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 예로니모의 성경 번역 - 이사야 7,14 [마소라본][칠십인역][사해문서][탈무드][번역오류_젊은여인] 822_새하와 <가사순4주1독>

인쇄

. [117.17.151.*]

2009-06-25 ㅣ No.845

 
3811
-----

+ 찬미 예수님 
 
1. 지금 주신 말씀과 관련하여서는, 더 정확한 표현은 다음과 같을 것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8341a.htm [영문 가톨릭 대사전]

(발췌 시작)

St. Jerome

... Until about 391-2, he considered the Septuagint translation as inspired. But the progress of his Hebraistic studies and his intercourse with the rabbis made him give up that idea, and he recognized as inspired the original text only. It was about this period that he undertook the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from the Hebrew. But he went too far in his reaction against the ideas of his time, and is open to reproach for not having sufficiently appreciated the Septuagint. This latter version was made from a much older, and at times much purer, Hebrew text than the one in use at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Hence the necessity of taking the Septuagint into consideration in any attempt to restore the text of the Old Testament. ...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3일]

... 기원후 391-2년에 이르기까지, 그(즉, 예로니모)는 칠십인 역이 영감을 받은 것으로서 간주하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히브리어에 대한 학습들에 있어서의 진전과 라삐들과 그의 교제는 그로 하여금 바로 그러한 생각을 포기하게 만들었으며, 그리하여 그는 오로지 [그리스어 번역본인 칠십인 역이 아닌 히브리어] 원본만이 영감을 받은 것으로서 인정하였습니다. 그가 히브리어 성경으로부터 구약 성경의 번역에 착수한 것은 바로 이 시기쯤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시기의 생각(ideas)들에 반하는(against) 자신의 반발에 있어 너무 많이 나아갔으며, 그리하여 그는, 칠십인 역(the Septuagint)을 이미 충분하게 감사하게 생각하지 않은 것에 대한 비난에, 개방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후자의 번역본(즉, 칠십인 역)은, 기원후 4세기 말[즉, 예로니모의 시기]에 사용되고 있었던 히브리어 [성경의] 본문보다  훨씬 더 오래된, 그리고 때로는 더 순수한, 히브리어 [성경의] 본문으로부터 마련된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구약 성경의 본문을 회복시키기(restore) 위한 어떠한 시도에 있어서도 이 칠십인 역을 고려하여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

-----
(*) 번역자 주: 이러한 비난들 중에서, 예를 들어, 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의 강력한 비난을 그 첫 번째 예로서 들 수 있을 것이다.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
 
[이 히브리 구약 성경의 민수기 10,29 및 판관기 4,11에서 함께 사용되고 있는, 모음이 없는, 히브리 단어를 cognati/cognato라고 라틴어로 번역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습니다.]

<----- 우선, 제가 <파악> 한 것은 바로 이 부분입니다. 그리고, 베들레헴 가서 초기에 "4세기 당시의 히브리 성경"과 훨씬 오래 된 히브리 성경의 그리스어 번역본인 칠십인역 성경을 비교하였을 것을 "참고"라고 표현한 것인데, 당시에 예로니모 성인께서는, 히브리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을 하면서도, 그 자신도 이미 읽어 잘 알고 있었을,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 구절들을 항상 "참고"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예로니모 성인께서 번역 대본으로 삼았을 4세기 당시의 히브리 성경의 순수성에 대하여, 위의 영문에서도 언급하고 있듯이, 저 역시 상당한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2. 이 의심을 해소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i) 사마리아인들이 보관 중인 그들의 성경인 "모세오경"과

(ii) 유다인들의 성경인 "히브리 성경 [즉, 마소라본] 중의 모세오경"의 모든 자구들을

일일이 비교한 논문이 있으면 꼭 좀 읽어 보고 싶습니다. 꼭 같은지, 아니면 어느 구절들에서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지를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3.
3-1. 이런 방향으로, 예를 들어, 마태오 복음서 1,22에서 복음사가 마태오는 그리스어본 칠십인 역 구약 성경의 이사야서 7,14를 인용하고 있으나, 그러나 히브리어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는, "동정녀(virgin)" 대신에, "젊은 여인[almah, 즉 혼기가 된 여성인 어린 여인(young woman)]"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렇게 표현하고 있는 [미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해당 단어가, 유다인들에 의하여 기원후 70년 대성전 파괴 이후에, 변조된 것이 아닌가..., 아니면 그 의미가 전와(轉訛)된 것이 아닌가... 하는 강한 의심을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칠십인 역 이사야 7,14(영어본)입니다:

Therefore the Lord Himself shall give you a sign; behold, a virgin shall conceive in the womb, and shall bring forth a son, and you shall call His name Emmanuel.
 
그러나, virgin(동정녀) 대신에 "eolme(almah, the damsel)" 단어가 히브리 성경 이사야서 7,14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eolme(almah, the damsel)" 는,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라틴어 불가타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 보다시피, virgo(동정녀) 라는 단어로 번역되었습니다:

Propter hoc dabit Dominus ipse vobis signum. Ecce, virgo concipiet et pariet filium et vocabit nomen eius Emmanuel;
 
그리고, 1979년 이전까지 가톨릭 교회의 공인 라틴어 불가타 성경으로 알려진 Clementine Vulgate 에도, 위의 Nova 불가타와 마찬가지로, virgo(동정녀) 단어를 이사야서 7,14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5일]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출처 1: http://www.youtube.com/watch?v=DrDIN6TJ-gA <----- 필독 권유
출처 2: http://www.youtube.com/playlist?list=PLECE31AA08E403DD7
제공자: Ancient Hebrew Bible, Jeff Benner

(i) 마소라본 구약 성경의 이사야서 7,14,
(ii) "사해 사본"의 히브리어 이사야서에서의 이사야서 7,14, 그리고
(iii) 그리스어 칠십인 역 구약 성경의 이사야서 7,14

들에 있어, 동영상 화면에 해당 본문들의 구체적인 제시와 함께, 또한 영어로 히브리어 글자들을 자세하게 상호 비교/검토하는 "textual criticism" 동영상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화면에 보여주는 히브리어 글자들 및 영어 설명에 따르면, (i) 과 (ii)에서, 동일한 "알마(almah)" 가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의 해당 히브리어 단어 자체는, 유다인들에 의하여 기원후 70년 대성전 파괴 이후에, 변조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이 동영상의 시작부터 2분15초-2분42초 동안의 영어 설명을 필자가 녹취한 바입니다:

(녹취 시작)
"The next difference is, the Masoretic text has the word '하알마', which means 'the young maid' or 'the young maiden'. The Isaiah Scroll has the same thing '하알마(Halma)', meaning 'the young maiden'. However, in the Septuagint we have the Greek word '파르테노스(parthenos)', which means 'virgin'. Now the equivalent Hebrew word would be '바툴라'." 

