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꼭필독] 원리(principles)들 - 공리/공준들, 정의들, 전제들, 원인들로서, 혹은 끝(ends)들으로서 [교리용어] 969_토미즘학습

인쇄

작성중입니다 [218.55.90.*]

2014-11-18 ㅣ No.1589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1: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제735항에는 "새로운 생명의 원리" 라는 표현이 있고 그리고 제1885항에는 "보조성의 원리" 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들 두 개의 항들에서의 번역 표현들에서 "원리"라는 용어의 의미는 무엇인지요?

 

혹시 이들이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요???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 거기로부터 이성적 추론 과정을 거쳐 다른 사물들이 도출되는 그 무엇(something)을 말하는지요, 아니면, 어떠한 추론 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바이면서 그리고 또한 추구하여야 하는 목표로서의 그 무엇(something)을 말하는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우선적으로, 위의 질문 1에서 언급되고 있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에 주어진, "보조성의 원리(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보조성 원리)" 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2009년 8월 21일자 글에 안내되어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853.htm <----- 필독 권고

 

     이번 글에서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핵심 문헌들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principle(원리)" 라는 용어가 논리적으로(logically), 한 개의 연역 체계(a deductive system) 안에 있는 주어진 문맥의 전후 안에서, 어떠한 것들에 대한 언급인지에 대하여 함께 고찰하도록 하겠습니다.

 

1-1. 영어로 "principle" 로 번역되는 라틴어 단어가 한문 문화권에서 "원리(原理)" 혹은 "원칙(原則)" 등으로 번역되어 왔음은, 예를 들어, 다음의 자료들로부터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료 1: http://info.catholic.or.kr/dictionary/view.asp?ctxtIdNum=2783 [우리말 가톨릭 대사전]

자료 2: http://www.chinacath.org/book/html/162/9640.html [基督宗敎外語漢語神學詞典]

 

1-2. Charlton T. Lewis, Charles Short, A Latin Dictionary에 주어진 "principle" 에 대응하는 라틴어 단어 "principium" 에 대한 설명은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perseus.tufts.edu/hopper/text?doc=Perseus%3Atext%3A1999.04.0059%
3Aalphabetic+letter%3DP%3Aentry+group%3D102%3Aentry%3Dprincipium

 

2.

2-1. 다음은 Merriam-Webster Dictionary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merriam-webster.com/wdictionary/principle

(발췌 시작)

Main Entry: prin·ci·ple
Pronunciation: \?prin(t)-s(?-)p?l, -s?-b?l\
Function: noun
Etymology: Middle English, from Middle French principe, principle, from Old French, from Latin principium beginning [시작], from princip-, princeps initiator [개시자] — more at prince
Date: 14th century
1
a : a comprehensive and fundamental law, doctrine, or assumption [한 개의 포괄적인 그리고 근본적인 법, 교리, 혹은 가정]
b (1) : a rule or code of conduct [처신에 대한 한 개의 규칙 혹은 규약] 
(2) : habitual devotion to right principles [올바른 원리들에 대한 습관적인 전념] < principle>>
c : the laws or facts of nature underlying the working of an artificial device [인공적인 장치의 작동(working) 아래에 있는 자연의 법칙들 혹은 사실들]
2 : a primary source : origin [한 개의 첫 번째 원천]
3
a : an underlying faculty or endowment <principles of human nature as greed and curiosity>>
b : an ingredient (as a chemical) that exhibits or imparts a characteristic quality
4
capitalized Christian Science : a divine principle : god
(이상, 발췌 및 일부 문장 들에 대한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1: 위의 세속의 사전에 "principle" 이라는 단어의 여러 의미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문제는, 위의 여러 개의 설명들 중에서 어느 것이 실제로 가톨릭 교회의 핵심 문헌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principle" 이라는 용어의 의미인지 알 수가 없는 데에 있습니다.
 
