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성경 본문의 예형(types)들, 대형(antitypes)들 [교리용어_예형] [_예표] [_대형]

인쇄

. [39.118.145.*]

2013-04-29 ㅣ No.1370


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ntitype(대형, 對型)"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1869

(발췌 시작)
ANTITYPE

A person or thing typified or prefigured by a biblical person or object. Christ is the antitype of the Old Testament figures of Noah, Moses, David; the Blessed Virgin is the antitype of Eve. (Etym. Greek anti, corresponding to + typos, a mold, type.)

 

대형(對型, antitype)

어떤 성경의 인격(person) 혹은 대상(object)에 의하여 예형되거나(typified) 혹은 예표(豫表)된(prefigured) 어떤 인격(person)혹은 사물(thing)을 말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노아(Noah), 모세(Moses), 다윗(David)이라는 구약 성경 표상(figures)들의 대형(對型, antitype)이며, 그리고 복되신 동정녀께서는 하와(Eve)의 대형(對型)입니다. [어원. Greek anti, corresponding to + typos, a mold, type.]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criptural types(성경 본문의 예형들)"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970

(발췌 시작)
TYPES, SCRIPTURAL

 

A biblical person, thing, action, or event that foreshadows new turhts, new actions, or new events. In the Old Testament, Melchizedech and Jonah are types of Jesus Christ. A likeness must exist between the type and the archetype, but the latter is always greater. Both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God's call for the return of the Israelites from Pharaoh's bondage typifies the return of Jesus Christ from his flight into Egypt. In the New Testament the destruction of Jerusalem, foretold by Christ, was the antitype of the end of the world.

성경 본문의 예형(預型)들(Scriptural types)

새 진리들, 새 행위들, 혹은 새 사건들을 예시하는(foreshadows) 어떤 성경의 인격(person), 사물, 행위, 혹은 사건을 말합니다.
구약 성경에서, 멜키체덱(Melchizedech)과 요나(Jonah)는 예수 그리스도의 예형(預型, types)들입니다. 해당 예형(預型, the type)과 해당 전형(the archetype) 사이에는 어떤 비슷함(likeness)이 존재하여야만 하나, 그러나 후자는 항상 더 훌륭합니다. 둘 다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입니다. 파라오의 속박으로부터 이스라엘의 자손들의 돌아옴의 경우에 있어 하느님의 부르심은, 이집트로 당신의 도피로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돌아옴을 예표(予表)합니다(typifies). 신약 성경에서 그리스도에 의하여 예고되었던(foretold) 예루살렘의 파괴는 세상의 끝에 대한 대형(對型, antitype)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7월 15일]

3.
그리고, 초기 교회 시절부터 가톨릭 교회에서 교리 교육 및 성경 공부를 어떻게 하였는지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내용을 안내해 드리고 있는 글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69.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95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