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31일[다니엘서]성녀 발비나 동정 순교자♬시편107(108)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3-30 ㅣ No.1686

 

축일:3월31일

성녀 발비나 동정 순교자

St. Balbina

Santa Balbina di Roma Martire

martyred c.130; relics in the catheral of Cologne, Germany

Balbina = balbuziente, dal latino=stutterer, from the Latin

 

로마 순교록에 성녀의 순교 사실이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

"교황 알렉산델로부터 세례를 받고 순교한 복자 귀리노의 딸이며 동정녀인 성녀 발비나는 그리스도께서 거룩한 동정을 지킨 당신의 신부로 간택하셨다.

이 세상의 순례길을 마친 그녀는 아버지 무덤 근처인 비아 압피아에 묻혔다."

이 기록은 순교자를 기록해 온 아도라는 사람의 주장에 근거한 것이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성녀 발비나는 2세기초 사람이다. 아버지는 귀리노라는 로마제국의 군인으로서 대령까지 승진했다.

아버지나 딸이나 모두 처음은 우상교의 신자였지만 나중에 가톨릭으로 개종해 두 분 모두 성인품에 오른 훌륭한 사람들이다.

 

발비나는 소녀 시대부터 외모가 아름다웠고 재능도 뛰어났으므로 아버지도 특별히 사랑했고 가정도 부유했으므로 많은 청년들에게서 혼담이 들어왔다.

그러나 세상일은 믿을 수가 없는 지 뜻밖에도 발비나는 목에 나쁜 부스럼이 생겨 용모가 추해져서 부끄러운 나머지 사람의 눈을 피하지 않으며 안되었다.

아버지는 이를 대단히 슬퍼하며 각지의 의사에게 보이기도 하고, 갖은 약을 다 쓰기도 하고, 신들에게 기원도 해보고 점도 쳐보는 등

백방으로 고치려고 해 보았으나 아무런 효험도 보지 못했다.

 

그때 마침 그리스도의 이름이 방방곡곡에 전파되고 기의 기적의 소문도 대단해 귀리노는 마침내

"만일 로마에 있는 그리스도교회의 두목이 딸의 병을 고쳐 준다면 가족 모두 교회에 나가겠다."는 맹세를 하느님께 드렷다.

 

이 시기는 아드리아노 황제의 박해 시대였으므로 알렉산델 교황은 옥중생활을 하고 있었으나 귀리노가 딸 발비나를 데리고 와서 면회하니

그는 그들의 진심을 알고 열심으로 하느님께 기도한 후 손을 묶은 쇠사슬을 발비나의 상처에 대자 곧 그녀의 병은 완치되어 발비나는 전과 같이 미모의 소녀가 될 수 있었다.

 

아버지와 딸의 기쁨은 이루 말할 수 없이 커서 하느님께 감사를 올리는 동시 교황 앞에 무릎 꿇고 그의 쇠사슬에 친구했다.

그리고 그의 권고에 의해 전에 맹세대로 집안 모두 교리 공부를 시작하고 오래지 않아 훌륭히 세례를 받고 새 생활을 시작했다.

 

발비나가 완쾌되었다는 소문이 퍼지자 그녀의 병을 싫어해 만나지도 않았던 청년들이 또다시 귀찮게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미 그리스도의 사랑을 체험한 발비나는 현세의 사랑 같은데는 끌리는 마음 없이 일생을 하느님께 봉헌하며 평생 동정을 지킬 결심을 굳게 했다.

 

전승에 의하면 세례 후에 불을 켠 흰 초를 든 천사가 나타나 그리스도의 배필이 될 것을 권고했다는 말도 있지만

하여튼 세상의 허무함을 깨달은 그녀가 영원을 바라보며 거룩한 일생을 보내려고 결심한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라 하겠다.

그녀는 매일을 그리스도께 봉헌하며 사랑을 표시하기 위해 자선 사업에 헌신하는 것을 자기의 일로 삼았다.

 

귀리노 대령의 일가족이 그리스도교 신자가 되었다는 사실은 관가에 알려지지 않을 수 없었다.

