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영광] 다해 연중 제32주일 화답송 가사를 포함하는 시편 17,14-15의 두 개의 버젼들에 대하여 [divine glory] 1988_glory

인쇄

. [121.190.18.*]

2019-11-10 ㅣ No.2012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12.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1969년에 개정 및 보강되어 도입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시편 17,1.5-6.8.15다해 연중 제32주일 미사 중 말씀 전례에서 제1독서에 뒤따라 노래하게 되는 화답송의 가사입니다.

 

그런데, 오늘 주일 11:00시 중심 미사 참례 직후에 있는 전례성경 공부 모임 및 영어 성경공부 모임에서, (i) 우리말본 화답송의 시편 17,1.5-6.8.15 가사와 (ii) 미국 천주교회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영어본 화답송의 가사가, 언뜻 보기에, 동일하지 않음을, 심지어 상당히 다름을, 발견하였습니다. 다음에 발췌죈 바들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시기 바랍니다:

 

1-1-1. 출처: http://maria.catholic.or.kr/mi_pr/missa/missa.asp?menu=missa&gomonth=2019-11-10&missatype=DA

(발췌 시작)

화답송

 

시편 17(16),1.4ㄷ과 5-6.8과 15(◎ 15ㄴ 참조)

주님, 저는 깨어날 때 당신 모습 흡족하리이다.(*)
○ 주님, 의로운 사연을 들어 주소서. 제 부르짖음을 귀여겨들으소서. 거짓 없는 입술로 드리는, 제 기도에 귀 기울이소서.
○ 계명의 길 꿋꿋이 걷고, 당신의 길에서 제 발걸음 비틀거리지 않았나이다. 하느님, 당신이 응답해 주시니, 제가 당신께 부르짖나이다. 귀 기울여 제 말씀 들어 주소서.
○ 당신 눈동자처럼 저를 보호하소서. 당신 날개 그늘에 저를 숨겨 주소서. 저는 의로움으로 당신 얼굴 뵈옵고, 깨어날 때 당신 모습 흡족하리이다.

(이상, 발췌 끝)

 

-----

(*) 게시자 주: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바로 이 문장이 자구적으로(literally) 의미하는 바는, 그 성경 근거인 아래의 제 2-1항에 발췌된 "새 번역 성경", 시편 17,15 본문, ""깨어날 때 당신 모습으로 흡족하리이다""이 자구적으로 의미하는 바와 결코 동일하지 않음에,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그리고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지젹은 아래의 게시자 주 2-1에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

 

1-1-2. 다음은 2019년 7월 19일, 연중 제15주간 금요일, 입당송으로 발췌된 시편 17,15 전문입니다:

 

출처: http://maria.catholic.or.kr/mi_pr/missa/missa.asp?menu=missa&gomonth=2019-7-19&missatype=DA 

(발췌 시작)

저는 의로움으로 당신 얼굴 뵈옵고, 당신 영광 드러날 때 흡족하리이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1-2: 다음의 굵게 파란색칠을 한 부분을 클릭하면, 구글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시편 17(16),15" site:catholic.or.kr <-----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1-1-3. 다음은, 미국 천주교회 주교회의/중악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2019년 11월 10일, 다해 연중 제32주일, 화답송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usccb.org/bible/readings/111019.cfm

(발췌 시작)

Responsorial Psalm Ps 17:1, 5-6, 8, 15 

 

R. (15b)  Lord, when your glory appears, my joy will be full. [졸번역: 주님, 당신의 영광이 나타날 때에, 저의 기쁨은 가득채워질 것입니다]
Hear, O LORD, a just suit;
attend to my outcry;
hearken to my prayer from lips without deceit.
R. Lord, when your glory appears, my joy will be full.
My steps have been steadfast in your paths,
my feet have not faltered.
I call upon you, for you will answer me, O God;
incline your ear to me; hear my word.
R. Lord, when your glory appears, my joy will be full.
Keep me as the apple of your eye,
hide me in the shadow of your wings.
But I in justice shall behold your face;
on waking I shall be content in your presence. [졸번역: 깨어날 때에 저는 당신의 현존 안에서 흡족하게 되리이다.]
R. Lord, when your glory appears, my joy will be full.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1: (1) 위의 제1-1항에 발췌된 바들 정도로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어서, 이번 글에서는, 왜 그러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하여 아래의 제2항에서 자세하게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바쁜 분들은, 이어지는 제1항의 끝까지 읽은 후에, 아래의 제3항에 제시된 이 글의 결론들을 읽도록 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제2항 중의 일부 항들을 선택적으로 읽도록 하십시오.

 

(2) 다른 한편으로, 다해 연중 제32주일 제1독서(2마카베오 7,1-2.9-14)에 뒤따라 노래하게 되는 화답송의 가사인 시편 17,1.5-6.8.15은 또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홀수해 연중 제33주간 수요일 제1독서(2마카베오 7,1.20-31)에 뒤따라 노래하게 되는 화답송의 가사이기도 합니다:

http://maria.catholic.or.kr/mi_pr/missa/missa.asp?menu=missa&gomonth=2019-11-20&missatype=DA 

 

그런데 통상적으로, 화답송 가사는 제1독서로 발췌되는 성경 본문과 복음 말씀으로서 발췌되는 성경 본문을 내용적으로 연결해 주는 key word 역할을 하므로, 시편 17,1.5-6.8.15육신의 부활에 관련된 내용으로서 이해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에, 위의 제1-1-2항에 발췌된 영어본 화답송의 가사는, 특히 응송의 가사인 "Lord, when your glory appears, my joy will be full."이, 위의 제1-1-1항에 발췌된 우리말본 화답송 중의 대응하는 응송의 가사보다, 언뜻 보더라도, 2마카베오 제7장에서 발췌되는 제1독서에 뒤따르는 화답송의 응송의 가사로서, 덜 적합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렇지 않는지요?

 

(3) 하느님이시고 사람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 쪽으로 신앙 고백을 바치는 그리스도교는, 그 태생적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위에서의 수난, 죽임당함, 묻히심, 그리고 사를만에 부활하심을, 즉, 소위 말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뢀 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부활 신앙임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 부활 신앙의 고백은, 그리스도교 교회의 초기 시절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세례 신경인 사도 신경의 고백 등을 통하여, 지속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16세기 중반 경에 도입된, 매년 동일한, 즉, 전례주년이 한 해인, 가톨릭 교회의 트리엔트 전례력에 있어, 2마카베오 제7장의 일부가 주일 혹은 첨례일의 제1독서로 발췌된 적이 없음을 알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Roman_Missal.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cb/전례력/트리엔트_전례력_used_in_1949년.htm 

 

