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영어 번역 용어 "believe in" 이 남용되고 있는 사례 -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차례에서 969_토미즘학습

인쇄

. [218.55.90.*]

2014-10-07 ㅣ No.1577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이번 글에서는, 다음에 발췌된 질문 4와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의 연장으로서, 영어 번역 용어 believe in 이 번역 오류인 대표적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8.htm <----- 대단히 중요한 글이므로 필독 권고

(발췌 시작)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5일]
9.
지금까지 이 글 [즉, 바로 위의 출처에 있는 글]에서는, 성경 본문에서, 영어로 "believe""believe in"로 번역되는 동사들이 어떤 커다란 차이점을 가지고 사용되고 있는지를 대단히 정밀하게 비교/검토하였고, 그리고 이 검토의 결과를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우리말 번역문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질문 4: 예를 들어, 영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
 
"We believe in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라고 고백하는데, 교회가 "believe in"의 대상이라는 것인지요?
 
질문 4에 대한 답변:
 
9-1. 지금까지 고찰한 바에 의하면, 한 개의 창조된 있음(a created being)인 교회는 "believe in"의 "대상", 즉 "신앙의 대상"일 수가 없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에 있는 라틴어 정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2005cccc.htm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 제32항]
 
"Et [주: 바로 이 자리에 in 이라는 단어가 없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unam sanctam cathólicamet apostólicam Ecclésiam."
 
라고 표현된 부분이, 영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 그냥 "believe" 대신에 "in" 이 추가되어, "believe in" 으로 번역이 되었는데, 이것은, 교회는 한 개의 창조된 있음(a created being)이기에,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조금 더 자세하게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라틴어 정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
(i) 성부 하느님(God the Father)께 대한 신앙 고백은 다음과 같이 시작하고:
"Credo in unum Deum(믿나이아 하느님 쪽으로)"
(ii) 성자 하느님(God the Son)에 대한 신앙 고백은 다음과 같이 시작하며:
"Et in unum Dóminum Iesum Christum, (그리고 믿나이다 주님이신 예수 그리스도 쪽으로)"
(iii) 그리고 성령 하느님(God the Holy Spirit)에 대한 신앙 고백은 다음과 같이 시작하나:
"Credo in Spíritum Sanctum (믿나이다 성령 쪽으로)"
(iv) 그러나 교회에 대한 조항은 다음과 같이 시작합니다:
"Et [주: 바로 이 자리에 in 이라는 단어가 없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unam sanctam cathólicamet apostólicam Ecclésiam. (그리고 믿나이다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적인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
 
그리고 이 지적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48-750항의 소제목(ARTICULUS 9 «CREDO [주: 바로 이 자리에 in 이라는 단어가 없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제750항 본문의 첫 문장과 두 번째 문장, 그리고 세 번째 문장인 마지막 문장 이들 모두가 또한 분명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혹시 영어가 불편한 분들께 도움이 될까 하여 또한 말씀드립니다만, 다음의 글의 제4-3항에 발췌되어 있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 및 이 항의 우리말 번역문을 또한 읽도록 하십시오:
 
-----
(*) 게시자 주: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지시에 의하여 2011년에 개정 공표된 영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 전문은 다음의 글의 부록에 있다. 개정되기 전의 영어본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 본문과 정밀하게 비교/검토할 수 있도록 간략한 해설과 함께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자료이다:
-----
 
9-2.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가톨릭 보편 교회의 전통적 라틴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 정본과 자구적으로 더 많은 일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지시에 의하여 2011년에 영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의 일부 단어들과 표현 방식들이 수정될 때에도 이 문제가 바로 잡히지 않은 것은, 굳이 그 근거를 찾아 보자면, 아마도 다음의 출처, 제9조(Article 9) 에서 언급되고 있는, 그리고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에서 또한 주어지고 있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의 성령과 교회와의 관계에 대한 설명 때문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바로 위의 주소를 클릭한 후에,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q1, faith(믿음, 신덕), Article 9(제9조)으로 이동하여, Objection 5(반론 5)Reply to Objection 5(반론 5에 대한 답변)을 읽도록 하십시오. 그리고 사족일 수도 있습니다만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바로 이 답변이, 위의 제9-2항에 안내된 주소에 있는 글의 제4-3항에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의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는, 로마 교리서(트리엔트 교리서) I, 10, 22의 근거라는 생각입니다.
 