귀리노는 즉각 법정에 호출되어 판사 아우렐리아노의 준엄한 문초를 받았지만 그는 겁내는 기색도 없이 자기의 신앙을 고백하고 드디어 순교의 영관(榮冠)을 획득했다.

그 뒤 딸 발비나도 아버지의 뒤를 따라 천국에 가게 되니, 이로써 이 성스러운 부녀는 영원히 헤어지지 않고 서로 만나 즐기며 같이 하느님을 찬미하는 몸이 되었다.

그 후 성녀 발비나의 용감한 신앙의 덕을 사모한 나머지 로마 신자들은 아벤티노 언덕에 한 기념 성당을 세웠다. 발비나 성당이 바로 그것이다.

(대구대교구홈에서)

 

     

 

Daniel the Prophet & Ananias, Azarias, & Misail,

the Three Holy Youths

 

다니1,6-7

6 그들 가운데 유다인으로는 다니엘, 하나니야, 미사엘, 아자리야라는 젊은이들이 있었다.

7 내시부 대신은 이 젊은이들에게 이름을 새로 지어주었다.

다니엘은 벨트사살, 하나니야는 사드락, 미사엘은 메삭, 아자리야는 아벳느고라고 부르게 하였다.

 

 

다니3,14-20.91-92.95

14 느부갓네살이 물었다. "사드락, 메삭, 아벳느고, 너희는 내가 세운 금신상 앞에 절을 하지 않고 내가 위하는 신을 섬기지 않았다니, 그게 사실이냐?  

15 이제라도 나팔, 피리, 거문고, 사현금, 칠현금, 퉁수 등 갖가지 악기 소리가 나는 대로 곧 엎드리어 내가 만든 신상 앞에 절할 마음이 없느냐?

절하지 않으면 활활 타는 화덕 속에 던질 터인데, 그래도 좋으냐? 내 손에서 너희를 구해 줄 신이 과연 있겠느냐?"  

16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가 느부갓네살왕에게 대답했다. "저희는 임금님께서 물으시는 말씀에 대답할 마음이 없습니다.  

17 저희가 섬기는 하느님께서 저희를 구해 주실 힘이 있으시면 임금님께서 소신들을 활활 타는 화덕에 집어 넣으셔도 저희를 거기에서 구해 주실 것입니다.  

18 비록 그렇게 되지 않더라도 저희는 임금님의 신을 섬기거나 임금님께서 세우신 금신상 앞에 절할 수 없습니다."  

19 느부갓네살은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의 말을 듣고는 금방 안색이 달라지며 노기에 차서 화덕의 불을 여느 때보다 일곱 배나 뜨겁게 지피도록 하고,  

20 군인들 가운데서도 힘센 장정들을 뽑아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를 묶어 활활 타는 화덕에 집어 넣으라고 명하였다.  

91  그런데 느부갓네살 왕이 깜짝 놀랄 일이 생겼다. 그는 벌떡 일어나 측근자에게 물었다.

"꽁꽁 묶어서 화덕에 집어넣은 것이 세 명 아니었더냐?" 그들이 대답했다. "임금님, 그렇습니다."

92  "그런데 네 사람이 아무 탈없이 화덕 속에서 거닐고 있으니, 어찌된 일이냐? 저 넷째 사람의 모습은 신의 모습을 닮았구나."  하면서

95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가 섬기는 신이야말로 찬양받으실 분이구나." 하며 느부갓네살은 외쳤다. "저들의 하느님께서,

어명을 어기면서까지 목숨 걸고 당신만을 믿고 저희의 신 아닌 다른 신 앞에서는 절하지도, 섬기지도 않는 이 신하들을 천사를 보내시어 구해 내셨구나.

(2004년3월31일,사순제5주간 수요일 제1독서)

 

 

*성 다니엘 예언자 축일:7월21일.게시판1283번

Daniele = Dio e il mio giudice, dall"ebraico=God is my judge, from the Hebrew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시편107(108)

 

 

 

 

 

 

 

 

 

 

 

 

 

 

 

 

 

 

 

 

 

 

 

 

 

BALBINA

Memorial

31 March

Profile

Nun. Daughter of Saint Quirinus, with whom she was martyred. Three ancient memorials to her are found in Rome.

