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하바쿡 2,4w - 믿음(faith)이란 용어의 자구적 정의의 구약 성경 근거 912_faith [성경공부_믿음] [교리학습_믿음] [율법] 668_

인쇄

. [122.128.41.*]

2010-12-23 ㅣ No.993

 
+ 찬미 예수님
 
새 번역 성경의 하바쿡서 2,4의 마지막 절은, 성 바오로의 로마서 1,17에서 인용하고 있는, 구약 성경의 바로 그 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새 번역 성경의 하바쿡서 2,4를 확인하였더니, "믿음(faith)"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다음에서 처럼, "성실함(faithfulness)"으로 번역하였습니다.
 
언뜻 보아, 이들 두 절들에서 그 의미에 있어 다른 것처럼 번역된 부분에 각각 파란 색칠을 하였습니다.
 
-----
 
1.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중의 구약 성경 하바쿡서 2,4 전문입니다:
 
(하바쿡 2,4)
보라, 뻔뻔스러운 자를.
그의 정신은 바르지 않다.
그러나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
 
-----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중의 신약 성경 로마서 1,17 전문입니다:
 
(로마 1,17) 
복음 안에서 하느님의 의로움이 믿음에서 믿음으로 계시됩니다. 이는 성경에 “의로운 이는 믿음으로 살 것이다.”라고 기록된 그대로입니다.
 
-----
 
 
2. 우선, (개신교측을 포함한) 여러 영어본 성경들에서 하바쿡서 2,4가 어떻게 번역을 하고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Nova Vulgata,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라틴어 불가타 성경)  
Ecce languidus, in quo non est anima recta; iustus autem in fide sua vivet”.

(DRB, 1582)  
Behold, he that is unbelieving, his soul shall not be right in himself: but the just shall live in his faith.
 
-----
-----
 
(KJV-1611)  
Behold, his soule which is lifted vp, is not vpright in him; but the iust shall liue by his faith.
 
(KJVA)  
Behold, his soul which is lifted up is not upright in him: but the just shall live by his faith.
 
(CEV)  
"I, the LORD, refuse to accept anyone who is proud. Only those who live by faith are acceptable to me."
 
(ESV)  
"Behold, his soul is puffed up; it is not upright within him, but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GNB)  
And this is the message: 'Those who are evil will not survive, but those who are righteous will live because they are faithful to God.' "
 
(WEB)  
Behold, his soul is puffed up. It is not upright in him, but the righteous will live by his faith.
 
(NIV)
See, he is puffed up; his desires are not upright but the righteous will live by his faith.d)
 
-----
d) Or faithfulness.
 
---------- 

3. 다음은 (개신교측 성경을 포함한) 하바쿡서 2,4 의 여러 우리말본입니다:
 
(새번역)
마음이 한껏 부푼 교만한 자를 보아라. 그는 정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의인은 믿음으로 산다.
 
(개역개정판)
보라 그의 마음은 교만하며 그 속에서 정직하지 못하나 의인은 그의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개역한글판)
보라 그의 마음은 교만하며 그의 속에서 정직하지 못하니라 그러나 의인은 2)그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진실함으로
 
-----
2) 진실함으로
-----
 
(표준새번역)
마음이 한껏 부푼 교만한 자를 보아라. 그는 정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의인은 믿음으로 산다.
 
(공동번역)
멋대로 설치지 말아라. 나는 그런 사람을 옳게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의로운 사람은 그의 신실함으로써 살리라."
 
----------
 
4.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하바쿡서 2,4의 여러 나라 번역문입니다:
 
(이탈리아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Ecco, soccombe colui che non ha l'animo retto, mentre il giusto vivrà per la sua fede.
 
(스페인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El que no tiene el alma recta, sucumbirá, pero el justo vivirá por su fidelidad.
 
[영어(NAB), 교황청 및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
The rash man has no integrity; but the just man, because of his faith, shall live. Wealth, too, is treacherous: the proud, unstable man--

(중국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
看,心術不正的,必然消逝;義人必因他的信賴而生活。
 
----------  
 
5.
 