2-2. 다음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원리(原理)" 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발췌 시작)
원리(原理)
 
명사
  • 「1」사물의 근본이 되는 이치.
    냉장고의 원리/에디슨은 전기의 원리를 발견하여 실생활에 이용했다.
  • 「2」행위의 규범.
    우리는 민주주의의 원리를 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해야겠다./국제 사회는 힘의 원리가 지배하는 사회이기도 하다./소수 의견의 존중은 민주적 의사 결정 방법의 한 가지 원리이다.
  • 「3」철학기초가 되는 근거 또는 보편적 진리. 존재의 근거가 되는 실재 원리, 인식의 근거가 되는 인식 원리, 행위의 규범이 되는 실천적 원리 따위가 있다.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2: 그런데, 혹시라도,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원리"라는 단어에 대한 설명에 근거하여, 예를 들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혹은 성 토마스 아튀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principle(원리)" 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문장을 읽고서, 전후 문맥 안에서 헤당 문장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께서는, 아래의 제2-6항에 안내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 용어집" 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와 바로 위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주어진 "원리"라는 용어의 설명을, 이들 두 설명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직접 파악하기 위하여,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도록 하십시오.
 

2-3.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용어 색인에 의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principle(s)" 라는 용어는 총58개의 항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41 principle
   17 principles 

 

그러나,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principle"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제공의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cc_glossary.htm#p

 

2-4. 그리고, 대단히 실망스럽게도, 다음의 영어본 가톨릭 대사전에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이 주어져 있지 않습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p.htm

 

2-5.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p/p437.htm

(발췌 시작)

PRINCIPLE

 

That from which something proceeds or on which it depends as its origin, cause, or source of being or action. In Christianity the truths of faith are principles of moral conduct. (Etym. Latin principium, a beginning, origin, foundations.)

 

원리(principle)

 

바로 그것으로부터 그 무엇(something)이 나오거나/발출하거나(proceeds)[(2024-06-23일자 내용 설명 추가 시작) 주: 이 경우를 두고서 '사변 원리'(speculative principle)라고 말함(2024-06-23일자 내용 설명 추가 끝)] 혹은 그것 위에, 있음(being) 혹은 행동의 그 기원(origin), 원인(cause), 혹은 원천(source)으로서, 그 무엇(something)이 의존하고 있는(depends on)[(2024-06-23일자 내용 설명 추가 시작) 주: 이 경우를 두고서 '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라고 말함(2024-06-23일자 내용 설명 추가 끝)]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그리스도교에 있어 신앙(faith, 신덕)의 진리들은 윤리적 처신(moral conduct)의 원리들입니다. [어원. Latin principium, a beginning, origin, foundations.]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2-5: 그런데 문제는, 바로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만으로는, 특히 "보조성의 원리" 라는 표현에 있어서의 "원리"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는 생각입니다.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바로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의 첫 번째 문장으로는, "보조성의 원리" 라는 표현에 있어서의 "원리"의 의미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고, 그리고 바로 위의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의 두 번째 문장은, 그 설명이 너무 포괄적이어서, "보조성의 원리" 라는 표현에 있어서의 "원리"의 의미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에 많이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왜냐하면, 소위 말하는, 영국과 그 인근 유럽 대륙 지역에서 시작되었던, 산업 혁명(Industrial Revolution, 1760-1840년) [주: 이 산업 혁명과 관련하여서는, "넓이(area)"를 계산하기 위한 대단히 효과적인 한 수단으로서 미분(differentiation)의 개념을 정의하고(define) 그리고 미적분학의 기본 정리(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를 증명함으로써, 산업 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뉴턴(Isaac Newton)의 생애가 1642-1726년임을 또한 반드시 함께 기억하도록 하라] 기간 이후에 처음으로 가톨릭 보편 교회 교도권에 의하여 언급되는 "가톨릭 사회 교리(Catholic Social Doctrine)"의 범주에 속하는 한 개의 개념인 "보조성의 원리"는, 따라서, 소위 말하는 그리스도교 전통적 신앙의 진리들에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2-6. 그런데, 대단히 다행스럽게도, 다음의 "성 토마스 아퀴나스 용어집(St. Thomas Aquinas glossary)"에는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definition)가, 비록 간략하기는 하나, 잘 주어져 있다는 생각입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5_principle.htm <----- 필독 권고

