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시기(jealousy)와 질투(envy)의 차이점, 가해 연중 제20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가연중20주일> 1035_시기vs질투

인쇄

. [121.190.18.*]

2020-08-15 ㅣ No.2090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8월 18일] 

게시자 주 1: (1) 오늘의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게시자 주 2 다음에 있습니다.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90.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 [첫 공지 일자: 2022년 7월 17일(다해 연중 제16주일)]

(1) [PC 혹은 노트북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바로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면, New American Bible (NAB)에서 발췌된 오늘의 영어 전례성경 본문(즉,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들을, 화답송 등과 함께, 청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이어지는 제(2)항 으로 이동하여 안내대로 하십시오.][원 출처: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http://ch.catholic.or.kr/pundang/4/cbs/Cycle_A/Ordinary/a_ot_20_mp3 <----- 여기를 클릭하라  


[스마트폰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i) 위의 주소를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고 가만히 있으면 가지게 되는 작은 메뉴판 한 개에서, 다른 브라우저로 열기를 선택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ii)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 이미 열려있는 본글의 브라우저를 찾아서 거기로 이동한 후에,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있는 주소를 누르면,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들을 수 있습니다.

 

2006년 12월 10일(다해 대림 제2주일)부터 지금까지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안내된 English Bible Study 까페[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영어 성경공부 자료실]에서 필자가 지속적으로 전달 제공해온 자료이므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제(1)항에서 듣게 되는 NAB에서 발췌된 영어 전례성경 본문들 등을 또한 눈으로 직접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lub.catholic.or.kr/community/asp/club/attboard/read.asp?type=attboard&schcode=pundang4biblestudy&seq=8&id=1281 <----- 또한 필독 권고   

 

이것도 또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 바로 위에 제(1)항제(2)항 제공의 정보들을 반복적으로 꾸준히 함께 활용하면,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2 끝) 

[이상, 2023년 8월 18일자 내용 추가 끝]

 

 

가해 연중 제20주일 온라인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동영상 청취 주소: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21/가해연중제20주일.mp4 <----- 여기를 클릭하여 청취(聽取) 혹은 시청(視聽)하십시오

가해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 목록: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3.htm  

동영상 교재: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해 II, 가톨릭출판사, 2008년.

동영상 교안(敎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90.htm

 

 

시작 기도: 대성호경, 주님의 기도

 

이 십자성가 표적(表迹)으로써, (이마 위에 +)

우리의 주님이신 천주께서는 (입 위에 +)

우리의 원수들로부터 우리를 구하소서. (가슴 위에 +)

성부와 (이마 위에 손끝을 찍음) 

성자와 (배 위에 손끝을 찍음) 

성령의 이름으로. (왼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은 후에 그리고 곧바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음) 

아멘.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들을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복습 0: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주일 전례성경 학습자들을 위한 입문자료 모음 동영상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세례를 받으신 새교우님들께서 꼭 청취하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79.htm

 

복습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느님이 한 말단인, 적어도 3자들 사이에 있어, "경의/존중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9.htm

 

복습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악"(evil), "윤리적 악"(moral evil), "죄"(sin), 원죄"(original sin) 등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8.htm  

 

복습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자/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0.htm


복습 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은총"(grace)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7.htm 

 

복습 5: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광"(glory) 이라는 용어와 "glorious", "glorify", "glory in" 등의 그 파생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5.htm  

 

복습 6: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늘 나라(천국)"(the kingdom of heaven)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80.htm 

[제목: 하늘 나라(천국)의 흔적이 있는 곳과 지상의 그 현존처는 구분하여야]

 

 

<가연중20주일> 가해 연중 제20주일  

 

이사야 56,1.6-7; 마태오 복음서 15,21-28; 로마 11,13-15.29-32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ot_20.htm <----- 필독 권고

[주: 가톨릭 교회의 교황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 해설]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 II, 제243-250쪽

 

오늘의 제1독서 중에서:

 

"나의 집은 모든 민족들을 위한 기도의 집이라 불리리라." (이사야 56,7ㄷ) 

 

오늘의 복음 말씀 중에서:

 

"아, 여인아! 네 믿음이 참으로 크구나. 네가 바라는 대로 될 것이다." (마태오 복음서 15,28ㄴ) 

 

오늘의 제2독서 중에서:

 

"사실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을 불순종 안에 가두신 것은, 모든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시려는 것입니다." (로마 11,32)

 

 

오늘의 전례성경이 가르치는 바를 학습하기 위하여,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합시다.   