5-1. 하바쿡서 2,4의 내용이 그리스도교 신자들에게 특히 중요한 이유는 성 바오로(와 히브리서의 저자)가 자신들의 서간들에서(로마 1,17; 갈라티아 3,11; 히브리 10,38) 이 구절을 "믿음(faith)에 대한 구약 성경적 근거"로 삼고 있다고 전통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로마서 1,17의 두 번째 문장에서 성 바오로가 언급하고 있는 구약 성경의 구절이 바로 하바쿡서 2,4로 전통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5-2.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 본 바로부터, 이러한 두 개의 번역들에 대하여, 혹시 있다면 어떠한 차이점들이 있는지, 아니면 그 의미 전달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는지 등에 대하여 제대로 알 수 없으므로, 지금부터는 Tob, NAB 그리고 나바르 성경 주석서 등에 실린 주석들을 비교/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5-3. 그리고 바리사이로서 율법 교육을 대단히 철저하게 받았다고 잘 알려진 성 바오로로마서 1,17의 두 번째 문장에서
 
-----
이는 성경에 “의로운 이는 믿음으로 살 것이다.”라고 기록된 그대로입니다.
-----
 
라고 대단히 구체적으로 언급하였기에, 유다주의 측의 "믿음(faith, emunah)"에 대한 주석[아래의 (제6-2항 및) 참고 7-2를 보라]을 또한 살펴보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
  
6.
 
6-1. 다음은 프랑스어 TOB하바쿡서 2,4 전문 및 두 번째 부분에 대한 주석입니다:
 
 
Le voici plein d'orgueil, il ignore la droiture, mais un juste vit par sa fidélité. e)
 
e) Le moitié environ des mss gr. a: le juste par la fidélité à moi (ou: par ma fidélité) vivra. Les citations de ce teste dans le N. T. (Rm 1,17; Ga 3,11; He 10,38) présentent des variants; toutefois celles-ci ne portent pas sur le mot rendu ici par fidélité et, généralement, dans le N. T. par foi. Sur les grandes lignes de l'interprétation de ce v., cf. l'Introd.
 
----- 
(이 주석의 영어 졸번역)
e) About half of greek manuscripts has: the righteous man by the faithfulness to me (or: by my faithfulness) will live. The quotations of this text in New Testament (Rm 1,17; Ga 3,11; He 10,38) present variants; nevertheless these do not carry the word rendered here by faithfulness and, in general, in New Testament by faith. On the outlines of the interpretation of this verse, cf.Introduction.
 
(이 주석의 우리말 졸번역)
e)
 그리스어 사본들의 약 절반은 다음을 가지고 있다: the righteous man by the faithfulness to me (or: by my faithfulness) will live. 신약 성경에 있어 이 본문의 인용들(로마 1,17; 갈라티아 3,11; 히브리 10,38)은 변형들을 제시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여기서 성실함으로(by faithfulness), 그리고, 일반적으로, 신약 성경에 있어 믿음으로(by faith)로 번역이 된 단어를 유지하고(carry) 있지 않다. 이 절의 번역에 대한 원칙(outlines)들은 입문(Introduction)을 참조하라. 
-----  
 
6-2.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NAB(New American Bible)하바쿡 2,4 전문 및 주석입니다:
 
1) The rash man has no integrity; but the just man, because of his faith, shall live. Wealth, too, is treacherous: the proud, unstable man--
 
-----
1) [4] The just man, because of his faith, shall live: the faith which here enables the virtuous man to survive the impending doom is both a confident belief in God's justice, and patience in awaiting its execution. St. Paul quotes these words (Romans 1:17; Gal 3:11; Hebrews 10:38) to confirm his teaching that man receives justification and supernatural life through faith in Christ. 

