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칠십인 역 시편 40,6-8 및 히브리서 10,5-7: 몸을 마련해 주셨다 vs 대중 라틴말본 및 마소라본 시편 40,7-9: 귀를 열어 주셨다??? 540_ 1094_ 1122_

인쇄

. [121.190.18.*]

2020-06-15 ㅣ No.2063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3.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부제: 칠십인 역 그리스어본 시편 40,6-8 은 하느님의 말씀, 즉, 성자 하느님의 육화/강생이 곧 예수님이심을 예언하고 있는 구약 성경 중의 유일한 근거 구절이다.

 

1. 들어가면서

 

1-1. 질문 1: 예수님의 몸(Body, Corpus)을 하느님께 희생제물로서 봉헌하는 미사성제의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 근거는, 만약에 있다면, 무엇인지요?

 

질문 1에 대한 간략한 답변: 히브리서 10,5-10과, 바로 이 히브리서 본문 중에서 발췌 인용되고 있는, 칠십인 역 그리스어본 시편 40, 6-8[7-9] 입니다.

 

1-2. 다른 한편으로, 성 예로니모에 의하여 기원 후 4세기 말 경에 라틴어로 번역이 된 대중 라틴말 성경 중의 구약 성경이 아니라, 지금까지도 정교회의 공인 구약 성경인, 예수님의 출생보다 약 80-200년 이전의 시기에, 따라서 그리스도교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던 시기에, 유다주의 유다인 학자들에 의하여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그리스어로 번역이 된, 칠십인 역(LXX) 그리스어본 시편 40, 6-8이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Dogmatic Theology) 및 성서 신학(Biblical Theology)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이유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아는 한, 구약 성경의 본문 전체에 걸쳐, 하느님의 말씀, 즉, 성자 하느님의 육화/강생(Incarnation)이 곧, 인류의 구속/속량(Redemption)을 위하여 "당신의 완미한 몸(perfect body)"을 유일한 "흠없는 희생 제물(perfect sacrifice)"로 바치시는 분인(히브리 10,5-7), 예수님이심을 예언하고 있는 유일한 구약 성경 근거 구절이기 때문입니다.

 

1-3. 이어지는 항들에서, 질문 1에 대한  자세한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게시자 주 1-3: 그런데, 마태오 복음서 1,22에서 복음사가 마태오는 그리스어본 칠십인 역 구약 성경의 이사야서 7,14를 인용하고 있으나, 그러나 히브리어 성경의 이사야서 7,14에서는, "동정녀(virgin)" 대신에, "젊은 여인[almah, 즉 혼기가 된 여성인 어린 여인(young woman)]"이라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렇게 표현하고 있는 [미소라본] 히브리 성경의 해당 단어가, 유다인들에 의하여 기원후 70년 대성전 파괴 이후에, 변조된 것이 아닌가..., 아니면 그 의미가 전와(轉訛)된 것이 아닌가.... 에 대하서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꼭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45.htm <----- 또한 필독 권고

[제목: 성 예로니모의 성경 번역 - 이사야 7,14; 게시일자: 2009-06-25]

(이상, 게시자 주 1-3 끝)

 

2.

우선적으로, 이번 항에서는, 천주교회의 유구한 역사 안에서, 칠십인 역 그리스어본 시편 40,6-8이 언급되고 있는 서방 교회, 즉, 로마 교회의 문헌들이, 언제쯤 되면 비로소 다시 등장하는지에 대하여, 연대순에 있어 거슬러 올라가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할 때에, 아무리 늦게 잡더라도 10세기 말 이후부터, 필리오케 논쟁의 한 결과로서, 1960년대 중반 "교회의 일치를 위한 공의회"인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개최될 시점에 이르기까지, 약 1,000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라틴 교회의 박사들과 학자들께서, 정교회의 구약 성경 정본인 칠십인 역 그리스어본, 시편 40,6-8을 자신들의 저술들에서 발췌 인용할 수 없었던 것이, 예수님께 참으로 대단히 죄송스러운, 이 지경에 도달하게 된 이유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심각한 문제점에 대하여서는, 아래의 제4항에서 별도로 더 자세하게 들여다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이 이유 때문에,

 

(i) 아래의 제2-4-1항에 발췌된 200년 대희년에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가르침과

