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연기(緣起)와 因緣(인연)의 정의(definitions)들 외 [교리용어_원인][969_토미즘학습][_동력인][_형상인][불교용어_연기][_인연]

인쇄

. [39.118.153.*]

2013-04-12 ㅣ No.1363


질문:

가톨릭에서는 因緣(인연)의 정의를 무엇이라 합니까? 

--------------------

답변:

+ 찬미 예수님!

1.
1-1.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불가(佛家)의 용어인 "연기(緣起)" 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124.137.201.223/main.jsp  

(발췌 시작)
"연기(緣起)"

즉, 모든 현상이 생기(生起) 소멸 하는 법칙. 이에 따르면 모든 현상은 원인인(因)조건연(緣)이 상호 관계하여 성립하며, 인연이 없으면 결과도 없다.
(이상, 발췌 끝).

1-2. 따라서, 이 설명으로부터 우리는

"因緣(인연)" = "원인과 조건"

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제공의 "Mind in Indian Buddhist Philosophy(인도의 불가 철학에 있어 마음)" 이라는 제목의 논문에 의하면,

"因緣(인연)" = "causes(因, hetu, 원인들) and conditions(緣, pratyaya, 조건들)"

라고 영어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위의 제1항"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간접적 설명과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3.
그런데,

3-1.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한전(漢典)" 에서는,
 
"인연(因緣)" = "principal and subsidiary causes(주된 그리고 보조적인 원인들)"

라고 영어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3-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중국인들이 사용하는 "한전(漢典)" 에서는,

"연기(緣起)" = "origin(發端, 발단); words of reasons(까닭들에 대한 말들)"

라고 영어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4.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자료에 의하면 국내의 철학계에서는

"연기(緣起)" = "causality"

라고 합니다.

출처: http://philosophy.snu.ac.kr/center/analysisPDF/7-25.pdf [옛 추소]
출처 2: http://ch.catholic.or.kr/pundang/4/info/토픽맵에_기초한_철학_디지털_지식_자원_구축_1_072.pdf [새 주소; 2023-11-26]


5.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Modern Catholic Dictionary(현대 가톨릭 사전) 에 주어진 "causality"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문장이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 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28.htm  

(발췌 시작)
CAUSALITY

The influence of a cause in the production or modification of a being. An efficient cause exercises efficacy on the effect produced; the final cause gives purpose or attraction; an exemplary cause gives guidance; and both material and formal causes communicate their being to the effect, the material supplying that from which a thing is produced and the formal giving it the specific nature it acquired.

연기(緣起, causality)

어떤 있음(a being)(*)의 산출(production) 혹은 변경(modification)에 있어 어떤 원인의 영향(the infulence of a cause)을 말합니다.
 (i) 어떤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동력인(動力因)/작용인(作用), an efficient cause]은 산출되는 결과 위에 효능(efficacy)을 행사하고(exercises), 그리고 (ii) 최종 원인[목적인(目的因), the final cause]은 목적(purpose) 혹은 매력(attraction)을 제시하며(gives), 그리고 (iii) 어떤 본이 되는 원인(an exemplary cause)은 안내(guidace)를 제시하고, 그리고 (iv) & (v) 질료적 원인 및 형상적 원인[질료인(質料因)형상인(形相因), material and formal causes]들은
, 그 질료(the material)가 그것으로부터 어떤 사물이 산출되는 바로 그것을 제공함으로써, 그리고 그 형상(the form)이 그 질료에 그것이 획득하게 되는 바로 그 종(種)적 본성(specific nature)을 제공함으로써, 그 결과(the effect) 쪽으로 그들의 있음(有, being)을 나누어 줍니다(communicate).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1) 번역 용어들인 "있음(有, being)", "본질(本質, essence)", "본성(本性, nature)" 등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을 반드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6.htm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저술, 제목: 있음과 본질(Being and Essence, De Ente et Essentia)]

(2) "communicate" 를 "나누어 주다" 로 번역한 것에 대한 자세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95.htm <----- 필독 권고
-----

6.
이번 항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토미즘(Thomism)에서 구분하고 있는 다양한 원인(causes)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더 구체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6-1. 우선적으로,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c/c129.htm

(발췌 시작)
CAUSE

A principle from which something originates with consequent dependence. It is a being that in some way directly affects the being or change of something else. It is that which gives existence in some way to another or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another being.