"그 다음 차이점은, 마소라 사본은, '젊은 처녀(the young maid or the young maiden)'를 뜻하는, '하알마(Halma)' 라는 단어를 가집니다. 이사야 두루마리는, '젊은 처녀(the young maiden)'를 뜻하는, 동일한 단어인 '하알마'를 가집니다. 그러나, 칠십인 역에서 우리는, '동정녀(virgin)'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인 '파르테노스(parthenos)'를 가집니다. 그런데, [이 번역 용어에] 등가인 히브리어 단어는 '바툴라'일 것입니다."
(이상, 녹취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위의 동영상에서 주어지고 있는 영어 해설에서 히브리어 단어 "하알마'가 영어로, "woman" 이라는 단어 대신에, "young maid" 혹은 "young maiden" 즉, "젊은 처녀"로 번역되고 있음에 또한 주목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3일]

3-2. 다음은 "새 번역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 언급되고 있는 "젊은 여인"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히브리 말에서는 한 낱말로 되어 있으면서 앞에 정관사가 붙은 "젊은 여인"은 동정이냐 아니냐, 미혼이냐 아니냐의 명확한 구분 없이 아이를 가질 수 있는 여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많은 경우 "처녀" 를 의미하지만(이러한 의미에서 '동정녀' 를 뜻하기도 하지만, 이 뜻만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젊은 기혼 여성을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 칠십인역은 이 "젊은 여인""동정녀"로 번역하였는데,  이는 기원전 2세기 (또는 그 이전)부터 유다교 내의 어떤 전통이, 앞으로 일어나리라 고대되는 이 특이한 탄생을 동정녀 모친에게서 나오는 메시아의 탄생으로 이해했음을 뜻한다. 마태오 1,23에 이어서 고대 그리스도교 전통은 이 신탁을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에게 적용시켰다.
(이상, 발췌 끝).

3-3. 사실 이사야서 7,14는,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가해 대림 제4주일 제1독서(이사야 7,10-14) 그리고 매년 12월 20일 제1독서(이사야 7,10-14)에 포함됩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가해 대림 제4주일 제1독서(이사야 7,10-1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의 제4항에서 지적하고 있는 바를 또한 유념할 때에, 이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주어진 해설이, 위의 제3-2항에 주어진 주석의 핵심 내용을 또한 포함하는, 대단히 훌륭한 해설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4. 히브리어 구약 성경의 번역본들 중에서 가장 오래 된 (기원전 3-2세기에 그리스어로 번역된) 칠십인 역 그리스어 성경의 이사야서 7,14(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보다 훨씬 이전에 유다교측에 의하여 번역되었기에) 번역 당시의 유다교측 번역자들이, 번역 과정에서, 무슨 변조를 시도할 이유가 통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5.
5-1. 다음의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에 대한 영문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에 따르면, 기원후 6세기경(*)에 마련되었다는 (새 번역 성경의 번역 대본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마소라본 히브리 성경을 포함하여, 히브리 성경들에 꽤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3722a.htm

(발췌 시작)
 
The Septuagint is the most ancient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and consequently is invaluable to critics for understanding and correcting the Hebrew text (Massorah), the latter, such as it has come down to us, being the text established by the Massoretes in the sixth century A.D.(*)  Many textual corruptions, additions, omissions, or transpositions must have crept into the Hebrew text between the third and second centuries B.C. and the sixth and seventh centuries of our era; the manuscripts therefore which the Seventy had at their disposal, may in places have been better than the Massoretic manuscripts.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3일]

칠십인 역 구약 성경(the Septuagint)은 구약 성경의 가장 오래된 번역본이며 그리하여 그 결과 히브리어 [성경] 본문[즉, 마소라 본문(Massorah)]을 이해하고 그리고 바로잡기 위한 비평가들에게 매우 귀중한데, 우리들에게 전해 내려오고 있는 바와 같은 후자(즉 히브리어 성경 본문)는, 기원후 6세기(*)에 마소라 학파(Massoretes)에 의하여 자리잡게 된(established) 본문입니다. 수많은 본문의 전와(轉訛, corruptions, 어떤 말이 본래의 뜻과 달리 전해져 그릇되게 굳어짐)들, 추가(additions)들, 삭제(omissions)들, 혹은 바꾸어 놓음(transpositions)들이, 기원전 3세기와 2세기 사이에, 그리고 우리의 세기, 즉 기원후 6세기와 7세기 사이에, 히브리어 본문에 슬며시 기어들어갔음에 틀림없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칠십인 역 구약 성경의 번역자(the Seventy)들이 손쉽게 사용함에 있어 가졌던 사본들이 맛소라 사본들에 비하여 여기 저기에서 더 나을 것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이 문장에서 말하는 6세기는 부정확하기에,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유다교측 자료에 근거하여9세기경으로 바로잡습니다. 사실 히브리어 글자들에는 모음들을 나타내는 글자들이 없는데, 갈릴래아 호수의 서쪽 해변에 위치한 티베리아스 근처에 자리잡았던 마소라 학파는 기원후 5세기에, 그 당시에 이미 "죽은(dead)" 언어였던 히브리어를 소리내어 읽기 위한 한 방편으로서, "모음 방점"을 개발하여, 우선적으로 "예루살렘 탈무드"의 히브리어 본문의 위, 아래의 여백에 추가를 하였는데, 바로 이것 때문에, 그 이후에 "예루살렘 탈무드"가 경쟁 대상자였던 "바빌론 탈무드"보다 더 많이 읽히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성과 이후에, 마소라 학파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당시의 히브리어 성경 본문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또한 자신들이 개발하였던 "모음 방점"들을 히브리 성경 본문에 추가하였는데, 이렇게 마련된 것이 소위 "마소라본"으로 불리는 히브리어 구약 성경입니다. 이 편집 과정에서 마소라 학파가 손을 너무 많이 대어, 예를 들어, 한 예언서의 경우에는 그 길이가 두 배 정도로 길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필자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처음 구체적으로 알게 된 것은 다음의 사진의 오른쪽에 있는 안내판 때문이었습니다:



참고: 위의 사진은 2009년 7월에 (주: 이집트와 이스라엘 현지에 머물면서 사진을 찍은 기간: 7월 7-16일) 소속 학교 법인에 의하여 마련되었던 이스라엘 성지 순례 여행 중에, 갈릴래아 호수 서쪽 해변에 위치한 호텔 바로 앞에 있는 유적지에서 필자가, 현지 시각으로 2009년 7월 14일 오전 6시 13분에, 직접 촬영한 것입니다. 그 전 날에 이 유적지 바로 옆에 있는 호텔에서 조금 일찍 저녁 식사를 하게 되었기에 약간의 여유 시간 동안에 밖에 나가서 숙소 주변을 살펴볼 기회를 가졌으며, 숙소로 돌아오는 길에 마침 이 유적지를 둘러보았으나 이미 날이 어두워져 다음 날 아침 일찍 일어나 다시 이 유적지를 자세히 살펴 보고 또 사진 촬영도 하기로 하였던 것인데, 바로 이 조그마한 안내문 한 개가 필자에게, 결코 잊지 못할, 대단히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습니다. 그 내용을 처음 읽었을 당시의 커다란 흥분을 지금도 느끼게 해 주는 소중한 사진 한 장입니다. 이 글을 처음 작성하였던 것이 2009년 6월 29일이었는데, 불과 보름 뒤에,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중요한 유적지를 대단히 우연히 방문하게 되었으니, 얼마나 그 놀라움과 감동이 컷겠는지요! 많이 부족한 죄인이 이스라엘 성지 순례를 할 수 있도록 여행 경비 일체를 제공해 주신 소속 대학교 총장님께 이 자리를 빌려 깊이 감사드립니다. 다음은 위의 사진의 오른쪽에 있는 안내판에 영어로 적혀 있는 바 전문입니다. [ ] 안은, 독자들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필자가 추가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Tiberias the capital of the Galilee, one of the four Holy Cities of Israel which was built by Antipas in the year 17-20 C.E. Antipas named the city Tiberias in honor of the Roman Ceasar, Tiberius. The institution of Jewish Leadership, the Sanhedrin and the Presidency moved to Tiberias from Tzipori. The Jerusalem Talmud was compiled in Tiberias in the 5th century. Schools of poets, Rabbies and Scholars are thriving during the period of Geonim. "The Tiberias Vowel Punctuation" was developed in this periodd and still is in use today.

