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 마태오 18,20 <연중19주간수복음> 869_tran KH_errors [하늘나라_번역오류][하늘나라_개념오류]

인쇄

. [39.118.118.*]

2013-03-08 ㅣ No.1347


질문:

다음은 마태오 복음서 18,19-20 전문입니다:

19. "내가 또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 가운데 두 사람이 이 땅에서 마음을 모아 무엇이든 청하면,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이루어 주실 것이다.

20.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인 곳에는 나도 함께 있기 때문이다."

이 절들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

답변: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마태오 복음서 18,20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연중 제19주간 수요일 복음 말씀(마태오 18,15-20)에 포함됩니다.

2.
2-1.
다음은 "주석 성경"마태오 복음서 18,20에 대한 주석 전문입니다:

(발췌 시작)
직역: "...... 모인 곳, 거기에 나도 그들 가운데에 있기 때문이다." 예수님의 이 말씀은 갈라져나간 조그마한 공동체들(*)까지 용납한다는 뜻이 아니다. 사실 이곳의 문맥은 이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 유일한 모임인 "교회"(17절)결합되었음을 분명히 드러낸다.(**) 그리스도의 현존이 발휘하는 힘은 요한 14,12-14; 사도 4,9-12; 1코린토 5,3-4; 묵시 2,1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마태오 복음서의 마지막 말씀도(28,20) 이러한 사실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 28,20은 또한 예수님께서 내리신 계명 준수의 핵심이 기도임을 분명히 한다.
(이상, 발췌 끝).

-----
(*) 게시자 주: 여기서 말하는 "갈라져나가 조그마한 공동체들"에는 개신교 교회들이 포함될 것이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교황청발 공지문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58.htm

(**) 게시자 주: 이 결합의 그리스도교 신학적 핵심 근거 및 당연성은, 예를 들어, 다음의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1990년 12월 7일자 회칙인 "구세주의 임무(Redemptoris missio)"의 제2장, 제20항에서도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918.htm <----- 필독 권고

클릭한 후에 제20항 전문을 여러 번 읽고 묵상할 것을 강력히 권고한다.
-----

2-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고

마태오 복음서 18,19-2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대단히 좋은 내용이므로 되도록 많은 분들께서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더 나아가,

2-3. 여기를 클릭하면,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에 주어진 주석을 읽을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Ver. 19. That if two of you. From these words, we learn how superior is public to private prayer. The efficacy of the former is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Christ in those assemblies. The Father, for his Son's sake, will grant petitions thus offered. (Jansenius) --- The fervour of one will supply for the weakness and distractions of the other. (Jansenius) ---

제19절. 두 사람이 ... 하면. 이들 단어들로부터, 우리는 공적 기도(public prayer) [즉, 미사, 성무일도 등의 가톨릭 교회의 전례(liturty)]가 사적 기도(private prayer)보다 얼마다 더 뛰어난지를 배웁니다.(*) 전자의 기도의 효능은 바로 그러한 집회(assemblies)들에 있어 그리스도의 현존에 귀속됩니다. 성부께서는, 당신의 아드님을 위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봉헌되는 청원들을 허락하실 것입니다. (Jansenius)(**) --- 한 사람의 열정은 다른 이의 나약함과 주의 산만에 대한 대체로서 역할을 할 것입니다(supply for). (Jansenius) ---

-----
(*) 번역자 주: 위의 제2-1항에 있는 "게시자 주"들을 필독하라.

(**) 번역자 주: 여기서 언급되고 있는 주석자 Jansenius 는,  소위 말하는, 여기를 클릭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 등에 주어진 설명을 읽을 수 있는, "얀센주의"로 불리는 이단(heresy)의 창시자 "Cornelius Jansen(Cornelius Jansenius Yprensis, 1585-1638년)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동명이인인, 다음의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소개되어 있는, 16세기의 가톨릭 성서 해석학자들 중에서 가장 저명한 학자들 중의 한명인 Cornelius Jansen, the Elder(Cornelius Jansenius Gandavensis, 1510-1576)을 말한다:

http://www.newadvent.org/cathen/08284b.htm

이것은, 다음의 주소에 나열되어 있는,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에 등장하는 주석자들의 이름들과 괄호 안에 병기되어 있는 그들의 임종 시점들을 자세히 들여다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는데, Jansenius 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출처: https://johnblood.gitlab.io/haydock/id533.html 
(발췌 시작)
Jansenius(1576)
(이상, 발췌 끝).
-----


Ver. 20. There am I in the midst of them. This is understood of such assemblies only, as are gathered in the name and authority of Christ; and in unity of the Church of Christ. (St. Cyprian, de Unitate Ecclesiæ.) (Challoner) --- St. Chrysostom, Theophylactus, and Euthymius explain the words in his name, thus, assembled by authority received from Christ, in the manner appointed by him, or for his sake, and seeking nothing by his glory. Hence we may see what confidence we may place in an œcumenical council lawfully assembled. (Tirinus) (St. Gregory, lib. vii. Regist. Epist. cxii.)

제20절. 그들 사이에 내가 있기 때문이다. 이 언급은, 그리스도의 이름과 권위로 모인, 그리고 그리스도의 교회(the Church of Christ)의 일치(unity) 안에 있는(*), 집회들 등과 같은 오로지 그러한 집회들에 대한 것으로 이해됩니다. [성 키프리아노(St. Cyprian), de Unitate Ecclesiæ.] (Challoner) --- 성 크리소스토모(St. Chrysostom, 347-407년), 테오필락또(Theophylactus), 그리고 Euthymius 는 당신의 이름으로,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권한에 의하여 소집된, 당신에 의하여 지명된, 혹은 당신을 위하여, 그리하여 그 결과 당신의 영광을 통하여 아무 것도 추구하지 않는,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이 표현들을 설명합니다. (Tirinus) (St. Gregory, lib. vii. Regist. Epist. cxii.)

-----
(*) 번역자 주: 위의 제2-1항에 있는 "게시자 주"들을 필독하라.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4. 여기를 클릭하면마태오 복음서 18,19-20에 대한 The Great Biblical Commentary of Cornelius a Lapide 에 주어진 해설을 읽을 수 있습니다.

3.
끝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마태오 복음서 18,20을 인용하고 있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영어가 가능한 분들께서는 또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5시간 (자료조사 및 우리말 번역 포함)



1,506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