(우리말 졸번역)
1)[4] The just man, because of his faith, shall live:
덕이 있는 사람에게 임박한 운명을 이기고 살아남는 힘을 허락하는(enable), 여기서의 믿음(faith)은 하느님의 의로움에 대한 확신하는 신념(confident belief), 그리고 이 하느님의 의로움의 실행을 기다림에 있에서의 인내(patience) 둘 다를 말한다. 성 바오로는 사람이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의화(justification)와 초자연적 생명(supernatural life)을 받는다는 자신의 가르침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이들 표현들을 인용하고 있다(로마 1,17; 갈라티아 3,11; 히브리 10,38)
-----
 
게시자 주:
위의 NAB의 주석을 이해하려면, 예언자 하바쿡이 예언을 할 당시의 사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여기를 클릭하시면, <----- 필독을 권유합니다.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의 성경 해석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책임 편집자인 ANTONIO FUENTES가 마련한 구약 성경의 소 예언서(minor prophets)들에 대한 입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
 
6-3.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따라,
 
(i) 다해 연중 제27주일 제1독서(하바쿡 1,2-3; 2,2-4) 및
(ii) 짝수 해 연중 제18주간 토요일 제1독서(하바쿡 1,12-2,4)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주: 2000년 대희년을 맞이하여 마련된 가톨릭 교회의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방대한 성경 주석서임)의 해설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말 번역은 저의 졸번역입니다:
 
게시자 주: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 주어진 아래의 해설은, 지금까지 위에서 전달해 드린 주석들을 모두를 포함하고 있는 매우 훌륭한 해설이라는 생각입니다:
 
 
 
2:2-4. As if admitting that the prophet is right, God answers his questions. The first point he makes clear is that when he promises something, it will happen: time may pass, but his word will not pass away unfulfilled (vv. 2-3). And this delay is a test of people's faithfulness (v. 4).
 

2:2-4. 마치 이 예언자가 올바르다는 것을 인정하듯이, 하느님께서는 그의 질문들에  답변하십니다. 당신께서 분명하게 하는 그 첫 번째는 당신께서 어떤 것을 약속하실 때,  그것은 일어날 것이라는 것입니다: 시간은 지날 것이나, 그러나 당신의 말씀은 구현되지 않고 없어지지 않을 것입니다(제2-3절). 그리고 이러한 지연은 사람들의 충실함 (faithfulness)에 대한 하나의 시험(a test)입니다(제4절).

The last verse here ("Behold ...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is important in both the Jewish and Christian biblical traditions. Some rabbis saw it as a summary of all 613 commandments of the Law; the writers of the Qumran commentary understood it to mean that he who kept the Law would escape the Judgment; and in the New Testament it is quoted on a number of occasions in connexion with the power of faith and the need for fortitude.

 

여기서 마지막 절["보라, ...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Behold ...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은 유다주의 및 그리스도교의 성경적 전통들 둘 다에 있어  중요합니다. 일부 라삐들은 이 절을 율법(the Law)의 613 계명들 모두의 요약으로 이해하였으며, 그리고 쿰란 주석(the Qumran commentary)(1)의 저자들은 이 절이 율법을 지키는 자는 최후의 심판(the Judgment)을 면할(escape) 수 있을 것임을 뜻한다고 이해하였고, 그리고 신약 성경에서 이 절은 믿음의 힘(the power of faith) 및 용기(용덕)의 필요성(the need of fortitude)과 관련하여 여러 번의 경우들에 있어 인용되고 있습니다. 

 

-----
번역자 주:
(1)
여기서 말하는 쿰란 주석(the Qumran commentary)은, 1QpHab (Cave 1, Qumran, pesher, Habakkuk)로 알려진 하바쿡서에 대한 주석으로서, 1947년에 쿰란 동굴에서 발견된 사해 문서(Dead Sea Scrolls)의 일부를 말한다. 
-----

 

