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IIa IIae q43 악한 표양(스캔들)이란? [교리학습] [신학대전여행]

인쇄

신학대전여행 [110.14.3.*]

2011-06-01 ㅣ No.1058

 
게시자 주:
 
+ 찬미 예수님!
 
자신이 자신 고유의 주장을 하고 있기에, 다른 이들도 모두 자신 고유의 주장을 하는 줄로 생각/판단하는 것은, 아마도 악한 표양일 것입니다.
 
거룩한 교회의 교도권이, 예를 들어, "악한 표양"이 무엇인지를 가르치는 이유는,
 
(1) 그러한 행위를 하는 자들을 교화시켜 그만 두게 하고자 함 있을 것이며, 그리고
 
(2) 특히 그러한 행위를 의도적으로 시도하는 자들의 유혹에 우리들이 넘어가지 말 것을
 
우리들에게 가르치기 위함에 있을 것입니다.
 
--------------------
 
 
+  찬미 예수님!
 
 
     이번 글에서는, 우리말 가톨릭 교회의 문헌들에서 "악한 표양"으로 번역이 되고 있는, 악덕(vices)들 중의 하나인scandal(스캔들)의 정의(definition)와 이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을 함께 학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마련하게 된 이유는, 혹시 이 글을 읽음으로써, 그동안 자신이 올린 본글들, 답글들, 그리고 한줄답변들이 다른 이의 영혼을 존중하지 않는 악한 표양을 보인 것은 아닌지에 대하여, 함께 반성해 보는 계기를 삼고자 함에 있습니다.
  
 
1. 다음은,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실린 "scandal"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
 
SCANDAL: An attitude or behavior which leads another to do evil (2284).
 
악한 표양(SCANDAL, 스캔들): 다른 이로 하여금 악을 행하도록 이끄는 태도나 처신을 말한다(CCC 2284).
 
-----
 
2. scandal이 "악한 표양"으로 번역되어,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84항에서 번역 용어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다음은 굿뉴스 서버 제공의 가톨릭 대사전에 실린 표양(表樣)이라는 한자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
 
◆ 표양 ◆   
 
한자  表樣 
라틴어  exemplum 
영어  model  
 
     ≪한불자전≫에 따르면 ‘표양’이란 말은 모범 또는 본보기를 뜻한다. 어떤 사람 또는 어떤 물건의 본보기가 되는 사람, 대상, 생각 등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런 의미에서, 그리스도와 성인은 그리스도교 완덕(完德)의 모범 즉 ‘표양’으로서 하느님께서 주신 것이다.
 
     “좋은 모범을 보인다”는 옛말이 “좋은 표양을 뵈다”이고, “나쁜 모범을 보인다”는 옛말로는 “악한 표양을 뵈다”로 사용해 왔다.
 
-----
 
게시자 주: 악습들 중의 하나인 "Scandal""악한 표양"으로 번역하는 것보다는, "나쁜 표양(bad example)" 혹은 "나쁜 모범(bad model)" 으로 번역하는 것이, 아래의 제4항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Scandal"이라는 용어에 더 적합한 번역 용어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3. 다음은,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84-2287항 전문입니다.
 
소 제목에 의하면, 타인의 영혼을 존중하지 않는 자들이 악한 표양을 보인다고 가르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
 
II. 인간 존엄성의 존중
 
타인의 영혼 존중`: 악한 표양
Respect for the souls of others: scandal
 
2284 악한 표양(스캔들)은 악을 저지르도록 타인을 이끄는 태도나 행위이다. 악한 표양을 보이는 사람은 이웃을 악으로 이끄는 유혹자가 되는 것이다. 그는 덕과 정의에 해를 끼침으로써, 그의 형제를 영적 죽음으로 이끌어 들일 수 있다. 만일 어떤 행위나 부작위로 일부러 타인이 심각한 과실을 저지르게 한다면, 그 악한 표양중죄(*)가 된다.
 
2284 Scandal is an attitude or behavior which leads another to do evil. The person who gives scandal becomes his neighbor's tempter. He damages virtue and integrity; he may even draw his brother into spiritual death. Scandal is a grave offense(중대한 위반) if by deed or omission another is deliberately led into a grave offense.
 