원인(CAUSE)

그것으로부터 후건(後件)적 의존(consequent dependence)을 가지는 그 무엇이 발단(發端)하는(originates) 어떤 원리(a principle)(*)를 말합니다.
이 원리는, 어떤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이 있음(有, the being)에 혹은 어떤 다른 것의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어떤 있음(有, a being)입니다. 이 원리는, 다른 것에 어떤 방식으로 존재(existence)를 제공하거나 혹은 다른 있음(another being)의 존재(existence)를 위한 이유/까닭(reason)인,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20일]

-----
(*) 번역자 주: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principle(원리)"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의 제2-5항제2-6항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9.htm <----- 필독 권고

-----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efficient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e/e040.htm

(발췌 시작)
EFFICIENT CAUSE

An agent in the production of any effect. It is that which, by its activity or exercise of power, produces existence or change in another.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동력인(動力因)/작용인(作用), EFFICIENT CAUSE]

임의의 결과의 산출에 있는 어떤 동인(動因, an agent)을 말합니다. 이것은, 그 활동 혹은 힘의 행사에 의하여, 존재(existence) 혹은 다른 것에 있어 변화(change)를 산출하는,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gent"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a/a157.htm 

(발췌 시작)
AGENT

In scholastic philosophy and theology, an efficient cause, namely that which by its activity produces existence or change in another. (Etym. Latin agens, doing, active, effecting; also cause, agent; from agere, to do, drive, conduct.)

 

동인(動因)/작인(作因)(AGENT)

스콜라 철학과 신학에 있어, 어떤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동력인(動力因)/작용인(作用), an efficient cause], 즉, 그것의 활동에 의하여 존재(existence) 혹은 다른 것에 있어 변화(change)를 산출하는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어원. Latin agens, doing, active, effecting; also cause, agent; from agere, to do, drive, conduct].

-----
번역자 주: 따라서, "동인(動因)" = "작인(作因)" = "동력인(動力因)" 이다.
-----

6-4.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irst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75.htm

(발췌 시작)
FIRST CAUSE

 

God as the first cause of all things, because he is the first in the series of all other causes. Also, God as immediately operating in all finite causality, as the underlying cause on which all other causes constantly depend for their activity.

 

첫 번째 원인(FIRST CAUSE)

하느님을 모든 사물들의 첫 번째 원인으로서 말하는데, 왜냐하면 당신이 모든 다른 원인들로 구성된 일련에 있어 첫 번째이시기 때문입니다. 또한, 하느님을 모든 유한한 연기(緣起, causality)에 있어 즉시 작용함(operating)으로서, 그 위에서 모든 다른 원인들이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활동을 위하여 의존하는, 그 밑에 있는 원인(the underlying cause)으로서,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5.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econdary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s/s195.htm

SECONDARY CAUSE

A created cause that is totally dependent on the First Cause, who is God. It is a cause that can produce a certain kind of effect but cannot produce the being or existence of the effect.

 

두 번째 원인(SECONDARY CAUSE)

 
하느님이신 첫 번째 원인(the First Cause)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어떤 창조된 원인(a created cause)을 말합니다. 이것은 결과라는 어떤 특정한 종류를 산출할 수 있으나(produce) 그러나 이 결과의 있음(有, being) 혹은 존재(existence)를 산출할 수 없는 어떤 원인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6.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inal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065.htm

(발췌 시작)
FINAL CAUSE

The end or purpose that an intelligent being has in performing an action or producing an effect. Strictly speaking, only created beings can have a final cause in what they do. God cannot properly be motivated by any cause, as though he were in any way changed or modified by his actions. Yet he does act for a purpose, which is really his own infinite goodness and identified with the divine essence.
 
최종 원인[목적인(目的因), FINAL CAUSE]

어떤, 지성을 가진, 있음(an intelligent being)이 어떤 행동(an action) 혹은 어떤 결과(an effect)를 산출함에 있어 가지는 끝(end, 목적지) 혹은 목표(purpose)을 말합니다.
엄밀하게 말하여, 오로지 창조된 있음(created beings)들만이 그 무엇인가 안에서 그들이 행하는 어떤 최종 원인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하느님은, 마치 당신께서 임의의 방식으로 당신의 행동들에 의하여 변화되거나 혹은 변경되는 것처럼, 임의의 원인에 의하여 타당하게(properly) 자극될(be motivated) 수가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느님께서는, 실제적으로 당신 고유의 무한한 선함(goodness)과 그리고 하느님의 본질(the divine essence)과 동일시되는, 어떤 목적을 위하여 작용하십니다(act).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7.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material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m/m109.htm

(발췌 시작)
MATERIAL CAUSE
 
That out of which something is produced or made. The passive element in any change, which is united with the active element to form one physical being. The substratum in every change that itself remains unchanged.