(ii) 아래의 제2-2항에 발췌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462항의 가르침, 그리고

(iii) 이들 가르침의 핵심 근거 문헌인, 아래의 제3항에 발췌된 성 아우구스티노시편 40(39),6에 대한 성서 신학 및 교의 신학 해석은,

 

당신의 몸을 희생 제물로 바치는 예수님의 구속/속량(Redemption) 위업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2-4.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구글 검색 결과들을 접할 수 있는데, 교황청 제공의 교황 문헌들 중에서, 칠십인 역 그리스어본 시편 40,,6-8이 언급되고 있는 문헌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s 40:6" "body" site:vatican.va

"Ps 40:7" "body" site:vatican.va 

 

예를 들어, 특히,

 

2-4-1. 대희년이었던 2000년 3월 23일, 성금요일을 위하여 사제들에게 보낸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서한, "LETTER OF THE HOLY FATHER JOHN PAUL II TO PRIESTS  FOR HOLY THURSDAY 2000"에서, 다음과 같은 기술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content/john-paul-ii/en/letters/2000/documents/hf_jp-ii_let_20000330_priests.html 

(발췌 시작)

Sacerdos et Hostia

 

8.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sacrifice, the priestly act par excellence, was brought to perfection. On Golgotha, Christ made his own life an offering of eternal value, a “redemptive” offering which has reopened for ever the path of communion with God which had been blocked by sin.

 

The Letter to the Hebrews casts light upon this mystery by placing on the lips of Christ the words of Psalm 40: “You desired neither sacrifice nor offering, but instead you prepared a body for me... Here I am... I come to do your will, O God” (Heb 10:5-7; cf. Ps 40:7-9). According to the author of the Letter, these prophetic words were spoken by Christ when he first came into the world. They express his mystery and his mission. They begin to be accomplished from the very moment of the Incarnation and reach their completion in the sacrifice of Golgotha. From that time forward, every priestly offering is but a re-presenting to the Father of the one offering of Christ, made once for all.

 

Sacerdos et Hostia! Priest and Victim! This sacrificial aspect is a profound mark of the Eucharist; it is also an essential dimension of the priesthood of Christ and, therefore, of our own priesthood. In the light of this, let us read once again the words we speak every day, words which echoed for the first time here in the Upper Room: “Take this, all of you, and eat it: this is my Body which will be given up for you... Take this, all of you, and drink from it: this is the cup of my Blood, the Blood of the new and everlasting Covenant which will be shed for you and for all, so that sins may be forgiven”.

 

These are the words we find in the Evangelists and in Paul, with largely converging redactional forms. They were spoken in this Room in the late evening of Holy Thursday. By giving the Apostles his Body to eat and his Blood to drink, Jesus declared the deepest truth about what he would do shortly thereafter on Golgotha. For in the Bread of the Eucharist is present the very Body born of Mary and offered on the Cross:

 

Ave verum Corpus natum de Maria Virgine,
Vere passum, immolatum in cruce pro homine.

 

9. How can we not return ever anew to this mystery, which contains the entire life of the Church? For two thousand years, this Sacrament has given nourishment to countless believers. It has been the source of great river of grace. How many saints have found in it not only the pledge, but as it were the foretaste of Heaven!

 

Let us allow ourselves to be carried along by the contemplative impulse, rich in poetry and theology, which inspired Saint Thomas Aquinas to sing of the mystery in the words of the hymn Pange Lingua. Today, in this Upper Room, these words come to me as an echo of the voice of so many Christian communities throughout the world, of so many priests, consecrated persons and lay faithful, who each day pause in adoration of the Eucharistic mystery:

 

Verbum caro, panem verum verbo carnem efficit,
fitque sanguis Christi merum, et, si sensus deficit,
ad firmandum cor sincerum sola fides sufficit.

(이상, 발췌 끝)  

 

2-3. 다음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히브리서 10,5-10이 포함된 부분이 미사 중에 봉독되는 날들과, 이 구절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c_adv_4.htm [다해 대림 제4주일]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tue.htm [홀수해 연중 제3주간 화요일]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nnunlord.htm [매년 3월 25일 주님 탄생 예고 주일]

(뱔췌 시작)

5-10. This passage carries a quotation from Psalm 40:7-8, but one taken from the Greek translation, the Septuagint, not from the Hebrew. Where the Hebrew says, "Thou hast opened My ears", the Greek reads, "a body Thou hast prepared for Me". The difference is not substantial, because the Hebrew expression points to the docility and obedience of the speaker, who is the Messiah Himself. The Greek translation gives the sentence a more general meaning: God has not only opened the ears of the Messiah; He has given Him life as a man (cf. Philippians 2:7).