9-3. 그러나, 바로 위의 제9-1항에서 말씀드린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의 설명과 제9-2항의 출처에 제시된 설명에 의하여, 한 개의 창조된 있음(a created being)인 교회가 "believe in"의 "대상", 즉, "신앙의 대상"일 수는 없다는 생각입니다.
 
9-4. 또 다른 한편으로, 라틴어 정본 사도 신경라틴어 정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프 신경을 더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 라틴어 정본 사도 신경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에 대하여 성 레오 1세 대 교황님께서 위의 제9-2항에서 말씀드린 주석을 남기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라틴어 정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은 위의 제9-1항에서 보았듯이,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볼 떄에 특히 흥미로운 점은, Objection 5(반론 5)에서는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 발췌한 구절인 "In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과 함께 반론을 제시하였는데, 정작에 Reply to Objection 5(반론 5에 대한 답변)사도 신경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holy Catholic Church," 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에 대하여 관심이 있으신 독자들께서는 위의 제9-1항에 안내해 드린 자료를 유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영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의 "We believe in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라는 번역문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어쩌면 별다른 이유도 없이 영어본 사도 신경에서의 "We believe in the Holy Spirit, the holy Catholic Church, ..." 라는 번역문의 영향을 받아,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이 되지 않았는 생각이며, 따라서 번역 오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6일]
9-4. 특히 바로 위의 제9-4항에서 번역 오라고 말씀드린 바는, 그리스 신학의 라틴어 번역자로 널리 알려진 교회의 라틴 교부인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사도 신경 주해(Comm. in Sym. Apost.)]에 의하여, 영어(English)라는 언어 자체가 이 세상에 존재하지도 않았던 오래 전에 이미 지적된 바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우선적으로, 다음의 글 [제목: 루피노의 사도 신경 주해]제36항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게시자 주 9-4: "believe in something(someone)" 이라는 영어 번역 표현의 문제점에 대한 위의 제9항에서 지적한 바는, 이 글에 이어지는 별도의 글에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더 자세하게 말씀을 드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이상, 질문 4에 대한 답변 끝)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1: 특히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그리스 신학의 라틴어 번역자로 널리 알려진 교회의 라틴 교부인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에 의하여 마련된 사도 신경 주해(Comm. in Sym. Apost.)]의 제36항꼭 읽도록 하십시오. 특히 이 주해가 마련될 당시는 현재 사용 중인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 등의 여러 지역 언어들 자체가 이 세상에 없었던, 따라서 이 지영 언어들이 해당 지역 교회의 언어들일 수가 없었던, 대단히 오래 전의 시기였음에 또한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2.

먼저, 여러 지역 언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들을,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와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1. 다음은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차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lt/index_lt.htm

(발췌 시작)
CAPUT PRIMUM: CREDO IN DEUM PATREM

CAPUT SECUNDUM: CREDO IN IESUM CHRISTUM, FILIUM DEI UNICUM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9: «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 ----- (*)

Articulus 10: « Credo remissionem peccatorum »

Articulus 11: « Credo carnis resurrectionem »

Articulus 12: « Credo vitam aeternam »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1: 바로 위의 성삼위 각 위격에 대한 신앙 고백 조항의 시작인 "credo in"에서, 전치사 "in" 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 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의 시작인 "credo"에서는, 이 단어에 곧바로 이어서, 전치사 "in" 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2-2. 다음은 이탈리아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차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it/ccc-it_index_it.html

(발췌 시작)

CAPITOLO PRIMO Io credo in Dio Padre

CAPITOLO SECONDO Credo in Gesù Cristo, unico Figlio di Dio

CAPITOLO TERZO Credo nello Spirito Santo

 

Articolo 9: Credo « la santa Chiesa Cattolica » ----- (*)

Articolo 10: Credo « la remissione dei peccati »

Articolo 11: Credo « la risurrezione della carne »

Articolo 12: Credo « la vita eterna »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2: 바로 위의 성삼위 각 위격에 대한 신앙 고백 조항의 시작인 "credo in"에서, 전치사 "in" 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 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의 시작인 "credo"에서는, 이 단어에 곧바로 이어서, 전치사 "in" 이 사용되고 있지 않음에 반드시 주목하십시오.