However, the verse is difficult to translate; this can be seen in various translations and even in the way the text is quoted in the New Testament. The Letter to the Hebrews 10:38 quotes this passage, working from the Greek translation, to exhort Christians to persevere in the faith they have received: "My righteous one shall live by faith, and if he shrinks back, my soul has no pleasure in him." Although the author of Hebrews inverts the order of the original, the meaning is unchanged. Similarly, "faith" ("faithfulness": note d) translates a very common word ('emunah) which means stability, faithfulness, faith. It is a quality of God (Deut 32:4) and also of those who honour him (2 Chron 19:9) and who are righteous in his eyes (Prov 12:22). In Romans 1:17 and Galatians 3:11, St Paul quotes the second part of the Habakkuk verse ("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 applied to the individual, to ground his teaching on justification by faith rather than by the works of the Law. St Paul's use of the verse means that it is very important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그러나, 이 절은 번역하는 것이 힘든데, 이것은 다양한 번역본(translations)들에서  그리고 심지어 신약 성경에서 이 본문이 인용되고 있는 방식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서간 10,38은, 그리스어 번역본(즉, 칠십인역)으로부터 작업하여,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들이 이미 받아들인 믿음(faith) 안에서 인내할 것을 권고하기 위하여 이 부분을 다음과 같이 인용하고 있습니다: "나의 의인은 믿음으로 살리라. 그러나 뒤로 물러서는 자는 내 마음이 기꺼워하지 않는다." 비록 히브리서의 저자가 원문의 순서를 거꾸로 하고 있으나, 그 의미는 변화가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믿음(faith)" ["성실함 (faithfulness)": 주 d]은, 안정(stability), 성실함(faithfulness), 믿음(faith)을 의미하는, 매우 널리 쓰이는(common) [히브리어] 단어('emunah')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것은 하느님의 한 본성(a quality)이며(신명 32,4) 그리고 당신을 존경하는 자들의 한 본성이며(2역대 19,9) 그리고 당신의 눈에 있어 의로운 자들의 한 본성입니다(창세기 15,6; 잠언 12,22). 로마서 1,17 갈라티아서 3,11에서, 성 바오로는, 율법의 일(works)들이라기 보다는 믿음에 의한 의화(justification by faith rather than by the works of the Law)에 대한 자신의 가르침의 기초를 두기 위하여, 개인에게 적용되는 하바쿡서 절의 두 번째 부분["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the righteous shall live by his faith)"]을 인용합니다. 이 절에 대한 성 바오로의 사용은 이 절이 그리스도교의 관점에 있어 대단히 중요함을 뜻합니다.

St Jerome's interpretation takes account of both the original audience and the Christian readership: "If your faith is weak and you begin to doubt that what was promised will come about, you will cause my soul great displeasure. But the just man, who believes in my word and never doubts the promises I make, will receive eternal life as his reward [...]. It is clear that these words contain a prophecy of the coming of Christ. The problem they contain will be resolved by him: sin will triumph and punishment be never-ending until He comes" (Commentarii in Abacuc, 2, 4).

 

The verse is similar in style to a proverb (or maxim), and can be readily applied to the Christian life. For example, just as the New Testament says of St Joseph that he was a just man (cf. Mt 1:19), the Habakkuk passage can be applied to him as a sign that justice implies faith: "To be just is not simply a matter of obeying rules. Goodness should grow from the inside; it should be deep and vital -- for the just man lives by faith' (Hab 2:4). These words, which later became a frequent subject of St Paul's meditation, really did apply in the case of St Joseph. He didn't fulfill the will of God in a routine or perfunctory way; he did it spontaneously and wholeheartedly. For him, the law which every practising Jew lived by was not a code or a cold list of precepts, but an expression of the will of the living God. So he knew how to recognize the Lord's voice when it came to him so unexpectedly and so surprisingly" (St. Escrivá, Christ Is Passing By, 41).

 

성 예로니모(St. Jerome)의 해석은 원래의 청중 및 그리스도교 독자층 둘 다를 다음과 같이 고려합니다: "만약에 그대의 믿음이 약하여 그리하여 약속되었던 바가 이루어질 것임을 그대가 의심하기 시작한다면, 그대는 나의 영혼에 커다란 불유쾌(displeasure)를 야기할 것입니다. 그러나, 나의 말을 믿어 그리하여 내가 한 약속들을 결코 의심하지 않는, 의로운 사람은 [...] 자신의 보상으로서 영원한 생명을 받을 것입니다. 이러한 표현들이 그리스도의 도래에 대한 예언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분명합니다. 그들이 가지고 있는 다음과 같은 문제는 당신에 의하여 해결될 것입니다: 죄는 승리할 것이며 그리하여 당신께서 오실 때까지 벌은 끝남이 없을 것입니다" [Commentarii in Abacuc, 2, 4]. 