질료적 원인[질료인(質料因), MATERIAL CAUSE]

그것으로부터 그 무엇이 산출되거나 혹은 만들어지는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임의의 변화에 있는 수동적 요소(passive element)를 말하는데, 이것은, 하나인(one) 형이하학적 있음(one physical being)을 형성하기(form) 위한, 능동적 요소(active element)와 함께 결합됩니다. 모든 변화에 있어 그 자신은 변화되지 않고 남아있는 하층(下層, substratum)을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8.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ormal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115.htm

(발췌 시작)
FORMAL CAUSE

The specific element in a being which communicates itself to the indeterminate or less determinate element and together with this matter or substratum constitutes the whole being. One of the four principal causes in Thomistic philosophy.

형상적 원인[형상인(形相因)/형식인(形式因), FORMAL CAUSE]
 
한 있음(有, a being)에 있어, 그 자신을 미정의(indeterminate) 혹은 덜 확정된(less determinate) 요소에 나누어 주는(communicate) 그리하여 바로 이 질료/재료(matter) 혹은 하층(下層, substratum)과 함께 전체 있음(the whole being)을 구성하는, 종(種)적 요소(specific element)를 말합니다. 이것은 토미스트 철학(Thomistic philosophy)에 있어 네 개의 주된 원인(principal causes)들(*) 중의 한 개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1) 토미스트 철학(Thomistic philosophy)에 있어 네 개의 주된 원인(principal causes)들은, 동력인[動力因, 어떤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 an efficient cause, 동인(動因, an agent], 목적인(目的因, 최종 원인, the final cause), 질료인(質料因, 질료적 원인, the material cause), 그리고 형상인(形相因형상적 원인, the formal causes)/형식인(形式因)를 말한다.
 

(2) 그리고 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은 바로 위의 네 개의 항들에서 주어졌는데, 이들에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져 있다. 영어가 가능하고 또 바쁘지 않을 경우에, 클릭한 후에, The Scholastic analysis of causation 항을 읽도록 하라:
http://www.newadvent.org/cathen/03459a.htm <----- 필독 권유

 

(3) "communicate" 를 "나누어 주다" 로 번역한 것에 대한 자세한 글은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95.htm <----- 필독 권고
-----

6-9.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necessary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n/n051.htm

NECESSARY CAUSE

 

An agent that acts according to compulsory tendencies of its nature, and not freely or from conscious intent. It is a naturally determined agent that cannot not act the way it does.

 

필연적/필연 원인(NECESSARY CAUSE)

그 본성의 강제적인 경항(compulsory tendencies)들에 따라 작용하는(acts), 그리하여 자유롭게 혹은 의식하고 있는 목적(intent)으로부터가 아닌, 어떤 동인(動因, an agent)을 말합니다.
이 원인은, 그것이 행하는 바로 그 방식을 작용하지 아니 할 수 없는(cannot not), 한 개의 자연적으로 결정되는 동인(動因, agent)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12월 12일]

게시자 주 6-9: (1) 따라서,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필연/필연적 원인은, 명제 "p implies q"가 참(true)임이 증명되는, 그 진위를 규명하고자 하는, 주어진 명제 p의 필요 조건인 어떤 참인 명제 q를, 즉, 조건 p를 만족하는 바(즉, 상태 혹은 행위)로 변성할(become) 수도 있게 하는 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인 어떤 참인 명제 q를 말한다.

 

(2) 따라서,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충분/충분적 원인(sufficient cause)은, 명제 "p implies q"가 참(true)임이 증명되는, 그 진위를 규명하고자 하는, 주어진 명제 q의 충분 조건인 어떤 참인 명제 p를, 즉, q사변 원리(speculative principle)인 어떤 참인 명제 p를 말한다.


(3) 명제 q의 진위 여부를 규명하고자 할 때에, 명제 "p implies q"가 참(true)임이 증명되는 한 개의 명제 p, 즉, 그 진위를 규명하고자 하는, 주어진 명제 q사변 원리(speculative principle)인 한 개의 참인 명제 p를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매우 어려움에, 반드시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는 달리,


명제 "q implies r"이 참(true)임이 증명되는 한 개의 명제 r, 즉, 그 진위를 규명하고자 하는, 주어진  명제 q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인 한 개의 참인 명제 r을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그 진위를 규명하고자 하는, 주어진 명제 q사변 원리(speculative principle)인 한 개의 참인 명제 p를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것보다, 훨씬 더 쉬운 일임에 반드지 주목하라.

[이상, 2023년 12월 12일자 내용 추가 끝]

6-10.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free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f/f144.htm

(발췌 시작)
FREE CAUSE
 

 

An agent acting from knowledge and with deliberate purpose, as distinct from a necessary cause.

