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실재론(realism)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실재론을 인정하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리스도교 부활 신앙 등을 인정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1689_

인쇄

. [121.190.18.*]

2020-07-20 ㅣ No.2078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78.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세속의 "Oxford Dictionary"에 제시된 "realism"(실재론)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읽을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lexico.com/definition/realism 

(발췌 시작)

realism

 

3. Philosophy

The doctrine that universals or abstract concepts have an objective or absolute existence. [...]

 

실재론(realism)

 

보편들 혹은 추상적 개념들이 어떤 객관적 혹은 절대적 존재(existence)를 가지고 있다는 교리.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1-2. 그리고 다음의 구글 검색 결과는, "realism"(실재론)이라는 용어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교황님들의 문헌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alism" site:vatican.va <----- 여기를 클릭하여 확인하라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realism"(실재론)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r/r028.htm 

(발췌 시작)

REALISM

 

Every form of philosophy that recognizes: 1. the objective existence of God and the world and their various relationships, independently of human knowledge and desire; 2. that these beings are knowable as they are in themselves; 3. the need for one to conform his or her mind, will, and conduct to this objective reality in order to be happy and attain one's final destiny.

 

실재론(realism)

 

다음의 (i), (ii), (iii) 항들에 기술된 바를 알아차리는/인정하는(recognizes), 철학의 각 형태를 말합니다:

 

(i) 인간의 지식(knowledge)과 욕망(desire)과 무관하게, 하느님과 이 세상 그리고 그들의 다양한 관계의 상태relationships)들의 객관적 존재(objective existence); 그리고

 

(ii) 이들 있음(beings)들은 그들이 그들 자체로 있는 것으로서 있음; 그리고

 

(iii) 누구든지 그의 혹은 그녀의 마음(mind), 의지(will), 그리고 처신(conduct)을, 행복하기 위하여 그리고 자신의 최종 운명(final destiny)(*1)을 획득하기 위하여, 바로 이러한 객관적인 실재(objective reality) 쪽으로 부합시킬(conform)(*2) 필요(need).

 

------

(*1) 번역자 주: 이 용어의 용례(examples)들은 다음의 글들에 있으니 또한 참조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6.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84.htm <----- 반드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1.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31.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8.htm <----- 필독 권고

 

(*2) 번역자 주: "부합(符合)하다/적합하다(, fitting, conform, virtuous, honestum)"이라는 용어의 의미/정의(definition) 및 그 용례(examles)들은 다음의 글들에 있으니 또한 참조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5.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89.htm <----- 반드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88.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90.htm <----- 반드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92.htm <----- 빈드시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04.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07.htm <----- 필독 권고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 바로 위에 정의된(defined) "실재론(realism)"은,

 

(a) 무에서 유를 창조하시는, 전지전능하신, 창조주 하느님의 존재(existence)를, 한 개의 객관적 진리로서, 즉, 개별 인간의 주관적 판단 행위와 무관하게 , 따라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진리로서, 인정하고,

 

(b) 하느님께서 창조하시는 피조물들 중에는, 대상(objects)들뿐만이 아니라 이들 사이의 관계의 상태(relationships)들까지도 포함됨을, 한 개의 객관적 진리로서, 인정하며, 그리고

 

(c) 하느님께서 이들 피조물들의 역사를 주관하심을, 한 개의 객관적 진리로서, 인정하는 자 누구든지,

 

한 개의 객관적 진리로서, 인정하고 또 수용하지 않을 수 없는 내용이라는 생각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2 끝)

 

3.

3-1. 그리고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굿뉴스 서버 제공의 초판본 우리말 "가톨릭대사전"에 제시된 "realism"(실재론)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는데,

http://dictionary.catholic.or.kr/dictionary.asp?name1=%BD%C7%C0%E7%B7%D0 

http://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2155 

 

그 첫 번째 단락에서 제시한 이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위의 제2항에 발췌된 정의(definition)가 분명하다는 생각이나, 그러나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그 출처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Modern Catholic Dictionary" 혹은 다른 어떠한 문헌인지를, 밝히지 않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게시자 주 3-1: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초판본 우리말 "가톨릭대사전"에 제시된 "realism"(실재론)에 대한 설명은, "실재론"(realism)에 대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의 가르침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이어지는 항들에 안내된 문헌들을 학습하도록 하십시오:

