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4월19일 성 엑스뻬디또 순교자♬AME DU CHRIST(Tradition Latin)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4-20 ㅣ No.1719

 

축일:4월19일

성 엑스뻬디또 순교자

St. Expeditus

Sant’ Espedito di Melitene Martire

Espedito = che e ingegnoso, dal greco

= that and ingenious, from the Greek

 

 

엑스뻬디또란 이름이 몇몇 순교록과 달력에 나와 있으나,

이같은 순교자가 실재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다고 한다.

 

그러나 독일과 시실리 지방에서는 18세기 이전부터 이 성인을 공경해 오는데,

특히 긴박한 상황에 처할때 이 성인에게 기도한다고 전해온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원래는 로마의 군인장교였다.

그러나 신앙을 고백한 후 4세기경 디오크레시아노의 황제의 박해시대때 순교당했다.

성인은 자동차 운전자들의 주보성인이시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순교자.殉敎者

라틴어 martyr

영어  martyr

 

신앙의 진리를 증거하기 위하여 생명을 바친 사람. `증인’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증인’은 사도행전에서 사도들만이 부활의 증인으로서 복음의 내용을 보증한다는 특수한 의미로 사용되며(사도 10:41)

스테파노(사도 22:20)와 바울로(사도 22:15)에게 적용되었고 묵시록에서는 예수께서 증인이라 불린다(묵시 1:5,3:14).

그밖에 묵시록(6:9,12:17,19:10)에는 예언자의 신분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증언을 내는데 위험한 시대에 증언을 한 증인들이(묵시 2:13,11:3,17:6) 순교자가 된 것이다.

 

2세기 중엽부터 교회는 재판소에 끌려가서 말씀의 증언을 하고도 죽지 못한 자들을 증거자(confessor-es)라 부르고

피로써 증언을 낸 자들을 증인(mar-tyres)이라 불러 양자를 구별하였는데 이는 죽음 자체가 지니는 특수한 의미 때문이었다고 생각된다.

 

순교자를 처음으로 증인이라 부른 것은 폴리카르포 주교의 순교전(165년경)에서였다.

여기서 순교자란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이 곧 하느님의 아들의 그것임을 피흘려 증거한 자 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한편 110년경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는 스미르나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순교자란 피흘려 죽음을 당함으로써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하신의 실재성을 입증한다고 하여

예수의 죽음을 부정하는 가현주의 자(假顯主義者)들의 주장을 논박하였다.

 

2세기 말엽 이레네오도 순교자를 "죽음을 당하신 그리스도의 증인"를 배격하는 입장을 분명히 하는 과정에서

교회내 순교자들의 특수한 지위를 확인하게 되었다.

순교자가 죽음을 당하면서까지 신앙을 증거할 수 있는 초인적 용기는 순교자 안에 현존하는 하느님 때문에 가능하다

(디오그네토에게 보낸 편지),

순교는 모든 죄를 없애주는 행위이므로 제2의 세례이며(테르툴리아노)

순교자 안에 그리스도께서 현존하시므로 순교자는 죽은 후 바로 천국의 영광을 누린다(알렉산드리아의 글레멘스).

신앙 때문에 죽을 수 있음을 몸소 보여주는 순교자는 악의 세력을 쳐 이긴 승리를 증거하고 다시는 고통이 없는 부활을 선포한다(오리제네스).

그러므로 순교자는 완덕(完德)에 이른 자이며 이들로 인하여 역사상 그리스도 교인의 숫자가 놀랍게 증가하였다.

그래서 "순교자는 그리스도 교인의 씨앗이다"라고 테르쿨리아노가 일찍이 설파하였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성 스테파노 첫 순교자 축일:12월26일.게시판1539번.

*성 바오로 사도 축일:6월29일.게시판1248번.1843번.

*성 폴리카르포 주교 축일:2월23일.1631번.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 축일:10월17일.게시판1424번.

*성 이레네오 주교 순교자 축일:6월28일.게시판1247번.1841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AME DU CHRIST(Tradition Latin)성요한수도회

 

 

 

 

 

 

 

 

 

 

 

 

 

 

 

 

 

 

 

 

 

 

 

 

 

 

 

 

 

 

 

 

 

 

 

 

 

EXPEDITUS

 

Also known as

Elpidius

Memorial

19 April

Profile

Possibly legendary. Unclear whether his name led to his association with expeditious matters, or the other way around. This association led to his becoming the patron of people who had to deliver things on time.

Canonized

Pre-Congregation

Patronage

against procrastination, expeditious solutions, merchants, navigators, prompt solutions

Representation

young Roman soldier holding aloft a cross; young Roman soldier holding aloft a banner with the word "hodie"

 

 

 

Sant’ Espedito di Melitene Martire

 

19 aprile

Etimologia: Espedito = che e ingegnoso, dal greco

Emblema: Palma

 

Tra tutti i componenti del gruppo dei martiri di Melitene venerati il 19 aprile insieme con Ermogene (v.), Espedito solo ha goduto di un culto popolare assai diffuso, anche se soltanto a partire da un’epoca abbastanza recente. Siccome il Martirologio Geronimiano, dal quale dipendono tutti i martirologi che fino al Romano hanno trasmesso il nome di Espedito, indica solo il nome del martire, e assolutamente impossibile avere notizie precise sull’epoca della sua vita e sul suo martirio.

Anzi il Delehaye ha avanzato l’ipotesi che il nome di Espedito non sia altro che una lettura sbagliata di quello di Elpidio, altro martire del gruppo di Melitene, il cui nome ci e pervenuto sotto ben cinque forme diverse.

Del culto di Espedito si trova traccia in Sicilia dalla meta del sec. XVIII, specialmente a Messina e Acireale, dove nel 1781 il santo fu proclamato patrono secondario della citta e veniva venerato come protettore dei mercanti e dei navigatori e, in modo piu generale, era invocato per il celere disbrigo degli affari (negotiorum et expeditionum patronus). Un secondo centro di devozione particolare ad Espedito si trova nella Germania meridionale e sembra che all’origine le ragioni di tale venerazione fossero uguali a quelle di Sicilia.

L’iconografia del santo e molto suggestiva. Abitualmente rappresentato vestito da soldato romano Espedito tenta di scacciare un corvo, che grida cra cra, mentre il santo mostra un orologio che indica hodie. In raffigurazioni piu tarde l’orologio viene sostituito dalla croce, che il santo tiene in mano. Dal non rimettere a domani cio che si deve e si puo fare oggi, Espedito e divenuto il santo nemico del domani, al quale ci si deve rivolgere per ottenere la concessione immediata, oggi stesso, di qualsiasi grazia chiesta. E non e inutile notare che questa opinione popolare, che sa di superstizione, e legata, almeno nel mondo latino, a un facile gioco verbale sul nome del santo.

Autore: Joseph-Marie Sauget

 

 



58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