그러나, 왜냐하면 트리엔트 전례력에 있어, 미사 중에 전례의 통상 기도(common prayer)로서, 죽은 이들의 부활을 믿는다는 명백한 문장이 포함된,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을 항상 고백해 왔기 때문에, 매년 동일한, 즉, 전례주년이 한 해인, 가톨릭 교회의 트리엔트 전례력에 있어, 매 주일 혹은 첨례일마다 바뀌는 미사 중의 고유 기도(proper prayer)로서, 2마카베오 제7장의 일부가 주일 혹은 첨례일의 제1독서로 발췌된 봉독되지 않은 것이, 그리스도교 고유한 부활 신앙의 고백과 관련하여, 아무런 문제가 될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1960년대 중반에 개최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과로서, 1969년에 대폭 보강된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은, 주일의 경우에 그 전례 주년이 3년이고, 주간의 경우에 제1독서들은 그 전례 주년이 2년이며, 그리고 주간의 경우에 복음 말씀들은 그 전례 주년이 1년입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안내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42.htm <----- 필독 권고

 

(4)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2마카베오 7,1-42, 즉, 2마카베오 제7장 전문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1: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ot_32.htm <----- 필독 권고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3_wed.htm 

(발췌 시작)

[...]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which "God revealed to his people progressively"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992), is a teaching that is grounded first on Moses' words about God having compassion on his servants (v. 6; cf. Deut 32:36), and the idea that if they die prematurely they will receive consolation in the next life. This is the point being made by the first brother, and it implies that God "faithfully maintains his covenant with Abraham and his posterity" (ibid.). As the mother sees it (vv. 27-28), belief in the resurrection comes from "faith in God as creator of the whole man, body and soul" (ibid., 992). Our Lord Jesus Christ ratifies this teaching and links it to faith in himself (cf. Jn 5:24-25; 11:25); and he also purifies the Pharisees' notion of the resurrection, which was an interpretation based only on material terms (cf. Mk12:18-27;1 Cor 15:35-53).

In what the mother says (v. 28) we can also see belief in the creation of the world out of nothing "as a truth full of promise and hop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97). On the basis of this passage and some New Testament passages, such as John 1:3 and Hebrews 11:3, the Church has formulated its doctrine of creation: "We believe that God needs no pre-existent thing or any help in order to create (cf. Vatican I: DS 3022), nor is creation any sort of necessary emanation from the divine substance (cf. Vatican I: DS 3023-3024). God creates freely 'out of nothing' (DS 800; 3025). If God had drawn the world from pre-existent matter, what would be so extraordinary in that? A human artisan makes from a given material whatever he wants, while God shows his power by starting from nothing to make all he wants"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96).

The assertion that the death of martyrs has expiatory value (vv. 37-38) prepares us to grasp the redemptive meaning of Christ's death; but we should remember that Christ, by his death, not only deflected the punishment that all men deserve on account of sin, but also, through his grace, makes sinful men righteous in God's sight (cf. Rom 3:21-26).

 

[...] 

(이상, 발췌 끝)

 

(5) 또다른 한편으로, 이어지는 제1-2항제1-3항에서, 갑자기 1요한 3,2과 그 주석들을 들여다볼 것인데, 이것은, 전적으로, 아래의 제2-10항,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on DRB(Douay-Rheims Bible) 에서 발췌한, 시편 17,14-15 본문과 이 본문에 대한 주석 덕택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1-1 끝)

 

1-2. 다음은 "새 번역 성경", 1요한 3,2 전문과 유관 단락들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들입니다:

 

출처: http://maria.catholic.or.kr/bible/read/bible_read.asp?menu=bible&m=2&n=169&p=3 

(발췌 시작)

2 사랑하는 여러분, 이제 우리는 하느님의 자녀입니다. 우리가 어떻게 될지는 아직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분께서 나타나시면(*2) 우리도 그분처럼 되리라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3) 그분을 있는 그대로 뵙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4)

 

-----

(*2) "그분께서 나타나시면" 대신에 "그것(= 하느님의 자녀 됨)이 나타나면" 으로 옮길 수도 있지만, 문맥상(,2,28 참조) 가능성이 별로 없다고 본다.

 

(*3) 필자는 하느님의 자녀로서 펼치는 신자들의 삶을 두 단계로 구분한다. 첫째는 신자 생활을 시작할 때부터 실현된 초기 상태이고(요한 1,12; 3,5. 그리고 2코린 3,18 참조), 둘째는 하느님의 아드님을 온전하게 닮게 되는 종말 때의 완전한 실현 단계이다(콜로 3,3-4 참조).

 

(*4) "때문입니다"는 앞 문장의 '그분처럼 되다'의 이유가 될 수도 있고 '알다'의 이유가 될 수도 있는데, 후자의 가능성이 더 큰 것 같다(3,14.20; 4,13). 전자 영광을 누리시는 그리스도를 봄으로써 그 결과로 그분과 같아진다는 것이다.(#1) 이는 헬레니즘에서 볼 수 있는 생각인데, 여기에서는 그와 달리, 영광을 누리시는 하느님의 아드님을 언젠가 보게 된다는 확신이 있기 때문에, 그분과 온전히 닮게 되리라는 확신도 지니게 된다는 뜻이다.(#2)

[게시자 주: 이상은, "주석 성경"의 각주들임]

 

(#1) 게시자 주: 여기서 말하는 "같아진다"란, "동일하게 된다"(be equal)라는 의미가 결코 아니고, 다만 "비슷하게 된다"라는 의미일 것이다.

 

(#2) 게시자 주: 이러한 극단적인 개인적 확신에 의존하는 해석은, 16세기 초반에 들어와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에 의하여 처음으로/최초로 제시된 개신교회 측의 주장인 "믿음만으로"(only faith)에 따른 해석이라는 생각이며, 따라서 "영광을 누리시는 그리스도를 봄으로써 그 결과로 그분과 비슷하게 된다"로 이해하는 것이, 전후 문맥 안에서, 본문에 더 출실한 해석일 것이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해석의 타당성은, 예를 들어, 아래의 제2-7항제2-10항에 발췌된 바에서, 실증적으로(positively)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바로 이러한 해석의 타당성은, 추가적으로, 바로 아래의 제1-3항에 발췌된, "St Pius V Catechism"(성 교황 비오 5세 교리서, 즉, 1566년에 교화 비오 5세에 의하여 초간된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의 가르침을 그 본문 중에서 발췌 인용하고 있는, 따라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1요한 3,2에 대한 해설에서도, 실증적으로(positively) 확인된다.

-----

(이상, 발췌 끝)

 

1-3.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매년 11월 1일 모든 성인 대축일에 미사 중의 말씀 전례에서 봉독되는 제2독서(1요한 3,1-3)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는데, 위의 게시자 주 1-1의 문맥 안에서, 본글에서 주제로서 다루는 바와 관련하여, 특히 (i) 예수 재림의 날을 기다리고 있는, 혹은 (ii) 임종 직전의, 예를 들어, 2마카베오 제7장의 일곱 형제들과 그들의 어머니처럼, 장차(將次) 육신의 부활(復活, the resurrection of the body)을 믿는 그리스도인들 누구에게나 매우 유의미한 내용이라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llsaint.htm <----- 필독 권고

(1요한 3,2와 이 절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발췌 시작)

[2] Beloved, we are God's children now; it does not yet appear what we shall be, but we know that when he appears we shall be like him, for we shall see him as he is.

