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마학당 (영상) 및 강의 (송천오 안드레아)신부님

2012년 2월 28일 쉐마학당 욥기 제1강

인쇄

최희승 [luna00] 쪽지 캡슐

2012-02-29 ㅣ No.24

  JOB : 인간실현에 관한 노래

* 욥기에 대해 갖고 있는 우리들의 일반적인 이미지는 시련과 고난이다.
  이런 고통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며 일상생활에서 항상 느끼고 체험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이 같은 고통을 단순하게 고통으로 인식하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신앙적으로 바라보
  고 답을 찾는가 하는 문제다. 
  우리는 욥기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욥기의 기본 설정은 철저하게  인간 현실에 관한 노래이다.

* 욥기의 내용은 절대로 괴변이 아니라 나, 너, 우리에서 출발해 하느님과의 만남을 가지고 있다.

* 욥기는 고난의 이야기지만 기, 승, 전, 결의 구체적인 줄거리가 있고 결국은 해피엔딩(구원)으로 마지막을
  장식한다.

* 신앙인은 고통은 찾아나선 사람들이라고 말 할 정도로 고통에 대해 많은 묵상을 하기 때문에 우리 삶에
  서 고통은 떼어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 욥기의 근본 목적은,
  하느님께서 인간의 힘든 문제, 고통 등을 직접적으로 풀어주시지는 않지만 나와 함께 계시다는 것을  인식
  하고 그것이 내 눈을 밝게 뜨이게 하는데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깨닫게 하는데 있다. 또한 하느님은 인
  간과 함께 이 세상의 고난을 짊어지신 분임을 깨닫게 하는데 있다.

* 욥기는 문체에 따라,
  - 외부틀 : 1-2장, 42,7-17
  - 몸체 : 3-42,6 로 나눌 수 있다.

* 이야기의 틀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안에서의 전개 과정은 매우 복잡하다.

* 내용에는 기, 승, 전, 결이 있는데 가장 절정을 이루는 부분은 39장, 하느님의 개입이 있는 부분이다.
 
* 외부틀은 산문형식이고 머리말과 맺음말이 포함되어 있고, 몸체는 운문형식으로 중심 내용을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외부틀과 몸체의 표현 형식이 완전히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24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