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회성당 자유게시판

추석이란

인쇄

이상윤 [novita] 쪽지 캡슐

2002-09-21 ㅣ No.2747

 

 

 

 

 

1,추석이란?

 

추석은 음력 8월 15일이다. 이 말은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한국 고유명절로 추석은 ’가윗날’이라 부른다. 추석은 지역별로 다양하고 풍성하며 다채로운 민속들이 나타난다. 《동국세시기》에는 송편, 시루떡, 인절미, 밤단자를 시절음식으로 꼽았는데, 송편은 대표적인 추석음식이다. 전하는 말로는 송편을 예쁘게 잘 빚어야 시집을 잘 간다고 하여, 여성들은 예쁜 손자국을 내며 반월형의 송편에 꿀, 밤, 깨, 콩 등을 넣어 맛있게 쪄냈으며 이 때 솔잎을 깔아 맛으로만 먹은 것이 아니고 후각적 향기와 시각적인 멋도 즐겼다. 추석에는 무엇보다 오곡이 풍성하므로 다양한 음식이 시절에 맞게 나온다. 또 전국적으로는 다양한 놀이가 전승되는데 호남 남해안 일대에서 행하는 강강술래와 전국적인 소먹이 놀이, 소싸움, 닭싸움, 거북놀이 등은 농작의 풍년을 축하하는 의미가 있으며, 의성 지방의 가마싸움도 이 때 한다. 가윗날에는 농사일로 바빴던 일가친척이 서로 만나 하루를 즐기는데 특히 시집 간 딸이 친정어머니와 중간 지점에서 만나 반나절을 함께 회포를 풀고 가져온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즐기는 것을 중로상봉(中路相逢),즉 반보기라 한다. 오늘날도 민족대이동이라 할 만큼 몇 천만명이 고향을 찾아 일가친척(一家親戚) 만나고 조상의 음덕을 기린다.

 

오곡 : 쌀, 보리, 콩, 조, 기장의 다섯 가지 중요한 곡식.

회포 : 세상을 살아 오면서 마음속에 품어 온 온갖 번민 시름이나 긴장이나 자질구레한 생각.

음덕 : 조상의 덕.

 

2,추석의어원

 

추석은 우리 나라 4대 명절의 하나로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한가위의 한은 ’하다(大·正)’의 관형사형이고, 가위란 ’가배(嘉俳)’를 의미한다. 이때 가배란 ’가부, 가뷔’의 음역(音譯)으로서 ’가운데’란 뜻인데, 지금도 신라의 고토(故土)인 영남 지방에서는 ’가운데’를 ’가분데’라 하며, ’가위’를 ’가부’, ’가윗날’을 ’가붓날’이라고 한다. 또 8월 초하루에서 보름께까지 부는 바람을 "8월 가부새 바람 분다"라고 한다. 이로써 미루어 볼 때 가뷔, 가부는 뒷날 가위로 속전(俗轉)된 것으로 알 수 있으니, ’추워서’를 현재에도 ’추버서’로 하는 것에서도 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가위란 8월 중에서도 정(正)가운데란 뜻이니, 정중심(正中心)을 우리가 ’한가분데’ 또는 ’한가운데’라고 하듯이 ’한’은 제일(第一), 큰(大)의 뜻 이외에도 한(正)의 뜻이 있음도 알 수 있다.

한가위를 추석, 중추절(仲秋節, 中秋節) 또는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 한 것은 훨씬 후대에 와서 생긴 것이다. 즉 한자가 전래되어 한자 사용이 성행했을 때 중국 사람들이 ’중추(中秋)’니 ’추중(秋中)’이니 하고, ’칠석(七夕)’이니 ’월석(月夕)’이니 하는 말들을 본받아 이 말들을 따서 합하여 중추(中秋)의 추(秋)와 월석(月夕)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 한 것으로 생각된다.

 

관형사형 : 체언을 꾸미는 용언의 활용형. ‘-ㄹ / 을’, ‘-ㄴ / 은 / 는’ 따위의 어미와 결합한 활용형을 가리킴. 관형형. 매김꼴.

가배 : 신라 유리왕 때, 한가윗날 궁중에서 놀던 놀이.

음역 : 한자(漢字)의 음을 가지고 외국어의 음을 나타내는 일. 곧, ‘아시아(Asia)’를 ‘亞細亞’로 나타내는 따위.

고토 : 고향의 땅.