 

2-3. 다음은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차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INDEX.HTM

(발췌 시작)

CHAPITRE PREMIER JE CROIS EN DIEU LE PERE

CHAPITRE DEUXIEME JE CROIS EN JÉSUS-CHRIST, LE FILS UNIQUE DE DIEU

CHAPITRE TROISIEME JE CROIS EN L’ESPRIT SAINT

 

Article 9 " JE CROIS A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 ----- (*)

Article 10 " JE CROIS AU PARDON DES PECHES "

Article 11 " JE CROIS A LA RESURRECTION DE LA CHAIR "

Article 12 " JE CROIS A LA VIE ETERNELLE "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3:

(1) 바로 위의 성삼위 각 위격에 대한 신앙 고백 조항의 시작인 "crois en에서, 전치사 "en 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 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의 시작인 "crois"에서는, 이 단어에 곧바로 이어서, 전치사 "en" 대신에, 이 전치사 "en"분명하게 구분되는 다른 전치사 "A(À, à)" 가 사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2) 질문 2: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차례에서 발췌한 다음의 조항들의 소제목들에서, 

 

Article 9 " JE CROIS A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 ----- (*)

Article 10 " JE CROIS AU PARDON DES PECHES "

Article 11 " JE CROIS A LA RESURRECTION DE LA CHAIR "

Article 12 " JE CROIS A LA VIE ETERNELLE "

 

무슨 이유로 "A(À, à)" 가 추가되었는지요? 혹시라도 그 이유에 대하여 알고 계신 분들께서는 필자에게 꼭 좀 알려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19일]

질문 2에 대한 답변: 다음의, 교황 베네딕토 16세에 의하여 2012년"신앙의 해"로 선포된 것을 축하하는 교황청 국제 신학 위원회의 메시지에 질문 2에 대한 답변이 확실하게 주어져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vatican/rc_cti_20121016_maf_fr.htm

(발췌 시작)

je crois à Dieu [credo Deo]

 

I believe God [credo Deo]

저는 믿나이다 하느님을.

(이상, 발췌, 영어 및 우리말 번역 끝)

 

그러므로 위의 (*) 를 영어 및 우리말로 직역 번역하면 다음과 같으며, 특히 바로 아래의 제2-4항(*)에 있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대응하는 영어본 표현들이 모두, 이 글에서 지적하고 있듯이중대한 번역 오류임을 구체적으로 증명하였습니다:

Article 9 " I believe the holy Church to be Catholic [저는 믿나이다 거룩한 교회가 보편적임을] " -- (*)

Article 10 " I believe the forgiveness of sins [저는 믿나이다 죄들에 대한 용서를] "

Article 11 " I believe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저는 믿나이다 죽은 이들의 부활을] "

Article 12 " I believe the everlasting life [저는 믿나이다 영원한 삶] "

(이상, 게시자 주 끝)

[이상, 2014년 11월 19일자 내용 추가 끝]

 

2-4. 다음은 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차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INDEX.HTM

(발췌 시작)

CHAPTER ONE I BELIEVE IN GOD THE FATHER 

CHAPTER TWO I BELIEVE IN JESUS CHRIST, THE ONLY SON OF GOD

CHAPTER THREE I BELIEVE IN THE HOLY SPIRIT 

 

Article 9 "I BELIEVE IN THE HOLY CATHOLIC CHURCH" ----- (*)

Article 10 "I BELIEVE IN THE FORGIVENESS OF SINS"

Article 11 "I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BODY"

Article 12 "I BELIEVE IN LIFE EVERLASTING"

(이상 발췌 끝)

 

게시자 주 2-4:

(1) 바로 위의 성삼위 각 위격에 대한 신앙 고백 조항의 시작인 "believe in에서, 전치사 "in" 이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 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의 시작인 "believe in"에서 그리고 이어지는 다른 조항들의 시작인 "believe in"에서, 단어 "believe"에 곧바로 이어서, 전치사 "in" 이 또한 무차별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이러한 무차별적 사용은,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4-3항에 발췌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의 가르침과도 정면으로 위배됩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6.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750 In the Apostles' Creed we profess "one Holy Church" (Credo . . . Ecclesiam), and not to believe in the Church, ... .