 

2. The indescribable gift of divine filiation, which the world does not know (v. 1), is not fully experienced by Christians, because the seeds of divine life which it contains will only reach their full growth in eternal life, when we see him "as he is", "face to face" (1 Cor 13:12); "this is eternal life, that they know thee the only true God, and Jesus Christ whom thou hast sent" (Jn 17:3). In that direct sight of God as he is, and of all things in God, the life of grace and divine filiation achieve their full growth. Man is not naturally able to see God face to face; he needs to be enlightened by a special light, which is given the technical theological name of "lumen gloriae", light of glory. This does not allow him to "take in" all God (no created thing could do that), but it does allow him to look at God directly.

 

2. 이 세상이 알지 못하는(제1절) 신성적 자녀됨(divine filiation)이라는 형언할 수 없는 선물은 그리스도인들에 의하여 충분하게 경험하게 되지 못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을 포함하는 신성적 삶(divine life)의 씨앗들은, 우리가 그분을 있는 "그대로로서", "얼굴을 서로 대하면서", 볼 때인(1코린토 13,12), 영원한 삶/생명 안에서 그들의 충만한 성장에 오로지 도달 할 것이고, 그리고 "영원한 삶/생명이란 그들이 그분을 한분이신 참 하느님, 그리고, 당신께서 이미 보내신 분이신, 예수 그리스도이라고 알게 되는 것 바로 그것이기"(요한 복음서 17,3) 때문입니다. 있는 그대로로서의 하느님을, 그리고 하느님 안에 있는 모든 사물들을, 바로 직접 봄을 통하여(in), 은총(grace)의 삶/생명과 신성적 자녀됨은 그들의 충만한 성장을 성취합니다. 사람은 얼굴을 서로 대하면서 하느님을 볼 수 없으며, 그리하여 그는 어떤 특별한 빛에 의하여 비추어질/교화될 필요가 있는데, 이 빛에게는 "lumen gloriae", 영광이라는 빛(light of glory)이라는 신학적 이름이 주어져 있습니다. 바로 이 빛은 하느님 모두를 "이해하는"(take in) 것을 그에게 허락하지 않고, 다만(but) 이 빛은 직접적으로 그가 하느님을 바라보는 것만을 허락합니다.

Commenting on this verse, the "St Pius V Catechism"(성 교황 비오 5세 교리서, 즉, 1566년에 교화 비오 5세에 의하여 초간된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  explains that "beatitude consists of two things--that we shall behold God such as he is in his own nature and substance; and that we ourselves shall become, as it were, gods. For those who enjoy God while they retain their own nature, assume a certain admirable and almost divine form, so as to seem gods rather than men" (I, 13, 7).(*1) 

 

바로 이 절에 대하여 주석하면서, "성 교황 비오 5세 교리서"(즉,1566년에 교화 비오 5세에 의하여 초간된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종말론적] 지복(至福, beatitude, 참행복)은 다음의 두 개의 사물(things)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하느님을, 그분께서 그분의 고유한 본성과 본체 안에 계시는 분으로서, 볼 것이고, 그리하여 우리 자신들이, 말하자면, 신(gods)들이 될 것입니다. 그들이 자신들의 고유한 본성을 지니고 있는 동안에 하느님을 향유하는 바로 그러한 자들의 경우에, 어떤 확실한 감탄할 만한 그리고 거의 신성적인 형상(almost divine form)을 취하여(assume), 그리하여 그 결과 사람men)들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신(gods)들처럼 보일 것입니다" (I, 13, 7).(*1)


"When he appears": two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given that in Greek the verb has no subject: "when (what we shall be) is revealed we shall be as he is"; or, as the New Vulgate translates it, "when he (Christ) is revealed we will be like him (Christ) [졸번역: 당신(그리스도)께서 나타나실 때에 우리는 [당신의 영광(glory)을 받아 변모되어(be transfigured)](*2) 당신(그리스도)과 비슷하게 될 것입니다] ".(*3) The second interpretation is the more likely.

 

-----

(*1) 게시자 주: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영어본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에서, 1요한 3,2를 본문 중에 발췌 인용하면서 각주 번호 3)을 붙인, 제95쪽의 첫 번째 단락의 마지막 부분부터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trent/Catechism_of_Trent.htm

 

혹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소제목 "The Light of Glory"(영광이라는 빛, lumen gloriae) 직전에 있는 단락의 중간 부분부터 읽도록 하라:

http://www.cin.org/users/james/ebooks/master/trent/tcreed12.htm 

 

(*2) 여기서 [당신의 영광(glory)을 받아 변모되어(be transfigured)]는, (i) 바로 위의 본문 중에 발췌된 "St Pius V Catechism"(성 교황 비오 5세 교리서, 즉, 1566년에 교화 비오 5세에 의하여 초간된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 제95쪽에서 가르치는 바와 또한, (i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 제91쪽의 첫 번째 단락, Brightness을 본문 중에서 발췌 인용하고 있는, 다해 8월 6일 주님 거룩한 변모 축일 복음 말씀(루카 복음서 9,28b-36)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에 따라/근거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도와드리기 위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추가한 것이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transfig.htm 

(발췌 시작)

Through the miracle of the Transfiguration Jesus shows one of the qualities of glorified bodies--brightness, "by which the bodies of the saints shall shine like the sun, according to the words of our Lord recorded in the Gospel of St. Matthew: 'The righteous will shine like the sun in the Kingdom of their Father' (Matthew 13: 43). To remove the possibility of doubt on the subject, He exemplifies this in His transfiguration. This quality the Apostle (St. Paul) sometimes calls glory, sometimes brightness: 'He will change our lowly body to be like His glorious body' (Philippians 3:21); and again, 'It is sown in dishonor, it is raised in glory' (1 Corinthians 15:43). Of this glory the Israelites beheld some image in the desert, when the face of Moses, after he had enjoyed the presence and conversation of God, shone with such luster that they could not look on it (Exodus 34:29; 2 Corinthians 3:7). This brightness is a sort of radiance reflected by the body from the supreme happiness of the soul. It is a participation in that bliss which the soul enjoys [...]. This quality is not common to all in the same degree. All the bodies of the saints will be equally impassible; but the brightness of all will not be the same, for, according to the Apostle, 'There is one glory of the sun, and another of the moon, and another glory of the stars; for star differs from star in glory. So it is with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1 Corinthians 15:4f)" ("St. Pius V Catechism", I, 12, 13).(#) See also the notes on Matthew 17:1-13; 17:5; 17:10-13; and Mark 9:2-10; 9:7.