 

A. 이사야서 56,1애서 ‘의로움/올바름(righteousness)’이란 ‘의롭게 된 상태(a state of being justified)’를 말하고 그리고 ‘정의(justice)’는, 전후 문맥 안에서, 소위 말하는 사추덕(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한 개의 윤리덕(a moral virtue)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한 개의 초자연적 윤리덕(a supernatural moral virtue)을 말한다.

 

B.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번역 용어들인 ‘시기(jealousy)’‘질투(envy)’의 차이점에 대한 글들을 학습할 수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C.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경 용어의 번역 용어로서 ‘영광스럽다’가 심각한 수준의 번역 오류임에 대한 글들을 학습할 수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glory.htm

 

D.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경 용어들인 ‘선물(gift)’‘은사(charisma)’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60.htm

 

E.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불신/회의(unbelief)’‘거부(disbelief)’의 차이점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부’는 ‘불신/회의’이나 그러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음에 주목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3.htm

 

[내용 추가 일자: 2020년 8월 30일]

F.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ae)에 제시된 '애덕'(charity)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 등에 대한 글[제목: 애덕(charity)이라는 덕; 게시일자: 2013-11-04]을 학습할 수 있다[본문 중에 포함된 key word: Christoph Cardinal Schönborn]: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65.htm <----- 반드시 필독 권고 

[이상, 2020년 8월 30일자 내용 추가 끝]

 

 

� 3분 복음/교리 묵상

 

CCCC 107. 예수님에 의하여 선포되었고 또 초래된 하느님 나라에 누가 들어가도록 초대받는지요?
CCC 541-546, 567


예수님에 의하여 모든 사람이 하느님 나라(Kingdom of God)에 들어가는 것에 초대받습니다. 심지어 죄인들 중에서 가장 악한 죄인마저도 회심하여(convert) 성부의 무한한 자비를 받아들일 것을 요청받습니다. 하느님 나라는, 이미 이곳 지상에서, 겸손한 심장(a humble heart)과 함께 바로 이 자비를 받아들인 자들의 것입니다(belongs to). 이들에게 이 나라의 신비들이 드러나게 됩니다(엮은이 번역).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20_c541.htm

 

CCCC 442. 다음과 같은 하느님의 확언에는 무엇이 담겨있는지요: “나는 주 너의 하느님이다”(탈출기 20,2)?
CCC 2083-2094, 2133-2134 

 

이것은 열심 신자(the faithful)들이, 믿음(faith, 신덕), 희망(hope, 망덕), 그리고 사랑(charity, 애덕)으로 구성된, 세 개의 하느님을 향한 덕(virtues)들, 즉 향주덕들을 보호하고 또 활성화하여야 하며 그리고, 이들에게 반대되는, 죄들을 피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 믿음(faith, 신덕)을 가진 사람은 하느님을 신뢰하며 그리고 고의적 의심(deliberate doubt), 불신/회의(unbelief), 이단(heresy), 배교(apostasy), 그리고 분열(schism) 등과 같이 하느님에 반하는 모든 것을 거부합니다. 희망(hope, 망덕)을 가진 사람은, 절망(despair)과 망망/억측(presumption)을 피하면서, 지복직관(the blessed vision of God), 즉, 죽은 후에 복되게 하느님을 뵙는 것과 하느님의 도움을 신뢰하면서 기다립니다. 사랑(charity, 애덕)을 가진 사람은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하느님을 사랑하며(love) 따라서 무관심(indifference), 배은망덕(ingratitude), 냉담(lukewarmness), 나태(sloth) 혹은 영적 게으름(spiritual indolence), 그리고 교만(pride)으로부터 생겨나는 하느님에 대한 바로 이러한 증오(hatred)를 거부합니다(엮은이 번역).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20_c2083.htm

 

 

마침 기도: 성모송, 영광송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558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