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하늘 나라(천국)의 흔적이 있는 곳과 지상의 그 현존처는 구분하여야, 가해 연중 제17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가연중17주일> 869_tran KH_errors

인쇄

. [121.190.18.*]

2020-07-25 ㅣ No.2080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7월 26일] 

게시자 주 1: (1) 오늘의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게시자 주 2 다음에 있습니다.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80.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 [첫 공지 일자: 2022년 7월 17일(다해 연중 제16주일)]

(1) [PC 혹은 노트북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바로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면, New American Bible (NAB)에서 발췌된 오늘의 영어 전례성경 본문(즉,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들을, 화답송 등과 함께, 청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이어지는 제(2)항 으로 이동하여 안내대로 하십시오.][원 출처: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http://ch.catholic.or.kr/pundang/4/cbs/Cycle_A/Ordinary/a_ot_17_mp3 <----- 여기를 클릭하라  


[스마트폰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i) 위의 주소를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고 가만히 있으면 가지게 되는 작은 메뉴판 한 개에서, 다른 브라우저로 열기를 선택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ii)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 이미 열려있는 본글의 브라우저를 찾아서 거기로 이동한 후에,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있는 주소를 누르면,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들을 수 있습니다.

 

2006년 12월 10일(다해 대림 제2주일)부터 지금까지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안내된 English Bible Study 까페[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영어 성경공부 자료실]에서 필자가 지속적으로 전달 제공해온 자료이므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제(1)항에서 듣게 되는 NAB에서 발췌된 영어 전례성경 본문들 등을 또한 눈으로 직접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lub.catholic.or.kr/community/asp/club/attboard/read.asp?type=attboard&schcode=pundang4biblestudy&seq=8&id=1276 <----- 또한 필독 권고   

 

이것도 또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 바로 위에 제(1)항제(2)항 제공의 정보들을 반복적으로 꾸준히 함께 활용하면,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2 끝) 

[이상, 2023년 7월 26일자 내용 추가 끝]

 

 

가해 연중 제17주일 온라인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동영상 청취 주소: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16/가해연중제17주일.mp4 <----- 여기를 클릭하여 청취(聽取) 혹은 시청(視聽)하십시오

가해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 목록: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3.htm  

동영상 교재: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해 II, 가톨릭출판사, 2008년.

동영상 교안(敎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80.htm

 

 

시작 기도: 대성호경, 주님의 기도

 

이 십자성가 표적(表迹)으로써, (이마 위에 +)

우리의 주님이신 천주께서는 (입 위에 +)

우리의 원수들로부터 우리를 구하소서. (가슴 위에 +)

성부와 (이마 위에 손끝을 찍음) 

성자와 (배 위에 손끝을 찍음) 

성령의 이름으로. (왼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은 후에 그리고 곧바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음) 

아멘.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들을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복습: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주일 전례성경 학습자들을 위한 입문자료 모음 동영상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세례를 받으신 새교우님들께서 꼭 청취하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79.htm

 

 

<가연중17주일> 가해 연중 제17주일  

 

1열왕 3,5-6ㄱ,7-12; 마태오 복음서 13,44-52; 로마 8,28-30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lerus/homilies/a_ot_17.htm <----- 전문 필독 권고

[주: 교황청 성직자 및 수도자들을 위한 홈페이지 제공]

(발췌 시작) 

THEME of the READINGS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ings is freedom of choice. Choice is the theme that unites the liturgical texts through which the Church invites us to reflect on how to live in a more evangelical way. In the Gospel, a man chooses to sell everything he owns to buy the field where he has discovered a buried treasure. Likewise, a merchant sells all he has, to obtain the most precious pearl of all. In the parable of the net it is no longer man who chooses but God, according to the choices that man has made in his life. The second reading speaks of God’s call and man’s subsequent response. The figure of Solomon praying in the first reading shows that it is in prayer where one becomes capable of making the most authentic choices.