 

-----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영어본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 제91쪽의 첫 번째 단락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trent/Catechism_of_Trent.htm

 

혹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소제목 "The Qualities Of A Glorified Body"(영광을 받은 몸의 특성들), Brightness 아래에 있는 세 개의 소단락들을 읽도록 하라:

http://www.cin.org/users/james/ebooks/master/trent/tcreed11.htm 

----- 

(이상, 발췌 끝)

 

(*3) 게시자 주: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 the New Vulgate), 1요한 3,2의 바로 이러한 내용의 라틴어 번역은, 아래의 제2-10항에 발췌된 시편 17,15의 각주에 의하면, 성 예로니모(St. Jerome)에 의한 시편 17,15의 라틴어 번역을 수용한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

(이상, 발췌 끝) 

 

2. 유관 성경 본분들에 대한 비교 분석

 

2-1. 우선적으로,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시편 17,14-15 전문압니다:

 

출처: http://maria.catholic.or.kr/bible/read/bible_read.asp?menu=bible&m=1&n=123&p=17 

(발췌 시작)

14 주님, 당신의 손으로 저 사내들에게서, 세상살이를 제 몫으로 삼는 사내들에게서 저를 구해 주소서. 당신께서 숨겨 놓으신 벌로 그들의 배를 채우시어 아들들도 배불리고 나머지는 자기네 어린것들에게 물려주게 하소서.

15 저는 의로움으로 당신 얼굴을 뵙고 깨어날 때 당신 모습으로 흡족하리이다.(*)

 

-----

(*) 게시자 주: 여기서, (i) "깨어날 때 당신 모습으로 흡족하리이다"라는 번역문이 자구적으로(literally) 의미하는 바가, (ii) 위의 제1-1-1항에 발췌된, 화답송 중의 응송의 가사 "깨어날 때 당신 모습 흡족하리이다."가 자구적으로 의미하는 바와, 제15절 전체 문맥 안에서, 결코 동일하지 않음에, 반드시 주목하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i)은 "깨어날 때 당신 모습으로 변모된 자신의 모습이라는 상태에 있으면서 흡족하리이다"라는 종말론적 의미이나, 그러나 이와는 달리, (ii)는 "깨어날 때 바라본 당신 모습 그 자체에 흡족하리이다"라는 더 포괄적인 의미라는 생각이다. 

(이상, 발췌 끝) 

 

그리고 다음은 "공동번역성서", 시편 17,14-15 전문인데 제15절이, 그 의미에 있어, 바로 위에 발췌된 "새 번역 성경", 시편 17,15와 과연 대동소이한 것인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maria.catholic.or.kr/bible/read/bible_read.asp?menu=bible&m=3&n=23&p=17 

(발췌 시작)

14 야훼여! 손을 펴소서. 흥청거리며 사는 자들의 손에서 이 몸을 구하소서. 저들이 당신의 곳간에서 배를 채우고 그 자식들도 배 터지게 먹고 남아 또 그 어린것들에게 물려주게 하시렵니까?

15 나는 떳떳하게 당신 얼굴을 뵈오리이다. 이 밤이 새어 당신을 뵙는 일, 이 몸은 그것만으로 만족합니다.

(이상, 발췌 끝)

 

2-2.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NAB (New American Bible) 시편 17,14-15 전문인데, 그 의미에 있어, "새 번역 성경", 시편 17,15와 과연 대동소이한 것인지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_PG9.HTM 

(발췌 시작)

14 Slay them with your sword; with your hand, LORD, slay them; snatch them from the world in their prime. Their bellies are being filled with your friends; their children are satisfied too, for they share what is left with their young.

 

15 I am just - let me see your face; when I awake, let me be filled with your presence.  

(이상, 발췌 끝)

 

따라서, NAB (New American Bible) 시편 17,15 에서 발췌되었다고 안내된,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화답송 중의 시편 17,15가, 정작, 바로 위의 출처에 있는 NAB (New American Bible) 시편 17,15 본문과, 표현 및 의미 둘 다에 있어, 어떠한 이유로 논리적으로 등가일 수가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2-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다수의 영어본 성경들 중의 시편 17,15 전문을 읽을 수 있는데, 1611년 초판의 영어본 성경인 King James Version에 많은 영향을 준, 가톨릭 교회용 영어본 성경인 Douay-Rheims Bible, 시편 17,15에서 "your glory"라는 번역 표현이 사용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편 17,15의 경우에, 아래에 발췌된 바들에서 보듯이, 이들 두 성경들의 대응하는 본문들 사이에 현격한 차이가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출처: https://biblehub.com/psalms/17-15.htm 

(발췌 시작)

Douay-Rheims Bible
But as for me, I will appear before thy sight in justice: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shall appear. [졸번역: 당신의 영광 나타날 때에 저는 만족하게 되리이다.]

 

King James Bible
As for me, I will behold thy face in righteousness: I shall be satisfied, when I awake, with thy likeness. [졸번역: 제가 깨어날 때, 저는 당신의 비슷함에, 만족하게 되리이다.]

(이상, 발췌 끝)

 

2-4. 그리고 예상하듯이,  Douay-Rheims Bible 의 번역 대본인 대중 라틴말 성경 Clementine Vulgate, 시편 17,15를 살펴보면, "your glory"에 대응하는 라틴어 표현 "gloria tua"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한 대응하는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 시편 17,15에도 대응하는 "δόξαν σου"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bible/psa016.htm 

(발췌 시작)

14 κύριε ἀπὸ ὀλίγων ἀπὸ γῆς διαμέρισον αὐτοὺς ἐν τῇ ζωῇ αὐτῶν καὶ τῶν κεκρυμμένων σου ἐπλήσθη ἡ γαστὴρ αὐτῶν ἐχορτάσθησαν υἱῶν καὶ ἀφῆκαν τὰ κατάλοιπα τοῖς νηπίοις αὐτῶν

 

15 ἐγὼ δὲ ἐν δικαιοσύνῃ ὀφθήσομαι τῷ προσώπῳ σου χορτασθήσομαι ἐν τῷ ὀφθῆναι τὴν δόξαν σου

 

14 ab inimicis manus tuæ. Domine, a paucis de terra divide eos in vita eorum;
de absconditis tuis adimpletus est venter eorum. Saturati sunt filiis, et dimiserunt reliquias suas parvulis suis.

 

15 Ego autem in justitia apparebo conspectui tuo; satiabor cum apparuerit gloria tua.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4: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위의 제2-4항에 그 일부가 발췌된, 아무리 늦더라도 기원전 70년경 이전에,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 시편 제17장 전문을, 좀 더 편하게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즉, 대응하는 영어 표현들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s://biblehub.com/interlinear/apostolic/psalms/17.htm <----- 필독 권고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기원후 9세기 경에 유다교 용도로 최종적으로 편집된, 마소라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 시편 17,15 전문을, 좀 더 편하게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즉, 대응하는 영어 표현들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https://biblehub.com/text/psalms/17-15.htm <----- 필독 권고

 

2-5. 그래서, 혹시... 하면서, 이번에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1979년에 출판된 개정판인,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 시편 17,14-15를 들여다보았는데, 다음에 발췌하였듯이, 바로 위의 제2-4항에 발췌된 대중 라틴말 성경 Clementine Vulgate, 시편 17,14-15와, 표현 및 의미 둘 다에 있어, 어떠한 이유로 논리적으로 등가일 수가 있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bible/nova_vulgata/documents/nova-vulgata_vt_psalmorum_lt.html#PSALMUS 17

(발췌 시작)

14 a mortuis manu tua, Domine,  a mortuis, quorum defecit portio vitae.  De reconditis tuis adimpleas ventrem eorum,  saturentur filii et dimittant reliquias parvulis suis.