속전 : (어떤 말이)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것

 

3,추석의 유래

 

추석의 기원이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고대로부터 있어 왔던 달에 대한 신앙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다. 고대 사회에 있어 날마다 세상을 밝혀 주는 태양은 당연한 존재로 여겼지만 한 달에 한 번 만월(滿月)을 이루는 달은 고마운 존재였다. 밤이 어두우면 맹수의 접근도 알 수 없고 적의 습격도 눈으로 볼 수가 없기에 인간에게 있어 어두운 밤은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만월은 인간에게 있어 고마운 존재였고, 그 결과 만월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게 되었다. 그래서 만월의 밤중에서도 일년 중 가장 큰 만월을 이루는 8월 15일인 추석이 큰 명절로 여겨진 것이다. 만월 아래에서 축제를 벌이고 먹고 마시고 놀면서 춤추었으며, 줄다리기, 씨름, 강강수월래 등의 놀이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고대에 만월을 갈망하고 숭상하던 시대에 이미 일년 중에서 가장 달이 밝은 한가위는 우리 민족 최대의 축제로 여겨지게 되었고, 후에 와서 의식화(儀式化)되어 명절로 제정(制定)을 보게 되어 오늘날까지 전승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가위의 기원에 대해서는 <삼국사기>에 잘 나타나 있다. "신라 제3대 유리왕(儒理王) 9년(서기 32년)에 왕이 6부를 정하고 왕녀 두 사람으로 하여금 각각 부내(部內)의 여자들을 거느리게 하여 두 패로 가른 뒤, 편을 짜서 7월 16일부터 날마다 6부의 뜰에 모여 길쌈을 하는데, 밤늦게야 일을 파하고 8월 15일에 이르러 그 공이 많고 적음을 살펴 가지고 지는 편은 술과 밥을 장만하여 이긴 편에게 사례하고, 이에 온갖 유희가 일어나니 이것을 이를 가배(嘉俳)라 한다"고 하였고, 또 "이때 진 편의 한 여자가 일어나 춤을 추면서 탄식하기를, 회소회소(會蘇會蘇)라 하여 그 음조가 슬프고 아름다웠으므로 뒷날 사람이 그 소리로 인하여 노래를 지어 이름을 회소곡(會蘇曲)이라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4,추석날의 풍속

 

추석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으로는 벌초(伐草), 성묘(省墓), 차례(茶禮), 소놀이, 거북놀이, 강강수월래, 원놀이, 가마싸움, 씨름, 반보기, 올게심니, 밭고랑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대표적인 몇 가지를 살펴보기로 한다.

 

벌초와 성묘 : 추석에 조상의 무덤에 가서 여름 동안 무성하게 자란 잡초를 베어 주는데 이를 벌초라 한다. 옛날 조상의 묘를 풍수설에 의하여 명당에 쓰기 위하여 몇 십리 먼 곳에까지 가서 쓰는 수가 많았고, 또 묘를 쓴 다음 이사를 가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묘가 집 근처가 아니라 먼 곳에 있을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추석을 맞이하여서는 반드시 벌초를 하는 것이 자손의 효성의 표시와 도리로 여겼다. 그리고 조상의 산소를 찾아 돌보는 것을 성묘라고 하는데 한가위 때에 성묘를 와서 벌초를 안했으면 보기에도 흉할 뿐만 아니라 불효의 자손을 두었거나 임자 없는 묘라 해서 남의 웃음거리가 되었다.

 

차례 : 추석 이른 아침에 사당을 모시고 있는 종가(宗家)에 모여 고조(高祖)까지의 차례를 지낸다. 차례 지내는 절차가 설날과 다른 것은 흰떡국 대신 메[밥]를 쓰는 점이다. 조상에 대한 추원보본(追遠報本)과 천신제(薦新祭)를 겸하였기 때문에 제물은 신곡으로 만들어 진열된다. 고조 이상의 윗대는 10월에 시제라 해서 묘에서 제사를 지낸다.

 

강강수월래 : 추석날 밤에 곱게 단장한 마을 부녀자들이 수십 명씩 모여 서로 손잡고 둥들게 원을 그리며 뛰노는 민족 전래의 놀이다. 명칭은 ’강강술래’가 일반적이나, 시작할 때의 진양조로 느리게 노래를 부를 때는 강강수월래로 발음된다. 유래는 임진왜란 때 충무공이 마을 사람들의 기운을 북돋우기 위하여 마련했다고 한다. 남자가 끼여 들 수 없는 강강수월래는 시집간 사람들이 처녀들과 패를 나누어 따로 하기도 하지만 함께 어울리기도 한다. 목청 좋은 사람이 선창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강강수월래"하면서 손잡은 채 옆으로 게걸음으로 뛰면서 다음 선창을 기다린다. 처음에는 진양조로 느리게 춤추다가 차츰 빨라지면서 중머리, 중중머리, 자진머리로 변하고 선도자의 능력에 따라 여러 변화를 꾀하다가 다들 지치면 끝난다.