-----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11월 24일]

(*) 게시자 주: (번역 오류) 위의 제2284항에서,

영어본에서 "Scandal is a grave offense if ... "로 번역된 표현을,

"만일 ... 악한 표양은 중대한 위반이다."로 우리말로 직역 번역하지 않고

위의 기존의 우리말 번역본에서처럼, 

"만일 ... 악한 표향은 중죄가 된다."로 번역한 것은

번역 오류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는,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offense"의 설명에 의하면, "offense" 는, 죄(sin)의 원인(cause)인, "걸림돌(stumbling block)" 등을 뜻하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말로의 번역시 주의 사항 한 개: 더 포괄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sin(죄)"(때로는 죄의 원인인) "offense(모욕, 위반, 걸림돌)"로 구분하여 번역되고 있는 동일하지 않은 개념(concepts)들을, 예를 들어, 우리말로 번역시에 "죄" 라는 한 가지 번역 용어로 번역을 해 버리면, 번역 과정에서 개념의 변형/축소 등을 야기하게 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종류의 "의역 번역(free translation)"은 적극적으로 지양/회피하여야 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grave offense""grave sin"을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grave offense"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CCC의 항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grave sin"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CCC의 항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2285 악한 표양은, 그것을 보이는 사람의 권위나 그것에 걸려 넘어지는 사람의 약함 때문에 특별한 중대성을 띠게 된다. 악한 표양은 우리 주님께 다음과 같은 저주를 불러일으켰다. “나를 믿는 이 작은 이들 가운데 하나라도 죄짓게 하는 자는, 연자매를 목에 달고 바다 깊은 곳에 빠지는 편이 낫다” (마태 18,6) . 59) 본성이나 직무에 따라 다른 이들을 가르치고 교육할 의무가 있는 사람들이 악한 표양을 보인다면 이는 매우 심각한 악이 되는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이 점에 대해서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을 꾸짖으신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양의 탈을 쓴 이리로 비유하신다. 60)
 
-----
59. 1코린 8,10`-13 참조
60. 마태 7,15 참조.
-----
 
2285 Scandal takes on a particular gravity by reason of the authority of those who cause it or the weakness of those who are scandalized. It prompted our Lord to utter this curse: "Whoever causes one of these little ones who believe in me to sin, it would be better for him to have a great millstone fastened round his neck and to be drowned in the depth of the sea."85 Scandal is grave when given by those who by nature or office are obliged to teach and educate others. Jesus reproaches the scribes and Pharisees on this account: he likens them to wolves in sheep's clothing.86
 
2286 악한 표양은 법이나 제도, 유행이나 여론 등으로 유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풍속의 퇴폐나 종교 생활의 타락, 또는“고의적이건 아니건  
     계명에 합치되는 그리스도인다운 행동을 어렵게 하거나 실제적으로 
     불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들” 61)로 이끄는 법이나 사회 구조를 
     촉구하는 사람들은 악한 표양을 보이는 잘못을 저지르는 것이다. 부정 
     행위를 조장하는 규칙을 정하는 기업주들이나, 자기가 가르치는 학생들을
     “성나게 하는” 62) 교사들, 그리고 여론을 조작하여 도덕적 가치에서 
     벗어나게 하는 사람들도 똑같은 죄를 짓는 것이다.
 
-----
61. 비오 12세, 라디오 연설(1941.6.1.): AAS 33(1941), 197면.
62. 에페 6,4; 콜로 3,21 참조.
-----

2286 Scandal can be provoked by laws or institutions, by fashion or opinion.

     Therefore, they are guilty of scandal who establish laws or
     socialstructures leading to the decline of morals and the corruption
     of religious practice, or to "social conditions that, intentionally 
     or  not, make Christian conduct and obedience to the Commandments
     difficult and practically impossible."87 This is also true of 
     business leaders who make rules encouraging fraud, teachers who 
     provoke their children to anger,88 or manipulators of public opinion 
     who turn it away from moral values.

