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사동성당 게시판

0에서 1까지.....

인쇄

김선주 [zizibe76] 쪽지 캡슐

2002-04-12 ㅣ No.9758

 옛날에 생명을 사랑하는 임금님이 계셨습니다.

 

 임금님의 정원에는 온갖 꽃과 나무들로 충만해 있었지요.

 

 그런데 하루는 늙은 정원사가 달려와서 수심 어린 목소리로 말하기를

 

 "임금님, 임금님, 큰일났습니다. 정원의 꽃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

 

 정원의 나무들이 말라가고 있습니다."

 

 

 

 임금님이 깜짝 놀라 정원으로 달려갔지요.

 

 "포도나무야, 포도나무야, 너는 왜 죽으려고 하느냐"

 

 "임금님, 저는 없어도 괜찮은 존재입니다.

 

  저는 열매를 맺긴 합니다만 사과나 배나 오렌지에 견줄 수 없습니다.

 

  더구나 일어 설 수도 없습니다.

 

  가지에 얹히어야 덩굴을 뻗고 제대로 몸을 지탱하게 됩니다.

 

  임금님, 저 같은 것은 없어도 되는 존재입니다."

 

 

 

 임금님은 말없이 장미에게로 가서

 

 "장미야, 너는 왜 죽으려고 하느냐"

 

 "임금님, 저는 열매맺지 못함을 슬퍼합니다.

 

 꽃이 시들면 저는 가시덩굴에 불과합니다.

 

 세상사람들이 저를 혐오합니다.

 

 그래서 저는 죽기로 했습니다"

 

 

 

 장미는 임금님 정원의 여왕이었지요.

 

 그의 외모는 화려하고 향기는 매혹적이었으며

 

 그의 자존심은 그 몸의 가시보다도 더 도도하게 솟아있었습니다.

 

 그러던 장미의 생명에 대한 포기는 임금님을 한없이 절망하게 했답니다.

 

 

 

 "전나무야, 너까지 왜 이렇게 내 속을 속이느냐?"

 

 수려한 가지를 마음껏 뻗고 잘생긴 이마를 들어 구름을 바라보면서 사시사철

 

 한결같이 성실하던 전나무에게 다가간 임금님은

 

 한숨을 쉬면서 물었습니다.

 

 

 

 "임금님, 저야말로 쓸모 없는 존재입니다.

 

 제가 꽃을 피울 수 있습니까? 아니면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까?

 

 공연한 몸뚱이만 가지고 발아래 풀들만 괴롭힙니다."

 

 

 

 ’아! 말도 안 되는 소리다.’

 

 임금님의 마음은 괴롭다 못해 노여웠답니다.

 

 

 

 "그것은 겸손이 아니다. 그것은 오만이다.

 

 죽는 것이 소원이라면 모두 죽어도 좋다."

 

 

 

 ’생명을 사랑하는 임금님이지만

 

 생명을 우습게 여기고 살기를 거부하는 것들까지 사랑할 수 없었구나!’

 

 

 

 힘없이 궁중으로 돌아오는 임금님의 뒷모습은

 

 슬픔과 고통으로 흔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뭐란 말입니까.

 

 층계의 돌 틈바구니를 비집고 건강하게 솟아오른 꽃

 

 대롱이 정오의 햇살아래 황금색 꽃잎을 활짝 펴고 있는 꽃.

 

 그것은 민들레가 아닙니까. 이번에는 임금님이 이렇게 말했지요.

 

 

 

 "민들레야, 민들레야, 다들 죽겠다고 하는데 너는 왜 살고자 하느냐?"

 

 "임금님, 저는 민들레입니다.

 

 민들레 외에 다른 것이 되기를 원하지 않습니다.

 

 장미가 아닌 것을 한탄하지 않습니다.

 

 포도나무처럼 열매맺지 못하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전나무처럼 사시사철 푸르게 서있지 못함을 슬퍼하지 않습니다.  

 

 나는 다름 아닌 민들레이기 때문입니다.

 

 임금님의 정원 한 귀퉁이 돌층계 틈에 비좁은 장소가 저의 영토입니다.

 

 저는 여기서 세계로 나아갈 꿈을 꿉니다."

 

 

 

 이렇게 말하는 민들레꽃 위에

 

 해는 더욱 찬란하게 해는 더욱 풍성하게 빛을 붓고 있었습니다.

 

 

 

 "훌륭하구나 민들레야, 장하구나 민들레야.

 

 네가 아니었으면 나는 어리석은 임금이 될 뻔했구나.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생명 하나를 잊고 살 뻔했구나.

 

 나는 나의 정원을 민들레로 채우고 싶다. 내 소원을 들어다오."

 

 

 

 이 이야기는 아마도 여기쯤에서 끝이 나야 할 것입니다.

 

 

 

 장미와 전나무들은 정말로 살기를 그만 두었는지 어쨌는지

 

 그후의 소식이야 어떤들 어떻습니까.

 

 

 

 작은 민들레의 자긍하는 마음이 유유한 향내로 온 정원을 불밝혀

 

 부활하게 하는 것을.

 

 남들이 보기에는 초라하기 짝이 없는 들꽃에 불과하지만  

 

 제힘으로 자신을 광채 나게 하여

 

 죽어 가는 정원의 마지막 파수꾼이 되는 민들레의 승리가

 

 참으로 아름답고 눈물겨운 것을.

 

 

 

 타인 백 사람이 나를 사랑한다 하여도

 

 본인인 내 스스로가 긍지를 버린다면 백 사람의 사랑이 무슨 쓸모가 있겠느냐?

 

 

 

                              -이양하의 "영에서 하나까지"중에서-

 

 

어때여? 정말 참 좋은 글이져?  

 

어떤 처지에서든지 자신에 충실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삶

 

우리도 배워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자신을 사랑하고 소중하게 여길 줄 아는 사람은

 

모든사람을 포용할 줄 아는 용기도 가지고 있다는데...

 

전 늘 제가 그어놓은 이 세상의 잣대와 쓸데없는 이기심...

 

또 자존심 내세워 속상해하구 힘들어합니다...

 

결국 그 모든것이 제게도 언젠간 해가 될텐데 말입니다.

 

내가 갖추고 있지 못한것을 가지고 있는 남을 시샘하고 탓하기보단

 

사랑하며 그들에게 배우려 노력해야겠습니다.

 

오늘부터 황사가 또 온다던데...

 

15년만에 첨으루 문밖을 나서서 제주도로 출발하신 부모님이

 

존 시간 보내고 오시길 기도드릴밖에여...

 

여러분도 행복한 주말되시길 빕니다...

 

이만....

 

3월부로 길동신자로 교적을 파온 Angela였슴다....

 

^_________^



69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