 

3-2. 위의 게시자 주 2에 이어서, 그리스도교 향주3덕(the three theological virtues)들 중의 신앙/믿음/신덕(faith)희망/망덕(hope) 사이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는 히브리서 11,1을 상기하면서, 실재론자(realists)들, 즉, 실재론을 인정하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리스도인들의 경의 혹은 존중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Christian piety)(*) 및 그리스도교 부활 신앙"을 인정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

(*) 게시자 주: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글[제목: 민간의(popular) 경의/존중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의 성경 근거 외; 게시일자: 2015-04-11]을 또한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28.htm <----- 필독 권고

-----

 

그리고 "그리스도교 고유한 부활 신앙""실재론"(realism)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학습할 수 있는, 교황청 국제 신학 위원회의 1992년 문헌[제목: SOME CURRENT QUESTIONS IN ESCHATOLOGY(종말론에 있어 일부 요즈음 질문들)]을 학습하도록 하십시오:

http://www.vatican.va/roman_curia/congregations/cfaith/cti_documents/rc_cti_1990_problemi-attuali-escatologia_en.html 

 

3-3. 그라고 이어서, 토미스트(Thomist)이신,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1998년 교황 회칙[제목: FIDES ET RATIO(신앙과 이성)]을 꼭 학습하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www.vatican.va/content/john-paul-ii/en/encyclicals/documents/hf_jp-ii_enc_14091998_fides-et-ratio.html 

(발췌 시작)

44. Another of the great insights of Saint Thomas was his perception of the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process by which knowledge matures into wisdom. From the first pages of his Summa Theologiae,48 Aquinas was keen to show the primacy of the wisdom which is the gift of the Holy Spirit and which opens the way to a knowledge of divine realities. His theology allows us to understand what is distinctive of wisdom in its close link with faith and knowledge of the divine. This wisdom comes to know by way of connaturality; it presupposes faith and eventually formulates its right judgement on the basis of the truth of faith itself: “The wisdom named among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is distinct from the wisdom found among the intellectual virtues. This second wisdom is acquired through study, but the first 'comes from on high', as Saint James puts it. This also distinguishes it from faith, since faith accepts divine truth as it is. But the gift of wisdom enables judgement according to divine truth”.49

 

Yet the priority accorded this wisdom does not lead the Angelic Doctor to overlook the presence of two other complementary forms of wisdom—philosophical wisdom, which is based upon the capacity of the intellect, for all its natural limitations, to explore reality, and theological wisdom, which is based upon Revelation and which explores the contents of faith, entering the very mystery of God.

 

Profoundly convinced that “whatever its source, truth is of the Holy Spirit” (omne verum a quocumque dicatur a Spiritu Sancto est) 50 Saint Thomas was impartial in his love of truth. He sought truth wherever it might be found and gave consummate demonstration of its universality. In him, the Church's Magisterium has seen and recognized the passion for truth; and, precisely because it stays consistently within the horizon of universal, objective and transcendent truth, his thought scales “heights unthinkable to human intelligence”.51 Rightly, then, he may be called an “apostle of the truth”.52 Looking unreservedly to truth, the realism of Thomas could recognize the objectivity of truth and produce not merely a philosophy of “what seems to be” but a philosophy of “what is”.

(이상, 발췌 끝)

 

3-4. 그리고 다음은, 토미스트(Thomist)이신,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2003년 교황 권고[제목: PASTORES GREGIS]을에서 발췌한 바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content/john-paul-ii/en/apost_exhortations/documents/hf_jp-ii_exh_20031016_pastores-gregis.html 

(발췌 시작)

Here the celebrated expression of Saint Augustine, with its rich realism and supernatural wisdom, proves especially true: ''If I am in fear because I am for you, I am consoled to be with you. Because for you I am a Bishop, with you I am a Christian. The first name is one of responsibility, the second, one of grace. The former is the name of a danger, the latter of salvation''.57

(이상, 발췌 끝)

 

3-5. 다음의 파란 색칠을 한 굵은 글자들을 클릭하면, 특히 "그리스도교 고유한 부활 신앙"과 "실재론"(realism)에 관한 언급을 하고 있는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문헌들을 추가적으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realism" "final destiny" "resurrection" site:vatican.va  <----- 또한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21년 12월 17일]

3-6.

