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부수적인 것(accidents)들 [교리용어_부수적인것] 969_토미즘학습

인쇄

. [39.118.118.*]

2013-01-10 ㅣ No.1322



1.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ccident(부수적인 것)" 라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및 스콜라 신학의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1614

(발췌 시작)
ACCIDENT

 

That which is not of the essence of something. In a logic a predicable accident is a predicate incidentally attributed to a subject. In metaphysical philosophy, a predicamental accident is a category of being whose nature is not to exist in itself but in another as in a subject. It is not a thing but the mode of a thing. Of the nine categories of accident, relation, quality, and quantity are the most important. (Etym. Latin accidens, a happening; something that is added; chance; nonessential quality; from accidere, to come to pass, happen, befall.)

 

부수적인 것(accident)

그 무엇(something)의 본질을 이루지 않는 바로 그것을 말합니다. 어떤 논리에 있어, 한 개의, [그 진위가] 확인될 수 있는, 부수적인 것(a predicable accident)은 한 주부(a subject)에 종속적으로(incidentally) 귀속되는 한 개의 술어(述語)[a predicate, 즉 빈사(賓辭)]를 말합니다.(*)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al philosophy)에 있어, 한 개의 빈사(賓辭)적 부수적인 것(a predicamenal accident)은, 그 본성이 그 자체 안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한 주부(a subject)에 있어서처럼, 다른 것 안에 존재하는, 있음(being)(**)의 한 범주(a category)입니다. 부수적인 것에 대한 아홉 개의 범주들 중에서, 관계(relation), 질(quality), 그리고 양(quantity)이 가장 중요한 것들입니다.(***) [어원. Latin accidens, a happening; something that is added; chance; nonessential quality; from accidere, to come to pass, happen, befall.]

-----
(*) 번역자 주: 본 번역자가 이러한 용어들이 등장하는 문장들을 처음 읽었던 시기는, 돌이켜 볼 때에, 아직도 소장 중인, 서울 소재 종로서적에서 당시의 돈으로 영국 파운드 5.90을 지불하고 구입하였던, 1976년 The Syndics of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출판, Alfred North Whitehead 와 Bertrand Russell 저서인, Principia Mathematica to *56, Introduction을 열심히 읽었던 1981년 봄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소장 중인 이 책을 들여다 보니, 실제로, 이 책의 제51쪽부터 이러한 용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 번역자 주: "있음(being)" 이라는 스콜라 철학의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6.htm

(***) 번역자 주: "범주(範疇, category)" 라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및 스콜라 철학의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0.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accidents(부수적인 것들)" 라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및 스톨라 철학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1615

(발췌 시작)
ACCIDENTS

Things whose essence naturally requires that they exist in another being. Accidents are also called the appearances, species, or properties of a thing. These may be either physical, such as quantity, or modal, such as size or shape. Supernaturally, accidents can exist, in the absence of their natural substance, as happens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bread and wine after Eucharistic consecration.

부수적인 것들(accidents)

그들이 다른 있음(another being) 안에 존재할 것을 그들의 본질(essence)이 본성적으로(naturally) 요구하는 사물(things)들을 말합니다.
부수적인 것들은 또한 어떤 사물의 외양(겉모습, appearances)들, 종(種, species)들,(*) 혹은 성질(properties)들이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양(quantity)에서처럼, 형이하학적(physical)이거나, 혹은, 크기나 모양(size or shape)에서처럼, 양상(樣相)적(modal)이거나, 이들 둘 중의 하나일 수도 있습니다. 초자연적으로(supernaturally), 부수적인 것들은, 성체 축성(the Eucharistic  consecration) 이후에 빵과 포도주의 형이하학적 성질들과 함께 발생하듯이, 그들의 본성적 본체(natural substance)의 결여 안에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 번역자 주: "종(種, species)" 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및 스콜라 철학의 용어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0.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게시자 주: 다음은 Merriam-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에 주어진 "accident"에 대한 설명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발췌 시작)
accident

3
: an adventitious characteristic that is either inseparable from the individual and the species or separable from the individual but not the species ; broadly : any fortuitous or nonessential property, fact, or circumstance <accident of appearance> <accident of reputation> <accident of situation>

부수적인 것(accident)

3. 개체(individual)와 종(種, species)로부터 분리할 수 없거나 혹은 개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나 그러나 종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이들 둘 중의 하나인 어떤 타고난 것이 아닌(adventitious) 특성 ; 넓게(broadly) : 어느 우연한(즉, 의도적이지 않은) 혹은 비 본질적인 성질(property), 사실(fact), 혹은 여건(circumstance) <accident of appearance> <accident of reputation> <accident of situation>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subject(주체)" 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출처: http://www.catholicreference.net/index.cfm?id=36670

(발췌 시작)
SUBJECT

In scholastic philosophy the term about which some declaration or statement is made. In philosophy the substance in relation to other attributes, as the subject of existence. In epistemology the conscious being as distinct from that which is known. In psychology the power that is controlled by a habit, as the emotion of fear is the subject of the virtue of courage. In ethics either the holder of a right or the person under the authority of a ruler or superior.

주체/주부(subject)

스콜라 철학에 있어, 그것에 관하여 어떠한 진술(declaration) 혹은 명제(statement)가 마련되는 용어(the term)를 말합니다. 철학에 있어, 존재의 주체(the subject of existence)로서, 다른 속성(attributes)들에 관계하고 있는 본체(substance)를 말합니다. 인식론(epistemology)에 있어 알려진 바로부터 구분되는 것으로서 의식이 있는 있음(the conscious being)을 말합니다. 심리학(psychology)에 있어, 두려움(fear)이라는 감정(emotion)이 용기(courage)라는 덕(virtue)의 주체(the subject)이듯이, 어떤 습관(a habit)에 의하여 통제되는 힘/능력(power)를 말합니다. 윤리학(ethics)에 있어, 어떤 권리의 보유자 혹은 어떤 권리나 상관의 권위 아래에 있는 인격(the persion) 이들 둘 중의 하나를 말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90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