2287 다른 사람들이 악을 행하도록 자기에게 주어진 권한을 사용하는 사람은 악한 표양을 보이는 죄를 짓는 것이며, 직접으로든 간접으로든 자기가 조장한 악에 책임이 있다. “남을 죄짓게 하는 일이 일어나지 않을 수는 없다. 그러나 불행하여라, 그러한 일을 저지르는 자!” (루카 17,1)

 

2287 Anyone who uses the power at his disposal in such a way that it leads others to do wrong becomes guilty of scandal and responsible for the evil that he has directly or indirectly encouraged. "Temptations to sin are sure to come; but woe to him by whom they come!"89
-----
 
참고:
 
위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285항에서 "걸려 넘어지는 사람의 약함(the weakness of those who are scandalized)"으로 번역된 표현이 있는데, 여기서 "걸려 넘어지다" 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는, 다음의 사전 설명과 같이,
 
scandal 단어의 어원이 "stumbling block, offense, trap [걸려 넘어지게 하는 돌(즉 걸림돌, 장애물), 감정 해치기, 함정]"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의 사용법: 바로 위의 주소를 클릭하면 가지게 되는 새 창에서, scandal 단어를 찾아 보십시오.
 
scandal
 
Function: noun
Inflected Form(s): -s
Etymology: Late Latin scandalum stumbling block, offense, from Greek skandalon -- more at SCAN
1 a (1) : discredit brought upon religion by unseemly conduct in a religious person (2) : offense, doubt, or bewilderment occasioned to a person's religious feelings by another's lapse in ethics or religion scandal should be given to weaker brethren -- T.B.Macaulay> (3) : conduct the causes or encourages a lapse of faith or of religious obedience in another scandal to all who knew him in the days of his fidelity -- D.J.Corrigan> b : something that prevents the reception of religious or other faith or serves as justification for a lapse from faith or morals : OFFENSE scandal of Christendom, the great schism, had indeed been overcome -- S.E.Morison & H.S.Commager> scandal of the apparent contradiction of reason with itself -- Edward Caird>
2 a : loss of or damage to reputation caused by actual or apparent violation of morality or propriety scandal upon the uniform> b archaic : a disgraceful usually baseless accusation or imputation scandal flung upon the nation by a few bigoted ... scribblers -- Jonathan Swift>
3 a : a circumstance or action that offends propriety or established moral conceptions or disgraces those associated with or involved in it scandal -- Willa Cather> scandal and mismanagement -- American Guide Series: New York City> b : a person whose conduct offends propriety or morality scandals -- Spectator>
4 : gossip or utterance of gossip that emphasizes true or false details damaging to another's reputation scandal and abuse and falsehood -- H.G.Wells>
5 : anger, indignation, chagrin, bewilderment, or incredulity brought about by a flagrant violation of morality, propriety, or religious opinion scandal and grief of her sisters, made up her mind not to go to church any more -- Margaret Deland> scandal to millions -- Manchester Guardian Weekly>
6 : something alleged in an equity pleading that is impertinent and is reproachful to a person or derogates from the dignity of the court or is contrary to good manners : an immaterial allegation that is slanderous
synonym see DETRACTION
-----
 
4.
 
위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주어진 설명은 scandal에 대한 교회의 분명한 가르침을 언급하고 있는데,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scandal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설명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 주어진 설명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4-2. 여기를 클릭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의 각 문항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a condensed paraphrase)"인, Monsignor Paul Joseph Glenn (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에 주어진, 악습(vices)들 중의 하나인, "악한 표양(Scandal)"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우리말 번역은 제가 한 것입니다.
 
신학 대전 본문에 실린 "Scandal(악한 표양)" 에 대한 내용의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a condensed paraphrase)"가 바로 위의 굵은 붉은 글자를 클릭하면 가지게 되는 화면에 있는 글입니다. 따라서, 이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를 읽고 난 후에 신학 대전의 해당 본문을 차분히 읽고 학습하는 것은 꼭 필요할 것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6월 15일]
 
아래의 다음을 읽어 보시면 잘 알 수 있듯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의 각 문항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a condensed paraphrase)"인, Monsignor Paul Joseph Glenn (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에 주어진 설명이 참으로 좋아, 이 저서를 우리말로 번역하기로 하였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 필히 클릭하여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이 번역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클럽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비록 많이 부족한 죄인인 자이지만, 이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 낼 수 있도록 기도 중에 기억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 다 음 -

43. Scandal
43. 스캔들(악한 표양)

1. Scandal is a needless word or deed which does spiritual harm to those who hear or observe it. Scandal is word or deed that occasions sin in another; it is bad example.