(이상, 발췌 끄)

 

참고 자료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wed.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_ot_33.htm 

 

2-2. 다음은 1992년에 그 초판이 발행되고, 1997년에 라틴어 정본이 발행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462항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crossreference.com/catechism/#!/search/ps. 40 

(발췌 시작)

II. THE INCARNATION
The Letter to the Hebrews refers to the same mystery: Consequently, when Christ came into the world, he said, "Sacrifices and offerings you have not desired, but a body have you prepared for me; in burnt offerings and sin offerings you have taken no pleasure. Then I said, Lo, I have come to do your will, O God."84

(이상, 발췌 끝)

 

2-1. 현재 사용 중인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i) "새 대중 라틴말 성경", 시편 40,7가, 예를 들어, 번역본인 대중 라틴말 성경만을 오로지 참조하여야 할 경우에, 가해 연중 제2주일, 나해 연중 제2주일, 홀수해 연중 제2주간 목요일, 홀수해 연중 제3주간 화요일, 홀수해 연중 제20주간 목요일, 홀수해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그리고 짝수해 연중 제1주간 수요일, 짝수해 연중 제24주간 월요일의 화답송들 등에서,(*) (ii) 사도 전승에 충실한 그리스도교 전례 및 구속/속량 교의와, 내용적 불일치(discrepancy)를 야기할 가능성이 상당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

(*) 게시자 주: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이 날들을 파악할 수 있다: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Index-Sundays.htm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Index-Weekdays.htm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2002USL-Sanctoral.htm 

-----

 

2-0. 다음에 발췌된 바는 "Haydock's Catholic Bible Commentary 1859 on DRB", 시편 40,7에 대한 주석 전문인데, 특히 아래의 제3항에 발췌된 성 아우구스티노시편 39(40),6에 대한 가르침에 대한 언급이 없음에 주목합니다:

 

출처: https://web.archive.org/web/20170824080158/http://haydock1859.tripod.com/id764.html  

(발췌 시작)

Ver. 7. Sacrifice and oblation. Neither bloody nor unbloody sacrifices of the law will do. (Menochius) --- Pierced ears. Septuagint and St. Paul read, a body thou hast fitted to me, Hebrews x. 5. (Haydock) --- Nobilius mentions, that he found the reading of the Vulgate in one Greek manuscript in Eusebius, &c. --- The Arabic has both. "Thou hast prepared a body for me, and opened my ears." (Calmet) --- Both are, in effect, of divine authority. The version adopted by St. Paul, cannot be rejected, no more than the Hebrew confirmed by the Vulgate. James Pierce asserts, that the Hebrew is incorrect, oznaim being put for az zip, "then a body," as the letters are not unlike. The dissertation is ingenious: the author is, however, suspected of Socinianism. We know not the reason why the Vulgate here abandons the Septuagint. The sense is much the same; the prophet noticing the entire obedience of the Messias, (Berthier) and the apostle comprising his whole person. (Menochius) --- His body was miraculous, (Haydock) and the incarnation the work of God. (Calmet) --- Nothing could come up to his submission. "Thou has dug ears for me," (St. Jerome; Haydock) alluding to the custom of making slaves for ever, (Exodus xxi. 5.) or "thou hast fitted, (Calmet) opened, (Protestants) my ears," enabling me to hear, and to obey. (Haydock) --- The sacrifice of Christ was never interrupted, from the first moment of his incarnation. (Calmet) --- He was always doing the will of his Father. (Haydock) --- This sacrifice is the most essential. God rejected all such as were destitute of this condition, or were not offered by people determined to observe the whole law, 1 Kings xv. 22., Isaias i. 11., and Jeremias vii. 22. (Porphyrius, Abs. ii.) (Calmet) --- No sacrifice of the Old Testament was sufficient to satisfy God's justice for sin. Christ, by the ear of obedience, performed the redemption of man by his death, as was determined from eternity. See Hebrews x. (Worthington) --- And is omitted in the Latin version of St. Paul, holocautomata pro peccato, inadvertently, or rather to intimate, that he was speaking of the holocaust of expiation, Hebrews x. 6, 8., and xiii. 11., and Leviticus xvi. 27. (Berthier) --- St. Augustine also admits only one species of sacrifice, "holocausts likewise for sin." But others distinguish them from the victims designed to expiate the sins of individuals, (Leviticus v., &c.) of which the prophet also speaks. (Calmet) 

(이상, 발췌 끝)

 

3.