 

게시자 주 2-6: 특히, 위의 제2-1항제2-2항에 주어진 세속의 사전들의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에서 제대로 주어지지 않은 설명 한 개가, 바로 이 "성 토마스 아퀴나스 용어집(St. Thomas Aquinas glossary)"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 중에 분명하게 주어져 있음에 반드시 주목하도록 하십시오. 왜냐하면,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이 부분은 약간의 추가적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2-7.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토미즘(Thomism)에서 구분하고 있는 다양한 원인(causes)들을 나타내는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은 다음의 글[제목:
연기(緣起)와 因緣(인연)의 정의(definitions)들 외]
의 제6항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63.htm <-----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24-06-24]

2-8.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end'(끝)이라는 용어의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therealpresence.org/dictionary/e/e078.htm 

(발췌 시작)

END

 

끝(end) 

 

A good for the sake of which something is made, or done, or exists, or is changed. It is the purpose of an action, being, or modification; also the final cause or aim and objective to be attained by an intellect and free agent.

 

바로 그것을 위하여 어떠한 것이 창조된/만들어진, 혹은 행해지는, 혹은 존재하는, 혹은 변화하게되는/변성하게 되는(is changed), 어떤 선(a good)을 말합니다. 끝(end)은 어떤 행동(an action), 있음(being), 혹은 수정(modification)의 목적(purpose)이며, 그리고 또한 목적인(final cause) 혹은 목표(aim) 그리고 어떤 지성적(intellect) 및 자유로운(free) 작인(作因, agent)에 의하여 장차 획득하게 될 대상(object) 입니다.

 

The "end" therefore has the primary meaning of purpose, but secondarily it also means the point at which something ceases. Yet cessation is not the real purpose of anything, but only the transition from its present condition to a further state or activity, which is the true "end" of what preceded.

 

 그러므로 "끝"(end)은 목적(purpose)이라는 그 수위의 의미(the primary meaning)를 가지나, 그러나 두 번째로 이 단어는 바로 거기에서 어떠한 것(something)이 멈추는 지점/시점(point)을 또한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yet) 멈추는 행위(cessation)는 어떤 것(anything)의 실제 목적이 아니고, 다만 그것의 현재 조건으로부터, 선행하였던 그 무엇의 참된 "끝"(true "end")인, 어떤 그 이상의 상태(state) 혹은 활동(activity) 쪽으로 변이(變移)/전이(轉移)(transition) 입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상, 2024-06-23일자 내용 추가 끝]

 

3.

3-1.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사용되고 있는 "principle(s)" 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항들과 사용 횟수입니다:

 

  1921 principle
   750 principles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영어본에서 "principle(s)" 라는 용어가 무려 2670개의 항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3-2. 그리고 다음은, 다음의 용어들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영어본에서의 검색 결과들입니다:

 

"providence of God" "Summa Theologiae" site:http://www.logicmuseum.com

 

aspect of an end

aspect of the end

material aspect, formal aspect

material aspect, formal object

material object, formal aspect

material object, formal object

material object, formal object, aspect of an end

 

first principle 

first principles

second principle

secondary principle

secondary principles

third principle

material principle

material principles

formal principle

formal principles

final principle

efficient principle

essential principle

essential principles

necessary principles

sufficient principle

primary principle

indemonstrable principle

despositive principle

fountain principle

ruling principle

 

active principle

active principles
passive principle

passive principles

potential principle

self-evident principle

self-evident principles

operative principle

consubstantial principle

generating principle

primordial principle

created principles

 

receptive principle

receptive principles

sensitive principle

sensitive principles

 

apprehending principle 

apprehensive principle

 

