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병인박해 때에 순교한 이재의(이승훈의 손자)의 세례명은, 도머/도메(多黙, 사도 토마스)가 아니고, 도마(多瑪 , 篤瑪, 토마스 아퀴나스)이다 1242_

인쇄

. [121.190.18.*]

2020-07-28 ㅣ No.2081

게시자 주: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81.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1. 들어가면서

 

1-1. 다음은, "추안 급 국안"(병인박해, 1866년 발생)에 기록된 이승훈의 손자인 이재의(1808-868년)에 대한 심문 기록에서 발췌한 바인데, 이재의의 사호, 즉, 세례명이 우리말 음값의 이두 표기로 "道馬", 즉, 우리말 음값으로 "도마"임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췌 시작)

도마道馬_in_1868_추안급국안_이재의_심문기록.jpg

 

게시자 주: 바로 위에 발췌된 바에서, 오른쪽에서 네 번째 열(column)을 보라.

(이상, 발췌 끝)

 

1-2. 다른 한편으로, 1801년 신유박해 중에 발각된 황사영백서의 시작 부분에 "多黙"이라는 세례명이 사용되고 있음은, 널리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리고 "多黙"이 라틴어 세례명 "Thomas"의 중국어 음역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1-3. 본글에서는, 위의 제1-1항에서 말씀드린 이재의의 수호성인인 성 "도마"와 바로 위의 제1-2항에서 말씀드린 "多黙"이라는 분이, (i) 동일한 인물인지 아닌지, (ii) 만약에 동일한 분이 아니라면, 각각 누구인지를 실증적으로(positively) 식별하도록 하겠습니다.

 

2. 유관 사료 분석

 

2-1. 이를 위하여, 우선적으로,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칠극, 성인행실, 제성열품도문. 성년광익들, 천주경과 중의 성인명들의 음역어 대조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드 메야/마이야 신부님에 의하여 저술되어 1738년에 초간된 "셩년광익", 동, 12월 12일 날짜에 제시된 성 多黙에 대한 성인전을 읽어보면, 이분이 예수님의 12사도들 중의 한 사람인 성 토마스(St. Thomas, the Apostle)임을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cb/1566-1640_알퐁소_바뇨니/성모행실&성인행실_to_제성열품도문&성년광익.pdf <---- 여기를 클릭하여 필이 확인하라

 

마찬가지 방식으로,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표에서, "셩년광익", 춘, 3월 7일 날짜에 제시된 성 多黙斯에 대한 성인전을 읽어보면, 이분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임을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1: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칠극, 성인행실, 제성열품도문. 성년광익들, 천주경과 중의 성인명들의 음역어 대조표"로부터, 라틴어 세례명 "Thomas"의 중국어 음역 번역 용어인 "多黙"에서 ""의 라틴어 음값이, "Melania"를 참조함으로써"Me", 즉, "메 혹은 "머"임을, 그리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多黙"의 우리말 음값이 "도머"/"도메"임을 알 수 있습니다.

 

2-2. 다른 한 편으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가 중국인 천주교 신자들 사이에서, 때로는, 단지 "多黙"으로만 표기되고 있는 용례(examples)들은, 다음의 파란 색칠을 한 굵은 글자들을 클릭함으로서 확보되는, 구글 검색 결과로부터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多默" "Thomas Aquinas" -"斯" -"士" <---- 여기를 클릭하여 필이 확인하라

 

참고: "多瑪" "Thomas Aquinas" -"斯" -"士" 

 

2-3. 따라서, 지금까지 실증적으로(positively) 고찰한 바에 의하여,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 글의 결론 1) 이승훈의 손자인 이재의의 세례명은, 예수님의 열두 제자들 중의 한 명인 사도 토마스의 이름인 토마스(多黙, Thomas)아니고, '교회의 천사 박사'라는 칭호로 불리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름인 토마스 아퀴나스(篤瑪, 多瑪 , 多黙, Thomas Aquinas)이었음을, 이 글의 한 개의 결론으로서 도출합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7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