sanctification)" 라는 용어가 새 계약(the New Covenant), 즉, 신약 성경(New Testament)의, 따라서, 그리스도교 교회의, 고유한 용어임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상, 중간 결론 1 끝)

 

(3) (중간 결론 2) 구령(救靈)을 위한 가톨릭 교회의 전통적 핵심 가르침인 "성화(聖化, sanctification)"가 신약 성경 본문에 근거하고 있음을 국내의 그리스도교 신자들 모두가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리스어 신약 성경의 대응하는 절들의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으로서, 우리말본 "새 번역 성경"의 본문에서 성화(聖化)라는 번역 용어가, 단지 로마서 6,19; 6,22에서뿐만이 아니라 또한, "새 번역 성경"의 해당 절들에서의 기존의 번역 표현들이 다음과 같이 우리말로 번역이 됨으로써, 구체적으로 더 많이 읽혀져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때에 위의 제2-4-3에서의 지적을 또한 꼭 읽도록 하십시오:

 

1코린토 1,30: 의로움과 거룩함과 속량이(번역 오류) -----> 의로움과 성화(聖化)와 속량이

1테살로니카 4,3: 여러분이 거룩한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번역 미숙) -----> 여러분의 성화(聖化)입니다

1테살로니카 4,4: 저마다 자기 아내를 거룩하게 또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할 줄 아는 것입니다(번역 미숙) -----> 저마다 자기 아내를 성화(聖化) 안에서 또 존중하는 마음으로 대할 줄 아는 것입니다.

1테살로니카 4,7: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더러움 속에서 살라고 부르신 것이 아니라, 거룩하게 살라고 부르셨기 때문입니다(번역 미숙) -----> 하느님께서는 여러분을 더러움 쪽으로가 아니라 성화(聖化) 쪽으로 부르셨기 때문입니다.

2테살로니카 2,13: 성령으로 거룩하게 하시고(번역 오류) -----> 성령에 의한 성화(聖化)를 통하여

1테모테오 2,15: 믿음과 사랑과 거룩함을 지니고(번역 오류) -----> 믿음과 사랑과 성화(聖化)에 있어 

히브리 12,14: 모든 사람과 평화롭게 지내고 거룩하게 살도록 힘쓰십시오. 거룩해지지 않고는 아무도 주님을 뵙지 못할 것입니다.(번역 미숙) -----> 모든 이과 평화롭게 지내냄에, 그리고 그것 없이는 아무도 주님을 장차 뵙지 못할 성화(聖化)에, 힘쓰십시오.

1베드로 1,2: 성령으로 거룩해져(번역 미숙) -----> 성령에 의한 성화(聖化)를 통하여

 

특히, "성화(聖化, sanctification)"는, 이미 위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듯이, 그리고 신약 성경에 근거한 가톨릭 교회의 일곱 성사(seven sacraments)들과 밀접하게 관련된, 신약 성경 고유의 개념이므로, 구약 성경에서도 또한 말해지고 있는 "거룩하게" 와 확실하게 구분하기 위하여서도 위와 같이 바로잡아져야 할 것입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old2&prindex=0&Keyword=거룩하게

(이상, 중간 결론 2 끝)

 

(4) 사실, 바로 위의 제(3)항(중간 결론 2)에서 말씀드린 바는, 다음에 있는, 전례문, 성경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로의 번역 지침서인, 2001년 5월 7일자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현[제목: Ligurgiam authenticam] 제41항의 지시/요구에도 대단히 충실하다는 생각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0_Liturgiam_authenticam.htm <----- 필독 권고

(이상, 게시자 주 2-4 끝)

 

2-5.

2-5-1. 그런데, 예를 들어, "새 번역 성경"신약 본문에서 "거룩하게" 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이 총 23임은, 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 세 개가 번역 미숙이고 한 개가 번역 오류임을 바로 위의 제2-4항에서 이미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류의 번역 미숙2코린토 7,1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거룩하게 

마태오 복음서 23,17; 23,19; 요한 복음서 10,36; 17,17; 17,19;

사도행전 20,32; 26,18;

로마서 15,16;

1코린토 1,2; 6,11;

2코린토 7,1(번역 미숙);

에페소서 5,26;

1테살로니카 4,4(번역 미숙); 4,7(번역 미숙); 5,23;

2테살로니카 2,13(번역 오류);

히브리서 10,29; 12,14(번역 미숙); 13,12;

 

2-5-2. 그리고, 예를 들어, "새 번역 성경"신약 본문에서 "거룩함(holiness)" 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절들이 총 4임은, 다음의 굿뉴스 서버 제공의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 중에서 두 개가 번역 오류임을 바로 위의 제2-4항에서 이미 확인하였습니다:

http://info.catholic.or.kr/bible/view.asp?ctindex=new2&prindex=0&Keyword=거룩함 

1코린토 1,30(번역 오류);

에페소서 4,24;

1티모테오 2,15(번역 오류);

히브리서 12,10;

(이상, 질문 1에 대한 답변 끝)

 

3.   

질문 2: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서, "성화" 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항들은 몇 군데인지요?