15 Ego autem in iustitia videbo faciem tuam;  satiabor, cum evigilavero, conspectu tuo.

(이상, 발췌 끝)

 

2-6. 또한 다음은, 칠십인역 그리스어 시편 17,14-17그 영어본 입니다:

 

출처: https://www.ellopos.net/elpenor/greek-texts/septuagint/chapter.asp?book=24&page=16

(발췌 시작)

14 Κύριε, ἀπὸ ὀλίγων ἀπὸ γῆς διαμέρισον αὐτοὺς ἐν τῇ ζωῇ αὐτῶν, καὶ τῶν κεκρυμμένων σου ἐπλήσθη ἡ γαστὴρ αὐτῶν, ἐχορτάσθησαν υἱῶν*, καὶ ἀφῆκαν τὰ κατάλοιπα τοῖς νηπίοις αὐτῶν.

 

14 because of the enemies of thine hand: O Lord, destroy them from the earth; scatter them in their life, though their belly has been filled with thy hidden [treasures]: they have been satisfied with uncleanness, and have left the remnant [of their possessions] to their babes.

 

15 ἐγὼ δὲ ἐν δικαιοσύνῃ ὀφθήσομαι τῷ προσώπῳ σου, χορτασθήσομαι ἐν τῷ ὀφθῆναί μοι τὴν δόξαν σου. ______ * ῎Αλλη γραφή· ὑείων.

 

15 But I shall appear in righteousness before thy face: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appears.

(이상, 발췌 끝)

 

2-7.

2-7-1. 다음에 발췌한 바는, 시편 17,15에 대한 주석인데, 본글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주제와 관련하여 상당히 유의미하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gm.htm#lq

(발췌 시작)

8 (Ps 17,15, the Septuagint translate øt,n:KkkT]k] Åyqh;nÒ hx,NÒC]a,. The Hiphil intransitive form Åyqhe is used, however, only of “awaking” out of sleep, not of “appearing,” or “being manifested;” and hn:KmT] properly means, appearance, form, likeness, although glory may in the present connection be implied: so that while the rendering of the Septuagint may be grammatically defensible,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is manifested,” yet the strict meaning of the words, the context, and the accentuation, favor that of the English version, “I shall be satisfied, on awaking, with Thy likeness.”-Tr.

 

제일 마지막 단락 졸번역: 그리하여 그 결과(so that)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is manifested"라는 칠십인역의 옮김은 문법적으로 변호할 수(defansible)도 있을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yet) 단어들의 엄밀한 의미, 문맥, 그리고 두드러지게 함(accentuation)은, "I shall be satisfied, on awaking, with Thy likeness.[졸번역: 제가, 깨어날 때에, 당신의 비슷함에, 만족하게 되리이다]"라는 영어 버젼의 옮김을 지지합니다(favor).(*)

 

-----

(*) 번역자 주: (1) 여기서 말하는 영어 버젼이란, 1611년에 초간된 King James Version을 말할 것이다.

 

(2) 이 각주는 1611년에 초간된 King James Version의 번역자들에 의하여 행하여진 시편 17,15종말론적 해석칠십인역 그리스어본 시편 17,15보다 더 적절함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생각이다.

-----

(이상, 발췌 및 일부분의 우리말 번역 끝)

 

게시지 주 2-7-1: 바로 위의 정보는, 교황청에 근무하는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을 위하여 마련된 홈페이지 http://www.clerus.org 에서 제공하는 정보이다.

 

2-7-2. 다음은, 바로 위의 제2-7-1항에 발췌된 시편 17,15에 대한 주석이 붙어있는,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요한 복음서 주석(COMMENTO AL VANGELO DI SAN GIOVANNI/Tractate 102 (John 16:23-28))의 유관 부분을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1: http://www.augustinus.it/italiano/commento_vsg/index2.htm 

출처 2: http://www.augustinus.it/italiano/commento_vsg/omelia_102.htm

(출처2로부터 발췌 시작)

3. Vi ho parlato di queste cose in parabole: viene l'ora in cui non vi parlerò più in parabole, ma vi intratterrò apertamente sul Padre (Gv 16, 25). Starei per dire che quest'ora di cui parla è la vita futura, nella quale lo vedremo svelatamente, faccia a faccia, come dice san Paolo; di modo che le parole: Vi ho parlato di queste cose in parabole, coincidono con quelle dell'Apostolo stesso: Vediamo adesso, in maniera oscura, come in uno specchio (1 Cor 13, 12). Mentre la frase: vi intratterrò sul Padre mio significa che è per mezzo del Figlio che si vedrà il Padre, come egli stesso altrove dice: Nessuno conosce il Padre se non il Figlio e colui al quale il Figlio voglia rivelarlo (Mt 11, 27). Ma questo senso apparentemente è in contrasto con quello che segue: In quel giorno, voi chiederete nel mio nome (Gv 16, 26). Che cosa potremo chiedere infatti nella vita futura, allorché saremo giunti nel regno, dove saremo somiglianti a lui poiché lo vedremo così com'è (cf. 1 Io 3, 2), quando il nostro desiderio sarà saziato nell'abbondanza di ogni bene (cf. Sal 102, 5)? Come appunto dice anche un altro salmo: Sarò saziato, quando si manifesterà la tua gloria (Sal 16, 15). Chiedere è segno di indigenza, che scomparirà quando ogni nostro desiderio sarà saziato.

(이상, 발췌 끝)

 

출처: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gm.htm#lq 

(발췌 시작)

3. “These things,” said He, “have I spoken to you in proverbs: but the hour cometh, when I shall no more speak unto you in proverbs, but I shall show you plainly of my Father.” I might be disposed to say that this hour, whereof He speaketh, must be understood as that future period when we shall see openly, as the blessed Paul says, “face to face;” that what He says, “These things have I spoken to you in proverbs,” is one with what has been said by the same apostle, “Now we see through a glass, in a riddle:”4 and “I will show you,” because the Father shall be seen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the Son, is akin to what He says elsewhere, “Neither knoweth any man the Father, save the Son, and [he] to whom the Son shall be pleased to reveal Him.”5 But such a sense seems to be interfered with by that which follows: “At that day ye shall ask in my name.” For in that future world, when we have reached the kingdom where we shall be like Him, for we shall see Him as He is,6 what shall we then have to ask, when our desire shall be satisfied with good things?7 As it is also said in another psalm: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shall be revealed.”8 For petition has to do with some kind of want, which can have no place there where such abundance shall reign.