 

자유적 원인(FREE CAUSE)


어떤 필연적 원인(a necessary cause)과 구분되는 것으로서, 지식(knowledge)으로부터 그리고 고의의 목적(deliberate purpose)과 함께 작용하는 어떤 동인(動因, an agent)을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1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moral cause"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m/m279.htm

(발췌 시작)
MORAL CAUSE

 

A free cause as distinguished from a necessary one. The opposite of a physical cause. One that acts as a motive for the performance of a free action or serves as an occasion that favors the action of a free cause.
 
윤리적 원인(MORAL CAUSE)

어떤 필연적 원인과 구분되는 어떤 자유적 원인(a free cause)을 말합니다.
어떤 형이하학적 원인(a physical cause)반대를 말합니다. 어떤 자유로운 행동의 수행을 위한 어떤 동기(a motive)로서 작용하는 혹은 어떤 자유적 원인에 기인하는 행동을 선호하는 어떤 계기(an occasion)로서 역할을 하는 원인을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번역자 주: 
(1)
따라서, 이상 학습한 바로부터 우리는, 동인(動因)/작인(作因)(AGENT), 즉, 동력인(動力因, efficient cause)에는, (i) 필연적 원인(necessary cause), (ii) 자유적 원인(free cause), 그리고 (iii) 윤리적 원인(moral cause)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2)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이들 용어들을 포함하는, 더 자세한 설명을 읽을 수 있는데, 영어가 가능하고 그리고 바쁘지 않을 경우에, 필독을 권유한다:

http://www3.nd.edu/Departments/Maritain/etext/cp23.htm <----- 필독 권유
[or http://maritain.nd.edu/jmc/etext/cp23.htm ]  

http://www3.nd.edu/Departments/Maritain/etext/lamp11.htm <----- 필독 권유
[or http://maritain.nd.edu/jmc/etext/lamp11.htm ]

-----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12월 12일]

6-1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instrumental cause"(도구적 원인)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i/i211.htm 

(발췌 시작)

INSTRUMENTAL CAUSE


Anything serving as a subordinate cause. It is a cause that does not begin an action but is applied and directed as a help to its efforts and purpose by the principal agent. An instrumental cause exercises its influence chiefly according to the form and intention of the principal efficient cause. In Catholic theology the role of the priest at Mass and in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is that of instrumental cause, used by the principal agent, who is Jesus Christ.


도구적 원인(Instrumental Cause)


어떤 종속하는 원인으로서 도와주는(serving) 어떤 것(snything)을 말합니다. 이 원인은 어떤 행동을 시작하지 않고 다만 주된 동인(動因)/작인(作因)(AGENT)에 의하여 그 노력(efforts)들 및 목적(purpose) 쪽으로 한 개의 도움으로서 적용되고 그리고 지시를 받는 한 개의 원인입니다. 한 개의 도구적 원인어떤 결과를 산출하는 원인[동력인(動力因)/작용인(作用), an efficient cause]의 형식(form) 및 의도(intention)에 따라서 주되게 그 영향을 행사합니다. 가톨릭 신학에서, 미사(Missa)에서 및 성사(sacraments)들의 관리에 있어 사제(priest)의 역할은, 예수 그리스도이라는 주된 동인(動因)/작인(作因)(AGENT)에 의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원인의 바로 그것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1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oper cause"(고유한 원인)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p/p496.htm 

(발췌 시작)

PROPER CAUSE


The specific cause required to produce a particular effect. Thus, God is the proper cause of the world's existence; a human being is the proper cause of intelligible speech.

 

고유/고유한 원인(proper cause)

 

어떤 특별한 결과(a particular effect)를 산출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종적 원인(specific cause)을 말합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하느님은 이 세상의 존재(existence)의 고유한/고유 원인이시며, 그리고 한 명의 인간(a human being)은 지성이 이해할 수 있는(intelligible) 연설의 고유한 원인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6-14.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exemplary cause"(의방(依倣) 원인)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e/e224.htm 

(발췌 시작)

EXEMPLARY CAUSE


The cause that an intelligent being uses as the pattern or model, in the mind, for producing some effect. Thus the univers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Divine Plan, consisting of the ideas present in the mind of God from all eternity.


의방(依倣) 원인(exemplary cause)


한 명의 지능이 있는 있음(an intelligent being)이 어떠한 결과를 산술하기 위하여, 마음(mind) 안에서, 모범/본보기(pattern) 혹은 귀감(model)로서 사용하는 원인을 말합니다.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영원으로부터 하느님의 마음(mind) 안에 현존하는 관념(ideas)들로 구성된, 신성적 계획(Divine Plane)에 따라 이 우주(the universe)가 과거에 창조되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cause" "Dictionary of Terms" site:therealpresence.org/dictionary

[이상, 2023년 12월 12일자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성에 소요된 시간: 약 6시간. 



1,466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