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젓나무??? - 이사야 41,19 [성경용어_젓나무]

인쇄

2012-10-26 [175.126.101.*]

2012-10-31 ㅣ No.1286


질문:

이사야서 41장 19절에 '젓나무'라고 된 부분이 있는데 ... 잣나무나 전나무가 아닐까요? ...

에즈라기 1장 1절 각주에 '바빌론 통치' 첫해로서 기원전 538년이다. 로 된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페르시아 통치' 첫해가 맞지 않나요?

--------------------

답변:

+ 찬미 예수님!

1.
[에즈라기 1장 1절 각주에 '바빌론 통치' 첫해로서 기원전 538년이다. 로 된 부분이 있는데 이것은 '페르시아 통치' 첫해가 맞지 않나요?]

<----- "페르시아의 '바빌론 통치' 첫해로서 기원전 538년이다." 가 정확한 표현이라는 생각입니다.

2. [이사야서 41장 19절에 '젓나무'라고 된 부분이 있는데 ... 잣나무나 전나무가 아닐까요? ...]

<----- 다음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에 의하면, "젓나무" = "전나무" 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들 쉽게 알아들을 "전나무" 대신에 "젓나무" 단어를 사용한 이유는 저도 궁금할뿐입니다:

http://124.137.201.223/search/View.jsp

3.
다른 지역에서 대단히 오래 전에 불렀던 특정 나무에 대한 이름이기에 그렇게 불렸던 나무가 실제로 어느 나무를 말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대단히 힘들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나무의 명칭을 지역 언어들에서 어떻게 번역하고 있는지를 비교/검토해 보는 것이 약간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새 번역 성경)
이사야 41,19 : 나는 광야에 향백나무와 아카시아 도금양나무와 소나무를 갖다 놓고 사막에 방백나무와 사철가막살나무와 젓나무를 함께 심으리라.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dv_2_thu.htm

(RSV)
이사야 41,19: I will put in the wilderness the cedar, the acacia, the myrtle, and the olive; I will set in the desert the cypress, the plane and the pine together;

(NAB)
이사야 41,19 : I will plant in the desert the cedar, acacia, myrtle, and olive; I will set in the wasteland the cypress, together with the plane tree and the pine,

이들 문장들을 비교/검토하면,

"젓나무" = "the pine" 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향백나무" = "cedar",
"아카시아" = "acacia",
"도금양나무" = "myrtle",
"소나무" = "olive" (???),
"방백나무" = "cypress",
"사철가막살나무" = "the plane tree" (???) 로 대응하는데,

(???) 표시를 한 대응은 좀 이상하다는 생각입니다.

===================

게시자 주: 다음은, 위의 질문을 읽고서 다른 분께서 "성서 위원회"로 메일로 하였던 문의에 대한 답변 메일이라고 합니다:

(발췌 시작)
+샬롬(그리스도의 평화)

이사 41,19 젓나무는 우리나라 전나무랑은 달리, 레바논산에 자랐던 나무로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성서식물을 연구한 책을 참조해 옮겼습니다.
흔히 알고 있는 전나무랑은 다릅니다.
에즈 1,1 각주의 바빌론 통치는,
고레스가 기원전 539년 바빌론을 정복한 다음 ''바빌론 임금''이라는 칭호를 갖는데
바빌론 통치 첫 해를 가리키고자 저자가 의도적으로 그리 표현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위 내용은 성서 위원회에 메일로 받은 답변입니다.
(이상 발췌 끝)
====================

4. [에즈 1,1 각주의 바빌론 통치는, 고레스가 기원전 539년 바빌론을 정복한 다음 ''바빌론 임금''이라는 칭호를 갖는데 바빌론 통치 첫 해를 가리키고자 저자가 의도적으로 그리 표현한 것입니다.]