  

인간들의 특징들 중의 하나는 선택의 자유로움(freedom of choice)입니다. 선택은 이 전례 본문들을 결합하는(unites) 주제인데, 이 주제를 통하여 교회는 우리들로 하여금 어떻게,  어떤 더 복음적 방식으로,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하여 묵상하도록 초대합니다. 복음 말씀에서, 한 사람은, 바로 거기에서 한 개의 숨겨진 보물을 발견한 바로 그 밭(the field)을 구입하기 위하여,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을 파는 것을 선택합니다. 마찬가지로, 한 상인은, 모든 것들 중에서 가장 가치로운 진주를 획득하기 위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팝니다. 그물의 비유에서 선택을 하는 이는 더 이상 사람이 아니고 다만(but) 하느님이신데, 이 선택은 사람이 자신의 삶 안에서 이미 결정한 선택들에 따라서(according to) 입니다. 제2독서는 하느님의 부르심과 사람의, 이 결과로서 일어나는, 화답에 대하여 말합니다. 제1독서에서 기도하는 솔로몬(Solomon)의 표상(figure)은 우리가 가장 진정한(authentic) 선택들을 할 수 있는 역량(ability)을 가지게 되는 장소가 바로 기도(prayer) 안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DOCTRinal MESSAGE 

 

교리 메시지
 
The Church is the Kingdom of Christ "already present in mystery" (LG 3). The Church is also the Mystical Body of Christ, in other words, 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 prolonged over time. The Gospel parables have a Christological meaning. All people, but especially Christ’s disciples, are called to "sell" everything to obtain the treasure that is Christ, the finest pearl, which is the mystery of Christ. Those who approach the Father after their death with this treasure in their hands will share his life and glory. The parables also have an ecclesiological meaning, for the Church is the field in which God’s treasure is hidden. The one who seeks to acquire the precious pearl, but without the Church, will not be able to do so. To choose Christ, the treasure, is inseparable from choosing the Church, the field where the treasure may be found. It is absurd and against the most genuine doctrine of the Gospel and the tradition of the Church to oppose Christ and the Church, or to seek Christ without the Church or a Church without Christ.

 

유일한 교회(the Church)는 "신비 안에 이미 현존하고 있는" 그리스도의 나라(the kingdom of Christ)입니다(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Lumen Gentium, 제3항). 유일한 교회는 또한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the Mystical Body of Christ), 다른 말로, 시간이 흐르는 동안에 연장되는 강생 신비(the mystery of the Incarnation)입니다. 이 복음 말씀의 비유들은 한 개의 그리스도론적 의미(a Christological meaning)를 가지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특히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그리스도의 신비를 말하는, 가장 고운 진주인, 그리스도라는 보물을 휙득하기 위하여 모든 것을 "팔도록" 요청받습니다(is called). 자신들의 임종 후에 바로 이 보물을 자신들의 손들 안에 가지고서 성부(the Father)께 다가가는 바로 그러한 자들은 그분(즉, 예수님)의 생명과 영광(his live and glory)을 장차 공유할 것입니다(share). 이 비유들은 또한 한 개의 교회학적 의미(an ecclesiological meaning)를 가지고 있는데, 왜냐하면 유일한 교회(the Church)는 그 안에 하느님의 보물이 감주어진 바로 그 밭(the field)이기 때문입니다. 귀중한 진주를 얻고자 추구하나, 그러나 유일한 교회 없이인, 자는, 장차 그렇게 할 수가 없을 것입니다. 보물인, 그리스도를 선택하는 것은, 이 보물이 발견될 수도 있는 바로 그 밭(the field)인, 유일한 교회를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습니다(inseparable). 이 복음 말씀의 가장 진짜인(genuine) 교리(doctrine) 및 유일한 교회의 전통(tradition)에 부조리하고(absurd) 그리고 반하는(against) 것은 바로, 그리스도 및 유일한 교회(the Church)를 반대하거나(oppose), 혹은, 유일한 교회 없는 그리스도를 혹은 그리스도 없는 어떤 교회(a Church)를 추구하는 것입니다.
 
Choosing the treasure or the very fine pearl, fills a person’s heart with joy (Mt 13: 44). Buying the field means doing away with many things, sometimes things greatly loved and rooted in our life. However, before the reality of the treasure, one does not pay attention to what is being left behind, or allow it to keep a nostalgic presence in one’s heart. Rather, one’s whole attention is focused on the treasure, on the pearl, and thus the soul rejoices. It is the joy of those who value God’s call to Christian faith, to the Catholic Church. It is the joy of those who, through this call and their free response, know that they are the owners of a wonderful treasure that God has given them, and through which God – already now and definitively in heaven – lets them share in his salvation and glory (Rom 8: 30).