갈릴래아 지역의 수도인 티베리아스(Tiberias)는, 기원후 17-20년에 [헤로데 대왕의 아들인] 안티파스(Antipas)에 의하여 [애초에 유다인들이 아니라 로마인 등의 주로 이방인들을 위하여] 건설되었던, 이스라엘의 네 개의 거룩한 도시들 중의 하나입니다. 안티파스는 로마 제국의 황제 티베리우스(Tiberius)에게 경의를 표하여 이 도시를 티베리아스로 명명하였습니다. 유다교 지도자 기관인 최고 의회(the Sanhedrin)와 평의회(the Presidency)는 [직전의 시기에 갈릴래아 지역의 수도였으며 따라서 유다교의 중심지였던] 찌포리(Tzipori)로부터 티베리아스로 [기원후 4-5세기 어느 시점에] 이사왔습니다. 예루살렘 탈무드(the Jerusalem Talmud)5세기에 티베리아스에서 편집되었습니다. 문학 학교들, 라삐들 그리고 학자들은 Geonim 시기(기원후 589-1038년)(**) 동안에 [티베리아스에서] 번창하였습니다. "티베리아스 모음 방점(the Tiberias Vowel Punctuation)"은 이 시기에 [티베리아스에서] 개발되었으며 그리고 여전히 오늘날에도 사용 중에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대부분의 Geonim 시기 동안에 이 지역을 지배한 것은, 동 로마 제국으로 대변되는 그리스도교측이 아니라, 마호메트(기원후 571-632년)기원후 622년에 창시한 것으로 알려진, 이슬람교 세력이었으며, 이슬람교측은, 그동안의 그리스도교측과는 달리, 어느 정도까지는 유다인들의 종교와 자치를 허용해 주었다고 한다. 기원후 130년경에 발생하였던 로마 제국에 대한 유다인들의 두 번째 반란 이후부터 계속하여 예루살렘 출입과 거주가 금지되어 왔던 당시의 유다인들에게, 이전과는 달리, 이슬람 지배 하에서의 바로 이러한 종교적 및 문화적 허용/관용 정책 때문에 티베리아스에서 유다교 학문 등이 번창하였으며, 그 결과로, 마소라본(Masoretic Texts)으로 불리는, "모음 방점"을 추가한 히브리어 구약 성경의 편집 및 편찬 작업이, 자신들의 수도로 자리 잡았던 이곳 티베리아스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고 또 930년쯤에 완료되었다고 필자는 이해하고 있다.
----- 

그리고 내친 김에, 당시에 티베리아스 소재 숙소 근처를 찍었던 사진들을 이 글을 마지막에 <<부록>> 으로서 추가로 올려드립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5-2. 그러나, 다음의 영문 가톨릭 대사전에 실린 "alma"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은, 위에서 ㅁ 형제님께서 안내하신, 개신교 측의 KJV 홈페이지(http://www.blueletterbible.org/lang/lexicon/lexicon.cfm?Strongs=H5959&t=KJV)의 설명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01326c.htm

A Hebrew signifying a "young woman", unmarried as well as married, and thus distinct from bethulah, "a virgin" (see Hebrew Lexicons). The interest that attaches to this word is due to the famous passage of Isaiah 7:14: "the Alma shall conceive", etc.

 
이미 알고 계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제가 드렸던 말씀은, 영문본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4일]

다음은 위의 영어 발췌문의 번역문입니다:

혼인을 하지 않았거나 혹은 혼인을 한, 그리하여 그 결과, "한 동정녀(a virgin)"인, bethulah로부터 구분되는, 한 "젊은 여인"을 나타내는 히브리어 단어이다 (히브리어 Lexicons를 보라). 바로 이 단어에 부착되어 있는 관심은 이사야서 7,14의 유명한 구절: "젊은 여인이 잉태하여..." 등 때문이다.
(이상, 우리말 번역 끝)

그런데, 오늘 날짜로 바로 위의 인터넷 주소에 가보니, 다음과 같은 문장이 위의 제5-2항 앞 부분에서 언급되고 있는 개신교측 히브리어 어원 사전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출처: http://www.blueletterbible.org/lang/lexicon/lexicon.cfm?Strongs=H5959&t=KJV

(발췌 시작)
 
"There is no instance where it can be proved that 'almâ designates a young woman who is not a virgin. The fact of virginity is obvious in Gen 24:43 where 'almâ is used of one who was being sought as a bride for Isaac." (R. Laird Harris, et al.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p. 672.) 

"알마(almah)"가 동정녀가 아닌 어떤 젊은 여인을 나타냄이 증명될 수 있는 경우가 전혀 없다. 동정성(virginity)의 사실은 창세기 24,43에서 자명한데 거기서 "알마(almah)"이사악(Isaac)을 위한 한 명의 신부로서 찾아지고 있었던 여인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다, [Laird Harris, et al.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p. 672.]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즉, 애초에 "알마(almah)" 라는 히브리어 단어가 성경 본문에서 사용될 때에, 기원전 3-2세기의 칠십인 역 번역자들이 그리스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밝힌 의미와 동일하게, "동정녀"임을 뜻한다고 위의 개신교측의 히브리어 어원 사전측에서도 또한 인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알마(almah)" 라는 히브리어 단어의 의미가, 기원전 3-2세기 이후의 오랜 세월 속에서, 특히 유다교측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동정녀가 아닐 수도 있는 어떤 젊은 여인"의 의미로 전와(轉訛, corruptions, 어떤 말이 본래의 뜻과 달리 전해져 그릇되게 굳어짐)되었을 수도 있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5-3. 위의 제3-1항에서 대중 라틴말 성경의 이사야 7,14에서는 "젊은 여인"이 아닌 "동정녀"라는 표현에 등가인 라틴어 단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이미 말씀드렸습니다. 이것을 좀 더 들여다 보았더니 다음과 같았습니다:

5-3-1. 여기를 클릭하면, Douay-Rheims Version 이사야서 7,14에서 "a virgin"으로 번역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3-2. 소장 중인, 1611년 초판 발행된, King James Version(즉, KJV1611) 이사야서 7,14에서도 또한 마찬가지로 "a virgin"으로 번역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3-3. 그러나,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1950년대에 발행된, 위의 KJV1611을 현대 영어 어법에 맞도록 바로 잡은, RSV(Revised Standard Version)의 이사야서 7,14에서는, "a virgin" 대신에, "a young woman"으로 번역을 하였습니다.