<----- 원 질문이, 에즈라 1,1 본문에 대한 질문이 아니었고, 이미 그 당시에 그 지역에서의 역사를 알고 계신 분들 혹은 "바빌론 임금"을 또한 언급하고 있는 "주석 성경"의 주석을 읽은 분들에게야 아무런 문제가 없는 각주이나, 그러나 이번의 질문에서처럼, 독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는, 새 번역 성경의 에즈라 1,1의 각주, "'바빌론 통치' 첫 해로서 기원전 538년이다" 에 대한 질문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답변을 전달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위의 답변에서, "저자가 의도적으로 그리 표현한 것입니다"에서, "저자"가 구체적으로 누구를 말하는지 모르겠습니다.

5.
5-1.
[이사 41,19 젓나무는 우리나라 전나무랑은 달리, 레바논산에 자랐던 나무로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지만 성서식물을 연구한 책을 참조해 옮겼습니다. 흔히 알고 있는 전나무랑은 다릅니다.]

<----- 지금 말씀하신 바가 이사야 41,19의 각주로 언급되었더라면 참 좋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기왕에 답변을 주시면서, 어느 책인지 그 출처를 또한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셨더라면 더 좋았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5-2. 그런데..., 다음의 주소에 있는 "전나무"에 대한 두산 백과 사전의 설명을 읽어보니 또 헷갈립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0191&categoryId=200000673

(발췌 시작)
전나무

젓나무라고도 한다. 젓나무라는 표기는 한국의 식물학자인 이창복이 전나무에서 젖(우유)이 나온다고 해서 전나무를 젓나무로 고친데서 비롯되었다. ...
(이상 발췌 끝).

별도의 시간을 내어, "새 번역 성경" 이사 41,19에서 "젓나무"로 번역된 나무에 대한 글을 마련하여 올려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게시자 주: 다음의 이어지는 글을 읽도록 하십시오.

-----

5-3. 다음은 공동번역 성서 이사야 41,19의 해당 절입니다:

(발췌 시작)
"사막에 송백과 아카시아와 소귀나무와 올리브나무를 심고 황무지에 전나무와 느티나무와 회양목을 함께 심으리라."
(이상, 발췌 끝)

5-4. 다음은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newadvent.org/cathen/12149a.htm

(발췌 시작)
Box tree (Isaiah 41:19; 60:13; in D. V., Ezekiel 27:6, instead of "ivory and cabins", we should read: "ivory inlain in boxwood"), probably the Hebrew the’ashshur. The box tree does not grow in Palestine, and indeed the Bible nowhere intimates this, but it mentions the box tree of Lebanon, Buxus longifolia, Boiss., and that imported from the islands of the Mediterranean.

회양목(*)[box tree, 이사야 41,19; 60,13; Douay–Rheims Bible(D.V.), 에제키엘 27,6 에서, "ivory and cabins" 대신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읽어야만 합니다: "ivory inlain in booxwood"], 아마도 히브리어 the’ashshur 일 것입니다. 회양목은 팔레스티나 지역에 자라지 않으며, 그리고 정말로 성경 어디에서도 이 나무를 암시하지(intimates) 않으나, 그러나 성경은 레바논의 회양목인 Buxus longifolia, Boiss. 을 언급하며, 그리고 후자는 지중해의 섬들로부터 수입되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 번역자 주: 다음의 영한 사전의 설명에 따라, "box tree"를 "회양목"으로 번역하였다. 그러나 아래의 제5-6항의 설명에 따르면, 이 번역은 번역 오류라고 한다.
-----

5-5. 다음은, 굿뉴스 서버 > 자료실 > 성경 자료> 제69번 게시글의 첨부 파일로 제공되고 있는 글의 전문입니다:

[식물] 성서 식물의 세계: 방백목 (백광진 베드로 신부님 제공):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55. 방백목 (Green cypress) 버로쉬, 버로쉼, 터아슈르, Cupressus sempetvirens