이 절은 양식에 있어 한 개의 격언(a proverb) [혹은 금언(maxim)]과 비슷하며, 그리고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쉽사리(readily) 적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약 성경이 성 요셉(St. Joseph)에 대하여 그가 의로운 사람이었다고 말하는 것(마태오 복음서 1,19를 참조하라)과 꼭 마찬가지로, 하바쿡서의 이 구절은 정의(justice, 의로움)가 믿음(faith)을 의미하는 하나의 표지(a sign)으로서 다음과 같이 그에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의롭고자 함이 단순히 규정들을 지키는 문제만은 아닙니다. 선함이 내면으로부터 성장하여야 하며, 그리고 그것은 깊어야 하며 그리고 긴요하여야(vital)만 하는데, 이는 의인은 성실함으로 살기(하바쿡 2,4) 때문입니다. 나중에 성 바오로의 묵상의 한 개의 빈번한 주제(subject)가 되었던 이러한 표현들은 정말로 성 요셉의 경우에 꼭 들어맞습니다(apply). 그는 하느님의 뜻을 판에 박힌 혹은 형식적인 방식으로 실현하지 않았으며, 그는 이 뜻을 자발적으로 그리고 전심(專心)으로(wholeheartedly) 실현하였습니다. 그에게 있어, 실천하는 모든 유다인이 생활의 지침으로 삼았던 율법은 하나의 법전(a code) 혹은 규범들의 차가운 목록이 아니라, 살아계신 하느님의 뜻의 한 표현이었습니다. 그래서 주님의 음성이 전혀 예상 밖으로 그리고 대단히 놀랍게 그에게 들려왔을 때에 어떻게 인식하여야 하는지를 그는 알고 있었습니다" [성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St. Escrivá), Christ Is Passing By, 41].

-----

 

7. 
이 글의 결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7-1. 이상, 하바쿡서 2,4의 해설들에 대하여 비교/검토한 바로부터, 성 바오로가 로마서 1,17에서

 
-----
이는 성경에 “의로운 이는 믿음으로 살 것이다.”라고 기록된 그대로입니다.
-----
 
라고 말할 때의 "믿음(faith)"이라는 단어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을 알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즉, 당시의 유다인들의 경우에 있어, 그 당시의 청중(audience)으로서 성 바오로의 로마서 서간을 읽을 때에 로마서 1,17에서 "믿음"이라는 단어를 읽고는 하바쿡서 2,4를 연상하면서, 평소에 유다인들 사이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었던, 

(i)
하느님의 한 본성(a quality)인 안정(stability)(신명 32,4), 

(ii) 당신을 존경하는 자들의 한 본성인
성실함(faithfulness, 충실함)(2역대 19,9),
 그리고 

(iii) 당신의 눈에 있어 의로운 자들의 한 본성인 믿음(faith)(창세기 15,6; 잠언 12,22),
 

등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을 가진,
히브리 단어
'emunah'의 의미로 성 바오로가 말한 "믿음"을 이해하였을 것임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
 
참고 7-1: 특히 위의 (iii)의 구체적인 예(example)로서 유다인들이 받아들이고 있었던 믿음이 바로, 다음과 같이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26항 및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44항에서 구체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아브라함의 믿음이라고 성 바오로는 매우 구체적으로 로마서 4,3에서 지적하고 있음에 반드시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CCCC 26. 성경에 있어 어느 분들이 믿음에 순종하는 주된 증거자(principal witnesses)들입니까?

CCC 144-149

그러한 증거자들은 성경에 많으며, 특히 다음의 두 사람이 있습니다. 한 사람은 아브라함(Abraham)인데, 그는 시험에 놓였을 때에 “하느님을 믿었으며”(로마 4,3) 그리고 항상 하느님의 부르심(call)에 순명하였습니다. 이 이유로 그는 “믿는 자 모두의 아버지(Father of all who believe)”라고 불립니다(로마 4,11-18). 다른 한 사람은 동정 마리아(Virgin Mary)이신데, 이분께서는 전 생애에 걸쳐 ‘믿음에 대한 순종(obedience of faith, 신앙에 대한 복종)’, 즉 ‘믿음에 대한 복종’을 완전한 방식으로 실현하셨습니다(embodied).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 복음서 1,38)(엮은이 번역).