 

-----

4 (1Co 13,12).
5 (Mt 11,27,
6 (1Jn 3,2).
7 (Ps 103,5,
8 (Ps 17,15, the Septuagint translate øt,n:KkkT]k] Åyqh;nÒ hx,NÒC]a,. The Hiphil intransitive form Åyqhe is used, however, only of “awaking” out of sleep, not of “appearing,” or “being manifested;” and hn:KmT] properly means, appearance, form, likeness, although glory may in the present connection be implied: so that while the rendering of the Septuagint may be grammatically defensible,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is manifested,” yet the strict meaning of the words, the context, and the accentuation, favor that of the English version, “I shall be satisfied, on awaking, with Thy likeness.”-Tr.

-----

(이상, 발췌 끝)

 

출처 3: http://www.newadvent.org/fathers/1701102.htm 

(발췌 시작)

3. “These things,” said He, “have I spoken to you in proverbs: but the hour comes, when I shall no more speak unto you in proverbs, but I shall show you plainly of my Father.” I might be disposed to say that this hour, whereof He speaks, must be understood as that future period when we shall see openly, as the blessed Paul says, “face to face;” that what He says, “These things have I spoken to you in proverbs,” is one with what has been said by the same apostle, “Now we see through a glass, in a riddle:” 1 Corinthians 13:12 and “I will show you,” because the Father shall be seen through the instrumentality of the Son, is akin to what He says elsewhere, “Neither knows any man the Father, save the Son, and [he] to whom the Son shall be pleased to reveal Him.” Matthew 11:27 But such a sense seems to be interfered with by that which follows: “At that day you shall ask in my name.” For in that future world, when we have reached the kingdom where we shall be like Him, for we shall see Him as He is, 1 John 3:2 what shall we then have to ask, when our desire shall be satisfied with good things? As it is also said in another psalm: “I shall be satisfied when Your glory shall be revealed.” For petition has to do with some kind of want, which can have no place there where such abundance shall reign.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7-2: 바로 위에 발췌된 바를 들여다보면,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는 자신의 해설의 본문 중에서, 종말론적으로, 1요한 3,2시편 17(16),15와 관련이 있음을 독자들에게 구체적으로 지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8. 다음은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시편 17.15에 대한 해설을 발췌한 것인데, 여기서 시편 17,15 본문은, 칠십인역 그리스어 시편 17,15를 따르고 있는, 대중 라틴말 성경, 시편 17,15임이 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jr.htm#gd 

출처: http://www.newadvent.org/fathers/1801017.htm 

(발췌 시작)

14. "But I shall appear in Thy righteousness in Thy sight" (verse 15 ). But I, Who have not appeared to them that, with their filthy and darkened heart, cannot see the light of wisdom, "I shall appear in Thy righteousness in Thy sight." I shall be satiated, when Thy glory shall be manifested." And when they have been satiated with their uncleanness, that they could not know Me, I shall be satiated, when Thy glory shall be manifested, in them that know Me. In that verse indeed where it is said, "filled with swine's flesh," some copies have, "filled with children:" for from the ambiguity of the Greek(6) a double interpretation has resulted. Now by "children" we understand works; and as by good children, good works, so by evil, evil.

(이상, 발췌 끝)

 

2-9.

2-9-1.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시편 17.15에 대한 해설을 발췌한 것인데, 여기서 시편 17,15 본문은, 칠십인역 그리스어 시편 17,15를 따르고 있는, 대중 라틴말 성경, 시편 17,15임이 분명하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s://dhspriory.org/thomas/PsalmsAquinas/ThoPs16H17.htm 

(발췌 시작)

And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shall appear, that is, when I see you, I will be filled with every good; Psalm 102: "Who satisfieth thy desire with good things", namely your glory in which are all good things. The others are filled with swine's flesh according to the Septuagint.

(이상, 발췌 끝)

 

2-9-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ae), Ia, IIae, q69, a2 전문을 읽을 수 있는데, 특히 Objection 3와 이에 대한 딥변인 Reply to Objection3에서, 시편 17(16),15종말론적인 완미한(perfect) 참행목(beatitude, 지복)의 성경 근거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13.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Article 2. Whether the rewards assigned to the beatitudes refer to this life?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the rewards assigned to the beatitudes do not refer to this life. Because some are said to be happy because they hope for a reward, as stated above (Article 1). Now the object of hope is future happiness. Therefore these rewards refer to the life to come.


Objection 2. Further, certain punishments are set down in opposition to the beatitudes, Luke 6:25, where we read: "Woe to you that are filled; for you shall hunger. Woe to you that now laugh, for you shall mourn and weep." Now these punishments do not refer to this life, because frequently men are not punished in this life, according to Job 21:13: "They spend their days in wealth." Therefore neither do the rewards of the beatitudes refer to this life.


Objection 3. Further, the kingdom of heaven which is set down as the reward of poverty is the happiness of heaven, as Augustine says (De Civ. Dei xix) [Cf. De Serm. Dom. in Monte i, 1. Again, abundant fullness is not to be had save in the life to come, according to Psalm 16:15: "I shall be filled [Douay: 'satisfied'] when Thy glory shall appear." Again, it is only in the future life that we shall see God, and that our Divine sonship will be made manifest, according to 1 John 3:2: "We are now the sons of God; and it hath not yet appeared what we shall be. We know that, when He shall appear, we shall be like to Him, because we shall see Him as He is." Therefore these rewards refer to the future life.


On the contrary, Augustine says (De Serm. Dom. in Monte i, 4): "These promises can be fulfilled in this life, as we believe them to have been fulfilled in the apostles. For no words can express that complete change into the likeness even of an angel, which is promised to us after this life."


I answer that, Expounders of Holy Writ are not agreed in speaking of these rewards. For some, with Ambrose (Super Luc. v), hold that all these rewards refer to the life to come; while Augustine (De Serm. Dom. in Monte i, 4) holds them to refer to the present life; and Chrysostom in his homilies (In Matth. xv) says that some refer to the future, and some to the present life.


In order to make the matter clear we must take note that hope of future happiness may be in us for two reasons. First, by reason of our having a preparation for, or a disposition to future happiness; and this is by way of merit; secondly, by a kind of imperfect inchoation of future happiness in holy men, even in this life. For it is one thing to hope that the tree will bear fruit, when the leaves begin to appear, and another, when we see the first signs of the fruit.


Accordingly, those things which are set down as merits in the beatitudes, are a kind of preparation for, or disposition to happiness, either perfect or inchoate: while those that are assigned as rewards, may be either perfect happiness, so as to refer to the future life, or some beginning of happiness, such as is found in those who have attained perfection, in which case they refer to the present life. Because when a man begins to make progress in the acts of the virtues and gifts, it is to be hoped that he will arrive at perfection, both as a wayfarer, and as a citizen of the heavenly kingdom.