● 띠로왕 히람은 솔로몬이 요청하는 대로 향백나무와 스닐젓나무 재목과 금을 보내왔다.  (열왕기상 9, 11)
● 너 띠로는 자랑을 했었다. 나는 세상에 더없이 아름다운 배라고, 너의 경계는 바다 깊숙이 뻗어 나갔고 조선공들은 과연 너를 아름답게 꾸몄다. 몸통은 스닐사의 향나무로 만들고 돛대는 레바논의 향백으로 만들었다. (에제키엘 27, 3-5)
● 레바논아, 성문을 열어라. 네 향백을 불살라 버리리라. 스닐젓나무야, 통곡하여라. 향백이 넘어지고, 큰 나무들이 찍혀 쓰려졌다. (즈가리야 11, 1-2)

버로쉬라고 히브리명은 성지에서 자라는 방백목을 가리킨다. 화분을 분석해서 얻은 결과와 건축재의 출토품 등으로 미루어 보아 이 나무가 성서 시대에 많이 자랐다는 사실과 건축재로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레바논에서 향백 재목을 수입 할 때 함께 수입한 스닐젓나무와 스닐향나무의 재목을 방향목과 같다고 생각하여 같은 이름인 버로쉬라고 불렀다. 따라서 버로쉬라는 이름은 한 수종이 아니고 3종을 가리킨 종합 명칭이며 성서에 30여 회 나타난다.

버로쉬의 고대어 터아슈르회양목(에제키엘 27, 6; 이사야 41, 19. 60, 13)으로 번역된 곳이 있다. 그리고 버로쉬는 젓나무, 잣나무, 잎갈나무, 삼나무, 송백, 소나무, 노송, 향나무, 기마, 전마, 수금 등으로 번역되기도 하였다.

(이상, 발췌 끝).

5-6. 다음은 "새 번역 성경" 이사야 41,19 "사철가막살나무" "젓나무" 에 대한 "주석 성경" 주석 전문 입니다. "젓나무"라는 이름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위의 제5-2항제5-3항에 주어진 설명들과 비교하였을 때에, 이 주석은 거의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입니다:

(발췌 시작)
이 둘은 레바논 산에 자랐던 나무들로서 정확한 이름은 모른다.
(이상, 발췌 끝).

5-7. 다음은 국내 개신교측의 "성서식물" 자료입니다:

http://segibak.or.kr/index.php?document_srl=111965 <-- 클릭하여 필독 권고

특히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습니다:

(발췌 시작)
성경에 잣나무(베로쉬, 베로트, 고페르), 노송나무(베로쉬), 향나무(베로쉬)로 번역된 나무는 모두 잣이 열리는 소나뭇과의 잣나무과 아니라 지중해 연안에서 자라는 측백나뭇과의 이태리편백을 말한다.

...

이사야 41장 19절, 60장 13절에 나오는 황양목(תאשור, 테앗슈르)은 에스겔 27장 6절의 황양목(אשר, 아샤르)과 같은 나무로서 레바논에서 자라는 높고 견고한 편백의 일종이다.
그러나 한국어 황양목(회양목)은 ‘도장나무’로서 연약한 나무이므로 올바른 번역으로 보기 어려우며, 테앗슈르’ ‘베로쉬(편백)’
의 고어라는 설도 있다. 
(이상 발췌 끝).

다음은, 유다 백과사전(Jewish Encyclopedia)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발췌 시작)

BOX-TREE (Hebrew, ):

Judging by Isa. lx. 13, the box-tree (A. V. "box") is a tree of the Lebanon, promised for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together with the "fir-tree and pine." In Isa. xli. 19 there is a prophecy that the fir-tree, the pine, and the box-tree (R. V., margin, "cypress") would flourish in what was then the desert. In Ezek. xxvii. 6 the Revised Version, adopting a better division of the consonants, translates "boxwood from the isles of Kittim" as parallel to fir, cedar, and oak, used for ship-building. In Ezek. xxxi. 3 Ewald emends "the Assyrian" () to read "a box-tree" () ("Behold a box-tree was in Lebanon"). Compare Cornill's Ezekiel, ad loc.