 

소놀이 : 추석날 차례를 마치고 난 뒤 알맞은 시간에 소놀이는 진행된다. 먼저 마을 사람들로 구성된 농악대가 풍물을 울리면 마을 사람들이 하나둘 모여든다. 상쇠의 선도에 따라 한바탕 신나게 풍물을 울리며 어우러져 놀다가 소놀이가 시작된다. 두 사람이 허리를 굽히고 그 위에 멍석을 뒤집어 씌우며 뒷사람은 큰 새끼줄로 꼬리를 달고, 앞사람은 막대기 두 개로 뿔을 만들어 소의 시늉을 한다. 소를 끌고 농악대와 마을 사람들은 그 마을에서 가장 부농집이나 그 해에 농사를 가장 잘 지은 사람의 집으로 찾아간다. 대문 앞에서 ’소가 배가 고프고 구정물을 먹고 싶어 왔으니 달라’고 외치면 주인이 나와서 일행을 맞이한다. 소를 앞세우고 일행은 앞마당으로 들어가 농악을 치고 노래하고 춤추고 놀면 주인집에서는 술과 떡과 찬을 차려 대접한다. 마을 사람들은 한참 놀다가 다시 소를 끌고 다른 집으로 향한다. 이렇 게 여러 집을 찾아가 해가 질 때까지 어울려 논다. 농사를 천하의 대본으로 여겨 온 농경 민족에게 있어 농사를 잘 지어 풍작을 거두게 하였다는 것은 큰 공이니 위로하고 포상하는 뜻에서 소에 태우는 영광을 주는 것이다. 한번 상머슴으로 뽑히면 다음해 머슴 새경을 정할 때 우대를 받게 된다.

 

원놀이, 가마싸움 : 옛날 서당 교육은 훈장을 초빙해서 가르치는 것이었다. 명절이 되면 훈장도 고향에 가서 차례 성묘를 하게 되므로 서당은 몇일을 쉬게 되고 학동들은 자유롭게 놀 수가 있었다. 이럴 때에 학동들에 의해서 원놀이와 가마싸움이 있게 된다. 원놀이란 학동들 중에서 공부를 많이 했고 재치 있는 사람을 원님으로 선발하고 나머지 학동들은 백성이 되어 원님께 소장을 내어 그 판결을 받는 놀이인데, 오늘날의 대학에서 행해지는 모의 재판과 그 성격이 유사하다. 이 때에 현명하고 지혜로운 원님은 사건을 잘 해결하지만 서투른 원님은 백성들의 놀림감이 된다. 장차 과거에 등과해서 벼슬을 하고 백성을 다스려야 할 학동들의 놀이로서는 매우 적격이었다. 가마싸움도 학동들이 주가되어 행하여졌다. 훈장이 없는 틈을 타서 가마를 만들어 이웃 마을 학동들과 또는 이웃 서당의 학동들끼리 대결을 하는 놀이이다. 가마를 끌고 넓은 마당에 나아가 달음질해서 가마끼리 부딪혀 부서지는 편이 지게 되는데 이긴 편에서 당년에 등과가 나온다고 한다.

 

반보기 : 추석이 지난 다음 서로 만나고 싶은 사람들끼리 일자와 장소를 미리 정하고 만나는 것을 반보기라 한다. 옛날에 시집간 여자들은 마음대로 친정 나들이를 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모녀 사이에 중간 지점을 정해서 서로 즐기는 음식을 장만하여 만나 한나절 동안 그 동안 나누지 못했던 회포를 푸는 것이 반보기인 것이다. 또 한 마을의 여인들이 이웃 마을의 여인들과 경치 좋은 곳에 집단으로 모여 우정을 두터이 하며 하루를 즐기는 수도 있다. 이 때에 각 마을의 소녀들도 단장하고 참여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며느릿감을 선정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반보기란 중로(中路)에서 상봉했으므로 회포를 다 풀지 못하고 반만 풀었다는데서 나온 말이다.

 

올게심니 : 추석을 전후해서 잘 익은 벼, 수수, 조 등 곡식의 이삭을 한 줌 베어다가 묶어 기둥이나 대문 위에 걸어 두는데 이것을 올게심니라고 한다. 올게심니를 할 때에는 주찬(酒饌)을 차려 이웃을 청해서 주연을 베푸는 수도 있다. 올게심니한 곡식은 다음해에 씨로 쓰거나 떡을 해서 사당에 천신하거나 터주에 올렸다가 먹는다. 올게심니를 하는 것은 다음해에 풍년이 들게 해 달라는 기원의 뜻이다.

 

밭고랑 기기 : 전라남도 진도에서는 8월 14일 저녁에 아이들이 밭에 가서 발가벗고 자기 연령수대로 밭고랑을 긴다. 이 때에 음식을 마련해서 밭둑에 놓고 하는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그 아이는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고 밭농사도 잘된다는 것이다.

