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창세기 37장 28절 NAB 성경과 한글 성경 대조 [성경공부_네 개의 전승들] [성경공부_문헌가설]

인쇄

[218.236.113.*]

2008-01-01 ㅣ No.783

 
 
+ 찬미 예수

(히브리어 text를 직역 번역한 듯한) 우리말 새 번역 성경의 창세기 제37장 제27절과 함께 제28절을 읽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1. 그들은 = 요셉의 형제들은,

2. 이들이 = 미디안 자손들이 and/or(그리고/혹은) 이스마엘 자손들이
 
 
이제, 제3항 혹은 제3'항으로 이동하십시요.
 

3. 창세기 다른 구절들을 읽어 보면, 이스마엘인들은 미디안 상인(traders)들을 무리 중에 포함하는, 요셉에 대한 실질적 소유권을 돈을 주고 산, 대상(a caravan)입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창세기 37,25.36 및 39,1 입니다.
 
제3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마련한 제4항으로 이동하십시요.
 
 
3'. 단, 제 3항의 이해는 성경 본문에만 의존한 해석으로, 만약에, 창세기의 내용의 이해에 있어 나름대로 설득력이 있는 그래서 NAB 성경 주석자들이 채택한, 모세 오경의 성립과정과 관련된 소위 말하는 야훼계전승, 엘로힘계 전승, 사제계 전승, 그리고 신명기적 요소 존재를 NAB 성경의 본문을 근거로 하여 해석을 하면 다음과 같은 위의 제3항과 완전히 다른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 NAB 성경 창세기 37,28의 문장들의 배열은 다른 성경들 창세기 37,28의 문장배열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야훼계 전승 목록: 37,1-20; 25-28ㄱ; 39;
 
37,25 (야훼계 전승) They then sat down to their meal. Looking up, they saw a caravan of Ishmaelites coming from Gilead, their camels laden with gum, balm and resin to be taken down to Egypt. (그들이 앉아 빵을 먹다가 눈을 들어 보니, 길앗에서 오는 이스마엘인들의 대상이 보였다. 그들은 여러 낙타에 향고무와 유향과 반일향을 싣고, 이집트로 내려가는 길이었다.)
 
37,26 (야훼계 전승) Judah said to his brothers: "What is to be gained by killing our brother and concealing his blood? (그때 유다가 형제들에게 말하였다. “우리가 동생을 죽이고 그 아이의 피를 덮는다고 해서, 우리에게 무슨 이득이 있겠느냐?)
 
37,27 (야훼계 전승)  Rather, let us sell him to these Ishmaelites, instead of doing away with him ourselves. After all, he is our brother, our own flesh." His brothers agreed. (자, 그 아이를 이스마엘인들에게 팔아 버리고, 우리는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 말자. 그래도 그 아이는 우리 아우고 우리 살붙이가 아니냐?” 그러자 형제들은 그의 말을 듣기로 하였다.)
 
NAB 37,28ㄱ(야훼계 전승) They sold Joseph to the Ishmaelites for twenty pieces of silver. (그들은 요셉을 이스마엘인들에게 은전 스무 닢에 팔아넘겼다.)
 
39,1 (야훼계 전승) When Joseph was taken down to Egypt, a certain Egyptian (Potiphar, a courtier of Pharaoh and his chief steward) bought him from the Ishmaelites who had brought him there. (요셉은 이집트로 끌려 내려갔다. 파라오의 내신으로 경호대장인 이집트 사람 포티파르가 요셉을 그곳으로 끌고 내려온 이스마엘인들에게서 그를 샀다.)
 
 
엘로힘계 전승 목록: 37,21-24; NAB 37,28ㄴ-36; 40,1-23
 
 
37,21 (엘로힘계 전승) When Reuben heard this, he tried to save him from their hands, saying: "We must not take his life. (그러나 르우벤은 이 말을 듣고 그들의 손에서 요셉을 살려 낼 속셈으로, “목숨만은 해치지 말자.” 하고 말하였다.)
 
37,22 (엘로힘계 전승) Instead of shedding blood," he continued, "just throw him into that cistern there in the desert; but don't kill him outright." His purpose was to rescue him from their hands and restore him to his father. (르우벤이 그들에게 다시 말하였다. “피만은 흘리지 마라. 그 아이를 여기 광야에 있는 이 구덩이에 던져 버리고,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는 마라.” 르우벤은 그들의 손에서 요셉을 살려 내어 아버지에게 되돌려 보낼 생각이었다.)
 