3-1. 다음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생각하더라도, 위의 제2-4-1항에 그 일부가 발췌된, 대희년이었던 2000년 3월 23일 성금요일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서한에서의 가르침의 근거 문헌인 것이 분명한, 시편 40(39):6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의 해설을 발췌한 것입니다:

 

라틴어 원문 출처: http://www.augustinus.it/latino/esposizioni_salmi/esposizione_salmo_054_testo.htm 

(발췌 시작)

12. Sacrificium et oblationem noluisti, ait psalmus Deo. Antiqui enim, quando adhuc sacrificium verum quod fideles norunt, in figuris praenuntiabatur, celebrabant figuras futurae rei: multi scientes, sed plures ignorantes. Nam Prophetae et sancti Patriarchae noverant quod celebrabant: caetera autem multitudo iniqua, carnalis sic erat, ut fieret de illa quod significaret posteriora ventura: et venit sublato illo sacrificio primo, sublatis holocaustis arietum, hircorum, vitulorum, caeterarumque victimarum; noluit illa Deus. Quare illa noluit? quare primo voluit? Quia illa omnia quasi verba erant promittentis; et verba promissiva, cum venerit quod promittunt, non iam enuntiantur. Tamdiu quisque promissor est, donec det: cum dederit, mutat verba. Non dicit adhuc: Dabo, quod se daturum dicebat; sed dicit: Dedi: mutavit verbum. Quare illi primo placuit hoc verbum, et quare illud mutavit? Quia temporis sui verbum fuit, et pro tempore suo placuit. Quando promittebatur, tunc dicebatur: cum autem datum est quod promissum est, ablata sunt verba promissiva, data sunt completiva. Sacrificia ergo illa, tamquam verba promissiva, ablata sunt. Quid est quod datum est completivum? Corpus quod nostis, quod non omnes nostis; quod utinam qui nostis, omnes non ad iudicium noveritis. Videte quando dictum est; Christus enim ille est Dominus noster, modo loquens ex membris suis, modo loquens ex persona sua. Sacrificium, inquit, et oblationem noluisti. Quid ergo? Nos iam hoc tempore sine sacrificio dimissi sumus?

 

Absit. Corpus autem perfecisti mihi. Ideo illa noluisti ut hoc perficeres: illa voluisti antequam hoc perficeres. Perfectio promissorum abstulit verba promittentia. Nam si adhuc sunt promittentia, nondum impletum est quod promissum est. Hoc promittebatur quibusdam signis: ablata sunt signa promittentia, quia exhibita est veritas promissa. In hoc corpore sumus, huius corporis participes sumus, quod accipimus novimus: et qui non nostis noveritis, et cum didiceritis, utinam non ad iudicium accipiatis. Qui enim manducat et bibit indigne, iudicium sibi manducat et bibit 41. Perfectum est nobis corpus, perficiamur in corpore.

(이상, 발췌 끝)

 

영어본 출처: https://www.newadvent.org/fathers/1801040.htm 

(발췌 시작)

12. Sacrifice and offering You did not desire Psalm 39:6, says the Psalm to God. For the men of old time, when as yet the true Sacrifice, which is known to the faithful, was foreshown in figures, used to celebrate rites that were figures of the reality that was to be hereafter; many of them understanding their meaning; but more of them in ignorance of it. For the Prophets and the holy Patriarchs understood what they were celebrating; but the rest of the stiff-necked people were so carnal, that what was done by them was but to symbolize the things that were to come afterwards; and it came to pass, when that first sacrifice was abolished; when the burnt-offerings of rams, of goats, and of calves, and of other victims, had been abolished, God did not desire them. Why did God not desire them? And why did He at the first desire them? Because all those things were, as it were, the words of a person making a promise; and the expressions conveying a promise, when the thing that they promise has come, are no longer uttered....Those sacrifices then, as being but expressions of a promise, have been abrogated. What is that which has been given as its fulfilment? That Body; which you know; which you do not all of you know; which, of you who do know it, I pray God all may not know it unto condemnation. Observe the time when it was said; for the person is Christ our Lord, speaking at one time for His members, at another in His own person. Sacrifice and offering, said He, You did not desire. What then? Are we left at this present time without a sacrifice? God forbid!