5-3-4. 그리고 소장 중인, 1970년대 중반에 초판 발행된, Good News Bible이사야서 7,14를 들여다 보았더니, "a virgin" 대신에, "a young woman"으로 번역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주석이 붙어 있습니다:

(발췌 시작)
young woman : The Hebrew word here translated "young woman" is not the particular term for "virgin," but refers to any young woman of marriageable age. The use of "virgin" in Mt 1,23 reflects a Greek translation of the Old Testament, made some 500 years after Isaiah.
(이상, 발췌 끝).

5-3-5. 그러나,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1970년에 초판 발행된 가톨릭용 성경인 NAB(New American Bible)이사야서 7,14에서는 "a young woman" 대신에, "a virgin"으로 번역하였습니다.

그런데 이 바로잡음은 상당히 유의미한데, 왜냐하면, 위의 RSV는 개신교측과 가톨릭측이 공동으로 번역 작업을 하였기 때문입니다. 즉, 초기 교회 시절부터 20세기까지의 오랜 기간 동안과는 달리, RSV의 이사야서 7,14에서 "a virgin"이라는 번역 단어 대신에 "a young woman"이라는 번역 단어를 사용한 것을, 가톨릭교회측에서 NAB를 독자적으로 번역하여 마련할 때에, 이사야서 7,14에서, RSV 이전대로"a virgin"으로 분명하게 바로잡았기 때문입니다.

5-3-6. 그리고 소장 중인, 개신교측의 권위 있는 성경인 NIV(New International Version)이사야서 7,14에서도, 심지어 아무런 주석도 없이"a virgin"이라는 번역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5-3-7.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이 사이트에서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개신교측 영어본 성경들 17개 모두이사야서 7,14에서 "a virgin"으로 번역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3-8. 그리고 소장 중인, 1977년에 초판 발행된, "공동번역성서"이사야서 7,14에서, "젊은 여인" 대신에, "처녀"로 번역하였음을 확인하였습니다.

5-3-9.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중국어본 구약 성경 이사야서 7,14에서, "순결한 동정녀"를 뜻하는, "位貞女" 라는 한자 번역 용어를 사용 중임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이상, 추가적으로 살펴본 바로부터 우리는 이사야서 7,14에 등장하는 히브리어 단어 "알마(almah)"가 "젊은 여인"을 의미하지 않고칠십인 역 그리스어 구약 성경 이사야 7,14에서처럼, "동정녀"를 의미한다고 다들 동의하고 있음을 더욱 더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생각입니다.

그런데 이 확인이 유의미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의 개신교측에서는, 기원전 3-2세기경에 유다교측에서 그리스어로 번역하였던 칠십인 역 구약 성경의 권위보다는, 기원후 9세기 경에 유다교측에서 유다교용도로 편집한, 소위 말하는 마소라본 구약 성경의 권위를 더 인정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사야서 7,14
에서의 경우에는, 칠십인 역에서의 번역 용어인 "a virgin"을 올바른 번역 용어라고 거의 대부분의 개신교측에서 받아들이는 데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위의 제5-2항에서의 게시자 주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또한
, "알마(almah)" 라는 히브리어 단어의 의미가, 기원전 3-2세기 이후의 오랜 세월 속에서, 특히 유다교측에 의하여 의도적으로, "동정녀가 아닐 수도 있는 어떤 젊은 여인"의 의미로 전와(轉訛, corruptions, 어떤 말이 본래의 뜻과 달리 전해져 그릇되게 굳어짐)되었을 수도 있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질문 한 개(이 글의 결론): "새 번역 성경"이사야서 7,14에서, 지금까지 살펴 본 바와는 달리, 심지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대중 라틴어본 구약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의 단어와 달리, "동정녀" 대신에, "젊은 여인"으로 번역한 구체적 근거가 무엇입니까? 혹시라도, 단순히, 유다교 용도로 마련된 마소라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의 이사야서 7,14를 번역 대본으로 선정하였기 때문이라는 한 가지 이유뿐인지요? 

정말로 그 이유가 궁금하여, 이번에 한 번 여쭈어 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6일]

특히 "새 번역 성경"의 이사야서 7,14 에서 "젊은 여인" 이라는 번역 용어를 사용하면서, 주석으로칠십인 역에서는 "젊은 여인" 대신에 "동정녀"로 번역되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또한 밝히지 않은 것은 상당히 문제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바로 다음 절인 이사야서 7,15에 있는 "엉긴 젖과 꿀"에 대한 주석을 "새 번역 성경"은 제공하면서, 그러나 이 표현보다 훨씬 더 중요한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 의미가 담겨 있는 이사야서 7,14에서의 납득하기 힘든 번역 용어 "젊은 여인"에 대하여, 칠심인 역 번역을 따르면 "동정녀"이다는 사실을 주석으로 확실하게 밝히지 않는 이유/의도납득할 수 없습니다.  즉, 주석을 반드시 붙여야 하는 번역 용어에는 왜 주석을 달지 않았는지를 납득할 수 없습니다.

[이상, 2013년 1월 6일자 내용 추가 끝]


     한 가지 더 말씀을 드리면, 2011년에 출판된 NABRE(New American Bible Revised Edition)은,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미사 중에 독서 및 복음 말씀으로 사용되지 않는, 개인 학습용인데,

공교롭게도, 바로 이 NABRE 의 이사야 7,14에서는,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a virgin" 대신에, "the young woman"으로 번역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아직까지는 필자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바로 "이 번역" 때문에라도, 혹시 교황청 유관 부서에서 NABRE로부터 미사 중의 독서 및 복음 말씀을 발췌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측을 하게 되는 근거는, 다음에 한 항을 발췌한, 지역 언어로의 성경의 번역에 대한 교황청 제공의 지침 때문이기도 합니다. 다음의 발췌문을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FIFTH INSTRUCTION
“FOR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CONSTITUTION ON THE SACRED LITURGY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Sacrosanctum Concilium, art. 36)  
 

...

37. If the biblical translation from which the Lectionary is composed exhibits readings that differ from those set forth in the Latin liturgical text,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the Nova Vulgata Editio is the point of reference as regards the delineation of the canonical text.[32] Thus, in the translation of the deuterocanonical books and wherever else there may exist varying manuscript traditions, the liturgical translation must be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same manuscript tradition that the Nova Vulgata has followed. If a previously prepared translation reflects a choice that departs from that which is found in the Nova Vulgata Editio as regards the underlying textual tradition, the order of verses, or similar factors, the discrepancy needs to be remedied in the preparation of any Lectionary so that conformity with the Latin liturgical text may be maintained. In preparing new translations, it would be helpful, though not obligatory, that the numbering of the verses also follow that of the same text as closely as possible.

