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십리성당 게시판

경제적인 경상도말 (펐어예)

인쇄

이은진 [full] 쪽지 캡슐

2001-02-16 ㅣ No.1854

경상도 말은 참 경제적이다.

 

왜냐하면 표준말로 길게 부르는 것을 표준국어에 없는

 

몇가지 발음으로 굉장히 짧게 발음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고등학교 선생님

 

 

 

☞ 고다꾜샘 : 7글자가 4글자로 줄었다. 엄청나군.

 

이건 시리즈로 나올 수 있다.

 

선생님은 샘으로 발음되니... 교장샘, 교감샘, 국어샘, 교련샘...

 

 

 

 

 

 

 

2. 할머니(할아버지) 요셨습니까?

 

☞ 할맨교? : 8글자(할아버지의 경우 9글자)가 3글자로.. 상당한 압축율이다.

 

여기서 해석이 잘 안되시는 분들은 순도 100%의 경상도맨에게 문의하십시요.

 

 

 

 

 

 

 

3. 니가 그렇게 말하니까 내가 그러는 거지 니가 안그러면 내가 왜 그러냐?

 

☞ 니그카이 내그카지 니안그카믄 내그카나...

 

☞ 와카는데...... .ㅜ.ㅜ

 

 

 

 

 

 

 

이제 결정적인 충청도 사투리를 하나...

 

(학창시절) 내가 위의 애기를 충청도 논산이 고향인 친구녀석에게 경상도의

 

경제성을 자랑삼아 얘기했더니,

 

 

 

 

 

그 녀석 한참을 궁리해서 그날 저녁 맥주집에서 작품하나를 발표했다.

 

 

 

"니들~, 경상도말 경제성 너무 자랑말어~, (~는 말의 느림을 의미)

 

우리 충청도두~ 굉장히 짧게 할 수 있는 말이 있어~"

 

"뭔데? 뭔데? (맥주 마시던 경상도 애들이 눈이 둥그래졌다)

 

 

 

 

 

 

 

"디스코텍에 가면 말이지~... "

 

(글자수를 잘 비교해보시기 바랍니다)

 

 

 

(예쁜여자에게 부르스 한곡 신청하는 상황을 상상하며...)

 

 

 

표준말 : (한곡) 추시겠습니까? (6글자 : 너무 길다)

 

경상도 : 출래예? (3글자 : 50%의 압축율)

 

충청도 : 출튜? (2글자 : 33% 와~!)

 

 

 

 

 

 

 

(근데 여자가 매몰차게 거절을 했다 "싫어요.")

 

표준말 : 섭섭합니다.

 

경상도 : 섭섭하네예 (예석하게도 압축이 안됩니다)

 

충청도 : 섭휴~."(40%의 압축율)



2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