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교의教義, 교리教理 라는 용어들은 가톨릭 교회의 고유한 차용 번역 용어들이다 1242_

인쇄

. [121.190.18.*]

2020-01-12 ㅣ No.2023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23.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우선적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동일한 그 무엇(something identical)을 의미하는 교회의 용어들이 결코 아닌 교의(教義, dogma, 믿을 교리)교리(教理, doctrine)라는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에 대한 안내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27.htm <----- 필독 권고

 

1-2. 이번 글에서는, 이들 번역 용어들의 출처와 기원에 대하여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2. 유관 사료 분석

 

2-1. 다음에 발췌된 바를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22.htm

(발췌 시작)

2-5-1.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1896년 일본 삼성당 발행"화영대사전" (An Unabridged Japanese - English Dictionary)의 본문 전체에 대하여 "dogma"를 검색한 결과들을 발췌된 바들인데, (i) "dogma"기 일본에서 "獨善"으로 번역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고, (ii) "dogma"가 이미, 아무리 늦더라도 1896년 이전에, 중국에서 한자 단어 "教義"(교의)로 번역되었고, 그리고 또한 (iii) "doctrine"이 이미, 아무리 늦더라도 1896년 이전에, 중국에서 한자 단어 "教義"(교의)로 번역되었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확인합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896_화영대사전/1896_cu31924082117288.pdf  

(발췌 시작)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5-1: 그런데, 바로 위에 발췌된 바를 접하고서, 혹시라도, "teachings", "dogma", 혹은 "doctrine"에 대응하는 번역 용어로서 "教義"(교의)1807년 이후에 비로소 처음으로/최초로 중국에 선교사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어느 선교사에 의하여 처음으로 도입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차용 번역 용어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그러나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역사적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1807년보다 107년 이전에, [내용 수정일자: 2022-11-03] 1700년에 저술된 장 바쎄 신부의[이상, 2022-11-03일자 내용 수정 끝] "만물시원", 제22장 여달복국, 제109a쪽에, "教義"(교의)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700_장_바쎄_만물시원/만물시원.htm   

(발췌 시작)

만물시원_제22장_여달복국_62-64 (<---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주: 제109a쪽에, "교의"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음.]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네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이상, 게시자 주 2-5-1 끝)

(이상, 발췌 씉)

 

2-2. 다음은,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아담 샬 신부님(1592-1666년)에 의하여 저술되어 1643년에 초간된 "주교연기"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92-1666_아담_샬/1643_주교연기.htm

(발췌 시작)
주교연기_권3_성교위주공은_20-25 (<---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2017년 11월 3일) 주: 권3, 제15쪽에 다음의 표현이 있음: "혹 중5륜 혹 존10계 리 본상통". [졸번역:  5륜을 중요하게 여김 혹은 10계를 존중함의 도리/원리(principle)는 원래 서로 통하나니라]; 권3, 제16쪽에 "5륜10계지속 바유부(賦)야"[졸번역: 5륜과 10계의 무리는 [천주께서] 부여하심/천성(賦)에 말미암은 바이니라] 는 언급이 있고, 그리고 각주에서 "양지"를 언급함. 또다른 각주에서 "원죄"를 언급함;권3, 제18쪽에 10계명들과 그 해설이 있음.] [(2017년 11월 14일) 주: 권3, 제19쪽에 "서납산"(즉, 시나이 산), "매슬"(즉, 모세)이 언급됨.] [(2017년 12월 14일) 주: 제14쪽에서 "교리", "성", "총", "성교", "공은", 제15쪽에서 "공교", "5륜", "10계", "성교", "천주", "창조인군(創造人羣)", "교리", "유공", "공은", "사은", "영성(性)[spirituality]", 제16쪽에서 "5륜", "10계", "유부(繇賦)", "명광", "양지", "사욕", "충렬", "절효", "희", "노", "종부", "원죄", "획죄", "초량", "자주지권", "욕능(concupiscible faculty)", "노능(irascible faculty)", [(2017년 12월 25일) 주: cf. 수신서학_권3_5_혈기사애위하_33-34  주의 사항:, 욕능 = 욕사, 노능 = 분사 임],(*)  [(*) 게시자 주: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제시된 본문 및 필자의 각주들을 읽을 수 있는 알퐁소 바노니 신부님"수신서학"은 다음의 주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66-1640_알퐁소_바뇨니/1630_수신서학.htm], "자주", 제17쪽에서 "성교", "계규", "인심", "천주", "의리", "국법", "천법", "주교(主教)제9제10양계", "10계", "권형", "인륜", "수3계", 제18쪽에서 "천주10계" "흠숭", "첨례", "망증", [주: 제9계명(신명 5,21ㄱ); 제10계명(신명, 5,21ㄴ)], "총귀(總歸, 라틴어: recapitulatio, 영어: recapitulation, 총괄복귀, i.e., altogether revert to)", "후7계", "성교", "치국", "선3계", 제19쪽에서 "주교(主教)", "첨례", "효경", "애인지강", "신체", "성명(聲名)", "재물", "살인", "투도(偸盜)", "사음", "행(行)", "언(言)", "념(念)", "인성(人性)", "개벽", "알라비(曷刺比)(Arabs, 즉, 阿拉伯)국", "서납산(즉, 시나이 산)", "매슬(즉, 모세)", "천당", "지옥", "천주강생", "총교" 등의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음]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왼쪽에서 세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직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88 3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