37. 만약에 그것으로부터 독서(Lectionary)가 구성되는 성경의 번역이 라틴 전례 본문에 진술되어 있는 것들과 다른 읽기(readings)들을 나타낸다면, 정경 본문의 서술(delineation)과 관련하여 대중 라틴어 본(Nova Vulgata Editio)이 판단의 기준임을 마음에 새겨야만 합니다. 따라서, 제2경전의 책들의 번역과 그리고 가지각색의 사본 전통들이 존재할 수도 있는 [성경 본문 중의] 다른 장소 어디에서든지, 전례용 번역은 [1979년 이전까지의 가톨릭 교회의 공인 성경이었던] 대중 라틴어 성경(Nova Vulgate)이 이미 뒤따랐던 동일한 사본 전통과 일치하도록 마련되어야만 합니다. 만약에 어떤 이전에 마련되었던 번역이, 기초를 이루는 본문 전통, 절들의 순서, 혹은 유사한 요인과 관련하여, 대중 라틴어 본(Nova Vulgata Editio)에서 발견되는 바로 그 전통으로부터 벗어나는 어떤 선택을 반영하고 있다면, 라틴 전례 본문과의 일치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어긋남은 어느 독서의 준비에 있어서든 교정되지 않으면 안됩니다. 새로운 번역들을 준비함에 있어, 비록 의무이지는 않으나, 절들에 대한 번호매김이 또한 동일한 본문의 바로 그 번호매김을 가능한 한 가깝게 뒤따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예를 들어, 제1독서로서 이사야 7,10-14가 미사 중에 읽히는, 2011년 12월 18일자 가해 대림 제4주일(그리고 특히 성서신학을 전공하신)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Angelus 강론 말씀에서도, 이사야 7,14 의 해당 절을 다음과 같이 발췌 인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도, "a young woman"이 아니라, "a young virgin" 즉, "젊은 동정녀"로 번역되고 있습니다.

게시자 주: 바로 이 2011년 12월 18일자"a young virgin"이라는 번역은, 위에서 말씀드린,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2011년 1월 6일자 공지문 이후에, NABRE의 이사야서 7,14에서의 "a young woman" 이라는 번역을 허락할 수 없음을 지적하는 교황청 유관 부서의 첫 반응일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에, 필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event of Nazareth is the prophecy of Isaiah. “Behold, a young virgin shall conceive and bear a son, and shall call his name Immanuel” (Is 7:14). This ancient promise found superabundant fulfilment in the Incarnation of the Son of God. Indeed, not only did the Virgin Mary conceive, but she did so through the work of the Holy Spirit, that is, God himself.
(이상, 발췌 끝).

     다른 한편으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497항에서는 이사야서 7,14를 본문 중에서 발췌 인용하고 있는데, 이 항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각주들에서 칠십인 역(LXX) 번역을 인용하고 있다고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총 다섯 개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항들 중의 한 개입니다.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이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2/HF.HTM

     또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교황청 "그리스도인일치촉진평의회(일치평의회)" 발 문헌의 제33항을 잘 읽어 보십시오. 위의 제3-3항에서 안내해드린 이사야서 7,10-1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과 가톨릭 그리스도교 신학적으로 동일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특히 제32항 및 제33항의 필독 권고

ANGLICAN - ROMAN CATHOLIC
INTERNATIONAL COMMISSION (ARCIC)

...
33 In defence of his true divinity, the early Church emphasized Mary’s virginal conception of Jesus Christ. According to the Fathers, his conception by the Holy Spirit testifies to Christ’s divine origin and divine identity. The One born of Mary is the eternal Son of God. Eastern and Western Fathers - such as Justin (†c.150), Irenaeus (†c.202), Athanasius (†373), and Ambrose (†397) - expounded this New Testament teaching in terms of Genesis 3 (Mary is the antitype of ‘virgin Eve’) and Isaiah 7:14 (she fulfils the prophet’s vision and gives birth to “God with us”). They appealed to the virginal conception to defend both the Lord’s divinity and Mary’s honour. As the Apostles’ Creed confesses: Jesus Christ was “conceived by the Holy Spirit and born of the Virgin Mary.” This Anglicans and Roman Catholics together affirm.

33. 당신[즉, 그리스도]의 참된 신성의 옹호에 있어, 초기 교회는 마리아의 예수 그리스도 동정 잉태(virginal conception)를 강조하였습니다. 교부들에 따르면, 성령에 의한 그분의 잉태는 그리스도의 신성의 원천(origin) 및 하느님 정체성(identity)을 입증합니다. 마리아에게서 태어난 유일한 분께서는 하느님의 영원한 아드님이십니다. 유스티노(Justin, †150년경), 이레네오(Irenaeus, †202년경), 아타나시오(Athanasius, †373년), 그리고 암브로시오(Ambrose, †397년) 등과 같은 동방 및 서방 교부들은 바로 이 신약 성경 가르침을 창세기 제3장[마리아는 '동정 하와(virgin Eve)'의 대형(對型, antitype)이다] 그리고 이사야서 7,14 [그녀는 이 예언자의 환시를 구현하며 그리하여 "우리들과 함께 계시는 하느님(God with us, 즉 임마누엘)"을 출산하신다]의 말들로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expounded). 그들은 주님의 신성(divinity)과 마리아의 명예(honour) 둘 다를 옹호하기 위하여 이 동정 잉태(virginal conception)에 호소하였습니다(appealed to). 사도 신경에서 다음과 같이 고백하듯이, 예수님께서는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 마리아께 잉태되어 나신" 분이셨습니다. 바로 이 고백을 성공회와 로마 가톨릭은 함께 확언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끝으로,

(i) 다음은, 13세기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당시의 교황 우르바노 4세(Urban IV)의 명령에 의하여 마련하였던, Catena Aurea(Golden Chain)에 기록되어 있는, 마태오 복음서 1,23에 대한 성 예로니모(St. Jerome)의 주석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clerus.org/bibliaclerusonline/en/cup.htm#q

(발췌 시작)
Jerome, in Isa 7:14; Since it is introduced in the Prophet by the words, (p. 53) "The Lord Himself shall give you a sign," it ought to be something new and wonderful. But if it be, as the Jews will have it, a young woman, or a girl shall bring forth, and not a virgin, what wonder is this, since these are words signifying age and not purity?

예로니모(Jerome), 이사야서 7,14에서, 이 절이 "주님께서 몸소 여러분에게 표징을 주실 것입니다" 라는 표현에 의하여 이 예언에서 도입되고 있으므로 (p. 53), 이 예언는 새롭고 경이로운 그 무엇이어야 함이 틀림없습니다. 그러나 만약에 이 절이 동정녀(a virgin)가 아니고, 유다인들이 그것을 장차 유지할 것이듯이(as the Jews will have it), 젊은 여인(a young woman) 혹은 소녀(a girl)가 출산을 할 것이라고 한다면, 왜냐하면 이들이 나이를 나타내는 단어들이지, 순수성(purity)를 나타내는 단어들이 아니기 때문에, 이것이 도대체 무슨 경이로운 일입니까?

Indeed the Hebrew word signifying "Virgin" (Bethula) is not used in this place, but instead the word, 'Halma,' (ed. note, a: , &c.] which except the LXX all render 'girl.' But the word, 'Halma,' has a twofold meaning; it signifies both 'girl,' and 'hidden;' therefore 'Halma' denotes not only 'maiden' or 'virgin,' but 'hidden,' 'secret;' that is, one never exposed to the gaze of men, but kept under close custody by her parents.