 

1. 스캔들(scandal)은 그것을 듣거나 혹은 관찰한 이들에게 영적 해로움을 끼치는 쓸데 없는 말 혹은 행동을 말합니다. 스캔들은 다른 이에게 있어 죄를 불러일으키는 말 혹은 행동을 말하며, 그리고 그것은 나쁜 표양(bad example)입니다. 


2. In the person scandalized (that is, led to sin) the scandal is passive; in the person doing or saying the scandalous thing, the scandal is active. Active scandal is a sin against charity, which bids us seek our neighbor's good. Active scandal is not only what actually leads a person to sin, but it is also what is intended to lead him to sin (or, by its nature is calculated to lead him to sin), even if, as a fact, he does not commit sin. Passive scandal is sometimes taken, by mistake or by perversity, from what is not, in itself, calculated to lead a person to sin.

 

2. 걸려 넘어진 자(즉, 죄로 이끌어진 자)에 있어 스캔들수동적(passive)이며, 그리고 걸려 넘어지게 하는 일을 행하거나 혹은 말하는 자에 있어 스캔들능동적(active)입니다. 능동적 스캔들은, 우리의 이웃의 선을 추구하도록 우리에게 명령하는, 사랑에 반하는 죄입니다. 능동적 스캔들은, 심지어, 사실로서, 한 인격(a person)이 [그로 인하여] 죄를 범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한 인격을 실제로 죄로 이끄는 바 뿐만이 아니라, 또한 이 스캔들은 한 인격을 죄로 이끌고자 의도된 바 (혹은, 그 본질에 있어, 한 인격을 죄로 이끌고자 계산된 바)이기도 합니다. 수동적 스캔들은 때로는, 그 자체로는 한 인격을 죄로 이끌지 아니하는 바로부터, 실수에 의하여 혹은 외고집(perversity)에 의하여,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
번역자 주: "a person"을 "한 인격"으로 번역한 이유는 "a person" 에는 자연인(a natural person)과 법인(a legal person)이 있기 때문이다.
-----

 

3. Scandal is a special kind of sin, because it is opposed to a special kind of good work, which is called fraternal correction.

 

3. 스캔들은 특별한 종류의 죄인데, 이는 이것이, 형제적 바로잡음(fraternal correction)(클릭하십시오)으로 불리는, 특별한 종류의 선행에 반하기 때문입니다.

 

4. Scandal, in the person who actively gives it, is either a mortal or a venial sin, according to the gravity of the scandalous word or deed, and also according to the awareness and the intention of the scandalizer.

 

4. 스캔들은, 그것을 활발하게 제공하는 자에게 있어, 걸려 넘어지게 하는 말 혹은 행위의 중대함에 따라, 그리고 또한 스캔들 제공자의 알고 있음과 의도에 따라, 중죄(a mortal sin) 혹은 소죄(a venial sin) 둘 중의 하나입니다.


5. Scandal is taken by (that is, affects) persons of a mind unsettled in adherence to good. Those who adhere perfectly to God by charity are not scandalized; passive scandal is not found in them.

 

5. 스캔들은 선에 대한 집착(adherence)에 있어 동요하는 마음을 지닌 인격(persons)들에 의하여 받아들여집니다(즉, 영향을 끼칩니다). 사랑에 의하여 하느님께 완미하게(perfectly) 들러 붙어 있는 자들은 걸려 넘어지지 않으며,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 수동적 스캔들은 발견되지 않습니다.

 

6. Nor can those perfectly united to God by charity be the cause of scandal; they cannot be active scandalizers. For scandal is inordinate, and solidly virtuous persons direct their lives with order; they liv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St. Paul (I Cor.14:40): "Let all things be done decently, and according toorder." The slight weaknesses of thoroughly good people never amount to an occasion of sin in others.