practical principles 

"speculative principles" "practical principles" site:newadvent.org

speculative principle

speculative principles

intellectual principle

intelligible principle

connatural principle

corporeal principle

incorporeal principle

 

commanding principle 

executive principle

constituent principles

internal principle [내면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원리]

external principle [외면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원리]

interior principle [내부로부터의 원리]

interior principles [내부로부터의 원리들]

exterior principle [외부로부터의 원리]

intrinsic principle [내재적 원리]

intrinsic principles [내재적 원리들]

extrinsic principle [외재적 원리]

inward principle [안쪽을 향하는 원리]

outward principle [바깥쪽을 향하는 원리]

motive principle

motive principles

moving principle

movable principle

immovable principle

directing principle

 

causal principles 

Divine principles

human principles

exemplar principle

individualizing principle

individualizing principles

general principle

general principles

particular principle

particular principles

uniform principle

universal principle

universal principles

 

heavenly principle

highest principle

higher principle

lower principle

greater principle

greatest principle

 

divine principles

human principles

natural principle

natural principles

supernatural principle

supernatural principles

 

immediate principle 

proximate principle

remote principle

best principle

 

principle of act: power, habit, nature

principle of an act: power, habit, virtue

intrinsic principle of the voluntary act: the cognitive and appetitive power

principle of acting: action

principle of action: nature, the end (the first principle of action), form, power, active power, virtue, rule, agent, accidental form, light

principles of action: the end, the agent, the form, the powers, knowledge, appetite, the reason, the irascible, the concupiscible

three principles of action: the directing principle (the cognitive power), the commanding principle (the appetitive power), and the executive principle (the motive power)

three principles of action that are moved by the will: the intellect (signified by "the mind"), the lower appetitive power (signified by "the soul"), and the exterior executive power (signified by "strength", "force" or "might").

first principle of action: the substantial form

proximate principle of action: the appetitive power

interior principles of action

principle of action or movement

particular principles of action

universal principles of action

principle of alteration

principle of being: God (the universal principle of being)

principle of demonstration: the essence of a thing

principle of distinction

principle of an effect: power

principle of existence: the form

principle of generation: the Father

principle of good: good (the first principle of good)

principle of a good act: virtue

principle of good acts

prirnciple of human acts: the end, the appetite,

principles of human acts: reason (the first principle of all human acts), powers, habits, passions, intellect, rational appetite(i.e., intellective appetite, i.e., the will), sensitive appetite

first principle of human acts: reason

principle of human and moral acts

principle of human actions: law,

principles of human actions: the intellect (the reason), the appetite

first principles of human actions: the precepts of the natural law

proper principle of human actions: deliberation of the reason

principle in human operations: the end,

principles of the individual

principle of individuality

principle of individuation

principle of the intellectual operation: intelligible form

principle of intellectual operation: intellect

principle of knowledge: the mode of the form

interior principle of knowledge

principle of life: soul, heart

principles of life

first principle of life: soul

principle of local motion: imagination

principle of merit: charity

principle of motion

principle of movement: nature

principle of the movement that tends towards Happiness: grace

first principles of the natural law

principle of our nourishment: soul (primary principle of our nourishment)

principle of our sensation: soul (primary principle of our sensation)

principle of our local movement: soul (primary principle of our local movement)

principle of operation: a form, virtue, habit

first principle of practical reason

principle of singularity: matter

principles of sinning are the same in us as the principles of action

principle of the species: the form

principles of the species

principle of a substantial difference

principle of spiration: the Father and the Son

principle of understanding:

principle of actual understanding

principle of vision: color

 

3-3.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cause(s)" 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항들과 사용 횟수입니다:

 

  4061 cause    

  1133 causes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영어본에서, 원리(principle)의 한 유형(type)인, "cause(s)" 라는 용어가 무려 5194개의 항들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24일]