정말로 "동정녀(Virgin)" (Bethula)를 나타내는 히브리어 단어는 바로 이 자리에서 사용되지 않고, 그러나 대신에, 칠십인 역(LXX)을 제외하고 모두가 '소녀(girl)로 옮기는(render) '하알마(Halma)' 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습니다(ed. note, a: , &c.]. 그러나 '하알마(Halma)' 라는 단어는 다음과 같은 2중의 의미(a twofold meaning)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단어는 '소녀(girl)' 그리고 '감추어진(hidden)' 둘 다를 나타내며, 그리하여 그 결과 '하알마(Halma)' '처녀(maiden)' 혹은 '소녀(girl)' 뿐만이 아니라 또한 '감추어진(hidden)', '숨겨진(secret)'을, 즉, 남성(men)들의 주시에 전혀 노출되지 않은, 그러나 그녀의 부모들에 의하여 가까운 보호 아래에서 보존된 여성을 표시합니다.

In the Punic tongue also, which is said to be derived from Hebrew sources, a virgin is properly called 'Halma.' In our tongue also 'Halma' means holy; and the Hebrews use words of nearly all languages; and as far as my memory will serve me, I do not think I ever met with Halma used of a married woman, but of her that is a virgin, and such that she be not merely a virgin, but in the age of youth; for it is possible for an old woman to be a maid. But this was a virgin in years of youth, or at least a virgin, and not a child too young for marriage.

히브리 어원들에서 유래된다고 말해지는 고대 카르타고 언어(Punic tongue)에서도 또한, 동정녀(a virgin)는 "하알마(Halma)' 라고 고유하게(properly) 불립니다. 우리의 언어에 있어서도 또한 '하알마(Halma)'는 거룩한/신에게 몸을 바친(holy)을 뜻하며, 그리고 히브리인들은 거의 모든 언어들의 단어들을 사용하며, 그리고 저의 기억이 저를 돕는 한에까지, 제가 혼인한 여인(a married woman)에 대하여 사용된 하알마(Halma)와 단 한 번이라도 만났다고 생각하지 않으나, 그러나 동정녀인, 그리고 단순히 동정녀(a virgin)가 아니라, 나이든 여인이 처녀(a maid)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청춘의 나이에 있는 그러한 여성에 대하여 사용된 하알마(Halma)와 만났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도 청춘의 나이에 있는 동정녀, 혹은 적어도 동정녀(a virgin)였지, 그러나 혼인을 위하여 너무 나이가 어린 아이(a child)가 아니었습니다. 

(이상, 발췌 끝)

(ii) 그리고, 또 다음은, 성 예로니모(St. Jerome)가, 마태오 복음서 1,23에 대한 위의 자신의 주석에서처럼, 당시의 히브리어 구약 성경 이사야서로부터, 자신이 라틴어로 번역한 대중 라틴말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 자신이 왜, "젊은 여인"아니고 칠십인 역(LXX) 이사야 7,14에서처럼 "virgo(동정녀)"로 번역을 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는, 성 예로니모(St. Jerome)"요비니아노 논박(Against Jovinianus)", 1권, 제32장 전문입니다. 여기서, 마태오 복음서 1,23에 대한 자신의 주석에서처럼, 성 예로니모"알마(almah)" 가 단순히 "동정녀" 라는 의미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감추어진 동정녀(a hidden virgin)"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모님의 동정성 등을 부인하였던 4세기의 이단(heresy)이었던 요비니아노의 주장들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출처의 앞부분에 주어진 각주를 참고하십시오:

출처: http://www.newadvent.org/fathers/30091.htm

(발췌 시작)

32. Isaiah tells of the mystery of our faith and hope: Isaiah 7:14 "Behold a virgin shall conceive, and bear a son, and shall call his name Emmanuel." I know that the Jews are accustomed to meet us with the objection that in Hebrew the word Almah does not mean a virgin, but a young woman. And, to speak truth, a virgin is properly called Bethulah, but a young woman, or a girl, is not Almah, but Naarah! What then is the meaning of Almah? A hidden virgin, that is, not merely virgin, but a virgin and something more, because not every virgin is hidden, shut off from the occasional sight of men. Then again, Rebecca, on account of her extreme purity, and because she was a type of the Church which she represented in her own virginity, is described in Genesis as Almah, not Bethulah, as may clearly be proved from the words of Abraham's servant, spoken by him in Mesopotamia: "And he said, O Lord, the God of my master Abraham, if now thou do prosper my way which I go: behold I stand by the fountain of water; and let it come to pass, that the maiden which comes forth to draw, to whom I shall say, Give me, I pray you, a little water of this pitcher to drink; and she shall say to me, Both drink thou, and I will also draw for your camels: let the same be the woman whom the Lord has appointed for my master's son." Where he speaks of the maiden coming forth to draw water, the Hebrew word is Almah, that is, a virgin secluded, and guarded by her parents with extreme care. Or, if this be not so, let them at least show me where the word is applied to married women as well, and I will confess my ignorance. "Behold a virgin shall conceive and bear a son." If virginity be not preferred to marriage, why did not the Holy Spirit choose a married woman, or a widow? For at that time Anna the daughter of Phanuel, of the tribe of Aser, was alive, distinguished for purity, and always free to devote herself to prayers and fasting in the temple of God. If the life, and good works, and fasting without virginity can merit the advent of the Holy Spirit, she might well have been the mother of our Lord. Let us hasten to the rest: Isaiah 37:22 "The virgin daughter of Zion has despised you and laughed you to scorn." To her whom he called daughter the prophet also gave the title virgin, for fear that if he spoke only of a daughter, it might be supposed that she was married. This is the virgin daughter whom elsewhere he thus addresses: Isaiah 54:1 "Sing, O barren, you that dost not bear; break forth into singing, and cry aloud, you that did not travail with child: for more are the children of the desolate, than the children of the married wife, says the Lord." This is she of whom God by the mouth of Jeremiah speaks, saying: Jeremiah 2:32 "Can a maid forget her ornaments, or a bride her attire." Concerning her we read of a great miracle in the same prophecy Jeremiah 31:22 — that a woman should compass a man, and that the Father of all things should be contained in a virgin's womb.

