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오 크나큰 신비여(O Magnum Mysterium)에서 신비의 정의(definition)는? [성음악]

인쇄

[39.118.118.*]

2013-02-17 ㅣ No.1338



+ 찬미 예수님

다들 또한 잘 아시겠지만, O Magnum Mysterium (오 크나큰/위대한 신비여, O Great Mystery) 라는 제목을 가진 좋은 곡들이 여러 개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위의 제목에서, [중국이 아닌] 우리나라 가톨릭계에서 "신비"로 번역되고 있는 "Mysterium (Mystery)" 라는 번역 용어의 신학적 의미를 알면서 미사 중에 [염경 기도(소리 기도)의 한 형태인], 위의 제목을 가진, 노래를 부른다면,

가사에 등장하는 이 용어의 신학적 의미를 모르면서, 그리하여 내용도 모르는 노래를 그냥 부르는 것 보다,

우선적으로,

노래를 부르는 당사자 자신의 성화(sanctification) [즉, 거룩하게 변화됨]에 혹시라도 약간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이는, 미사 중의 성가대 봉사자도 다음의 발췌문에서 언급되고 있는 "신자"이기 때문입니다:


전례와 성음악의 목적은

"하느님의 영광과 신자들의 성화에 있다"

(한국 천주교 성음악 지침 제7항)



1. "신비(mystery)"라는 신학적 용어의 정의는 다음의 글[제목: 신비/신비적/신비로운 등의 번역 용어들의 신학적 정의(definitions)들 외]에 있습니다. 클릭한 후에, 바쁘신 분들께서는, 처음부터 제3항까지만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50.htm <----- 필독 권유

2. "전례사전"에 주어진 "전례의 목적"에 대한 언급은 다음의 글[제목: 성스러운(sacred)거룩한(holy)의 차이점]에 있습니다. 클릭한 후에, 바쁘신 분들께서는, 제6-3항을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28.htm <----- 또한 필독 권유

3. 2009년 2월 24일자 "한국 천주교성음악 지침"은 다음에 있습니다. 특히 본당의 전례 봉사자 및 성가대 봉사자들의 필독을 권고드립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2월 24일]

4.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에서 2006년 1월에 간략하게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기원후 3세기 이후부터 라틴어 단어 "sacramentum(성사)" 은 그리스어 단어 "musterion(신비)" 의 번역 용어로 서방 교회 측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지료를 참고하십시오:

출처: http://mb-soft.com/believe/text/sacramen.htm

(발췌 시작)
In the early 3rd century, Tertullian, the first Latin theologian, translated the Greek word musterion ("mystery") by the Latin sacramentum, which in pre-Christian use denoted a pledge of future performance, as in oath of loyalty taken by soldiers to their commander; emphasis fell on the thing that was given in pledge.

3세기 초기에, 첫 번째 라틴 신학자였던 테르툴리아노(Tertullian)가 그리스어 단어 musterion ("mystery", "신비") 를 라틴어 단어 sacramentum ("sacrament", "성사") 로 번역하였는데, 이 라틴어 단어는 그리스도교 이전의 시기의 사용에 있어, 군인들에 의하여 자신들의 사령관에게 행하여졌던 충성 맹세에서처럼, 미래의 일의 수행(performance)에 대한 어떤 선서(pledge)를 나타내었으며, 그리고 강조는 선서에서 제시되는 사물에 고유한 자리를 차지하였습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지금 말씀드린 바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이 주어진, 다음의 영어 가톨릭 대사전의 설명도 또한 참고하십시오:

http://www.newadvent.org/cathen/13295a.htm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89 0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