Died

martyred c.130; relics in the catheral of Cologne, Germany

Patronage

scrofulous diseases, struma

 

 

 

St. Balbina

Memorials of a St. Balbina are to be found at Rome in three different spots which are connected with the early Christian antiquities of that city. In the purely legendary account of the martyrdom of St. Alexander (acta SS., Maii, I, 367 sqq.) mention is made of a tribune Quirinus who died a martyr and was buried in the catacomb of Praetextatus on the Via Appia. His grace was regarded with great veneration and is referred to in the old itineraries (guides for pilgrims) of the Roman catacombs. Tradition said that his daughter Balbina, who had been baptized by St. Alexander who had passed her life unmarried, was buried after death near her father in the same catacomb. The feast of St. Balbina is celebrated 31 March. Usuardus speaks of her in his martyrology; his account of St. Balbina rests on the record of the martyrdom of St. Alexander. There is another Balbina whose name was given to a catacomb (coem. Balbinae) which lay between the Via Appia and the Via Ardeatina not far from the little church called Domine quo vadis. Over this cemetery a basilica was erected in the fourth century by Pope Mark. There still exists on the little Aventine in the city itself the old title of St. Balbina, first mentioned in an epitaph of the sixth century and in the signatures to a Roman council (595) of the time of Pope Gregory I. This church was erected in a large ancient hall. Its titular saint is supposed to be identical with the St. Balbina who was buried in the catacomb of Praetextatus and whose bones together with those of her father were brought here at a later date. It is not certain, however, that the two names refer to the same person

 

 

 

 

 

 

 

 

Santa Balbina di Roma Martire

 

31 marzo

Etimologia: Balbina = balbuziente, dal latino

Emblema: Palma

 

E’ ricordata nel Martirologio Romano al 31 marzo. La prima parte dell’elogio, che tratta del suo battesimo a Roma, e stata presa dagli atti leggendari dei ss. Alessandro, Evenzio, Teodulo, Ermete e Quirino. L’autore fa di Balbina Ia figlia del martire Quirino creando, secondo il costume degli agiogra`fi romani del secolo V, una parentela arbitraria. La seconda parte dello stesso elogio, riguardante la sepoltura sulla via Appia, e stata inventata da Adone, poiche negli atti suddetti non si trova nessuna notizia in proposito. NelI’antichita Balbina non ha avuto culto ne e commemorata nel Martirologio Geronimiano. Floro, nel suo Martirologio, la ricorda il 18 gennaio, tratto in errore da una commemorazione mal compresa del Martirologio Geronimiano. Adone la ricorda al 31 marzo, aggiungendo arbitrariamente che era sepolta nel cimitero di Pretestato sulla via Appia, perche, essendo figlia del martire Quirino, doveva essere sepolta vicino a lui.

La Vita leggendaria di Balbina e pervenuta a noi tramite due passiones: la prima e una passio Alexandri, forse del VI secolo, che confonde papa Alessandro con l’omonimo martire nomentano; la seconda e una passio ss. Balbinae et Hermetis, una specie di appendice alla passio Alexandri. Secondo queste due leggende, Balbina era figlia del martire Quirino, il quale, convertitosi alla fede cristiana, fu battezzato insieme con lei da papa Alessandro. Essendosi Balbina ammalata gravemente, fu portata dal padre al papa, che allora era imprigionato, e ne fu risanata. Per le sue ricchezze e per la sua nobilta fu domandata in sposa da molti giovani, ma ella volle rimanere fedele al suo voto. Arrestata insieme col padre per ordine dell’imperatore Adriano (117-35), dopo non pochi tormenti fu decapitata.

A Roma erano indicati col nome di B. un titolo, del quale si ha col nome di B. un titolo, del quale si ha notizia nel sinodo del 595, ed un cimitero situato tra la via Appia e l’Ardeatina. Probabilmente l’eroina della leggenda agiografica fu la fondatrice dell’uno e dell’altro, ed in seguito, secondo un costume caro agli antichi agiografi, fu elevata alla dignita di martire.

Autore: Filippo Caraffa

 

 

 

 

 

 

 

 

 



576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