 

6. 사랑에 의하여 하느님께 완미하게(perfectly) 결합되어 있는 자들은 스캔들의 원인이 될 수가 없으며, 그리고 그들은 능동적 스캔들의 제공자일 수가 없습니다. 이는 스캔들은 무질서이기 때문이며, 그리고 확고하게 덕이 있는 인격들은 질서와 함께 자신들의 삶들을 관리하며, 그리고 그들은 다음과 같은 성 바오로(St. Paul)의 명령(1 코린토 14,40) 에 따라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다만 모든 일이 품위 있고 질서 있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전적으로 선한 사람들의 약간의 나약함은 다른 이들에게 있어 죄를 불러일으킴에 결코 이르지 않습니다.

 

7. There is a type of passive scandal, called pharisaical, or "scandal of the Pharisees," which tries to make evil out of what is good, just as the Pharisees tried to make our Lord's words and deeds seem seditious and even diabolical. There is another type of passive scandal, called "scandal of the little ones" or scandal of the weak, which sees evil where there is none, not by reason of malice, but by want of understanding and lack of instruction. We should never forego a spiritual good because of pharisaical scandal, for this type of scandal is born of hypocrisy and malice, and is to be treated with contempt. But we ought to do all we can, without being guilty of sinful remissness, to avoid what occasions the scandal of the weak.

 

7. 바리사이적, 혹은 "바리사이들의 스캔들"로 불리는, 수동적 스캔들의 한 종류가 있는데, 이 스캔들은, 바리사이들이 우리의 주님의 말씀들과 행동들이 선동적이며 그리고 심지어 악마적으로 보이도록 하고자 시도하였던 것과 마찬가지로, 선한 바로부터 악을 만들고자 시도합니다. "작은 이들의 스캔들" 혹은 나약한 이들의 스캔들로 불리는 수동적 스캔들의 또 다른 종류가 있는데, 이 스캔들은, 악의 때문이 아니라, 이해의 부족과 가르침의 결핍에 의하여, 악이 전혀 없는 곳에서 악을 봅니다. 우리는 바리사이적 스캔들 때문에 영적인 선을 결코 포기하여서는(forego) 아니 되는데, 이는 이러한 종류의 스캔들은 위선과 악의로부터 태어나며, 그리고 경멸과 함께 다루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나약한 이들의 스캔들을 불러 일으키는 바를 회피하기 위하여, 죄많은 부주의에 대한 자책함 없이,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 하여야 합니다.


8. We are not always obliged to forego all claim, even on temporal goods, because of scandal of the weak. But the scandal should be removed by explanation or instruction. If this cannot be done, there are occasions on which we must forego temporal goods to avoid giving scandal. St. Paul (I Cor. 8:13) says that if his eating meat will scandalize his brother, he will not eat meat.

 

8. 우리는, 나약한 이들의 스캔들 때문에, 모든 권리(claim)를, 심지어 세속적 재화들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도록(forego) 항상 의무지워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이 스캔들은 설명과 가르침에 의하여 제거되어져야 합니다. 만약에 이것이 행하여질 수 없다면, 스캔들을 제공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세속적 재화들을 포기하여야 할(forego) 경우들도 있습니다. 성 바오로는  "음식이 내 형제를 죄짓게 한다면, 나는 내 형제를 죄짓게 하지 않도록 차라리 고기를 영영 먹지 않겠습니다" 라고 말합니다(1 코린토 8,13에서). 

-----
 
 
영어에 어려움이 없으신 분들의 경우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에 주어진 "악한 표양(scandal)" 에 대한 자세한 설명(영문) 읽고 묵상할 수 있습니다.
 
--------------------
 
 
 
나약한 우리들에게 나쁜 표양을 제공하고자 의도적으로 시도하는 자들의 글들이므로,
 
이러한 자들의 글들은, 본글이거나 답글이거나간에, 클릭하고 들어가 읽지 말도록 합시다.
 
 
----------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3시간
 
 


1,46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