게시자 주 3-3: 일반적으로, "한 원인(a cause)" 은 "한 개의 원리(a principle)" 이나, 그러나 그 역은 항상 성립하지 않음을 잊지 마시가 바랍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아래의 제3-5항에 안내되어 있는 글과 거기에 안내되어 있는 글들을 또한 꼭 읽도록 하십시오.
[이상, 내용 추가 끝]

 

3-4. 다른 한편으로, 다음은, 다음의 용어들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영어본에서의 검색 결과들입니다:

 

first cause

second cause

secondary cause

secondary causes

third cause

material cause

material causes

formal cause

formal causes

final cause

final causes

efficient cause

efficient causes

essential cause

necessary cause

necessary causes

sufficient cause

sufficient causes

primary cause

despositive cause

directive principle

quicken principle

seminal principle

 

active cause

active causes

potential cause

consubstantial cause

generating cause

primordial cause

 

corporeal cause

corporeal causes

 

internal cause

outward cause

internal causes

inward cause

external cause

external causes

interior cause

exterior cause

intrinsic cause

extrinsic cause

extrinsic causes

motive cause

motive causes

moving cause

moving causes

 

exemplar cause

exemplar causes

general cause

general causes

particular cause

particular causes

uniform cause

universal cause

universala causes

 

highest cause

highest causes

higher cause

lower cause

greater cause

 

divine cause

natural cause

natural causes

 

immediate cause 

proximate cause

remote cause

 

3-5. 그리고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principle and cause" 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항들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principle and cause"

 

게시자 주 3-5: (중간 결론 1)

(1) 이상 살펴본 바로부터,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본문에서 "principle(원리)" 이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과 "cause(원인)" 이라는 용어가 나타내는 개념이 항상 동일하지 않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2) 특히, 바로 이 검색의 결과로부터 우리는, 2011년 6월 27일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에 의하여 초벌 번역된 다음의 주소에 있는, "신학대전여행", Ia, q33, 성부 하느님이라는 위격과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33, 성부 하느님이라는 위격에 주어진 "principle" 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의 출처에 있는 글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0.htm <----- 필독 권고

 

특히, 하느님에 대하여 말할 때에, 그리스인[the Greeks, 여기에는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도 포함됨]들이 "원리(principle)" 라는 용어와 "원인(cause)" 이라는 두 용어들을 아무런 구분없이(indifferently) 사용하나, 이와는 달리 라틴 박사(Latin Doctors)들은 "cause" 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principle" 이라는 단어을 사용한다는 유의미한 지적을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바로 위의 출처에서 구체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상, 게시자 주 끝)

 

4.

4-1.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영어본에서 "end(s)" 라는 단어는 총3566 + 159 번 사용되었음은 다음의 용어 색인으로부터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FA6.HTM

(발췌 시작)

 3566 end
   159 ends

(이상, 발췌 끝)

 

문제는, "end(끝)" 이라는 용어가 너무 많이 사용되다보니, 위의 자료에서 이 단어가 사용되는 구체적인 항들의 표시가 생략된 데에 있습니다.

 

4-2. 다음은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에서 "the end is the principle" 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항들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the end is the principle" 

 

특히, 다음에 주목합니다:

 

출처 1: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91_faith_is_1st_virtue.htm <----- 필독 권고

출처 2: http://www.logicmuseum.com/authors/aquinas/summa/Summa-IIb-1-7.htm#q4a7co

 

4-3. (중간 결론 2) 위의 제4-2항에 주어진 바는 다음으로 안내하는데, 바로 이 설명이 질문 1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http://www.newadvent.org/summa/2013.htm#article3 

 

즉,
(질문 1에 대한 답변) 

(i) 다음의 주소에 있는 "원리(principle)" 에 대한 설명에 있어 그 첫 번째 문장은, 사변적 지성덕(speculative intellectual virtues)들인 학문/과학(science), 이해(understanding), 그리고 지혜(wisdom)가 요청되는, 예를 들어, 수학(Mathematics), 교의 신학(Dogmatic Theology) 등과 같은, 사변젹 지식(speculative knowledge)에 있어, 공리(axioms)/공준(postulates)들, 정의(definitions)들, 전제(premises)들, 혹은 원인(causes)들로 불리는, 사변적 원리/사변 원리(speculative principles)들(#1)에 대한 설명이고, 그리고