3-6-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YLLABUS OF PIUS IX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s/s579.htm 

(발췌 시작)

SYLLABUS OF PIUS IX

 

A series of eighty condemned propositions listing the prevalent errors that aimed at the undermining of society, morality, and religion. Every Catholic is expected to give exterior and interior assent to the condemnation of errors expressed in this syllabus.

 

비오 10세의 유설표(謬說表)/오류 목록

 

사회, 윤리(morality), 그리고 경신(religion)의 토대 침식 행위를 목표로 삼았던 유행하고 있는 오류들을 나열하는 80개의 단죄된(condemned) 주장(propositions)들의 일련(a series)을 말합니다. 각 가톨릭 신자는 바로 이 유설표(謬說表)에 표현된 오류들에 대한 단죄에 대하여 외적으로 및 내적으로 동의할 것이 기대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6-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YLLABUS OF PIUS X 에 대한 설명 전문이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s/s580.htm 

(발췌 시작)

SYLLABUS OF PIUS X

 

A series of propositions condemned by the Congregation of the Holy Office and ratified by the Pope as decreed in the encyclical Lamentabili (July 3, 1907). It denounced the tenets of Modernism and repudiated their errors. The basis of these false doctrines was the pseudo-scientific theory of evolution on human knowledge and belief. By a subsequent motu proprio the Pope further confirmed the syllabus by publishing the Oath Against Modernism (September 1, 1910).

 

비오 10세의 유설표(謬說表)/오류 목록

 

신양 경신성(the Congregation of the Holy Office)에 의하여 단죄된(condemned) 그리고 회칙 Lamentabili (1907년 7월 3일)에서 교령으로서 포고되었듯이(decreed) 교황에 의하여 재가된(ratified), 주장들의 일련을 말합니다. 이 유설표(謬說表)는 근대주의(Modernism)의 주의(主義)(tenets)들을 탄핵하고(denounced) 그리고 그들의 오류들을 거부하였습니다(repudiated). 이들 오류의 주장들의 근거는 인간의 지식 및 믿음에 대한 의사(擬似)/가짜-과학적인(pseudo-scientific) 진화론(theory of evolution)이었습니다. 한 개의 이어지는 자의 교서(motu proprio)에 의하여 이 교황은 근대주의에 반하는 선서(Oath Against Modernism)(1910년 9월 1일)을 출판함으로써 이 유설표(謬說表)를 더욱더 확실히 하였습니다(confirmed).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7.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어 "가톨릭대사전"에 표제어로 수록된 "Syllabus"에 대한 설명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s://www.newadvent.org/cathen/14368b.htm <----- 필독 권고

 

 

4. 실재론을 거부하는 오류의 주장들

 

본글에서 전달해드린 실재론을 거부하는/부인하는 세속의 여러 주장들에 대한 교황님들의 대표적 지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4-1. The Syllabus Of Errors [주: 오류의 주장들 80개의 목록 및 내용]

Pope BI. Pius IX - 1864       

https://www.vatican.va/content/pius-ix/la/documents/encyclica-quanta-cura-8-decembris-1864.html [주: 라틴어 정본, 이탈리아어본]    

https://www.papalencyclicals.net/pius09/p9syll.htm [주: 영어본]

 

4-2. Lamentabili Sane [주: 오류의 주장들 65개의 목록 및 내용]

Pope Pius X - 1907

SYLLABUS CONDEMNING THE ERRORS OF THE MODERNISTS

https://www.vatican.va/content/pius-x/en/encyclicals/documents/hf_p-x_enc_19070908_pascendi-dominici-gregis.html [주: 라틴어 정본, 프랑스어본, 이탈리아어본, 영어본 등]

https://www.papalencyclicals.net/pius10/p10lamen.htm [주: 영어본]

[이상, 2021년 12월 17일자 내용 추가 끝]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27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