 

주: 로마서 1,5 및 16,26에서 성 바오로에 의한 ‘믿음’이란 단어의 처음과 마지막 사용들에 있어, 그가 인용한 것은 ‘믿음만으로’가 아니고,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44항에 정의되어 있는 ‘신앙의 복종(obedience of faith, 믿음에 대한 순종)으로’, 즉 ‘자신이 들은 하느님 말씀에 기꺼이 순종하는 것으로’였는데, 이것은 로마 서간 전체에 걸쳐 ‘믿음’ 단어의 사용을 위한 문장의 전후 관계를 설정한다. 성경 전체에 걸쳐 ‘믿음만으로’라는 표현이 단 한번 사용된 곳은 야고보서 2,24인데, 이곳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은 믿음만으로 의롭게 되는 것이 아니라 실천으로 의롭게 됩니다.”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immacconc_c144.htm

 

출처: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해-I, 나해-I,다해-I [엮은이: 소순태, 출판사:가톨릭출판사],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 3분 복음/교리 묵상.

주: ‘신앙(믿음)의 복종’은 다음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44항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c144.htm

-----
 
참고 7-2: 다음은 히브리어 단어 'emunah'에 대한 유다주의의 설명입니다. 영어로 된 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것이 가능한 분들께서는, 바로 위의 (i), (ii), (iii)과 비교/검토하면서 읽으시기 바랍니다:
 
 
Emunah
"Faith"
 
Emunah is the spiritual state associated with the inner experience of the highest of the three "heads" of keter, the Reisha d'lo Ityada ("the unknowable head").
 
Emunah is the essential connection, or "covenant," between Israel and God. In Chassidut we find the saying that the "simple faith" (emunah peshutah) of the "simple Jew" (yehudi pashut) links him to the "simple (absolute) unity" (achdut peshutah) of God's Atzmut (Essence, above the revelation of His infinite light, or en sof ). Every Jewish soul inherits its faith from the patriarchs and matriarchs of the Jewish people in general, and from Abraham, the "first believer," in particular. As an inherited trait, emunah is always present in every Jewish soul, though not necessarily conscious.

It is the function of the soul of Moses (present in every generation) to sustain and reinforce the consciousness of the faith of Israel, and hence Jewish identity, through the food of Torah wisdom. In the merit of Moses, manna was given to Israel. Its first appearance in Torah reads "man hu," which permutes into the word "emunah."
 
The Jew's innate readiness to fully devote his life to the service of God and sacrifice his life for the sake of God is the essential expression of his emunah in God.
 
Subscribe today and receive our (free) weekly INNER TORAH MESSAGE by email.  
 The material contained on this site has been prepared by
Gal Einai Institute
a non-profit organization dedicated to disseminating and implementing the inner wisdom of Torah--Kabbalah and Chassidut
as taken from the teachings of
Rabbi Yitzchak Ginsburgh  
©5764  Gal Einai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
 
7-2. 그러므로 우리는 다음을 알 수 있습니다.
 
7-2-1. 위에서 살펴본 바로부터 이미 알고 있는, 이 히브리어 단어가 하바쿡서 2,4에서 "성실함(faithfulness)" 혹은 "믿음(faith)"으로 번역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번역상의 중대한 하자가 있다고는 말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말씀드린 바에 의거하여, 어느 번역이 더 나은 번역인가를 말씀드리면, 하바쿡서 2,4에서, "성실함(faithfulness)"으로 번역하는 것보다는 "믿음(faith)"로 번역하는 것이 더 나은 번역이라는 생각입니다.
 
7-2-2. 그리고 로마서 등의 성 바오로의 서간들을 읽다가. 예를 들어, <<로마서 1,17에서 "믿음"이라는 단어를 접할 때에>>, 하느님의 한 본성인 안정(stability) 위에, "믿음(faith)" + "성실함(faithfulness, 충실함)" 둘 다의 의미로 이해를 하는 것이, 성 바오로가 의미하였을 원 히브리어 단어 'emunah'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에 충실한 이해를 한다는 생각입니다.
 