 

이 보물 혹은 가장 고운 진주를 선택하는 행위는, 한 인격의 심장(heart)을 기쁨(joy)으로 채웁니다(마태오 복음서 13,44). 이 밭을 구입하는 행위는, 때로는 우리들의 삶 안에서 크게 사랑받고 그리고 뿌리가 내려진 많은 것들을 그만둠/버림/없애버림/제거함(doing away with)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 보물의 실체(reality) 앞에서, 당사자는 뒤에 남겨둔 바 쪽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그리고 그것이 어떤 향수적 현존을 간직하도록 허락하지 않습니다. 대신에, 당사자의 총체적 주의는 이 보물에, 이 진주에, 집중하게 되어, 그리하여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and thus) 영혼(the soul)은 크게 기뻐합니다. 이 기쁨은 그리스도인의 신앙(Christian faith) 쪽으로, 유일한 가톨릭 교회(the Catholic Church) 쪽으로, 하느님의 부르심을 존중하는(value) 바로 그러한 자들의 기쁨(joy)입니다. 이 기쁨은, 바로 이 부르심과 자신들의 자유로운 화답을 통하여, 자신들이 하느님께서 이미 자신들에게 제공하신 한 개의 경이로운 보물의 소유자들임과, 그리고 바로 이것을 통하여 하느님께서 - 이미 지금 그리고 확실하게(definitely 하늘(heaven, 즉, 천당)에서 - 그들로 하여금 당신(즉, 예수님)의 구원과 영광(his salvation and glory)을 함께 나누는(share in) 것을 허락하심을 알고 있는, 바로 그러한 자들의 기쁨입니다(로마 8,30).
 
In his prayer, Solomon was able to discern God’s will, and made an enlightened choice in accordance with his vocation as king of the People of Israel (1 Kings 3:9). It is in prayer where man is able to more fully discover and to choose the pearl of great worth, what is unique and of highest value, Christ and the Church in God’s salvific plan. 

 

솔로몬(Solomon)은 자신의 기도 중에, 하느님의 의지(will)를 분별할 수 있었으며, 그리하여, 이스라엘 백성의 임금으로서 자신의 소명(vocation)과 일치하는, 한 개의 교화된(enlightened) 선택을 하였습니다(1열왕 3,9). 사람이, 하느님의 구원 계획 안에서 유일하고 그리고 최고의 가치를 지닌 바(what)인, 그리스도 및 유일한 교회(Christ and the Church)를 말하는, 커다란 가치의 진주를 더 충만하게 발견할 수 있고 그리고 선택할 수 있게 되는 장소는, 바로 기도 안에 있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 II, 제183-192쪽

 

 오늘의 제1독서 중에서 1열왕 4,12:

 

12 [...] 이제 너에게 지혜롭고 분별하는 심장(heart)을 준다.

 

오늘의 복음 말씀 중에서 마태오 복음서 13,44:

 

44 “하늘 나라는 밭에 숨겨진 보물과 같다. 그 보물을 발견한 사람은 그것을 다시 숨겨 두고서는 기뻐하며 돌아가서 가진 것을 다 팔아 그 밭을 산다.

 

오늘의 제2독서 중에서 로마서 8,30:

 

30 그렇게 미리 정하신 이들을 또한 부르셨고, 부르신 이들을 또한 의롭게 하셨으며, 의롭게 하신 이들에게 또한 영광을 더하셨습니다(glorified)

 

 

오늘의 전례성경이 가르치는 바를 학습하기 위하여,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합시다.  