Reply to Objection 1. Hope regards future happiness as the last end: yet it may also regard the assistance of grace as that which leads to that end, according to Psalm 27:7: "In Him hath my heart hoped, and I have been helped."


Reply to Objection 2. Although sometimes the wicked do not undergo temporal punishment in this life, yet they suffer spiritual punishment. Hence Augustine says (Confess. i): "Thou hast decreed, and it is so, Lord--that the disordered mind should be its own punishment." The Philosopher, too, says of the wicked (Ethic. ix, 4) that "their soul is divided against itself . . . one part pulls this way, another that"; and afterwards he concludes, saying: "If wickedness makes a man so miserable, he should strain every nerve to avoid vice." In like manner, although, on the other hand, the good sometimes do not receive material rewards in this life, yet they never lack spiritual rewards, even in this life, according to Matthew 19:29, and Mark 10:30: "Ye shall receive a hundred times as much" even "in this time."


Reply to Objection 3. All these rewards will be fully consummated in the life to come: but meanwhile they are, in a manner, begun, even in this life. Because the "kingdom of heaven," as Augustine says (De Civ. Dei xiv; Cf. De Serm. Dom. in Monte, i, 1), can denote the beginning of perfect wisdom, in so far as "the spirit" begins to reign in men. The "possession" of the land denotes the well-ordered affections of the soul that rests, by its desire, on the solid foundation of the eternal inheritance, signified by "the land." They are "comforted" in this life, by receiving the Holy Ghost, Who is called the "Paraclete," i.e. the Comforter. They "have their fill," even in this life, of that food of which Our Lord said (John 4:34): "My meat is to do the will of Him that sent Me." Again, in this life, men "obtain" God's "Mercy." Again, the eye being cleansed by the gift of understanding, we can, so to speak, "see God." Likewise, in this life, those who are the "peacemakers" of their own movements, approach to likeness to God, and are called "the children of God." Nevertheless these things will be more perfectly fulfilled in heaven.

(이상, 발췌 끝)

 

2-10. 다음은,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on DRB(Douay-Rheims Bible) 에서 발췌한 시편 17,14-15 본문과 이 본문에 대한 주석 전문입니다: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170824081733/http://haydock1859.tripod.com/id741.html 

(발췌 시작)

14 from the enemies of thy hand. O Lord, divide them from the few of the earth in their life: their belly is filled from thy hidden stores. They are full of children: and they have left to their little ones the rest of their substance.

 

15 But as for me, I will appear before thy sight in justice: I shall be satisfied when thy glory shall appear [졸번역: 당신의 영광이 나타날 때에, 저는 만족하게 되리이다].

 

Ver. 14. Divide them from the few, &c. That is, cut them off from the earth, and the few trifling things thereof; which they are so proud of, or, divide them from the few; that is, from thy elect, who are but few; that they may no longer have it in their power to oppress them. It is not meant by way of a curse or imprecation; but, as many other similar passages in the psalms, by way of a prediction, or prophecy of what should come upon them, in punishment of their wickedness. --- Thy hidden stores: thy secret treasures, out of which thou furnishest those earthly goods, which with a bountiful hand thou hast distributed both to the good and the bad. (Challoner) --- Of children. Hebrew, "their children are satiated." (Houbigant) (Berthier) --- Some copies read ueion, (Roman Septuagint) instead of uion. "They have been filled with hogs' flesh." The mistake was easy in Greek. (Calmet) St. Jerome agrees with the Vulgate. (Haydock) --- A numerous family was the great desire of the Jews. David is willing to forego every temporal advantage, and only prays that he may live in his own country, and attend the divine worship in the tabernacle. This was the glory of Israel, ver. 15., and 1 Kings iv. 21. (Calmet) --- He predicts the final separation of the wicked from the elect, which sometimes begins in this life. Their worldly joys are hidden or disapproved by God. (Worthington) --- They feed on the poor servants of our Lord, (Haydock) whose life is hidden. (Menochius)


Ver. 15. Appear. St. Jerome, "I shall be filled, when I shall awake in thy likeness,[졸번역: 제가 [당신의 영광(glory)을 받아 변모되어(be transfigured)] 당신의 비슷함으로 깨어날 때에, 저는 채워지게/만족하게 되리이다]" (Haydock) at the resurrection[졸번역: 부활 시점에]: (Philippians iii. 21., and 1 Corinthians xiii. 12.) or "when thy likeness, the Messias, shall rise again:" or (as the same expression is used by the Septuagint, as [in] Numbers xii. 8.) David begs for actual inspiration, "thou wilt comfort my with the prophetic spirit." (Calmet) --- Perhaps he might also desire to see the tabernacle again, or even now prepare to erect a temple unto the Lord; (2 Kings vii. 2.; Haydock) or he begs for the gifts of grace and glory, which will restore the image of God, effaced by sin, 1 John iii. 2. (Berthier) --- Then the just being approved, will taste that joy which alone can satiate the heart of man, when he shall behold God. (Worthington)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10: (1) 전후 문맥 안에서 볼 때에, 제15절에서 사용된 두 번째 "appear" 라는 단어가 사용된 문장의 의미가, 교황 다마소 1세(Damasus, 305-384년)의 명에 의하여, 예수님께서 탄생하신 동굴의 옆 동굴에 상당한 ㅣ간에 걸쳐 거주하면서, 당시의 히브리어 구약 성경을, 로마 제국의 공식 언어인, 라틴어로 번역한 당사자인,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420년)가, "I shall be filled, when I shall awake in thy likeness,[졸번역: 제가 [당신의 영광(glory)을 받아 변모되어(be transfigured)] 당신의 비슷함으로 깨어날 때에, 저는 채워지게/만족하게 되리이다]" 라는 주석을 남겼다고 Haydock 신부(1774-1849년)가 지적하고 있음에, 주목하라.

 

여기서, [당신의 영광(glory)을 받아 변모되어(be transfigured)]은, 시편 17,15의 전후 문맥 안에서, 게시자 주 2-7-2게시자 주 2-9-2 , 그리고 또한, 위의 제1-3항에 발췌된 (i) 성 비오 5세 교리서, 즉, 트리엔트 교리서의 가르침과 그리고 (ii) 이 설명에 근거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에 따라/근거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추가한 것이다.