7-2-3. 그런데, 일반적으로 "성실함(faithfulness, 충실함)"이 수반되지 않는 "믿음(faith)"은 없을 것이며 그리고 하느님께서 "안정(stability)"이라는 본성을 항상 가지고 계심은 자명하므로, 따라서 단 한마디로 요약하면로마서 등의 성 바오로의 서간들을 읽다가, 예를 들어, <<로마서 1,17에서 "믿음"이라는 단어를 접할 때에>>, 이 단어를 "성실함(faithfulness, 충실함)보다는 "믿음(faith)"의 의미로 이해를 하는 것이, 성 바오로가 의미하였을 원 히브리어 단어 'emunah'의 자구적 의미(literal sense)에 충실한 이해를 한다는 생각입니다.
 
7-2-4. 이제 남은 것은,
 
<<바오로가 말하는 이 "믿음(faith)"의 의미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고찰뿐이며,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이에 대한 유다주의(Judaism)측과 그리스도교(Christianity)측의 대답은 본성적으로 동일하다는 생각입니다.
 
즉, 유다주의와 그리스도교 둘 다의 "믿음(faith)"이라는 단어에 대한 자구적 정의(literal definition)가 동일하다는 생각이며, 그 이유는 전통적인 유다주의측의 정의(definition), 즉 구약 성경에서, 특히 모세 오경에서 말하고 있는 아브라함이 신뢰하면서 실천하였다는(창세기 15,6)[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46항], 그리고 히브리서 11,1에 정의되어 있는, 바로 그 믿음(faith, 신앙)의 자구적 정의(literal definition)를, 예를 들어,
 
(로마서 3,30) 그분께서 할례를 받은 이들도 믿음으로 의롭게 하시고, 할례를 받지 않은 이들도 믿음을 통하여 의롭게 해 주실 것입니다.
 
(로마서 4,3; 창세기 15,6) "아브라함이 하느님을 믿으니, 하느님께서 믿음을 의로움으로 인정해 주셨다."
 
등 에서 매우 구체적으로 언급되어 있듯이, 성 바오로에 의하여 또한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참고 7-3: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46항입니다:
 
CCC 146 Abraham thus fulfills the definition of faith in Hebrews 11:1: "Faith is the assurance of things hoped for, the conviction of things not seen": "Abraham believed God, and it was reckoned to him as righteousness." Because he was "strong in his faith", Abraham became the "father of all who believe".
 
(졸번역)
CCC 146 따라서 아브라함은 다음과 같은 히브리서 11,1에 있는 믿음(faith, 신앙)의 정의(definition)을 구현한다: "믿음이란 우리가 바라는 것들의 본체/실체(realization)를 말하며, 보이지 않는 사물들의 밖으로의 표시(evidence)를 말합니다"(*): "아브라함이 하느님을 믿으니, 하느님께서 믿음을 의로움으로 인정해 주셨다"(로마 4,3).  그는 "자신의 믿음에 있어 굳세었기에", 아브라함은 "믿는 이들 모두의 아버지"가 되었다.
 
-----
(*) 번역자 주: 이 번역은, 히브리서 11,1에 대한 NAB 주석,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의 해설, 그리고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실린 evidence 단어의 사전적 설명에 따른, NAB 히브리서 11,1의 우리말 번역이며,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은 다음에 있다:
-----
 
참고 7-4: 성 바오로가 로마서에서 가르치는 의화(justification)는, "자신이 들은 하느님의 말씀에 기꺼이 순종하는, 그리하여 당신께서 원하시는대로 행동으로 실천하는 그리하여 하느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바로 이 아브라함의 믿음"의 한 결과로서 하느님께서 인정하시는 의로움을 말하는 것이지, 예를 들어 성 바오로가 또한 로마서에서 구체적으로 지적하였던 바인(로마 3,20; 3,28), 구약 시대의 바리사이들 및 율법학자들이 제시하였던 잘못된 믿음인 613계명들의 준수에 따른 행위들의 한 결과로서 자신들이 의롭게 된다는 등의, 이 아브라함의 믿음 (그리고 성모 마리아의 믿음)과는 그 기준이 다른, "어떤 다른 믿음(a different faith)"을 말하는 것이 아님을, 또한 반드시 유념하십시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있는 글에 있으니 필히 읽도록 하십시오:
 
----- 
 
여기를 클릭하면, 이번 글의 이 마지막 질문에 대한 글인, "믿음(faith)"의 자구적 정의(literal definition)에 대한 필자의 졸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30시간
 
 


1,468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