32. 이사야(Isaiah)가 우리의 믿음 및 희망의 신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보십시오.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고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할 거십니다."(이사야 7,14). 유다인들이, 히브리어에 있어 알마(Almah)라는 단어가 동정녀(a virgin)가 아니라, 젊은 여인(a young woman)을 뜻한다는 반대와 함께, 우리들을 만나는 것에 익숙해져 있음을 저는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실대로 말하면, 동정녀는 Bethulah 라고 고유하게 불리나, 그러나 젊은 여인, 혹은 소녀(girl)는 알마(Almah)가 아니고, Naarah입니다! 그렇다면 알마(Almah)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감추어진 동정녀(a hidden virgin)를, 즉, 단순히 동정녀가 아니라, 동정녀이며 그리고 그 이상의 그 무엇을, 뜻하는데, 왜냐하면 모든 동정녀가 감추어지고, 남성(men)들의 가끔의 바라봄(occasional sight)으로부터 차단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이외에 또한, 레베카(Rebecca)는, 그녀의 극단적인 순수성 때문에, 그리고 그녀는 그녀 고유의 동정성으로 그녀가 나타내었던 교회의 한 전형이었기 때문에, 아브라함의 종의, 메소포타미아에서 그에 의하여 말해졌던, 다음과 같은 말들로부터 분명하게 증명될 수도 있듯이, 창세기에서 Bethulah가 아니라, 알마(Almah)로서 서술되고 있습니다: "제 주인 아브라함의 하느님이신 주님, 오늘 일이 잘되게 해 주십시오. 제 주인 아브라함에게 자애를 베풀어 주십시오. 이제 제가 샘물 곁에 서 있으면, 성읍 주민의 딸들이 물을 길으러 나올 것입니다. 제가 ‘그대의 물동이를 기울여서, 내가 물을 마시게 해 주오.’ 하고 청할 때, ‘드십시오. 낙타들에게도 제가 물을 먹이겠습니다.’ 하고 대답하는 바로 그 소녀가, 당신께서 당신의 종 이사악을 위하여 정하신 여자이게 해 주십시오. 그것으로 당신께서 제 주인에게 자애를 베푸신 줄 알겠습니다." (창세기 24,12-14). 그가 물을 길으러 나오는 처녀(maiden)에 대하여 말하는 거기서, 히브리어 단어는 알마(Almah), 즉, 세상에서 격리된, 그리고 그녀의 부모들에 의하여 극도의 주의와 함께 보호를 받고 있는, 동정녀(a virgin secluded)를 말합니다. 혹은, 만약에 이것이 그렇지 않다면, 혼인한 여인들에게 또한 이 단어가 적용되는 장소를 아무튼 저에게 보여주십시오, 그리하면 제가 저의 무지를 인정할 것입니다. ... (이하 문장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생략).

(이상, 발췌 및 전반부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참고 1: 여기를 클릭하면, 성모님의 동정성을 부인하였던, 기원후 4세기이단(heresy)이었던 "요비니아노(Jovinianus)"의 주장에 논박을 가하는 "요비니아노 논박(Against Jovinianus)"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는, 굿뉴스 서버 제공의 성 예로니모의 성인전을 읽을 수 있습니다.

참고 2: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요비니아노(Jovinianus)"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상, 2013년 1월 4일자 내용 추가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7일]

(iii) 여기를 클릭하면(<----- 또한 필독 권유), 1950년대에 발행된, 위의 KJV1611을 현대 영어 어법에 맞도록 바로 잡은, RSV(Revised Standard Version)의 이사야서 7,14에서는, "a virgin" 대신에, "a young woman"으로 번역을 한 이후에 촉발된 논쟁들을 모은 에세이/논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유다교측의 라삐들과 성서 학자들의 격렬한 반응이 상당히 흥미로우며, 필자도 오늘(2013년 1월 7일) 처음 접하게 된, 다음과 같은 내용도 전달하고 있습니다:

(발췌 시작)
Reasons Why ‘Alma Means “Virgin”

알마가 "동정녀"를 뜻하는 이유들

The late Dr. Charles Lee Feinberg, at the time of this emotional debate surfaced, was a professor at Talbot Seminary, and had written an article about this issue. He basically said that there are reputable scholars that have held “and do hold” that the Hebrew term ‘almah in the Isaiah 7:14 context means “virgin.” 20 He also included in his article some interesting facts from a Jewish Semitic scholar by the name of C.H. Gordon. Here is his surprising ‘alma view:

“The commonly held view that “virgin” is Christian, whereas “young woman” is Jewish is not quite true. The fact is that the Septuagint, which is the Jewish translation made in pre-Christian Alexandria, takes ‘almah to mean ‘virgin’ here. Accordingly, the New Testament follows Jewish interpretation in Isaiah 7:14. Little purpose would be served in repeating the learned expositions that Hebraists have already contributed in their attempt to clarify the point at issue. It all boils down to this: the distinctive Hebrew word for ‘virgin’ is betulah, whereas ‘almah means a ‘young woman’ who may be a virgin, but is not necessary so. The aim of this note is rather to call attention to a source that has not yet been brought into the discussion. From Ugarit of around 1400 B.C. comes a text celebrating the marriage of the male and female lunar deities. It is there predicted that the goddess will bear a son....The terminology is remarkably close to that in Isaiah 7:14. However, the Ugaritic statement that the bride will bear a son is fortunately given in parallelistic form; in 77:7 she is called by the exact etymological counterpart of Hebrew ‘almah ‘young woman’; in 77:5 she is called by the exact etymological counterpart of Hebrew betulah ‘virgin.’ Therefore, the New Testament rendering of ‘almah as ‘virgin’ for Isaiah 7:14 rests on the older Jewish interpretation, which in turn is now borne out for precisely this annunciation formula by a text that is not only pre-Isaianic but is pre-Mosaic in the form that we now have it on a clay tablet.21

The above lengthy paragraph is one that every rabbi and Jewish person should read.

(이상 발췌 끝)

(iv) 여기를 클릭하면 (<----- 또한 필독 권유), 기원후 132-136년 동안에 발생하였던 로마 제국에 대한 유다인들의 두 번째 반란(Bar Kokhba revolt) [주: 로마 제국에 대한 유다인들의 첫 번째 반란은 기원후 70년에 예루살렘의 대성전의 파괴로 끝났음] 시기에 발생하였으며 그리고 기원후 156-161년 사이에 기록되었다고 말하면서 시작되는, 순교자 성 유스티노(Justin Martyr)Tryphon/Trypho과의 대화의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바쁘신 분들께서는, 클릭한 후에, "DIALOGUE WITH TRYPHON" 소제목 아래에 있는 바를 읽도록 하십시오. 

특히,

(iv-1) 유다교측의 메시아(Messiah)정의(definition)를 더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고,

(iv-2)
그리스도의 속량(redemption) 위업을 부정하고, 그리고

(iv-3)
이후의 유다인교측에서,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Trinity)를 어떠한 이유를 내세우면서 반대하는지를 분명하게 엿볼 수 있게 해 주는,

그리스도교측이 아니라, 유다교측의 입장이 잘 언급되어 있는 내용입니다.

(iv-4) 그리고 본 글의 주제와 관련하여, 이사야서 7,14에 있는 예언이 오로지 아하즈 임금의 아들인 히즈키야의 출생에 대한 예언일뿐이라고 유다교측에서 해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 1: 여기를 클릭하면, 바로 위의 (iv)에서 언급되고 있는, 순교자 성 유스티노의 Dialogue, Chapter 66-68 영어본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가, 즉, 이사야서 7,14에서의 언급이 실제로 "동정녀"인 "젊은 여인"에 대한 언급이냐, 아니면 단순히, "동정녀"가 아닐 수도 있는, "젊은 여인"에 대한 언급이냐에 대한 논쟁이, 적어도 1,900년 정도 계속되어온그리스도교측과 유다교측의 논쟁의 대상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2: key words: "Bar Kokhba revolt" "dialogue" "Justin" "virgin"  "Trypho" "Isaiah 7:14"

[이상, 2013년 1월 7일자 내용 추가 끝]. 