37,23 (엘로힘계 전승) So when Joseph came up to them, they stripped him of the long tunic he had on; (이윽고 요셉이 형들에게 다다르자, 그들은 그의 저고리, 곧 그가 입고 있던 긴 저고리를 벗기고,)
 
37,24 (엘로힘계 전승) then they took him and threw him into the cistern, which was empty and dry. (그를 잡아 구덩이에 던졌다. 그것은 물이 없는 빈 구덩이였다.)
 
NAB 37,28ㄴ (엘로힘계 전승) Some Midianite traders passed by, and they pulled Joseph up out of the cistern and took him to Egypt. (그때에 미디안 상인들이 지나갔는데, 이들은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내어 그를 이집트로 데리고 갔다.)
 
37,36 (엘로힘계 전승) 한편 미디안인들은 이집트로 가서 파라오의 내신으로 경호대장인 포티파르에게 그를 팔아넘겼다.
 
40,2 (엘로힘계 전승) Pharaoh was angry with his two courtiers, the chief cupbearer and the chief baker, (파라오는 자기의 이 두 대신 곧 헌작 시종장과 제빵 시종장에게 진노하여,)
 
40,3 (엘로힘계 전승) and he put them in custody in the house of the chief steward (the same jail where Joseph was confined). (그들을 경호대장 집에 있는 감옥에 가두었는데, 그곳은 요셉이 갇혀 있는 곳이었다.)
 
40,15 (엘로임계 전승) The truth is that I was kidnaped from the land of the Hebrews, and here I have not done anything for which I should have been put into a dungeon." (사실 저는 히브리인들의 땅에서 붙들려 왔습니다. 그리고 여기서도 저는 이런 구덩이에 들어올 일은 아무것도 한 적이 없습니다.”)
 
 
따라서, 야훼계 전승 혹은 엘로힘계 전승을 따로 따로 따르면, 요셉이 팔리는 과정이 두개인 셈입니다. 여기서, 39,1에 대한 NAB 주석의 첫 부분이 흥미롭습니다:
 
39,1 문장 중 [1] (Potiphar, a courtier of Pharaoh and his chief steward) 단어들에 대한 주석: These words in the text serve to harmonize Genesis 39 from the Yahwist source with Genesis 37;36; 40:1-23 from the Elohist.
(39,1 문장 중 "파라오의 대신으로 경호대장" 단어들에 대한 주석:
이 단어들 야훼계 전승 기록에서 발췌한 39장와 엘로힘계 전승 기록에서 택한 창세기 37,36; 40,1-23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참고: 저의 졸역임))  
 
문제점 한개: 이러한 일치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는 것 자체가, 주석자가 속한 학문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자의적 해석일 수 있음. 그리고 제가 확인한 바로는, NAB 성경은, (가톨릭 성경 및 개신교 성경들 중에서) 이 주석을 채택하고 있는 유일한 성경입니다.
 
이제 남은 것으로서, 야훼계 전승, 엘로힘계 전승이 도대체 무엇이기에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겠는데, 이글의 제일 아랫 부분에 있는 참고: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미리 말씀드리지만, 이놈의 네개의 전승들의 형성 과정만을 이해하는 것부터가 대단히 헷갈릴 것입니다.
 
이로써 제 3'항 설명은 끝났으니, 아래의 요약으로 이동하시기 바랍니다.
 
 
4. (제3항에서 계속) 그리고 미디안 자손(Midianite)들과 이스마엘 자손(Ishmaelites)들은 모두 아브라함(Abraham)의 아들(sons)들인 미디안(Midian)과 이스마엘(Ishmael)의 자손들이라고 합니다. (창세기 16,15; 25,2; 25,12 및 1역대기 1,28.32)
 
즉, 이스마엘의 어머니는 [아브라함이 아직은 아브람(Abram)일 때의 아내 사라이(Sarai)의 몸종인] 하가르(Hagar)이고, 미디안의 어머니는 [아브람이 아브라함으로 불린 후에 사라이는 사라(Sarah)로 불렸는데(창세기 17,15), 사라가 죽고 난 후에 아브라함의 두 번째 부인(concubine)이 된] 크투라(Keturah)라고 하며 크투라는 창세기 제25장 및 1역대기 제1장에서만 언급되고 있습니다. 사라는 아브라함의 적자인 이사악(Isaac)의 어머니입니다. 
 