 

(ii) 다음의 주소에 있는 "원리(principle)" 에 대한 설명에 있어 그 두 번째 문장은, 실천적 지성덕(pactical intellectual virtues)들인 현명(prudence)과 기술(art)이 요청되는, 예를 들어, 윤리 신학(Moral Theology) 등의 분야에서 다루는, 실천적 사물(practical things)들에 있어, 끝(ends)들이라고 불리는, 실천적 원리/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s)들(#2)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 떄에 실천적 지성덕인 현명(prudence)은 또한 윤리덕(moral virtues)들의 주된 덕들인 사추덕(the 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한 개의 덕잉에 주목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5_principle.htm <----- 필독 권고

 

-----

(#1) 게시자 주: 공리(axioms)/공준(postulates)들, 정의(definitions)들, 전제(premises)들, 혹은 원인(causes)들이라고 불리는 사변적 원리/사변 원리(speculative principles)에 대하여서는,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다음에 있는 해당 조항들을 읽도록 하라:

speculative principle

speculative principles 

  

(#2) 게시자 주: 끝(ends)들이라고 불리는 실천적 원리/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s)들에 대하여서는, 신학 대전 본문 중에서, 다음에 있는 해당 조항들을 읽도록 하라:

practical principles

-----

 

(iii) 인간의 행위(human acts)들(#3)의 원리들이 바로 끝(ends)들이라고 불리는 실천적 원리/실천 원리(practical principles)들이라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가르침은, 예를 들어, 다음에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summa/2001.htm#article3 <----- 필독 권고

 

-----
(#3) 게시자 주:  인간의 행위(human act)라는 용어의 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81.htm  <----- 필독 권고

-----

 

4-4. 다른 한편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본문 중에서, 이들 "사변적 원리들/사변 원리들(speculative principles)" "실천적 원리들/실천 원리들(practical principles)" 이라는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는 상당히 유의미한 용례 한 개(an example)는 다음[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a q79, 지성을 수행하는 인간의 능력들(the intellective human faculties), a12)]에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3.htm   <--- 그리 바쁘지 않은 분들의 필독 권고


[내용 추가 일자: 2024-06-23] 

"speculative principles" "practical principles" site:newadvent.org

https://www.newadvent.org/summa/1079.htm 

[주: 다음의 a12, "I anwer that"을 보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speculative_principles_and_practical_principles_1093.htm <----- 꼭 필독 권고

[이상, 2024-06-23일자 내용 추가 끝] 

-----

 

게시자 주: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글 중의 일부는 다음의 글 [제목: 양심이 신앙에 항상 우선할 수 있을까요???]에서 발췌 인용되고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9.htm <--- 그리 바쁘지 않은 분들의 필독 권고

-----

 

5.

이제 남은 것은, 바로 위의 제4-3항에 제시된 질문 1에 대한 답변을 좀 더 쉽게 말씀드리는 것일 것입니다. 

 

착성 중입니다.

 

The Ends of the Moral Virtues and the First Principles of Practical Reason in Thomas Aquinas (Google eBook)

http://books.google.co.kr/books?id=C_3E2MH8D84C&pg=PA68&lpg=PA68&dq=
%22ends%22+%22principles%22&source=bl&ots=rbZ4_Fc7bE&sig=
Jn2xiiLLS2RAvsA1zbDDLBJhe4k&hl=ko&sa=X&ei=nz9sVPTuHILZmgWv24GwDQ&ved=
0CDAQ6AEwBw#v=onepage&q=%22ends%22%20%22principles%22&f=false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자료 조사 및 분석을 포함하여) 약30시간

 



1,426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