 

(2) 그리고 제15절1요한 3,2와 관련이 있음을 주석자 Berthier이 지적하고 있음에 또한 반드시 주목하라. 그리고 이 지적에 따라, 위의 제1-2항제1-3항에 발췌된 바를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들여다보게 되었고, 추가적인 내용 보강과 함께, 또한 전달해 드리게 된 것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1-10 끝)

 

3. 위의 제1항과 제2항에서 고찰한 바들의 결과들

 

3-1. (이 글의 결론 1) 위의 제2-3항, 제2-4항, 제2-5항, 제2-6항, 제2-7항, 제2-8항, 제2-9항, 그리고 제2-10항에서 고찰한 바에 의하여, 가톨릭 교회의 공식적인 라틴어본 성경(즉, 대중 라틴말 성경, Vulgate), 시편 17,15는, 1979년에 새 대중 라틴말 성경(Nova Vulgata)이 출판될 때까지의 오랜 기간에 걸쳐, 칠십인역 그리스어본 구약 성경, 시편 17,15를 수용하였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3-2. (이 글의 결론 2) 위의 게시자 주 1-1, 제1-2항, 제1-3항, 제2-7-1항, 게시자 주 2-7-2, 그리고 제2-10항에서 고찰한 바에 의하여, 특히, 게시자 주 2-7-2 및 게시자 주 2-10에 의하여, 시편 17,15육신의 부활(the resurrection of the body)에 대한 구약 성경 시편 중의 성경 근거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3-3. (이 글의 결론 3) 1611년에 영국 성공회 개신교회 측에서 영어본 King James Version (1611 KJV)이 처음으로/최초로 출판 될 때에, 위의 게시자 주 1-1, 제1-2항, 제1-3항, 제2-7-1항, 그리고 제2-10항에 빌췌된 바를, 특히, 게시자 주 2-10에 발췌되 바에서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420년)의 지적을, 수용하여, 시편 17,15가 다음과 같이 번역되었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출처: https://biblehub.com/psalms/17-15.htm 

(발췌 시작) 

King James Bible
As for me, I will behold thy face in righteousness: I shall be satisfied, when I awake, with thy likeness. [졸번역: 제가 깨어날 때, 저는 당신의 비슷함에, 만족하게 되리이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3-3: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와 1611년에 초간된 영어본 King James Version (1611 KJV)을 현대 영어 어법에 맞게 편집한, RSV (Revised Standard Version)에서 시편 17,15는, 바로 위에 발췌된 문장과 다르게, 다음과 같이 수정되었다:

 

출처: https://quod.lib.umich.edu/cgi/r/rsv/rsv-idx?type=DIV1&byte=2154323 

(발췌 시작)

[15] As for me, I shall behold thy face in righteousness;  when I awake, I shall be satisfied with beholding thy form. [졸번역: 제가 깨어날 때에, 저는 당신의 형상을 바라봄에 만족하리이다.](#)

 

-----

(#) 번역자 주: 그런데, "당신의 형상을 바라봄"이 칠십인역 그리스어본 구약 성경대중 라틴말 성경(Clementine Vuagate) 의 시편 17,15의 대응하는 표현 "당신의 영광이 나타날 때"와 대동소이함에 주목하라.

-----

(이상, 발췌 끝)

 

3-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신성적 영광(the divine glory)으로서의 하느님의 영광(the glory of God)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44.htm <----- 필독 권고

[제목: 영광 - 용어 정의(definition) 외; 2011-04-28]

(발췌 시작)

2-3.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809항에서 가르치고 있는 "영광(glory)"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CCC 2809 The holiness of God is the inaccessible center of his eternal mystery.
What is revealed of it in creation and history, Scripture calls "glory," the radiance of his majesty. In making man in his image and likeness, God "crowned him with glory and honor," but by sinning, man fell "short of the glory of God." From that time on, God was to manifest his holiness by revealing and giving his name, in order to restore man to the image of his Creator.

(졸번역)
CCC 2809 하느님의 거룩함[holiness, 성성(sanctity, 聖性)]은, 접근, 도달 할 수 없는, 당신의 영원한 신비의 중심에 있다. 창조와 역사에 있어 당신의 거룩함으로부터 드러내어지는 바를, 성경은 "영광(glory)", 즉 당신 엄위의 광채 라고 부른다. 당신의 모습 및 비슷함으로(창세 1,26) 사람을 만드심에 있어, 하느님께서는 "그에게 영광과 명예의 관을 씌우셨다." 그러나 죄를 지음으로써, 사람은 "이 하느님의 영광(the glory of God, gloria Dei)에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바로 그 시기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창조주이신 당신의 모습으로(콜로 3,10) 사람을 회복하게 하고자,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이름을 드러내시고 제시하심으로써 당신의 거룩함을 나타내기로 하셨다.

(이상, 발췌 끝)

 

따라서, 우리는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4) "하느님의 영광이 나타남"[대중 라틴말 성경, Vulgate), 시편 17,15]과 "하느님의 현존/나타남을 봄"[새 대중 라틴말 성경, Nova Vulgata) 시편 17,15]은, 논리적으로 등가임(logically equivalent)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왜냐하면 신성적 영광(the divine glory)으로서의 하느님의 영광(the glory of God)은, 그 정의에 의하여(by it's definition), 하느님의 거룩함으로부터 발산(發散)되는 당신 엄위의 광채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3-5. 지금까지 본글에서 고찰한 바로부터,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5) 1969년에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례력이 대폭 보강될 때에,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의하여,

 

(i) 2마카베오 제7장의 유관 부분들은 육신의 부활(the resurrection of the body)의 구약 성경 근거로서 채택되어 다해 연중 제32주일 제1독서(2마카베오 7,1-2.9-14)홀수해 연중 제33주간 수요일 제1독서(2마카베오 7,1.20-31)로 선정되었고(게시자 주 1-1 참조),

 

(ii) 구약 성경, 시편에 수록된 총 150개의 시편들 중에서, 시편 제17장의 유관 부분들인 시편 17,1.5-6.8.15이, 이들 제1독서들에 뒤따르는 화답송의 가사로서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적으로 가장 부합하다고 판단되어, 선택되었으며(게시자 주 2-7-2 및 게시자 주 2-10 참조), 그리고/특히,

 

(iii) 성 예로니모(St. Jerome, 347-420년)의 지적에 따라(제2-7-1항제2-10항 참조), 시편 17,15가, 예를 들어, 위의 제2-9-2항에 발췌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신학 대전, Ia, IIae, q96, a2에서처럼 종말론적 관점에서, 1요한 3,2(제1-3항 참조)와 위의 게시자 주 2-10에 발췌된 시편 17,15각주에 제시된 바와 동일하게 이해됨이 수용되었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

하느님의 영광이 발(發)하는(proceeds) 바로 그 장소 및 시간

하느님께서 현존(現存)하시고

그리고 역으로(conversely)

하느님께서 현존(現存)하시는 바로 그 장소 및 시간

하느님의 영광이 발(發)한다(proceeds).

-----

 

하느님의 은총(grace)자신들의 심장들 안에 받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하느님의 영광을 자신들의 심장(hearts)들 안에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 영혼(soul) 육신(body)거룩하게 되는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그러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 육신(body)이 장차 부활하면서 하느님의 영광을 받을 자들이 있을 수 있다.

즉, 그 육신이 장차 부활하면서 거룩하게 변모될 자들이 있을 수 있다.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30시간

 



83 2

추천

Sun_T_SOH,영광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