 

풍수설 : 지형,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관련시켜 죽은 사람을 매장하거나 집을 짓는 데 적당한 장소를 구하는 이론. 풍수 지리.

종가 : 한 문중에서 맏이로만 이어 온 큰집. 정적(正嫡).

고조 : ‘고조부(高祖父)’의 준말.

신곡 : 그 해에 새로 수확한 곡식.

선창 : (노래나 구령 따위를) 맨 먼저 부르는 것.

상쇠 : 두레패, 굿중패, 걸립패, 농악대 따위에서 전체를 지휘하는, 꽹과리를 제일 잘 치는 사람.

부농 : 경영하는 토지의 규모가 크고 수입이 많은 농가 또는 농민.

새경 : 지난날, 농가에서 연말에 한 해 동안 일해 준 대가로 머슴에게 주던 보수. 흔히, 벼나 돈으로 지불되었음.

소장 : 상소(上疏)하는 글.

당년 : 그 해.

등과 : 과거에 급제하는 것.

회포 : 세상을 살아 오면서 마음속에 품어 온 온갖 번민이나 시름이나 긴장이나 자질구레한 생각.

중로 : 오가는 길의 중간. 중도(中途). 중도(中道).

주찬 : 술과 안주. 주효(酒肴).

주연 : 술을 마시며 즐기는 간단한 잔치. 주연(酒宴).

사당 : 조상의 신주(神主)를 모셔 놓은 집.

천신 : 그 해에 새로 난 과실이나 농산물로 신에게 차례를 지내는 것.

 

 

5,추석날 시절음식

 

추석은 시기적으로 곡식과 과일 등이 풍성한 때이므로 이즈음에는 여러가지 시절음식이 있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설날의 제찬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추수의 계절이라 햇곡식으로 밥과 떡, 술을 만든다. 철이 늦은 해에는 미리 밭벼[山稻]를 심었다가 제미(祭米)로 쓰는 일도 있다. 이렇게 햅쌀로 밥을 지으면 맛이 좋고 기름기가 있으며, 떡도 맛이 좋다.

 

추석의 대표적인 절식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가 없다. 송편 속에는 콩, 팥, 밤, 대추 등을 넣는데, 모두 햇것으로 한다. 열나흗날 저녁 밝은 달을 보면서 가족들이 모여 송편을 만드는데, 송편을 예쁘게 만들면 좋은 배우자를 만나며, 잘못 만들면 못생긴 배우자를 만나게 된다고 해서 처녀, 총각들은 송편을 예쁘게 만들려고 노력한다. 또 임신한 여자가 태중의 아이가 여자인지 남자인지 궁금할 때에는 송편 속에 바늘이나 솔잎을 가로넣고 찐 다음 한쪽을 깨물어서 바늘의 귀쪽이나 솔잎의 붙은 곳을 깨물면 딸을 낳고 바늘의 뾰족한 곳이나 솔잎의 끝쪽을 깨물면 아들을 낳는다고 하여, 이를 점치기도 한다. 특히 올벼로 만든 송편은 올벼송편이라 부른다.

 

추석의 차례상에서 빠질 수 없는 또 하나의 것이 바로 술이다. 추석 술은 백주(白酒)라고 하는데, 햅쌀로 빚었기 때문에 신도주(新稻酒)라고도 한다. 추석 때는 추수를 앞 둔 시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의 마음이 풍족해진다. 사람들의 인심 또한 후해서 추석 때에는 서로 술대접을 하는 수가 흔하다. 또 이 때의 가장 넉넉한 안주로 황계(黃鷄)를 들 수 있는데, 봄에 알을 깬 병아리를 길러서 추석 때가 되면 잡아 먹기에 알맞게 자란다. 또 옛날에는 명절에 어른에게 선사하는데에 닭을 많이 썼다. 친정에 근친하러 가는 딸은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가지고 갔으며, 경사가 있을 때에도 닭을 선물했으며, 반가운 손님이 찾아오면 손쉬운 닭을 잡아 대접하였다. 특히 사위가 찾아오면 장모는 닭을 잡아 대접하는 일이 흔했다. 또한 녹두나물과 토란국도 추석의 절식이다. 녹두나물은 소양(消陽)한다고 하지만 잔치상에 잘 오르고, 토란은 몸을 보호한다고 해서 즐긴다.

 

제찬 : 제사 때 올리는 음식.

올벼 : 철이 이르게 익는 벼. 조도(早稻). 조양(早穰). 조종.

선사 : (남에게 물건을) 정성스러운 마음의 표시로서 주는 것.

근친 :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어버이를 뵙는 것. 귀녕(歸寧).

 

-출처:한국의 대명절(http://misonyun.coco.st)-

 

  



39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