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십계명에서 둘째 계명의 의미는? [성경공부_십계명] [교리학습_십계명] Decalogue

인쇄

[122.128.42.*]

2011-07-29 ㅣ No.1088

 
 
질문:
 
십계명 중 두 번째 계명인
 
하느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마라
 
 
이 계명의 진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다음은 탈출기 20,7 전문입니다:
 
주 너의 하느님의 이름을 부당하게 불러서는 안 된다. 주님은 자기 이름을 부당하게 부르는 자를 벌하지 않은 채 내버려 두지 않는다.
 
1. 여기를 클릭하면,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NAB(New American Bible)에는 탈출기 20,7에 대한 주석이 주어져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다음은, 탈출기 20,7의 첫 문장에 대한 "주석 성경"의 주석입니다:
 
이스라엘이 하느님의 이름을(탈출 32,20) 불러 아는 것은 그분을 찬미하고 그분께 간청을 드리며 그분을 민족들에게 알리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그분의 이름을 거짓된 맹세, 신성 모독, 마술, 저주 등 쓸데없고 위험한 일에 사용되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3.
3-1. 다음은, 저의 졸저서인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나해-I 사순 제3주일 제1독서(탈출기 20,1-17)의 해설에 주어진 탈출기 20,7에 대한 해설입니다. 십계명에 대한 해설의 나머지 부분은 이 해설서를 참고하도록 하십시오:
 
이 구절은 단지 저주하는(cursing) 것만 언급하지 않는다. 진실이 아닌 것을 말할 떄에 맹세를 하는 것["나는 하느님께 맹세합니다(I swear to God)," "하느님을 나의 증언자로 하여(With God as my witness)," "하오니 하느님께서는 나를 도우소서(so help me God)."]도 당신의 이름을 또한 함부로 사용한 것이다.
 
3-2.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을 권고합니다.
 
산상 설교로 불리는, 그리스도인들의 윤리적 삶을 위한 핵심 가르침들인, 마태오 복음서 제5-7장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들 중에서, 탈출기 20,7을 완성시키는 가르침을 읽을 수 있습니다. 클릭하면 가지게 되는 새 화면에서, 제6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
 
4. 그런데, 위에 발췌한 주석/해설 및 이어지는 제3-2항에서의 추가 안내가, 형제님께서 궁금증해 하는 진정한 의미을 잘 설명하고 있는지요? 혹시 그렇지 못하다면, 
 
여기를 클릭하여, <----- 필독을 권고합니다.
 
위의 제2항의 졸저서의 기초 자료들 중의 하나인, 그리하여 이 졸저서의 인터넷 각주로서 제공되고 있는,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주어진 탈출기 20,1-17에 대한 해설 전문을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자 주: 십계명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전문이 상당히 유익하기에, 국내의 교우님들을 위하여, 상당한 시간(과거에 10시간 + 어제 10시간 = 약20시간)과 노력을 들여, 제가 우리말로 번역을 하였습니다.
 
당연히, 위의 제3항의 저의 졸저서에 주어진 해설과 이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주어진 해설을 함께 학습하시면, 십계명 전문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5. 혹시 여기까지 안내해 드린 글들을 학습하여도 십계명 중의 제2계명에 대한 궁금증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이 계명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의 해석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2142-2176항들을 차분히 여러 번 읽고 묵상하시기 바랍니다.
 
----------
 
 
끝으로,  
 
질문: 하느님께서 이스라엘의 자손들에게, 옛 계약과 함께, 왜 십계명을 주셨을까요?
 
이 질문에 대하여 답을 하려면 이스라엘 자손들의 종교관에 대하여 말씀을 먼저 드려야 하는데, 아직 이스라엘 자손들의 종교관을 다루는 글의 작성을 시작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의 정통 신학이 가르치는,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전달하는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바쁘지 않은 분들의 필독을 또한 권고합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55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