그런데 1역대기 1,28에서 아브라함이 이사악과 이스마엘 두 아들을 가졌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두 번째 부인인 크투라의 아들인 미디안은 아브라함의 후손들 간의 가족 관계에서 아브라함의 아들 취급도 받지 못하였던 것이 분명하므로, 이스마엘보다 지위가 더 낮은 듯 합니다.
 
따라서 미디안의 자손들은 이스마엘의 자손들보다 후손들 간의 가족관계에서 지위가 더 낮은 듯 합니다.
 
이런 정황들에 비추어 볼 때에, 창세기 37,28에서 (이스마엘 자손들이 아닌 혹은 이스마엘 자손들 대신에) 미디안 자손들이 요셉을 구덩이에서 꺼집어내는 수고, 즉 손과 신발에 흙을 묻히는 수고를 한 것과 또 이들이 상인(traders)들로 불리고 이스마엘의 자손들이 대상(a caravan)으로 불린 것에는, 지금 말씀드린 가족 관계상의 지위 또한 반영이 된 듯 합니다.
 
------------------
 
창세기
 
...
 
37,20 자, 이제 저 녀것을 죽여서 아무 구덩이에나 던져넣고, 사나운 짐승이 잡아먹었다고 이야기하자. 그리고 저 녀석의 꿈이 어떻게 되나 보자.
 
...
 
37,27 자, 그 아이를 이스마엘인들에게 팔아 버리고, 우리는 그 아이에게 손을 대지 말자. 그래도 그 아이는 우리 아우고 우리 살붙이가 아니냐?” 그러자 형제들은 그의 말을 듣기로 하였다. 
 
37,28 그때에 미디안 상인들이 지나가다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내었다. 그들은 요셉을 이스마엘인들에게 은전 스무 닢에 팔아넘겼다. 이들이 요셉을 이집트로 데리고 갔다.
 
(참고: 여기 37,28의 문장들의 배열은 히브리어 text와 일치하는 듯 하며, NAB를 제외한, 제가 확인한 모든 성경에서 이런 배열로 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불가타 라틴어 성경도 이런 배열입니다.)
 
...
 
37,36 한편 미디안인들은 이집트로 가서 파라오의 내신으로 경호대장인 포티파르에게 그를 팔아넘겼다. 
 
...
 
39,1 요셉은 이집트로 끌려 내려갔다. 파라오의 내신으로 경호대장인 이집트 사람 포티파르가 요셉을 그곳으로 끌고 내려온 이스마엘인들에게서 그를 샀다.
 
...  
 
------------------
 
그러므로 창세기 37,28에 대한 우리말 새번역 성경에 실린 직역 번역은 아주 잘 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사용된 "이들", "그들" 이라는 인칭 대명사들이 우리를 헷갈리게 하는 점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NAB 성경에 실린 해당 절의 주석에서도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습니다만, NAB 성경에서의 해당 구절 번역도 문제가 전혀 없는 듯 합니다.
 
다음은 NAB 성경의 Genesis 37:28에 붙은 주석입니다:
 
2 [28] They sold Joseph . . . silver: in the Hebrew text, these words occur between out of the cistern and (they) took him to Egypt at the end of the verse.

이 주석에 대한 저의 졸 번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히브리어 text에서는, 이들 단어들, 즉 제28절의 첫 문장이 out of the cistern 과 이 절의 끝에 있는 (they) took him to Egypt 사이에 있다.
 
 
요약
 
이상 드린 말씀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요셉을 판 사람들은 요셉의 형제들이고,
 
(2) 요셉의 형제들에게 돈을 지불함으로써 요셉에 대한 실질적 소유권을 가진 사람들은 대상(a caravan)인 이스마엘인들입니다.
 
(3) 그리고 창세기 37,36 및 39,1 내용에 비추어 볼 때에, 미디안 상인(traders)들은, 적어도 이집트로 요셉을 데리고 가 또 팔아 넘길 때 까지는, 대상인 이스마엘인들에 속했던 것 같습니다.
 
혹은
 
(3') 야훼계 전승 혹은 엘로힘계 전승에 따라, 요셉이 이집트로 팔려간 이야기에 대하여, 두 개의 다른 이야기가 창세기 중에 한꺼번에 뒤섞여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는 듯 합니다.
 