 

A.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에 관한 오늘 복음 말씀 중의 예수님의 비유(parables)들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주: 우리말 번역문 포함]을 참조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ot_17.htm <----- 필독 권고

 

B. ‘마음(mind)’‘심장(heart)’의 차이점: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32.htm <----- 필독 권고

[제목: 심장(heart)과 마음(mind)의 차이점; 게시일자: 2011-03-23]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815.htm <----- 필독 권고

[제목: 주자(朱子)의 心은 마음(nous, mind)이 아니라 인간의 심장(heart)을 말한다; 게시일자: 2017-05-14]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heart.htm <----- 필독 권고

 

C.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풍유(an allegory)비유(a parable)이나, 그러나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81.htm <----- 필독 권고


 

D.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은총(grace)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5.htm <----- 꼭 필독 권고

 

E.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 성서 신학, 영성 신학 등에 있어 가장 중요한(the most important), '그리스도의 복음'(the Gospel of Christ)의 핵심(core)인, 초자연적 상태를 나타내는, ‘천국’(天國), 즉, ‘하늘나라’, 즉, ‘하늘 나라’(the kingdom of heaven)라는 차용 번역 용어의 정의(definition) 및 출처 등을 학습할 수 있다. 특히, 정의에 의하여(by definition), ‘천당’(天堂, heaven)은 ‘천국’(天國, the kingdom of heaven)의 옛말이 아님을 항상 기억하면서, 필독 학습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KH_JohnPaul_II.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H_concept_errors.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H_translation_errors.htm <----- 여기를 클릭한 후에, [꼭필독] 라벨이 붙은 글들을 꼭 필독하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kingdom_of_heaven.htm <----- 필독 권고

 

F.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영광’(glory)이라는 용어와 이 용어의 파생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 및 올바른 번역들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들에서 다루고 있으니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88.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89.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10.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17.htm <----- 필독 권고

 

-----

하느님의 영광이 발(發)하는(proceeds) 바로 그 장소 및 시간

하느님께서 현존(現存)하시고

그리고 역으로(conversely)

하느님께서 현존(現存)하시는 바로 그 장소 및 시간

하느님의 영광이 발(發)한다(proceeds).

-----

 

하느님의 은총(grace)자신들의 심장들 안에 받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하느님의 영광을 자신들의 심장(hearts)들 안에 받는 자들이 있을 수 있고,

그러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 영혼(soul) 육신(body)이 거룩하게 되는 자들이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그러한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 육신이 장차 부활하면서 하느님의 영광을 받을 자들이 있을 수 있다.

즉, 그 육신이 장차 부활하면서 거룩하게 변모될 자들이 있을 수 있다.

-----

 

 

� 3분 복음/교리 묵상

 

CCCC 381. 정의[justice, 의덕(義德)]는 무엇입니까?
CCC 1807, 1836


정의(justice)(*)는 다른 이들에게 그들의 몫(due)을 주기 위한 확고하고 그리고 지속적인 의지(will)를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consists in). 하느님 쪽으로 향하는 정의는 “경신덕(virtue of religion, 敬神德)”이라고 불립니다(엮은이 번역).

 

(*) 라틴어 어원이 ‘justus’이며 형용사가 ‘정의로운’(just)인 명사 ‘정의’(justice)의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정의(definition)와 관련하여, 가해 연중 제25주일 복음 말씀 해설에 주어져 있는 마태오 복음서 20,13-14 해설 및 http://ch.catholic.or.kr/pundang/4/ce_justice.htm을 필히 참고하라. 또한 다음의 영문 가톨릭 용어사전도 필히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cr_justice.htm.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17_c1807.htm 

 

CCCC 382. 굳셈/용기[fortitude, 용덕(勇德)]는 무엇입니까?
CCC 1808, 1837
굳셈/용기는 어려움들에 있어 확고함(firmness)과 좋은 일(the good)들을 추구함에 있어 지속성(constancy)을 보장합니다. 이것은 심지어 대의명분(just cause)을 위하여 혹시 자신의 목숨까지도 희생할 수 있는 역량(ability)에 도달하게 합니다(엮은이 번역).

 

CCCC 383. 절제[temperance, 절덕(節德)]는 무엇입니까?
CCC 1809, 1838
절제는 쾌락들의 유혹에 빠지는 것을 줄이고(moderates), 본능(instincts)들에 대한 의지(will)의 우월성(mastery)을 보장하며, 그리고 세상 재화(created goods, 창조된 재화)들의 사용에 있어 균형(balance)을 제공합니다(엮은이 번역).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17_c1808.htm 

 

 

마침 기도: 성모송, 영광송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378 2

추천

Sun_T_SOH,개신교회_선교사들의_중국_최초진출(1807년)_이전에_도입된_한문문화권_천주교회의_고유한_용어들,하늘나라,천국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