 
6. 오래 전에 번역된 칠십인역 그리스어 성경은, 기원후 70년 이후의 팔레스티나 지역의 유다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출현과 관련된 text들을, 도저히 변조를 할 수가 없는 상태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리고 바로 이런 우려 때문에서인지, 영어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에 의하면, 동방 교회에서는, 현재, 히브리 성경을 구약 성경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
 
위의 한줄답변들에서, 저 자신을 위하여 무슨 새로운 것을 얻은 것은 전혀 없었다는 생각입니다. 제 입장에서 볼 때에, 설명을 자세히 드리느라 시간 보낸 것인데.. 그리고 더 심각한 예제 한 개에 대하여 말씀을 추가로 드렸던 것인데.. 위에 제가 인용한 자료들은 꽤 오래 전부터 제가 수시로 참고하고 있는 자료들입니다. 김oo 형제님께서 주신 질문이, 이미 제가 알고 있는 바에 비추어 볼 때에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건이라, 제한된 한줄답변들로 올려드린 것입니다. 그리고 기왕에 말씀을 드리는김에, 그동안 읽어서 알고 있던 것을 요약해 드린 점은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위에 드린 말씀 거의 전부는, 전혀 새로운 것도 아니고 이미 가톨릭 교회측의 영문 자료들에 잘 알려져 있는 내용들을, 어쩌다 제가 이미 알게 된 내용들을, 전달해 드린 것 뿐이라, 사실은, 별 것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오래 전에 공부하여 알고 있던 것을 꺼집어 내어, 이미 오래 전에 읽어 두었던 자료들의 제시와 함께, 요약/정리하여 전달해 드린 것이었습니다. 혹시나 다른 분들께 아주 조금 도움이 될까 싶어..
 
-------------------------
 
참고 자료: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eptuagint(칠십인 역 구약 성경)"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414

(발췌 시작)
SEPTUAGINT

The most important translation of the Hebrew Old Testament into Greek. As the story goes, the Egyptian king, Ptolemy II (309-246 B.C.), sought a copy of Jewish law for his library. Eleazer, the Jewish high priest, sent six scholars from each of the Twelve Tribes to Alexandria to work on the translation. Because of the number of the scholars involved, their joint co-operative production was called the Septuagint, abbreviated LXX. The early Christians used the Septuagint as a basis for their belief in Jesus as the Messiah. As time went on, it steadily became a Christian possession and Jews lost interest in it. (Etym. Latin septuaginta, seventy.)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월 3일]
 
칠십인 역 구약 성경(septuagint)

히브리어 구약 성경의 그리스어로의, 가장 중요한, 번역본을 말합니다. 소문에 의하면, 이집트의 임금인 프톨레미 2세(Ptolemy II, 기원전 309-246년)는 자신의 도서관을 위하여 유다 율법의 사본 한 벌을 얻으려고 하였습니다. 유다교 대 사제인 엘레자에르(Elezaer)는 번역에 착수하도록 열두 지파들 각각으로부터 여섯 명의 학자들을 알렉산드리아(Alexandria)로 파견하였습니다. 개입된 학자들의 숫자 때문에, 그들 공동의 협력적인 산출물은 칠십인 역(the Septuagint)이라고 불렸으며, LXX 이라는 약어로 표기되었습니다. 초기의 그리스도인들은 메시아로서 예수님에 대한 자신들의 믿음을 위한 한 개의 근거로서 이 칠십인 역 구약 성경을 사용하였습니다.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이 성경은 견실하게 한 개의 그리스도교 소유물이 되었으며 그리고 유다인들은 이 성경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였습니다 [어원. Latin septuaginta, seventy.]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즉,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번역본인, 칠십인 역 그리스어 구약 성경(LXX)은,
기원전 3세기 전반부에, 이집트 왕인 프톨레미 2세(Ptolemy II, 기원전 309-246년)의 요청에 따라, 유다교 대사제인 Eleazer가 
유다 12지파 각 지파로부터 6명의 학자들을 알렉산드리아로 파견하여, 총 72명의 학자들이
당시의 히브리어 성경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히브리어 구약 성경의 가장 중요한 번역본이라고 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추가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30시간 (자료 찾기 및 우리말 번역 포함)


====================

<< 부 록 >> 


00 위의 사진은 아침에 일어나, 숙소에서 이른 아침 풍경을 붙잡은 것인데, 오른편에 보이는 바다 같은 것이 바로 갈릴래아 호수입니다.

01

02 위의 사진에서 뽀쪽한 탑은 해당 건물이 과거에 한 때 이슬람교 사원이었음을 우리들에게 말해 줄 것입니다.

03

04

05

06 위의 사진이 바로 문제의 안내문을 붙잡은 사진입니다. 이 글에서 말씀드리는 유적지 입구에서 촬영한 것이며, 유심히 살펴보시면 누구나 알아차릴 수 있듯이, 아래에 이어지는 사진들 모두는 이 유적지 안에서 이동하면서, 일부는 파노라마처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촬영을 한 것입니다.

07

08 위의 사진에 보이는 정면 건물이 저희들이 하루를 묵었던 숙소였습니다. 폭이 그리 넓지 않는 길 한 개를 건너면 바로 당시의 유다교 최고 의회가 있었던, 이 글에서 말씀드리는, 티베리아스 소재, 유다교 회당으로 기억하고 있는, 유적지입니다.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3

24

25

26

27

 

style="width: 1280px; height: 980px;"


[내용 추가 일자: 2020년 6월 15일]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google 제공의 위 유적지 "스트리트 뷰 및 360도"를 볼 수 있는데, 필자가 찍은 사진들이 이 유적지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 같습니다. 숙소였던 Tiberia Leonardo Club 동쪽 길 한 개 바로 건너에 위치한 유다교 회당 앞, 위의 사진들 중의 06번 사진에서 붙잡은, "Tiberia Tourist Information":

https://www.google.com/maps/place/Tiberia+Tourist+Information/@32.7856177,35.5417911,3a,90y,192.9h,83.66t/data=!3m8!1e1!3m6!1sAF1QipPV__gehbulR19z6UilwVzKSX5puILxGNUGCUat!2e10!3e11!6shttps:%2F%2Flh5.googleusercontent.com%2Fp%2FAF1QipPV__gehbulR19z6UilwVzKSX5puILxGNUGCUat%3Dw203-h100-k-no-pi-10-ya340-ro-0-fo100!7i6080!8i3040!4m14!1m6!3m5!1s0x151c3e49878e2545:0x21535b5ee1d29926!2sTiberia+Tourist+Information!8m2!3d32.7853065!4d35.5417297!3m6!1s0x151c3e49878e2545:0x21535b5ee1d29926!8m2!3d32.7853065!4d35.5417297!14m1!1BCgIgARICCAI

[이상, 2020년 6월 15일자 내용 추가 끝]


[2024-02-21자 내용 추가 시작]

https://www.google.com/maps/place/Tiberia+Tourist+Information/@32.7853066,35.5417295,3a,75y,90t/data=!3m8!1e2!3m6!1sAF1QipMW5ATcdkk8h7Nds7Gh7QwKlTWfh_jH-QfBW8_W!2e10!3e12!6shttps:%2F%2Flh5.googleusercontent.com%2Fp%2FAF1QipMW5ATcdkk8h7Nds7Gh7QwKlTWfh_jH-QfBW8_W%3Dw115-h86-k-no!7i2592!8i1936!4m7!3m6!1s0x151c3e49878e2545:0x21535b5ee1d29926!4b1!8m2!3d32.7853066!4d35.5417295!16s%2Fg%2F11g7z0gb1s?entry=ttu

[이상, 2024-02-21일자 내용 추가 끝]




1,511 4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