참고: 성요셉출판사 발행 주성성서 구약(상) 창세기 37,28 본문이 NAB 영어성경 본문과 다르므로, 창세기 37,28에 대한 우리말 주석을, 문장의 순서가 바뀐 점을 고려하여, 수정하여야 합니다.
 
 
 
남은 성탄시기 잘 보내시기 바라면서 이만 줄입니다.
 
.
.
.
.
.
.
.
.
.
.
 
---------------------------------
 
게시자 주:
 
지금부터의 내용은 굳이 읽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아래의 모세오경 입문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오히려 독자들을 더 헷갈리게 하니까요.. (단지, 더 관심이 있으신 분들을 위하여 작성하여 올려 드리는 글입니다.)
 
 
사실 모세오경에는 아훼계 전승과 엘로힘계 전승, 사제계 전승, 그리고 신명기적 요소 등이 뒤섞여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위에서 해당 구절과 관련하여 이런 것을 고려하여 말씀 드리면, 다들 더 헷갈려 하실 것 같아 전혀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참고: 야훼계 전승과 엘로임계 전승이 섞여있다는 NAB 성경의 창세기 37,21-36에 대한 영문 주석은 성요셉출판사가 출판한 "주석성서 구약(상)" 제126쪽에 주석으로 잘 번역이 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주석을 아래에 발췌하였습니다:
 
37,21-36 이 장에서 20절까지는 야훼계 전승에서 발췌된 것이며, 25-28절 전반부도 역시 마찬가지다. 그러나 21-24절과 28절 후반부-36절은 엘로힘계 전승에서 발췌된 부분이다. 후자에서는 르우벤이 요셉을 구해주려고 하지만, 그가 함께 있지 않을 때, 요셉이 몇 몇 미디안 상인들에게 구원을 받는다. 야훼계 전승에서는 유다가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요셉을 팔아 넘김으로써 그의 생명을 구해 준다. 일찍부터 구전(口傳)으로 전해 온 이 두가지 형태의 이야기들이 이와같은 사소한 점에서 서로 다르다 하더라도, 요셉이 형제들의 질투심 때문에 노예가 되어 이집트로 끌려갔다는  본질적인 사실에 있어서는 서로 일치하고 있다.
 
위 주석 또한 NAB 성경의 주석을 번역한 것임:
 
1 [21-36] The chapter thus far is from the Yahwist source, as are also Genesis 37:25-28a. But Genesis 37:21-24 and Genesis 37:28b-36 are from the Elohist source. In the latter, Reuben tries to rescue Joseph, who is taken in Reuben's absence by certain Midianites; in the Yahwist source, it is Judah who saves Joseph's life by having him sold to certain Ishmaelites. Although the two variant forms in which the story was handed down in early oral tradition differ in these minor points, they agree on the essential fact that Joseph was brought as a slave into Egypt because of the jealousy of his brothers.
 
---------------------------------
 
 
성요셉출판사 발행 주석성서 구약(상) "모세오경" 입문에서 발췌:

... 각 전승은 이 토라에 각기 독특한 성격과 신학적 견해를 제공해 줌으로써, 섬세한 독자는 해석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 그러나 모세 오경에 대한 이와 같은 분석도 그것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것은 여러가지 전승을 확실하게 구분하는 것이 언제나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
 
위 입문 또한 NAB 성경의 The Pentateuch 입문의 번역:

... Each brings to the Torah its own characteristics, its own theological viewpoint - a rich variety of interpretation that the sensitive reader will take pains to appreciate. ... However, even this analysis of the Pentateuch is an over-simplification, for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distinguish with certainty among the various sources. ...
 
 
그런데 위의 번역을 자세히 들여다 보니, "is an over-simplification"를 "지나친 단순화이다"로 번역하는 대신에, "그것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로 번역하였군요.
 
 
 
위의 "모세 오경" 입문에서 언급하고 있는 여러가지 전승들에 대하여 제가 처음으로 (관심을 가지고) 읽은 것이 2000년 대희년이었던가? 하여튼 한참 되었습니다. 
 