 

But a Body have You perfected for me. It was for this reason that You did not desire the others; that You might perfect this; before You perfected this, You desired the others. The fulfilment of the promise has done away with the words that express the promise. For if they still hold out a promise, that which was promised is not yet fulfilled. This was promised by certain signs; the signs that convey the promise are done away; because the Substance that was promised has come. We are in this Body. We are partakers of this Body. We know that which we ourselves receive; and you who know it not yet, will know it bye and bye; and when you come to know it, I pray ye may not receive it unto condemnation. For he that eats and drinks unworthily, eats and drinks damnation unto himself. 1 Corinthians 11:29 A Body has been perfected for us; let us be made perfect in the Body.

(이상, 발췌 끝)

 

3-2. 바로 위의 제3-1항에 발췌되 바로부터, 다음의 결론들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1) 당시에 성 아우구스티노가 들여다본 구약 성경, 시편 40(39), 7(6)은, 당시의 성 예로니모가 들여다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 시편 40,7과 전혀 달랐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이 글의 결론 2) 그리스도교 전롱적 교의 신학(Dogmatic Theology), 영성 신학(Spiritual Theology), 그리고 윤리 신학(Moral Theology)에 있어, "완미"(perfection)라는 용어가,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나타내는, 비이원론적인, 즉, 일원론적인, "성화(sanctification)에 있어 마지막으로 도달한 상태"를 의미하는, 따라서, 창으로 대단히 중요한 개념의 구약 성경 근거가, 성 아우구스티노가 들여다본 구약 성경, 시편 40(39), 7(6)임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작성 중입니다

 

4.

이번 항에서는, 4세기 말 경에, 다마소 1세 교황님의 명령에 의하여, 성 예로니모가 예수님께서 탄생하신 베들레헴 동굴 근처의 한 동굴에 머물면서, 지금 현재 우리가 접하는, 기원후 9세기경에 유다교 용도로 처음으로 편집되어 마련된 마소라본 히브리어 구약 성경결코 아닌당시의, 모음 방점들이 전혀 추가되지 않은, 히브리어 구약 성경으로부터, 당시의 유다교 라삐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라틴어로 번역하여 마련된, "대중 라틴말 성경"(Vulgate), 시편 40,7에서의 번역 오류 및 바로 이 번역 오류가 야기한 어처구니 없는 결과들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작성 중입니다.

 

https://www.newadvent.org/bible/psa039.htm

 

4-1. 성 토마스 아퀴나스"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시편 40,7-9를 발췌 인용 혹은 단순 언급하는 경우가 없습니다.

 

4-2. 16세기 중반에 개최된 트리엔트 공의회 직후에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의하여 최초로 출판된 교리서인, "트리엔트 교리서", 즉, "로마 교리서" 본문 중에서 시편 40,7-9를 발췌 인용 혹은 단순 언급하는 경우가 없습니다

 

4-3.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줄리오 알레니 신부님에 의하여 저술되어 1640년에 초간된, 한문본 천주교 교리서인, "천주강생인의"에서 시편 40,7-9을 발췌 인용 혹은 단순 언급하는 경우가 없습니다.

 

4-4. "Graduale Triplex"에 수록된 그레고리오 성가들 중에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시편 40,7-9, 더 나아가, 시편 40 중의 일부가 그레고리오 성가의 가사로 사용된 경우를 찾아 볼 수가 없습니다.

 

게시자 주 4-4. 이와는 달리, 이사야서 7,14를 가사로 하는 그레고리오 성가는 "Graduale Triplex", 제37쪽에 있습니다. 

 

4-5.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덴칭거(DS)에서도 시편 40,7-9, 더 나아가, 시편 40 중의 일부가 인용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작성 중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282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