 

질문 2에 대한 답변 시작

 

3-1. 1997년에 초판 발행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sanctification(성화, 聖化)" 이라는 용어가 총46번 사용되었음은, 다음의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구글 검색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sanctificatio" "Catechismum Catholicae Ecclesiae" site:vatican.va/archive/catechism_lt [제1070항; 제1637항; 제1989항; 제2813항 3건] 총 6건

"sanctificationi" "Catechismum Catholicae Ecclesiae" site:vatican.va/archive/catechism_lt [제929항] 총 1건

"sanctificationis" "Catechismum Catholicae Ecclesiae" site:vatican.va/archive/catechism_lt [제235항; 제445항; 제648항; 제819항; 제826항; 제827항; 제870항; 제902항; 제1087항; 제1586항; 제1622항; 제1999항; 제2000항; 제2427항] 총 14건

sanctificatione" "Catechismum Catholicae Ecclesiae" site:vatican.va/archive/catechism_lt [제2813항 1건; 제2818항; 제2010항] 총 3건

"sanctificationem." "Catechismum Catholicae Ecclesiae" site:vatican.va/archive/catechism_lt [제824항; 제928항; 제1123항; 제1152항; 제1157항; 제1328항; 제1352항; 제1360항; 제1522항; 제1540항; 제1668항; 제1692항; 제1995항 3건; 제2001항; 제2019항; 제2042항; 제2813항 1건; 제2818항; 제2857항; 제2858항] 총 22건

 

이상, 총 46건.

 

sanctity: 

"sanctitatis" "Catechismum Catholicae Ecclesiae" site:vatican.va/archive/catechism_lt

 

3-2. 1992년에 초판 발행된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sanctification(성화, 聖化)" 이라는 용어가 총42번 사용되었음은, 다음의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색인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intratext.com/IXT/FRA0013/HX.HTM

[제190항; 제235항;      ;      ; 제781항; 제819항; 제824항; 제826항; 제827항; 제870항; 제902항; 제928항; 제929항; 제1070항; 제1087항; 제1152항; 제1157항; 제1297항; 제1328항; 제1352항; 제1360항; 제1522항; 제1540항; 제1586항; 제1622항; 제1637항; 제1668항; 제1670항; 제1692항; 제1989항; 제1995항; 제1999항; 제2000항; 제2001항; 제2010항; 제2019항; 제2042항; 제2427항; 제2813항 3건; 제2818항; 제2857항; 제2858항] 총 42건.

 

3-3. 1997년에 초판 발행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sanctification(성화, 聖化)" 이라는 용어가 총38번 사용되었음은,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색인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JC.HTM

[제190항; 제235항;     ; 제819항; 제824항; 제826항;     ; 제870항;     ; 제928항; 제929항; 제1070항;      ; 제1152항; 제1157항; 제1297항; 제1328항; 제1352항; 제1360항; 제1522항; 제1540항; 제1586항; 제1622항;      ; 제1668항; 제1670항; 제1692항; 제1989항; 제1995항 3건; 제1999항; 제2000항; 제2001항; 제2010항; 제2019항;      ; 제2427항; 제2813항 3건;      ; 제2814항;      ; 제2857항; 제2858항] 총 38건

 

3-4. 우리말 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성화(聖化, sanctification)" 이라는 용어가 약36번 사용되었음은, 다음의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검색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rpage=1&epage=1023&stext=성화

[제190항; 제235항; 제819항; 제824항; 제826항; 제827항; 제870항; 제902항; 제928항; 제1070항; 제1123항; 제1152항; 제1157항; 제1159항; 제1189항; 제1297항; 제1328항; 제1352항; 제1360항; 제1522항; 제1540항 2건; 제1586항;      ;      ; 제1670항; 제1692항; 제1989항; 제1995항 3건; 제1999항; 제2000항; 제2001항; 제2010항; 제2019항; 제2042항; 제2427항; 제2674항; 제2813항;      ;      ] 총 36건

 

게시자 주 3-4: (번역 오류 2개) 위의 나열에서, 빨간 색칠로 굵게 표시한 제1159항, 제1189항에서 단순히 "성화" 로 번역된 표현은, 라틴어 정본, 프랑스어본, 그리고 영어본들에서 명사 "성화(聖化, sanctification)" 에 논리젹으로 등가로 대응하지 않으므로, 명백한 번역 오류들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이상, 질문 2에 대한 답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7월 27일]

4. 이번 글의 결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가르침들 대부분은 당연히 성경 본문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번 글에서 구체적으로 고찰한  "성화(聖化, sanctification)"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는 본문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예상밖으로, 정작에 그 성경 근거인, "공동번역성서" 와 개신교측의 신약 본문 중에는 전혀 없고, 그리고 "새 번역 성경" 의 신약 본문 중에 단 두 번만 있음은 장차,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에 충실히 임함으로써, 반드시 바로잡아져야 할 것입니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입니다만, 사실,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처음 마련될 때에 국내의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 중이었던 우리말본 성경은 "공동번역성서" 이었으므로, 따라서 이번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바는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마련되는 과정에서 충분히 파악될 수 있었고 그리하여, 특히 위의 제2-4-3항에서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듯이200주년 신약성서 본문에서 "성화(聖化, sanctification)" 라는 차용(借用) 번역 용어가 사용된 절들을 확인함으로써, 2005년에 초판 발행된 "새 번역 성경" 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충분히 바로잡아질 수 있었던, 그리고 특히 그리 어렵지 않은, 일임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하였던 점이 참으로 유감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0시간 (자료 조사 포함)

  



1,21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