사실 "모세 오경"은 경전으로 이미 오래 전에 완성되었기에, 경전으로 자리 잡는 과정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모르더라도 성경 공부는 잘 할 수 있으며, 또 지금까지 경험한 바에 의하면그러한 여러 전승들이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성경 공부에 별로 도움을 주지 않았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도움은 커녕 오히려 더 헷갈리게 하더군요. 위의 입문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더구나, 1970년 이후로 이미 널리 제공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용 영문 NAB 구약 성경의 경우에 있어, 모세 오경 중 오직 창세기에서만 3개의 전승들에 근거한 (즉, 역사적 이유 때문에 당연한 이야기 이지만, 신명기계 전승(Deuteronomist source)에 근거한 주석은 전혀 없음) 주석들이 (창세기 총 50개의 장(Chapter)들 중에서, 중복을 허용하여, 총 16(야훼계 전승) + 11(엘로힘계 전승) + 7(사제계 전승) = 34개의 장에서) 제공되고 있는데, 이것은
 
(1) 이렇게 NAB 구약 성경의 경우에 있어, 창세기에서만 이들 전승들에 근거한 주석이 이미 잘 주어지고 있으므로, "모세 오경이 형성되는 과정에 관한 이야기"는 굳이 알 필요가 없을뿐만이 아니라,
 
(2) 더 나아가, 구약 성경뿐만이 아니라 성경 전체를 공부하는 데 있어, 이런 전승들의 비중이 그리 크지 않음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음의 참고 1참고 2를 필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참고 1: NAB 창세기 주석들 중에서 이들 전승들이 동시에 언급되도 있는 구절들 모음.
 
Yahwist + Elohist = Genesis 4,25-26; 20,1-18; 26,6-11; 26,12-33; 29,32; 31,8-12; 31,43-54; 37,21-35; 39,1; 42,27-28; 43,1-34; 45,9-15 (총 12 군데)
 
Yahwist + Priestly = Genesis 6,5-8,22; 8,6; 10,1-32 (총 3군데)
 
Elohist + Priestly = 없음.
 
Yahwist + Eloisht + Priestly = Genesis 21,9-19 (총 1군데)
 
 
참고 2: 창세기를 제외한 NAB 성경의 나머지 부분에서 , 중복을 허락하여, 이들 전승들이 주석 중에 언급되고 있는 책과 장,절들 모음.
 
Yahwist = 없음.
 
Elohist = 없음.
 
Priestly = 1Chronicles 18,6 (총 1군데)
 
 
 
여기까지 말씀드려도 여전히 혹시 궁금해 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아, 다음의 참고를 마련하였습니다.
 
--------------------------------
 
참고: 모세 오경(Pentateuch), 즉 토라(Torah)는 오래 전부터 유다인들 사이에서 구전으로 내려오던 것들이 기록된 것인데, 구전들 혹은 단편적으로 기록되어 전해오던 것들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과정과 시기는 대충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지금 아래에 드리는 말씀은, 오래 전부터 제가 이미 알고 있던 것을 우선 대부분 기억에 의존하여 그 골격을 써 내려 갑니다. 따라서, 나중에 시간이 있을 때에 관련 자료들을 보충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일부 내용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확인을 하였음). 당연한 이야기입니디만, 부족하거나 틀린 부분은 발견 즉시 추가적으로 보완과 수정을 할 것입니다.
 
1. 다윗 왕은, 예외적으로, 대사제를 두 명 두었다 [차독(Zadok), 에브야타르(Abiathar), 예를 들어, 2사무엘 8,17; 20,25; 2사무엘 15,24-29; 1열왕 4,4; 1역대 15,11; 27,33-34 등을 참조하라]..
 
차독(Zadok), 에브야타르(Abiathar), 이렇게 두 명의 대사제들을 임명하였는데, 이것은 그 당시까지의 여러 부족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왕국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듯하였으며, 이 또한 왕권의 강화를 위한 조치로 보이나, 그러나 이것이 나중에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과 남쪽의 유다 왕국으로 갈라지는 씨앗이 된다 [1열왕 1,28-53; 2,26-27.35을 참조하라].
 
[내용 추가일자: 2011년 1월 15일]
 
위의 제1항과 같은 일이 발생하게 된 당시의 역사적 배경에 대하여서는,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다해-II"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에서 발췌한 그리스도 왕 대축일 전례 성경들에 대한 해설] 중의 제1독서(2사무엘 5,1-3) 해설 그리고 특히 이 해설의 각주 제453번를 꼭 읽도록 하라.
 
[이상, 내용 추가 끝].
 