 

750 ... 사도 신경에서 우리는, ..., 교회 쪽으로 믿는다(believe in the Church)가 아니라, "하나의 거룩한 교회(one Holy Church)"를 믿는다고 고백합니다(profess)(Credo . . . Ecclesiam)(로마 교리서 I, 10, 22 ).

(이상, 발췌 끝)

 

따라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을 포함하는 Article 9 "I BELIEVE IN THE HOLY CATHOLIC CHURCH" 에서 "in" 을 사용한 것은, 바로 이 제750항의 가르침에 명백한 모순(contradiction)이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2) 그리고 더 나아가, 라틴어 "in" 에 대응하는 동일한 영어 전치사 "in"의 이와 같은 무차별척인 사용은, 그리스 신학의 라틴어 번역자로 널리 알려진 교회의 라틴 교부인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라틴어 정본] 사도 신경 주해(Comm. in Sym. Apost.)]에 의하여, 영어(English)라는 언어 자체가 이 세상에 존재하지도 않았던 오래 전에 이미 지적된 바이기도 합니다. 즉, 다음의 글 [제목: 루피노의 사도 신경 주해]제36항의 설명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오용/남용입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22.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36. “The Holy Church; The Forgiveness of Sin, the Resurrection of This Flesh.” It is not said, “In the holy Church,” nor “In the forgiveness of sins,” nor “I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For if the preposition “in” had been added, it would have had the same force as in the preceding articles. But now in those clauses in which the faith concerning the Godhead is declared, we say “In God the Father,” and “In Jesus Christ His Son,” and “In the Holy Ghost,” but in the rest, where we speak not of the Godhead but of creatures and mysteries, the preposition “in”is not added. We do not say “We believe in the holy Church,” but “We believe the holy Church,” not as God, but as the Church gathered together to God: and we believe that there is “forgiveness of sins;” we do not say “We believe in the forgiveness of sins;” and we believe that there will be a “Resurrection of the flesh;” we do not say “We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By this monosyllabic preposition, therefore, the Creator is distinguished from the creatures, and things divine are separated from things human.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6일]

36. "거룩한 교회; 죄의 용서, 바로 이 육체의 부활(The Holy Church; The Forgiveness of Sin, the Resurrection of This Flesh)." "거룩한 교회 쪽으로(in)", 그리고 "죄들의 용서 쪽으로(in)", 그리고 "이 육체의 부활 쪽으로(in)" 라고 말해지지 않습니다. 이는 만약에 전치사 "쪽으로(in)" 가 추가되었더라면, 이 표현은 앞서는 조항들에 있어서처럼 동일한 힘(force)을 가졌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For if the preposition in had been added, it would have had the same force as in the preceding articles.). 방금(but now) 거기에서 신격에 관련한 신앙(faith concerning the Godhead)이 선언되는 바로 그 절들에서, 우리는 "성부 하느님 쪽으로(in)", 그리고 "당신의 성자 예수 그리스도 쪽으로(in)", 그리고 "성령 쪽으로(in)" 라고 말하나, 그러나, 거기서 신격에 대하여서가 아니라 피조물(creatures)들과 오적(奧跡)(mysteries, 신비)들에 대하여 우리가 말하는 나머지 부분들에서, 전치사 "쪽으로(in)" 추가되지 않습니다. 우리는, 하느님으로서가 아니라, 하느님 쪽으로 함께 모아진(gethered together to God) 교회(Church)로서, "우리는 믿나이다 거룩한 교회 쪽으로(We believe in the holy Church)" 가 아니라 "우리는 믿나이다 거룩한 교회를(We believe the holy Church)" 이라고 말하며, 그리고 우리는 "죄들의 용서(forgiveness of sins)" 가 있음을 믿기에(believe), 우리는 "우리는 믿나이다 죄들의 용서 쪽으로(We believe in the forgeveness of sins)" 라고 말하지 않으며, 그리고 우리는 "육체의 부활(Resurrection of the flesh)" 이 장차 있을 것임을 믿기에(believe), 우리는 "우리는 믿나이다 육체의 부활 쪽으로(We believe i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바로 이 단음절의 전치사에 의하여, 창조주(the Creator)께서는 피조물들로부터 구분되고, 그리고 하느님의 사물(divine things)들은 인간의 사물(human things)들로부터 분리됩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이상, 발췌 끝)

 

(3) 그리고 다음에 발췌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a1 faith(믿음, 신덕), a9, