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우리말 가톨릭교회교리서 제 1989항 및 제 2019항의 번역오류 지적입니다.

인쇄

2007-07-23 [69.138.75.*]

2007-07-23 ㅣ No.764

 
안내: 우리말로 번역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의 매우 중대한 번역 오류들을 나열하고 또 이들의 수정을 요청하고 있는 이글의 맨 마지막에 있는  < 부록 3 > 을 꼭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 찬미 예수
 
우리말 가톨릭교회교리서 제 1995항, 제 1989항 및 제 2019항의 번역오류에 관한 글입니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유관 부서에서 필히 이 글을 읽어 주시고, 즉시 시정조치 해 주실 것을 강력하게 요청합니다.
 
누구나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라틴어본 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된 번역문들을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가. 제 1995항의 제일 마지막 문장 중 번역 오류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의 번역 오류)
 
가-1. (우리말) 1995 성령은 내적 생활의 스승이시다. “내적 인간”을49) 태어나게 하는 의화는 인간 존재 전체의 성화에까지 미친다.
 
가-2. (라틴어본) 1995 Spiritus Sanctus magister est interior. Iustificatio, efficiens ut « interior homo » 228 nascatur, sanctificationem implicat totius hominis:
 
라틴어 implicat의 원형은 implicare
 
implic.at            V      1 1 PRES ACTIVE  IND 3 S   
implico, implicare, implicavi, implicatus  V (1st) TRANS   [XXXAO] 
implicate; involve/engage/entangle/embroil; interweave/fold/twine w/itself;
entwine/enfold/envelop/encircle; wrap up inside; embrace; enclose; hem in;
interweave/interlace/intertwine; clasp/grasp (L+S); unite/join/mix;
perplex/confuse/confound/complicate; take hold (disease);
(PASS) be intimately associated/connected/related/bound; be a tangle/maze;
implico, implicare, implicui, implicitus  V (1st) TRANS   [XXXAO] 
implicate; involve/engage/entangle/embroil; interweave/fold/twine w/itself;
entwine/enfold/envelop/encircle; wrap up inside; embrace; enclose; hem in;
interweave/interlace/intertwine; clasp/grasp (L+S); unite/join/mix;
perplex/confuse/confound/complicate; take hold (disease);
(PASS) be intimately associated/connected/related/bound; be a tangle/maze;

implicate = imply (영어)
 
가-3. (이태리어) 1995 Lo Spirito Santo è il maestro interiore. Dando vita all'“uomo interiore” ( ⇒ Rm 7,22; ⇒ Ef 3,16 ), la giustificazione implica la santificazione di tutto l'essere:
 
 
가-4. (프랑스어) 1995 L’Esprit Saint est le maître intérieur. En faisant naître l’ "homme intérieur " (Rm 7, 22 ; Ep 3, 16), la justification implique la sanctification de tout l’être :
 
 
가-5. (스페인어) 1995 El Espíritu Santo es el maestro interior. Haciendo nacer al ‘hombre interior’ (Rm 7, 22 ; Ef 3, 16), la justificación implica la santificación de todo el ser:
 
 
가-6. (독일어) 1995 Der Heilige Geist ist der innere Meister. Die Rechtfertigung läßt den „inneren Menschen" erstehen (Röm 7,22; Eph 3,16) und bringt die Heiligung des ganzen menschlichen Wesens mit sich.
 
bringt = brings (영어)
 
가-7. (영어) 1995 The Holy Spirit is the master of the interior life. By giving birth to the "inner man," justification entails the sanctification of his whole being:
 
entail의 단어 설명 참고 (클릭하십시요)

Main Entry: 1en·tail
Pronunciation:
in-'tAl, en-
Function: transitive verb
Etymology: Middle English entailen, entaillen, from 1en- + taile, taille limitation -- more at
TAIL
1 : to restrict (property) by limiting the inheritance to the owner's lineal descendants or to a particular class thereof
2 a : to confer, assign, or transmit as if by entail : FASTEN <entailed on them indelible disgrace -- Robert Browning> b : to fix (a person) permanently in some condition or status <entail him and his heirs unto the crown -- Shakespeare>
3 : to impose, involve, or imply as a necessary accompaniment or result <the project will entail considerable expense>

위에서, 
entail: 3: to impose, involve, or imply as a necessary accompaniment or result
 
------------------------------------
가: 의 결론:
이상, 살펴 보신 바와 같이, 제 1995항에서, 무슨 뜻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는 동사 "미친다" 대신에, "의미한다" (imply) 로 번역하여야 합니다.
 
왜냐하면, 지금 현재 사용 중인 용어로서는, 무슨 말인지 몰라, "포함 관계"를 전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
 
 
나. 제 1989항의 번역 오류 (본문 중의 번역 오류)
 
나-1. (우리말) 1989 성령의 은총이 작용하여 내는 첫 결실은 회개이다. 복음서의 첫 대목에 나오는,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다가왔다.”(마태 4,17) 하신 예수님의 선포에 따라, 회개는 우리를 의롭게 해 준다. 은총의 작용으로 인간은 하느님께 향하고 죄에서 멀어져 위로부터 오는 용서와 의화를 받아들인다. “의화는 단순히 죄를 용서받는 것뿐만 아니라, 또한 성화와 내적 인간의 쇄신도 내포한다.”45)
 
나-2. (라틴어) 1989 Primum gratiae Spiritus Sancti opus est conversio quae iustificationem operatur secundum Iesu nuntium in Evangelii initio: « Paenitentiam agite; appropinquavit enim Regnum caelorum » (Mt 4,17). Sub gratiae motione, homo ad Deum se vertit et a peccato se avertit, veniam et iustitiam sic accipiens ex alto. « Iustificatio [...] non est sola peccatorum remissio, sed et sanctificatio et renovatio interioris hominis ». 224
 
위에서, est  = is (영어)
 
나-3.  (이태리어) 1989 La prima opera della grazia dello Spirito Santo è la conversione, che opera la giustificazione, secondo l'annuncio di Gesù all'inizio del Vangelo: “Convertitevi, perché il Regno dei cieli è vicino” ( Mt 4,17 ). Sotto la mozione della grazia, l'uomo si volge verso Dio e si allontana dal peccato, accogliendo così il perdono e la giustizia dall'Alto. “La giustificazione. . . non è una semplice remissione dei peccati, ma anche santificazione e rinnovamento dell'uomo interiore” [Concilio di Trento: Denz. -Schönm., 1528].
 
나-4. (프랑스어) 1989 La première œuvre de la grâce de l’Esprit Saint est la conversion qui opère la justification selon l’annonce de Jésus au commencement de l’Evangile : " Convertissez-vous, car le Royaume des cieux est tout proche " (Mt 4, 17). Sous la motion de la grâce, l’homme se tourne vers Dieu et se détourne du péché, accueillant ainsi le pardon et la justice d’en haut. " La justification comporte donc la rémission des péchés, la sanctification et la rénovation de l’homme intérieur " (Cc. Trente : DS 1528).
 
http://www.wordreference.com/fren/comporter
comporter (être constitué de) v consist of
comporter (entraîner) vtr imply (involve)
comporter (impliquer) vtr entail (impose, imply) 
 
나-5. (스페인어) 1989 La primera obra de la gracia del Espíritu Santo es la conversión, que obra la justificación según el anuncio de Jesús al comienzo del Evangelio: ‘Convertíos porque el Reino de los cielos está cerca’ (Mt 4, 17). Movido por la gracia, el hombre se vuelve a Dios y se aparta del pecado, acogiendo así el perdón y la justicia de lo alto. ‘La justificación entraña, por tanto, el perdón de los pecados, la santificación y la renovación del hombre interior’(Cc. de Trento: DS 1528).
 
 
나-6. (독일어) 1989 Das erste Werk der Gnade des Heiligen Geistes ist die Bekehrung, die die Rechtfertigung bewirkt, wie Jesus zu Beginn des Evangeliums angekündigt hat: „Kehrt um! Denn das Himmelreich ist nahe" (Mt 4,17). Der Mensch wird von der Gnade dazu bewogen, sich Gott zuzuwenden und von der Sünde Abstand zu nehmen. So empfängt er die Vergebung und die Gerechtigkeit von oben. Darin besteht „die Rechtfertigung selbst, die nicht nur Vergebung der Sünden ist, sondern auch Heiligung und Erneuerung des inneren Menschen" (K. v. Trient: DS 1528).
 
ist = is (영어)
 
나-7. (영어) 1989 The first work of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is conversion, effecting justification in accordance with Jesus' proclam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Gospel: "Repent, for the kingdom of heaven is at hand."38 Moved by grace, man turns toward God and away from sin, thus accepting forgiveness and righteousness from on high. "Justification is not only the remission of sins, but also the sanctification and renewal of the interior man.39
 
-------------------------------------
나: 의 결론:
이상, 살펴 보신 바와 같이, 제 1989항에서, 방향이 뒤바뀐 동사 "내포한다" 대신에, "이다" 로 수정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한자 세대가 아닌 우리들이 다들 생각듯이,
 
단순하게, "내포" = "포함"이 아니라고 합니다.. <----- 여기를 클릭하신 후에 살펴보시면,
"②어떤 성질(性質)이나 뜻을 그 속에 지님"라는 의미의 한자말이라고 합니다.
 
즉, "내포한다 = 포함한다" 가 아니라 "내포한다 = 포함된다"의 의미입니다.
 
그러나, 지난 며칠 동안의 논란을 들여다 보면, 대다수의 교우님들 (저를 포함하여)이 "내포한다"를 "포함한다"로 "잘못" 알고 있는 매우 어려운(?) 한자어인 것으로 드러났으므로
 
"내포" 한자어를 사용하지 말고, 그냥, 직역번역하여, "이다"로 수정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왜냐하면, "이다"는, (imply 동사와 마찬가지로)  "포함"을 나타내는 한자어가 없는 곧이 곧대로 직역 번역이라, 한자 단어의 몰이해로 인한 혼란을 가질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
 
 
다. 제 2019항의 번역 오류 (요약 중의 번역 오류)
주: 예상 밖으로, 영문본 및 우리말 번역본에 꼭 같은 얼토당토 않는 번역오류가 있습니다.
 
 
다-1. (우리말) 2019 의화는 죄의 용서와 성화와 내적 인간의 쇄신도 내포한다.
 
다-2. (라틴어) 2019 Iustificatio remissionem peccatorum, sanctificationem et renovationem implicat interioris hominis.
 
라틴어 implicat의 원형은 implicare
http://lysy2.archives.nd.edu/cgi-bin/words.exe?implicat
implic.at            V      1 1 PRES ACTIVE  IND 3 S   
implico, implicare, implicavi, implicatus  V (1st) TRANS   [XXXAO] 
implicate; involve/engage/entangle/embroil; interweave/fold/twine w/itself;
entwine/enfold/envelop/encircle; wrap up inside; embrace; enclose; hem in;
interweave/interlace/intertwine; clasp/grasp (L+S); unite/join/mix;
perplex/confuse/confound/complicate; take hold (disease);
(PASS) be intimately associated/connected/related/bound; be a tangle/maze;
implico, implicare, implicui, implicitus  V (1st) TRANS   [XXXAO] 
implicate; involve/engage/entangle/embroil; interweave/fold/twine w/itself;
entwine/enfold/envelop/encircle; wrap up inside; embrace; enclose; hem in;
interweave/interlace/intertwine; clasp/grasp (L+S); unite/join/mix;
perplex/confuse/confound/complicate; take hold (disease);
(PASS) be intimately associated/connected/related/bound; be a tangle/maze;
 
implicate = imply (영어)
 
다-3. (프랑스어) 2019 La justification comporte la rémission des péchés, la sanctification et la rénovation de l’homme intérieur.
 
http://www.wordreference.com/fren/comporter
comporter (être constitué de) v consist of
comporter (entraîner) vtr imply (involve)
comporter (impliquer) vtr entail (impose, imply)

다-4. (독일어) 2019 Die Rechtfertigung besteht in der Sündenvergebung der Heiligung und der Erneuerung des inneren Menschen.
 

다-5. (이태리어) 2019 La giustificazione comporta la remissione dei peccati, la santificazione e il rinnovamento dell'uomo interiore.
 
http://www.wordreference.com/iten/comporta
comporter = entail (영어, imply)

다-6. (스페인어) 2019 La justificación entraña la remisión de los pecados, la santificación y la renovación del hombre interior.
 
 
다-7. (영어) 2019 Justification includes the remission of sins, sanctification, and the renewal of the inner man.
 
 
------------------------------------
다: 의 결론:
이상, 살펴 보신 바와 같이, 제 2019항에서,  "내포한다" 대신에, "의미한다" (imply) 로 수정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한자 세대가 아닌 우리들이 다들 생각듯이,
 
단순하게, "내포" = "포함"이 아니라고 합니다.. <----- 여기를 클릭하신 후에 살펴보시면,

"②어떤 성질(性質)이나 뜻을 그 속에 지님" 이라는 의미의 한자말이라고 합니다.
 
즉, "내포한다 = 포함한다" 가 아니라 "내포한다 = 포함된다"의 의미입니다.
 
그러나, 지난 며칠 동안의 논란을 들여다 보면, 대다수의 교우님들 (저를 포함하여)이 "내포한다"를 "포함한다"로 "잘못" 알고 있는 매우 어려운(?) 한자어인 것으로 드러났으므로
 
 
이런 혼란이 일어나지 않도록 "imply"를 글자 그대로 직역 번역하여,  "의미한다"로 수정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있습니다.
------------------------------------
 
 
라. 위의 번역 오류가 논리적으로 매우 심각한 것에 대한 설명
 
왜 위의 번역 오류들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는 가 하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포함관계를 뒤집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즉,
 
A is B.
A implies B.
모두, A 가 B의 속성을 만족하므로,  A가 B 에 포함되는 것을 뜻하는데, 예를 들어,
 
사과는 과일이다.
사과는 과일을 의미한다.
 
"의화(Justification)"을 정의하는 문장 혹은 설명하는 문장 중에서, 이렇게 포함관계의 방향을 뒤집어 버리는 번역은 매우 심각한 번역 오류입니다.
 
어떠한 경우에도, 라틴어본 및 다른 나라 언어본 에서의 동사의 "논리 진행 방향"과 같은 방향을 가진 우리말 동사로 번역을 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제 1989항 제일 마지막 부분이 "의화"를 정의하고 있는 부분인데, 이 부분을 논리적으로 자세해 들여다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989 ... « Iustificatio [...] non est sola peccatorum remissio, sed et sanctificatio et renovatio interioris hominis ». 224
 
1989 ...   "Justification is not only the remission of sins, but also the sanctification and renewal of the interior man.
 
졸번역
1989 ...  "의화는 죄의 사함일뿐만 아니라, 또한 성화이며 내적 인간의 쇄신이다. "
 
이 문장에서 강조하는 not only, but also는 논리적으로 의미가 없어 걷어내면, 이 문장은 다음의 세 문장을 connective인  AND 로 연결한 문장입니다:
 
(1) = 의화는 죄 사함이다.
(2) = 의화는 성화이다.
(3) = 의화는 내적 인간의 쇄신이다.
 
다음으로, 정의하는 문장 중에 사용된 is 는 if and only if 와 꼭 같으므로, 이 표현을 단지 간단하게 나타내면,
 
라-1: "의화" if and only if "(1), (2), (3) 모두 성립"
 
참고: 그리고, 3 개 이상의 그러나 유한 개의 조건들로써 "의화"를 정의하더라도 만약에 이들 조건들 중에 (2) 가 들어가 있으면, 역시 논리적으로 라-1와 다른 것 없습니다. 이 점을 절대로 간과하시면 안됩니다.
 
참고: 부록 2에 의하면, 트리엔트 공의회(1543-1563)에서 정의된 "의화"의 정의는 총 다섯 개의 조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5섯 개의 조건들 각각을 만족하여야 한다(collectively define)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의심은 접어두라면서, 제가 아무리 논리적으로 따져 가면서 말씀드려도 믿지 않는 분들께서는 필히 꼭 이 글의 부록 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정의하는 문장에서가 아닌, 설명하는 문장 중에 사용된 is (혹은 imply) 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라-2: "A is B" if and only if "A is contained in B".
 
--------------
예제: 사과는 과일이다.
 
예제: 가톨릭 교회 교리서 index에는 분명하게 "의화"가 "성화"임을 밝히고 있습니다: 

"의화"는 성화", 즉  "Justification as Sanctification" 1989, 1995
"의화"의 정의 및 의미 1987, 1989, 1991-1992
--------------
 
따라서, A 와 B 를 동일시 하려면, 즉 논리적으로 동치가 되려면, 다음의 두 명제가 모두 참이어야 합니다.
 
"A is B."
"B is A."
 
 
그런데 주의 할 점은, is 가 사용되고 있는 문장,
 
A is B. 
 
에서 이 표현이,
 
(1) A를 B 와 같은 것이라고 정의하는 문장든지 혹은
 
(2) 정의하는 문장이 아니든지 간에,
 
항상 "A가 B의 속성을 만족하고 있는 것"을 언제나 뜻하고 있음에 특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므로," A 는 B에 포함됩니다." 즉," A 개념은 B 개념에 포함됩니다."
 
--------------
예제: 제 2019항은, 우선적으로,  "의화 개념"이 언제든지 (1)에 포함, (2) 에 포함, (3) 에 포함, 이렇게 각각에 포함되어야 하는데, 희한하게도 번역오류에 의하여, 영어본 및 우리말본 번역에만, "포함된다"가 아니라 "포함한다"로 잘못 번역하는 바람에, 포함관계가 완전히 뒤집어져 있습니다. 즉, 이 잘못 번역된 우리말본 혹은 영문본을 읽으면, 독자들이 모두 다,
 
"의화가 성화를 포함하는 것", 즉 "의화개념이 성화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를 하게 되어, 이것은 논리적으로 중대한 오류를 발생하게 합니다.
 
바로 지금 지적한 방향 감각을 상실한 이 번역 오류가,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읽으시는 대다수의 분들에게, "의화"의 정의 및 의화의 성질을 바르게 이해할 수 없게 만들고 있으니, 즉시 번역 오류를 바로 잡아야 합니다.
 
(물론, 교황청 제공 영문본에도 꼭 같은 번역 오류가 있기에, 바로 잡아져야 할 것입니다.)
---------------
 
우선적으로, 라-1. 로 부터,
 
"의화는 성화이다." 가 참이라는 것은 자명하므로,
 
의화 개념은 성화 개념에 포함됩니다.
 
따라서, 의화 개념이 성화 개념과 논리적으로 동치인 것을 보이려면, 이제 남은 것으로서,
 
성화 개념이 의화 개념에 포함되는 것을 보여야 하는데, 꼭 같은 말로,
 
"성화는 의화이다."  혹은 동치인  "성화는 의화를 의미한다" 를 논리적으로 보여야 합니다.
 
여기서, 이제 어려움이 나타납니다. 즉,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제 1989항목 중에서,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의화"에 대한 정의가 내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1997년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에 "성화"에 대한 정의가 없습니다.
 
또한, 제가 확인하니, 가톨릭 보편 교회가 처음으로 발간한 1566년판 "트렌트 교리서"에도 "성화"에 대한 정의가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Remark: 이것을 매우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트렌트 공의회 문헌전체 본문 중에서, sanctification 단어는 단 두번 사용되었는데, 바로 다음의 SESSION VI의 CHAPTER VII 및 CHAPTER X 에서 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정말 믿기 어려웠는데, 이것을 저와 마찬가지로 또한 믿기 어려우신 분들께서는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매우 특별하고 또 특별하고 정말로 특별한 일이 없는한, 앞으로도 가톨릭 교회 교리서 내에서 "성화" 라는 단어의 정의는 없을 것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
이에 관하여서는 다음을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라틴어본) 1989 ... « Iustificatio [...] non est sola peccatorum remissio, sed et sanctificatio et renovatio interioris hominis ». 224
 
(영문본)
http://history.hanover.edu/texts/trent/ct06.html
(224) Concilium Tridentinum, Sess. 6a, Decretum de iustificatione, c. 7: DS 1528.

CHAPTER VII.
What the justification of the impious is, and what are the causes thereof.
This disposition, or preparation, is followed by Justification itself, which is not remission of sins merely, but also the sanctification and renewal of the inward man, through the voluntary reception of the grace, and of the gifts, whereby man of unjust becomes just, and of an enemy a friend, that so he may be an heir according to hope of life everlasting.
....

CHAPTER X.
On the increase of Justification received.
Having, therefore, been thus justified, and made the friends and domestics of God, advancing from virtue to virtue, they are renewed, as the Apostle says, day by day; that is, by mortifying the members of their own flesh, and by presenting them as instruments of justice unto sanctification, they, through the observance of the commandments of God and of the Church, faith co-operating with good works, increase in that justice which they have received through the grace of Christ, and are still further justified, as it is written; He that is just, let him be justified still; and again, Be not afraid to be justified even to death; and also, Do you see that by works a man is justified, and not by faith only. And this increase of justification holy Church begs, when she prays, "Give unto us, O Lord, increase of faith, hope, and charity."
....
 
[Caput VII.: Quid sit iustificatio impii, et quae eius causae]
Hanc dispositionem seu praeparationem iustificatio ipsa consequitur quae non est
sola peccatorum remissio sed et sanctificatio et renovatio interioris hominis
per
voluntariam susceptionem gratiae et donorum unde homo ex iniusto fit iustus et ex
inimico amicus ut sit haeres secundum spem vitae aeternae.
...
 
[Caput X.: De acceptae iustificationis incremento]
Sic ergo iustificati et amici Dei ac domestici facti euntes de virtute in virtutem
renovantur (ut apostolus inquit) de die in diem hoc est mortificando membra carnis suae
et exhibendo ea arma iustitiae in sanctificationem per observationem mandatorum Dei
et Ecclesiae: in ipsa iustitia per Christi gratiam accepta cooperante fide bonis operibus
crescunt atque magis iustificantur sicut scriptum est: qui iustus est iustificetur adhuc et
iterum: ne verearis usque ad mortem iustificari et rursus: videtis quoniam ex operibus
iustificatur homo et non ex fide tantum.
...
----------------------------
 
 이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에서 "성화"를 정의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밝혀졌습니다.
 
그러면, 만약에 "성화 개념"과 "의화 개념"이 논리적으로 동치라면, 그러한 관계를 밝혀줄 수 있는 하나의 문장이 바로 위의 1989항목 중 마지막 문장인데 (트리엔트 공의회 문헌 Session VI, Chapter VII), 이 문장의 주된 목적은 "의화"를 정의하는 문장이기에, "의화"는 자신을 정의하는 세 개의 조건 중 하나인 "성화"와 논리적으로 절대로 동치가 될 수 없습니다.
 
그 다음으로, 위의 트리엔트 공의회 문헌 Session VI, Chapter X 에서, justification 과 sanctification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문장뿐인데, 다들 잘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무슨 소리를 하고 있는지를... 즉, 이 문장 또한 "성화 개념"를 "의화 개념"에 절대로 포함시키는 내용이 아닙니다. 단지, 신앙생활 열심히 하면서 "의화"도 자꾸 자라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또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성화"의 정의를 하였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따라서, 1997년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두 번째로 발행되었을 때까지, 가톨릭 보편 교회의 교리서인 "트렌트 공의회 문헌"에서 비로소 최초로 정의된 "의화"가 "성화"를 포함한다는 내용은 없습니다.
 
그리고, 지난 글에서도 여러 번 이미 말씀드렸지만, 1997년에 발행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도 "성화"를 정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1997년에 발간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중에는  "은총"도 정의하고 있습니다만, "성화"를 정의하지 않은 점에 정말 반드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제가 아는 한, "성화"가 "의화"에 포함된다는 분명한 언급도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없습니다.
 
그러면, 최근 10여년 사이에, "성화 개념"이 "의화 개념"에 포함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 결과가 있다 하더라도,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 추가가 될 때까지는, 그냥 연구 결과일 뿐입니다.  
 
물론, "의화"와 "성화"는 다른 개념이므로 구분은 하되, 분리를 할 수 없으므로, 이 두 개념이 사람에게 동시에 작용하는 순간인 세례 싯점에, 동시에 작용하므로, 동일시 할 수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만, 논리적으로 따질 때에, 시간은 제외시키므로, 이런 추측 자체가 난센스일 것입니다. 
 
사정이 이러하니, 부족한 이 사람 마저도 매우 흥미롭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언제부터 가톨릭 교회가 의화와 성화를 동일시 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은, 사실은 충분히 던질 학술적 가치가 있는 질문으로 생각됩니다. 즉, 매우 흥미로운 좋은 질문으로 생각됩니다. 
 
이 질문을 던지고는, 스스로 무려 여섯 가지의 다른 방법 (위에 한 가지 말씀드린 것 포함)으로 들여다 보아도, 여전히 "성화"가 "의화"에 포함된다는 결론을 도출도 못하겠고, 오히려 그것이 아니라는 것을 지지하는 내용들이 눈에 들어와 잡히고 있습니다.  그 예로서,
 
1.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정의가 된 개념이 어찌하여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정의를 하지 않거나 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과 동치가 될 수가 있겠는지요? 단, 여기서
 
2. 그리고, 이미 여러 번 언급하였지만, 익명의 그리스도론 때문에도, "성화"가 "의화"에 포함될 수가 없습니다.
 
 3.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범주를 벗어나,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자료 조사 및 분석을 해 보아도, "성화"가 "의화"에 포함된다는 언급을 하고 있는 자료는 거의 거의 없습니다.
 
4. 심지어, The New American Bible에 부착된 백과 사전에도, Justification의 정의는 있으나, Sanctification의 정의는 없습니다. 더 나아가, Sanctification에 대한 제대로 된 설명조차 없습니다.
 
5. 대신에, 매우 매우 흥미롭게도, 루터파 개신교 교회를 위시한 개신교 교회 측에서는 "성화"를 정의하는 모양입니다.
 
가톨릭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말씀으로 직접 12사도 위에 세우셨고 또 사도 전승 (= 성전)에 한 없이 충실하므로,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이 "성화" 이기에,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에 순명하면서 그 임무 수행을 하는 입장이라, 또 성화의 원천 (fountain of sanctification)이기에, 성화를 정의한다면서 제한시키는 것 자체가 하느님 보시기에 함당하지 않을 수 있기에, 정의를 하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하지 못하였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작성 중) 
 
 
-------------------------------------------------------------------
 
아! 수학의 한 분야가 아니므로, 수학 운 운 할 필요가 없습니다. 수학적 진리를 추구하는 데에 적용하는 논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의화 개념은 (1)의 개념과 (2)의 개념과 (3)의 개념의 교집합과 동일하다] if and only if ["의화" if and only if "(1), (2), (3) 모두 만족"]
 
"증명(Proof)"이 도대체 무엇인지를 모르는 분이라, 더 이상 어떻게 친절하게 설명을 드려야 할지 저도 모르겠습니다.
 
"의화의 개념 중 하나이므로" 하시는 것으로 보아, 이들 세 개의 개념의 합집합을 "의화"의 정의인 줄로 착각을 하고 계시는 듯합니다. 합집합이 되려면 이들 세개의 개념이 OR 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원래 문장에서 이들은 AND 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1) or (2) or (3)" 가 절대로 아니고, "(1) and (2) and (3)".
 
not only (1) but also "(2) and (3)" = (1) and "(2) and (3)" = "(1) and (2) and (3)" = "(1), (2), (3) 모두의 교집합".
 
요즈음은 초등학교 4학년 정도만 되면 이것은 다 알고 있을 것입니다. "밴다이어그램" 그려 가면서 가르칠 것입니다:

"A 혹은 B" = "A or B" = A 와 B의 합집합(union),

"A 그리고 B" = "A and B" = A와 B의 교집합(intersection).
 
 "AND connectives" 들로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의화 if and only if (1) 죄의 사함일뿐만 아니라, 또한 (2) 성화이며 (3)내적 인간의 쇄신이다. "
설사 다음의 문장이 의화를 정의하는 문장이 아니라 그냥 의화의 속성을 설명하는 문장이라 하더라도,

"의화 는(is) (1) 죄의 사함일뿐만 아니라, 또한 (2) 성화이며 (3)내적 인간의 쇄신이다. "
의화 가 이들 (1), (2), (3)들의 교집합(intersection)의 부분집합(subset) 임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이 두가지의 경우에 대하여 벌써 진작에 다 말씀드렸습니다.
 
-------------------------------------
-------------------------------------
 
제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유관 부서에 요청한 것은,
 
우선 우리말 동사의 선정에 있어 다른 나라의 번역된 동사의 방향과 우리말로 번역된 동사의 방향을 같게 하는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is 나 imply, 예를 들어, A implies B. 의 경우 사전에 imply 를 내포한다 고 언급하니, 지금 "뒤집어졌다" 이런 밀씀을 하시는데, 비교할 수 있는 두 A, B 가 중간에 implies 로 한 문장을 만들면, "B의 성질 혹은 조건을 A 가 만족한다." 하는 뜻입니다. 그래서 집합론적으로는 A 가 B 에 "포함되는" 것이 맞습니다.
 
지금 위에서 드린 말씀은, is 나 imply 가 정의하는 문장 중에 사용되지 않았을 경우이고, 만약에 is, imply를 정의하는 문장, 예를 들어, ㅁ 형제님께서 예제로 든 우리나라의 영토.., 의 경우에는 is 나 imply 가 if and only if 이라서, 내포하고 또 내포된다 두 의미를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이 두가지 경우에 대하여 다 말씀드렸는데, 구분을 하는 것이 잘 되지를 않는 모양입니다.
 
어찌되었든지 간에, 우리말 동사의 선정시, 쓸데없이 어려운 한자어 사용을 특히 자제하고 특히 다른 나라말 동사들의 방향과 반드시 일치하도록 해 달라는 주문을 한 것입니다.

나머지 문제, 즉, 정의하지 않는 문장에서의 "imply" 가 집합론적 포함관계에 있어서는 "포함된다" 즉 "조건을 만족한다" 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 여러분들을 햇갈리게 하나, 논리적으로 포함관계를 따질 때에 이렇게 "뒤집어 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사과는 과일이다"는 문장은 사과를 정의하는 문장이 아니나, "우리나라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이다" 는 우리나라의 영토을 "정의"하는 문장입니다. 부디 이 큰 차이점을 필히 구별하시기 바랍니다.
 
------------------
ㅁㄱㅈ (2007/07/24) : 동사의 방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또 논리적 포함관계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용된 어휘의 참뜻이 선행되고 그 이후에야 방향과 포함관계가 결정이 되어야겠지요. 아주 간단한 단어 imply에서 내포하고 또 내포된다는 두가지 의미를 동시에 만족시킨다는 말씀은 처음입니다. 님의 설명을 애써 수긍한다고 해도, 각 명제의 주어가 뒤바뀌지 않는 한, '내포하고'와 '내포되고'가 동시에 일어날 일은 없을 겁니다.
-------------------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직역 번역이 중요합니다. 직역 번역을 주로 하되 도저히 직역 번역이 불하능한 문장에 한하여, 의미 전달에 절대로 하자가 없도록 (예를 들어, 동사의 방향이 뒤바꿔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등 등) 의역 번역을 하여야 할 것입니다.
 
--------------------
ㅁㄱㅈ (2007/07/24) : 우리말 동사의 선정시, 쓸데없이 어려운 한자어 사용을 특히 자제하고 특히 다른 나라말 동사들의 방향과 반드시 일치하도록 해 달라는 주문을 한 것입니다.--->이 주문은 마치 라틴어 원문과 세계 각국의 번역문에서 주어와 목적어를 바꿔달라는 주문과 다르지 않습니다. A가 B를 '내포하면' 당연히 B는 A'에 포함되어(내포되어)'있어야지요. 그걸 뒤집으면 논리도 집합론적 포함관계도 아무것도 아닙니다.
 
제가 제시한 명제, "우리~이다"에서 ㅅㅅㅌ님은 '영토'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의 포함관계를 어찌 보시는지요? 또, "우리~포함한다"에서 두 객체 사이의 포함관계는 어찌 보시는지요?
 
위의 제 명제에 답을 주신 후에 님께서 예를 드신 "La justification implique la sanctification de tout l’être."에서 Justfication과 Santification 사이의 포함관계를 짚어주시기 바랍니다.
---------------------
 
ㅁㄱㅈ 형제님! 정의하는 문장에서는 imply 가 포함된다 또 포함한다 이렇게 두 방향성을 가집니다. 그리고 개념적으로 두 개의 개념이 동치인가 아닌가를 따지려면 논리적 포함관계를 따지는 것은 피할 수 없습니다. 포함관계에 있어, 정의하는 문장에 사용된 동사는 양방향을 가지고 있고, 그렇지 않고 설명하는 문장에 사용된 동사는 한쪽 방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다른 나라로 번역된 동사와 같은 방향을 가지도록 하면 됩니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직역 번역을 하면 이 요구조건은 자동적으로 만족이 됩니다.
 
--------------------
ㅁㄱㅈ (2007/07/24) : 님의 말씀은 잘 알아들었으니, 제가 드린 세 개의 질문에 답을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님의 말씀을 좀 더 이해할 수 있겠군요. 위의 불어문장을 '직역'해 주시면 님의 '동치'를 이해하겠습니다.
 
불어는 그 정치함과 명료함으로 세계적으로 정평이 나 있다지요. 님께서 말씀하시는 '내포한다'와 '내포된다'를 가지고 직역을 하시면 님의 요구조건은 자동적으로 만족될 겁니다.
--------------------
 
그 문장이 "justification은 sanctification의 성질을 만족한다"를 뜻하므로, "justification 이 sanctification 에 포함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냥, "justification은 sanctification을 의미한다." 로, 어려운 한자말 쓰지 않고, 최대한 직역 번역하면 됩니다.
 
문 형제님께서 주신 예제인 "우리나라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이다." 문장은, 우리나라의 영토를 정의하는 문장이라, "우리나라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에 포함되고 또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는 "우리나라의 영토"에 포함된다 라는 뜻입니다. 바로 이렇게 사용된 동사가 양방향성 포함관계를 가지고 있는 문장은, 정의하는 문장의 속성입니다.
 
정의하는 문장이 아닐 경우에는, "A imlies B" 는, A 와 B 를 비교할 수 있을 경우에 있어, "A 가 B 에 포함되는 관계"를 뜻하고 있습니다.
 
문 형제님, 주신 세개의 질문에 대한 답을 제가 다 드렸는지요?
 
형제님께서 어떠한 예제를 제시하더라도, 그 예제가 정의하는 문장이면, 그 문장에 사용된 동사는 양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포함관계에 있어, 포함되고 또 포함한다, 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이 점 때문에, 정의하는 문장과 그렇지 않는 경우를 분명히 구분하여야 합니다.
 
휴!!!! 지금, 제가 꼭 같은 이야기를 아마도 6 -7 번때 반복하여 말씀드리고 있을 것입니다.
 
미사 다녀 와야 합니다..
 
----------------------
ㅁㄱㅈ (2007/07/24) : "justification은 sanctification의 성질을 만족한다"라는 답안지를 가지고 불어선생님께 제출하면 빵점입니다. 이는 라틴어본에 있는 그대로, 우리 교리서에 있는 그대로, '의화는 성화를 포함한다'가 100점짜리 답안이지요. 괜히 여기서, 의화가 성화에 포함된다고 하면 큰일 납니다. 님의 명제를 불어로 옮기면, La justification est implique(')e dans la santification.이라고 해야 합니다. 님께서 계속 반복하고 계신 말씀을 저는 지금 '틀렸다'고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그 때
 
문에 다른 분들과도 다툼이 일지 않으셨습니까?
 
미사 잘 다녀오시기 바랍니다. 저는 지금 퇴근합니다... 평화
-----------------------
 
번역하는 경우에 있어 직역 번역을 매우 선호하는 사람이기에, "justification은 sanctification의 성질을 만족한다." 라고 번역한 것을 답안으로 제출하지 않고, "justification implies sanctification"이라고 번역한 것을 답안으로 제출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 의미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jstification 이 snactification의 성질을 만족한다." 라고 답할 것입니다..^^
 
즉, "justification implies sanctificaton." 이라고 번역한 것은 "직역 번역"이고, "jstification은 snactification를 포함한다." 라는 번역은 일종의 "의역번역"입니다. 무슨 말씀인가 하면, imply 를 "내포한다"로 번역하지 않고 (왜냐하면, 원래 언어가 포함관계를 명기하지 않고 있으므로) 포함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는 "뜻한다" 혹은 "의미한다" 이렇게 번역하는 것이 "직역 번역"입니다.
 
문제는, 포함관계를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동사인 is 혹은 imply 를 번역할 때에 "내포한다" 로 번역하여, 포함관계를 명시적으로 나타낸 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이다 = is, 의미한다 = imply로 직역 번역하여, 이 문제를 바로 잡으면 그만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포함관계"에 대하여 제가 드린 말씀이 논리적으로 맞느냐, 틀리느냐 이전의 문제입니다.

또 포함관계에 대한 저의 이야기는, 논리적으로 맞는 이야기입니다.
 
이번의 논의가, 부산물로서, 소위 말하는 "직역 번역"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좋은 계기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어려운 한자를 많이 포함한 단어로 번역이 되면 될 수록, 자구해석을 하여 엉뚱한 추측을 하게 되니까요.
 
더구나, 라틴어 동사인 implicat의 의미가 다음과 같습니다:
 
http://www.archives.nd.edu/cgi-bin/lookit.pl?latin=implicat
implicat
impleo : to fill in (or up), satisfy, content, fulfil, perform.
impleo : to fill up, content, satisfy.
 
http://www.archives.nd.edu/cgi-bin/lookit.pl?latin=implicare
implicare
impleo : to fill in (or up), satisfy, content, fulfil, perform.
impleo : to fill up, content, satisfy.
 
따라서, "A implies B." 를 "A는 B를 만족한다." 로 번역하는 것도 100점입니다..^^ 그렇죠?
 
또 불어 선생님에 따라, "A implies B." 를 "A는 B의 성질을 만족한다." 로 번역한 것에 대하여 100점 주실 분도 계실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에 그 불어 선생님께서 라틴어를 통 몰라서 이 번역을 빵점 처리하였다면, 나중에 학생으로 부터 틀림없이 이의 제기 받을 것 같습니다..^^
 
저는 여러 분들께서 왜 헷갈리는지를 그래도 십분 잘 이해를 하고 있는데, 이와 비교하여, 여러분들께서는 제가 드리는 설명을 이해하는 것이 참으로 힘든 것 같습니다. 자세하게 또 반복하여 설명을 드려도 도대체 이해가 잘 안되는 모양입니다. 이런 어려움이 단지 저의 설득력의 부족 때문이라면 괜찮은데, 우리 언어로 하는 사고 과정에, 이런 문제를 야기하는 다른 어떤 요인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하여, 제 심정이 별로 좋지 않습니다. 저도 분명히 "한국 사람"이니까요.
 
요청에 의하여 추가로 드린 저의 설명이, 여러 분들의 이해를 돕고 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더 분명하게 파악하는 데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
ㅁㄱㅈ (2007/07/25) : 자러 가기 전에 한가지만 여쭙지요. 위에 찾으신 라틴어 implicare;impleo:to fill in, satisfy는 어떻게 봐야 하나요? 님이 처음 찾으신 사전에서는 implicare=implicate(영)으로 되어 있었는데요... 그리고, impleo는 implicare가 아니라 implere의 동사변화형일겁니다, 아마도요... 확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mplicare에도 satisfy란 뜻이 있긴 있나보지요? 그리고, 님의 표현 중, '~를 만족한다.'에서... 이 표현이 맞긴 맞는 건가요? '~를 만족(충족) 시
 
킨다'는 들어봤지만, '~를 만족한다'란 표현은 첨이라서요. '~에 만족한다'라면 몰라도... 이런 맥락에서 'A는 B를 만족한다'나 'A는 B의 성질을 만족한다'라는 문장은 어찌 해석해야 하는지 또 걱정입니다. 님의 해석대로라면, A implies B'='A satisfies B'가 되는데 이게 정말 맞긴 만즌 건가요? 그럼, 님의 해석에 따라, 'A는 B를 의미한다'=A는 B를 만족시킨다'라는 뜻이라는 것이지요? 아웅 졸립네요. 아침에 뵙지요.
---------------------
 
http://www.archives.nd.edu/cgi-bin/lookit.pl?latin=implere
implere
impleo : to fill in (or up), satisfy, content, fulfil, perform.
impleo : to fill up, content, satisfy.
 
"A가 B를 만족한다" (= "A가 B의 성질을 만족한다") 와 "A 가 B에 포함된다." 는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사과는 과일이다."

의 예를 놓고서,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이제 훨씬 이해가 더 잘 될 것입니다.
 
impleo가 뿌리인 단어들의 변화형들은 위의 최근의 파란색 글을 클릭하고 들어가 보아주시기 바랍니다.
  
라틴어 동사 원형인 implicare는 impleo 의 파생어이라고 합니다. 즉, impleo가 뿌리(root)입니다. 그래서, 라틴어가 아닌 언어에서 imply 는 모두 라틴어 뿌리인 impleo의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A implies B" = "A satisfies B"가 맞습니다. 즉, "A 는 B 의 성질(혹은 다른 말로, 조건)을 만족한다." 는 뜻입니다.
 
 제가 알려드린 그 라틴어 사전 제공은 University of Notre Dame 인데, 미국의 대표적인 가톨릭 대학교(Catholic university)입니다.제가 제공해 드린 라틴어 사전의 설명을 신뢰하셔도 괜찮을 것입니다.
 
이미 말씀드렸지만, 우리말 번역을 제외하고, 다른 나라 말로 번역된 단어들은 모두 라틴어 est 와 implcat 를 "is 혹은 imply 의 뜻을 가진 단어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단 여기에, 예외가 바로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밖인 2019항 영어 번역이 오류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2019항 번역 오류는 단순 착오인 듯 싶습니다. 왜냐 하면, 우리말본 이외의 다른 언어들 모두 2019의 경우에 있어 imply 로 번역을 하고 있으니까요.
 
다시 한 번 살펴 보시면, 지금 말씀드린 이 점을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을 쉽게 알게 하기 위하여 라틴어본 뿐만이 아니라, 각 나라 번역본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도록 해 드렸던 것입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문제는, 포함관계를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동사인 is 혹은 imply 를 번역할 때에 "내포한다" 로 번역하여, 포함관계를 명시적으로 나타낸 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이다 = is, 의미한다 = imply로 직역 번역하여, 이 문제를 바로 잡으면 그만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포함관계"에 대하여 제가 드린 말씀이 논리적으로 맞느냐, 틀리느냐 이전의 문제입니다.

또 포함관계에 대한 저의 이야기는 논리적으로 맞는 이야기입니다
 
 
필독 권유!!! 에는 다음의 설명이 있습니다:

"A is a B" usually means that concept A is a specialization of concept B, and concept B is a generalization of concept A.
 
따라서, 포함 관계로 말하면, "A 개념은 B 개념에 포함된다." 라고 표현하는 것이나 "A is B." 라고 표현하는 것이나, 논리적으로 동치입니다.
 
 
그런데 인터넷으로 찾아 보니,
단순하게 "내포" = "포함"이 아니라고 합니다.. <----- 여기를 클릭하신 후에 살펴보시면,

"②어떤 성질(性質)이나 뜻을 그 속에 지님" 이라는 의미의 한자말이라고 합니다.
 
즉, "의화가 성화를 내포한다"는 말은, "의화가 성화의 성질이나 뜻을 그 속에 지닌다." 는 말이라고 합니다. 이말은, 의화가 성화의 성질 혹은 뜻(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니, "의화의 개념"이 성화의 개념에 포함된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의화가 성화의 성질을 만족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내포한다 = 포함한다" 가 아니라 "내포한다 = 포함된다"의 의미라고 합니다.
 
어휴.. 그동안 (저를 포함하여) 다들 굉장히 헷갈렸는데, 한자 세대가 아닌, 우리들의 한자어 실력이 바닥입니다..^^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라틴어 impl 이 뿌리라, 이것에 관하여 더 찾아 보려다, 거꾸로 한자어 "내포(內包)"의 뜻을 찾아보니, 거기에 답이 있습니다..^^
 
또 "빵점"에서 "100점"으로 변하는 순간이기도 하고요..^^ 그렇죠? ㅋㅋㅋㅋㅋ 하여튼, 형제님과의 기나 긴 한줄답변 대화 끝에, 저도 몰랐던 것 하나 배우게 되어 감사합니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요즈음 세대들이 "포함한다"로 생각하는 헷갈리는 한자어 파생어인 "내포한다"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는, 저의 견해는 여전히 변함이 없습니다.
 
==================
 
< 부 록 1 >
 
다음은, 
Catholic Bible Buplisher, Wichita, Kansas 67210, 2000-2001 Edition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 공인 영어 성경인 The New American Bible의 부록인 
Encyclopedic Dictionary and Biblical Reference Guide 에 실린
Justification 용어에 대한 정의/설명 입니다.
 
Justification (의화)
A sanctification of the human person through the gift of God's grace. The person enters into a state of friendship and communion with God. Justification is a gift from God which must be actively accepted by the individual. Justification occurs through Baptism when the individual enters into the community of God's peopl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other sacraments, especially the Eucharist, a persion grows his relation with God. Obtained only through God's grace.
 
의화를 풀어서 설명/정의하고 있기에, 분명히 의화는 성화의 한 종류입니다.
 
따라서, 의화 개념은 성화 개념에 포함됩니다. 

당연한 말씀이지만, 이것은 최소한 트리엔트 공의회(1543-1563) 이후부터 분명한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입니다. 
 
아! 그런데 트리엔트 공의회 이전에는 "의화"라는 단어를 가톨릭 교회가 공식적으로 사용한 적이 없었습니다. 세례성사로 세례를 받음으로써 하느님의 자녀가 되는 것으로 그만이었으니까요.
 
State of grace
The persion who is living in friendship with God. This gift is offered by God to all but may be accepted or rejected by each individual.
  
 
 

< 부 록 2 >
 
 
 
 JUSTIFICATION, THEOLOGY OF

The process of a sinner becoming justified or made right with God. As defined by the Council of Trent, "Justification is the change from the condition in which a person is born as a child of the first Adam into a state of grace and adoption among the children of God through the Second Adam, Jesus Christ our Savior" (Denzinger 1524). On the negative side, justification is a true removal of sin, and not merely having one's sins ignored or no longer held against the sinner by God. On the positive side it is the supernatural sanctification and renewal of a person who thus becomes holy and pleasing to God and an heir of heaven.

The Catholic Church identifies five elements of justification, which collectively define its full meaning. The primary purpose of justification is the honor of God and of Christ; its secondary purpose is the eternal life of mankind. The main efficient cause or agent is the mercy of God; the main instrumental cause is the sacrament of baptism, which is called the "sacrament of faith" to spell out the necessity of faith for salvation. And that which constitutes justification or its essence is the justice of God, "not by which He is just Himself, but by which He makes us just," namely sanctifying grace.

Depending on the sins from which a person is to be delivered,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justification. An infant is justified by baptism and the faith of the one who requests or confers the sacrament. Adults are justified for the first time either by personal faith, sorrow for sin and baptism, or by the perfect love of God, which is at least an implicit baptism of desire. Adults who have sinned gravely after being justified can receive justification by sacramental absolution or perfect contrition for their sins. (Etym. Latin justus, just + facere, to make, do: justificatio.)

 All items in this dictionary are from Fr. John Hardon's Modern Catholic Dictionary, © Eternal Life. Used with permission.

 위의 두 번째 절의 줄친 부분만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 Catholic Church identifies five elements of justification, which collectively define its full meaning.
 
가톨릭 교회는, 의화(justification, 의롭게 됨)의 전체 의미를 교집합적으로(collectively) 정의하고 있는, 의화의 다섯 개의 요소들을 식별하고 있다(identify).
 
--------------------------------
 
의화 신학
 
죄인이 의화되는 즉 하느님과의 관계가 바르게 되는 과정. 트리엔트 공의회에 의하여 정의되었듯이, "의화는 첫 번째 아담의 자녀로서 태어게 된 한 인격(person)이라는 상태(condition)로부터 은총의 상태(stage of grace)로 또 두 번째 아담인, 예수 그리스도 우리 주님을 통하여 하느님의 자녀들로 입양(adoption)의 상태로의 변화이다. (덴칭거 1524). 어두운 면에서, 의화는, 단순히 자신의 죄가 간과되거나(ignore) 아니면 하느님에 의하여 더 이상 죄인에게 반하게(against) 유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진실된 죄의 제거(removal)이다. 밝은 면에서, 이것은 초자연적 성화(sanctification)이며 사람의 인격(person)의 쇄신(renewal)인데, 그 결과 죄인은 거룩하게(holy) 되고 또 하느님을 기쁘게 하며 그리고 하늘의 상속인(heir)이 된다.
 
가톨릭 교회는, 의화(justification)의 전체 의미를 교집합적으로(collectively) 정의하고 있는, 의화의 다섯 개의 요소(elements)들을 식별하고 있다(identify). 의화의 주된 목적은 하느님과 그리스도에 대한 존경(honor)에 있으며, 의화의 두 번째 목적은 인류(mankind)의 영원한 삶에 있다. 주된 효과적인 원인(cause) 혹은 매개체(agent)는 하느님의 자비(mercy of God)이며, 주된 도구적(instrumental) 원인(cause)은 세례성사(sacrament of baptism)인데, 세례성사는 구원(salvation)을 위한 믿음의 필요성을 글자로 나타내기 위하여 "믿음의 성사(sacrament of faith)"로 불린다. 그리고 의화를 구성하는(constitute) 것 혹은 의화의 핵심은 하느님의 정의(justice of God)로서, "이에 의하여 당신께서 당신 스스로를 올바르게(just) 하시는 것이 아니라, 이에 의하여 당신께서 우리를 올바르게(just) 하시는," 즉 성화 은총(sanctifying grace)이다.
 
그리로부터 사람의 인격(person)이 구해지는 죄들에 따라, 다른 종류의 의화들이 있다. 유아는 세례(baptism)예식과 세례성사를 요청한 자 혹은 세례성사를 베푸는 자의 신앙에 의하여 의화되어지고, 성인(adults)들은 각자의 믿음에 의하여, 죄와 세례에 대한 후회(sorrow), 혹은, 적어도 갈망(desire)에 의한 암시적 세례인, 하느님의 완전한 사랑에 의하여, 최초로 의화되어진다. 의화된 뒤에 대죄를 지은 성인(adults)들은 성사적 사면(sacramental absolution) 혹은 자신의 죄들에 대한 완전한 회개(contrition)에 의하여 의화를 받을 수 있다.
 
이상 졸번역 끝. 
-------------------------
 
즉 "의화"는, 정의에 의하여, 다음을 만족합니다:
 
 
이들 5개 요소들 중의 하나가 성화(sanctification)이므로,
 
의화(justification)는, 정의에 의하여, 성화이며, 
 
역시 의에 의하여, 성화의 부분집합 입니다.
 
특히 의화는, 역시 정의에 의하여, 성화와 결코 동일시 할 수 없습니다.
 
 
 
 < 부 록 3 >
 
 
 
 
 
 
 
 
 
 


1,392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