2. 그 결과 다윗 왕의 말년에 즈음하여, 다윗 왕의 큰 아들과 휘하 장군의 부인인 밧-세바를 훔쳐 그녀와의 사이에 두 번째로 낳은 아들인 솔로몬과의 왕위 계승권 싸움이 발생하였고, 대사제 차독(Zadok)과 예언자 나탄(Nathan)의 도움으로 솔로몬이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
 
3. 이에 불만을 품은 다윗 왕의 큰 아들의 편을 든 대사제 에브야타르(Abiathar)의 추종자들은 결국에, 솔로몬 왕이 죽은 후에,  북쪽의 이스라엘 10부족들과 떨어져 나가, 솔로몬 왕의 신하였던, 그리고 다윗의 아들이 아닌, 여로보암(Jeroboam I)을 왕으로 삼아, 북쪽에 이스라엘 왕국을 세운다. (기원전 930 -724년)
 
약 200년 뒤에 이스라엘 왕국은 앗시리아에 의하여 완전하게 파괴되고, 앗시리아의 왕에 의하여 이스라엘 10 부족들은 지금도 어디로 보내졌는지 조차 알 수 없는 변방으로 이주를 시켜 버리고, 남아 있던 이스라엘 왕국의 소수의 유다인들은 다른 종족들과의 강제 결혼에 의하여, 피가 섞인 혼혈족인 소위 말하는 사마리아인들로 변질된다.
 
4. 이스라엘 12부족 중 단지 두 개의 부족이, 적통을 이어받은 솔로몬 왕의 아들인 르호보암(Rehoboam)을 왕으로 하는 남쪽의 유다 왕국을 세운다. (기원전 930 - 587/6년)
 
5. 이렇게 성립된 두 왕국은 여러 면에서 서로 경쟁을 하게 되었는데, 이들 두 왕국은 따로 따로 그동안 구전으로 전해오던 토라를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5-1. 남쪽의 유다 왕국에서 먼저 토라 기록을 마쳤는데 (기원전 850년경), 이것을 두고서 야훼계 전승(Jahwist source 혹은 Yahwist source)이라고 부르며, 그 특징 중의 하나가 장자의 계승권을 무시한다는 것이다. 
 
5-2.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은, 세력이 약하였던 남쪽의 유다 왕국에서 그 정통성 확보를 위하여 토라를 기록한 것을 보고는, 별도의 토라 기록을 마쳤는데 (기원전 750년경), 이것을 두고서 엘로힘계 전승(Elohist source)이라고 부르며, 그 특징 중의 하나가 장자의 계승권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6.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이 역사 속에서 사라지고 난 다음인 유다왕국의 히즈키야(Hezekiah) 왕 시절에(기원전 716 - 687년), 남쪽 유다 왕국의 대사제가,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의 대사제에 의하여 기록된 토라와 남쪽의 유다 왕국의 대사제에 의하여 기록된 토라를 합쳐, 한 작품으로 묶었는데, 비록 북쪽의 이스라엘 왕국은 멸망하였으나 북쪽에서 기록된 토라 또한 하느님의 말씀을 담고 있는 예언적 성격의 내용이므로, 별로 삭제하거나 줄이지 않고 남쪽의 유다 왕국에서 기록된 토라와 병행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토라를 만듬. 이렇게 하다 보니, 같은 사실에 대하여 두번 반복하여 설명하고 있는 구절들이 토라에 더러 있음.
 
7. 북쪽의 이스라에 왕국이 앗시리아에 의하여 멸망한 후 또 앗시리아의 영향력이 이 지역에서 사라진 후에, 남쪽의 유다 왕국의 요시아 왕 지배 시기인 기원전 621년에 성전에서 토라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음. (2열왕 22,8, 2역대 34,14)
 
이 토라에는 북쪽 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자 남쪽 유다 왕국으로 피신한 일부 북쪽 지역 출신의 사제들이 히즈키야 왕 시절에 기록한 내용들이 추가가 된 모양인데, 이 토라를 두고서 신명기계 전승(Deuteronomist source)이라고 부른다.
 
8. 남쪽의 유다 왕국이 바빌론에 의하여 멸망하고 대다수 유다 왕국의 유다인들이 바빌론으로 추방을 당하여 바빌론 변방에서 구심점인 "왕 없이" 지내는 동안(기원전 587 - 538년) 혹은 그 이후에, 사제들에 의하여 토라가 기록되었는데, 이것을 사제계 전승(Priestly source)이라고 부르며, 그 특징 중의 하나가 사제들을 위한 책인 레위기의 율법들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이다.
 