이사야서 60,13에 의하여 판단할 때에, 회양목(the box-tree) (A. V. "box")는, "전나무(fir-tree) 그리고 소나무(pine)"와 함께, 성전의 재건을 위하여 약속된, 레바논(Lebanon)의 어떤 나무입니다. 이사야서 41,19에 전나무(fir-tree), 소나무(pine), 그리고 회양목[R. V., 여백(margin), "편백(扁柏, cypress)"]이 그 당시에 광야(the desert)였던 곳에 번성할 것이라는 한 개의 예언이 있습니다. 에제키엘서 27,6에 Revised Version(RV)는, 자음들에 대한 어떤 더 나은 구분을 적용하여, "키팀(Kittim) 섬들로부터 회양목(boxwood)"을 대비로서(as parallel), 선박 건조를 위하여 사용되었던, 전나무(fir), 삼나무(cedar), 그리고 오크(oak)로 번역하였습니다. 에제키엘서 31,3에서 Ewald는 "앗시리아 군대(the Assyrian)" () 을 "회양목(a box-tree)" () 으로 읽도록 ("회양목(a box-tree)이 레바논에 있었음을 보라(Behold a box-tree was in Lebanon)" 교정합니다(emends). 그 장소에서(ad locum), Cornill의 에제키엘서와 비교하라.

The tree in question is called "te'ashshur," a word occurring only in Hebrew. That Aquila and Theodotion simply transliterate the word throws a suspicion on the tradition; likewise that the Septuagint ("cedar," Isa. lx.) evidently makes a poor guess. Symmachus, as well as the Vulgate, wavers between the renderings "box-tree" (Isa. xli.) and "pine" (Isa. lx.). Peshiṭta (shurbinta) and Saadia understand that the sharbin-tree of modern Arabic is meant. This seems to be the shurmenu of the Assyrians, which, according to a geographical list (Delitzsch, "Wo Lag das Paradies?" p. 101), was the characteristic tree of the Lebanon. At present the sharbin of the Lebanon (called a cypress by some, a kind of juniper by others) is a pine-tree, extending its branches widely at a small angle with the stem, and bearing very small fruit-cones (Seetzen, "Reisen," i. 167). I. Löw ("Aramäische Pflanzennamen," pp. 387-388) distinguishes this Juniperus oxycedrus or Phœnicea from Syriac sharwaina, Cupressus sempervirens (Targumic shurbina, Syriac shurbinta, a differentiation which is followed at present by few writers). Hoffmann ("Ueber Einige Phönikische Inschriften," p. 21) tries to assimilate the Hebrew "te'ashshur" with the word "shurbin" by a series of emendations. But for the testimony in form of the traditional view furnished by the Hexaplar, this identification would be acceptable. The identification with the box-tree, on the other hand, is supported by Theodotion and the Targumic eshkero'a, which, after the Syriac eshkar'a, is the Buxus sempervirens (Löw, ib. p. 63); not the Buxus longifolia, which, besides being too low, is a shrub, and does not occur in Phenicia. The fact that it came from Kittim (Cyprus) does not help toward the solution of the difficulties involved. Possibly both branches of the tradition rest only on the graphic similarity; but with the scanty material at disposal no decision between the two explanations is possible. See Cypress.

J. Jr. W. M. M.

http://www.jewishvirtuallibrary.org/jsource/judaica/ejud_0002_0005_0_04781.html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3609-box-tree 

이상, 우선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자료들을 찾아 보았습니다.


그런데..., 혹시, 위의 두산 백과사전에서 명기하고 있듯이 한국의 식물학자인 이창복 교수가 [자신의 저서인 "성서식물" (1994년)에서] "전나무"를 "젓나무"로 부른 것을 그대로 따랐다면, 실제 그 나무가 무슨 나무인지를 파악하는 것과는 어쩌면 무관할 수도 있기에, 상당히 아닐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434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