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마학당 (영상) 및 강의 (송천오 안드레아)신부님

3월 23일 요한묵시록 제 5 강의

인쇄

신천동성당 [shinchon] 쪽지 캡슐

2010-03-23 ㅣ No.21

 

성서 본문의 세부적 주해


4장 1~11절 : 요한이 천계(天界)를 환시(幻視)로 보는 부분.

                     환시라고 해서 뜬구름 잡는 식의  추상적 표현이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인간은 전쟁, 기아, 죽음이라는 재앙의 길을 걷는다

                    그러나 이것으로 끝이 아니다.

                    묵시록은  이러한 재앙을  극복하고  구원에 이르는 길을

                    예수님의 부활 사건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책이다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와 책임을 선용할 때 

                   하느님은 자비를 베푸시며  마지막 승리로 이끄신다

                  

                   묵시록이 우리가 현세에서 어떻게 살아가야하는가를 보여주는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책이므로,  쉐마 학당을 통해  대략적인 의미를 파악한 후 

                   재차  성경을 정독(正讀)하는 것이 좋다 


4장 2~3절

    어좌  ....    하느님의 존재, 권위를 상징

    무지개....  하느님의 심판,  희망의 상징

                   창세기 9장 17절   노아와 영원한 계약을 맺으신 표징으로 무지개를 세우신다

    보석  ..... 하느님의 고귀함을 강조하는 말

                   하느님은  보석처럼 우리를 매혹시키시는 분..

                   보석에 매혹되는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부활의 모습 "이다

                   또한 우리도 이런 보석같은 존재이어야 한다

 

4장 4~8절

      원로 24명.... 믿음의 증인들로서 역사 속에 보여지는 교회의 실체, 전체를 의미

                         또한 구약의  12지파와  신약의 12 사도를 합한 숫자로 24를 사용

                         하느님 어좌를 둘러싼 24개의 어좌가 있다는 것은 

                         하느님이  혼자 일하시지 않고 인간과 더불어 구원의 역사를 펼치신다는 의미.

                        즉, 인간의 협력이 없으면 하느님의 구원은 불가능하다.

              


    유리 바다.... 성경에서 바다는 혼돈과 악, 무질서를  상징

                       요나서의 깊은 바다도 인간의 죽음을 상징했다

                       수정처럼 보이는  유리 바다는 악이 사라진  공간이라고 해석


    생물 네 마리..... 네 생물은 하느님의 피조물 중에 가장 강한  존재들

                             이들 안에서  하느님의 활동과 날카로운 통찰력. 전지전능하신 모습을

                             표현한 것 , 더 넓게 해석하면  “우주”라는 개념으로도 이해된다

                 사자 = 하느님의 활동, 근본적인 약속을 상징

                 황소=  하느님의 활동으로 정화 되어 가는 인간의 모습. 어린 양

                 사람=  사람의 분별력을 상징

                 독수리= 하느님의 심판을 상징, 이스라엘 민족과 로마제국을 심판하시는 하느님


                위의 네 생물이 어좌 둘레에 있다는 것은 하느님과 인간의 관계가

                지극히 밀접하다는 의미.

                               

5장 1~14절 .... 인류 구원이라는 주제를 담은 묵시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묵시록에는 예수그리스도를 상징하는 어린 양이라는 말이 20번 이상 나온다

                       요한이 봉인을 뗄 수 없어 눈물 흘릴 때 교회의 원로( 순교자를 의미)가

                       위로를 해주며 희생된 어린 양만이 봉인을 뗄 수 있다고 말한다

                       이 귀절에서  우리는

                       나의 분수를 알고, 겸손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내 인생의 중심에 두어서

                       그분의 현존과 부활을 묵상해야 한다


       뿔...   강인함

       눈...   지혜, 식별, 예지. 성령의 역사

       서 계신다... 예수님이 수난과 죽음을 극복하고 살아 계신다는 표현



 5장 9~14절은 이사야서 53장 1~12절과 상통하는 부분이다

      새노래.....   부활하신 분에 대한 찬미, 찬양..

                        초대교회 신자들은  "부활"을 너무나 간절한 마음으로 받아 들였다

                        그들은 박해와 고통 중에서 새로운 출애급, 새로운 빠스카를 열망하였다

                        그러나 현재, 우리 신자들은 이러한 부활의 의미를  마음 깊이 받아 들이질 못한다

                        매일 거행되는 미사는  심오한 희생 제사 이며,  부활를 재현하는 것임에도

                        미사 참례의  소중함을 간과하고 있다

                                                

                        우리는  신앙인으로서, 진정한  가치관의 서열을 고민해봐야한다

                        우리도 예수그리스도의 사제직, 예언직,  왕직의 사명을

                         미사 참례와 복음 전달 , 그리고 봉사를 통해서  수행 할 수 있다

 

                        아울러 새봄의 생명력을 통해서도 부활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듯이,

                        내 주변을 둘러보며  묵시록의 메세지가 지금 나에게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묵상해 보자                     

               



144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