9. 바빌론 유배 (기원전 587 - 538년)에서 돌아온 후에, 또 기원전 445년 이후로서 성전 재건과 유다교 신앙회복을 위한 사제인 에즈라 및 평신자인 느헤미야가 협업 활동하기 이전인, 기원전 6세기 후반 - 5세기 전반 경에, 주로 사제계 전승자들인 율법학자들에 의하여 여태까지의 여러 전승들을 한데 묶어, 비로소 지금 우리가 읽는 토라(Torah), 즉 모세 오경(Pentateuch), 즉 율법서(Book of the Law)로 확정되었다고 한다.
 
10. 이와 같이, 토라 형성 과정 그리고 토라의 내용을 형성하고 있다고 추측되는 위의 네 개의 전승들에 대한 내용을 알게 된 이슬람교 측은, 아주 간단하게, "유다인들이 "토라", 즉 "하느님의 가르침"의 내용을 자의적으로 변조하였기에 자신들의 "코란"이 하느님의 말씀"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실정임.. 
 
 
========================
 
 
 
Gen 37:28 (Who Sold Joseph?)

(Vulgate)  Et prætereuntibus Madianitis negotiatoribus, extrahentes eum de cisterna, vendiderunt eum Ismaëlitis, viginti argenteis: qui duxerunt eum in Ægyptum.
 
(DRB)  And when the Madianite merchants passed by, they drew him out of the pit, and sold him to the Ismaelites, for twenty pieces of silver: and they led him into Egypt.
 
(NAB) They sold Joseph to the Ishmaelites for twenty pieces of silver. Some Midianite traders passed by, and they pulled Joseph up out of the cistern and took him to Egypt. (참고: NAB 성경만 창세기 37,28에 있는 문장들의 배치가 다른 성경들괴 다름.)
 
(우리말 새번역 성경) 그때에 미디안 상인들이 지나가다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내었다. 그들은 요셉을 이스마엘인들에게 은전 스무 닢에 팔아넘겼다. 이들이 요셉을 이집트로 데리고 갔다.
 

주: 이상은 가톨릭용 성경들
-----------
 
주: 다음은 가톨릭 및 개신교 공동번역
 
(RSVB)  Then Mid'ianite traders passed by; and they drew Joseph up and lifted him out of the pit, and sold him to the Ish'maelites for twenty shekels of silver; and they took Joseph to Egypt.
 
(GNB)  and when some Midianite traders came by, the brothers pulled Joseph out of the well and sold him for twenty pieces of silver to the Ishmaelites, who took him to Egypt. 
 
(공동번역 성경) 그러는 동안 미디안 상인들이 지나가다가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내었다. 그들은 그를 이스마엘 사람들에게 은 이십 냥에 팔아 넘겼다. 이스마엘 사람들은 요셉을 이집트로 데리고 갔다.
 
-----------
 
주: 이하는 개신교측 성경들
 
(KJV-1611)  Then there passed by Midianites merchant men, and they drew and lift vp Ioseph out of the pit, and sold Ioseph to the Ishmeelites for twentie pieces of siluer: and they brought Ioseph into Egypt.
 
(KJVA)  Then there passed by Midianites merchantmen; and they drew and lifted up Joseph out of the pit, and sold Joseph to the Ishmeelites for twenty pieces of silver: and they brought Joseph into Egypt.
 
(CEV)  When the Midianite merchants came by, Joseph's brothers took him out of the well, and for twenty pieces of silver they sold him to the Ishmaelites who took him to Egypt.
 
(ESV)  Then Midianite traders passed by. And they drew Joseph up and lifted him out of the pit, and sold him to the Ishmaelites for twenty shekels of silver. They took Joseph to Egypt.
 
(NIV)  So when the Midianite merchants came by, his brothers pulled Joseph up out of the cistern and sold him for twenty shekels of silver to the Ishmaelites, who took him to Egypt.
 
(WEB)  Midianites who were merchants passed by, and they drew and lifted up Joseph out of the pit, and sold Joseph to the Ishmaelites for twenty pieces of silver. They brought Joseph into Egypt.

(KKJV)  그때에 미디안 족속 상인들이 거기를 지나가므로 그들이 요셉을 구덩이에서 끌어올려 은 스무 개를 받고 이스마엘 족속에게 파니 그 상인들이 요셉을 데리고 이집트로 갔더라.
 


1,554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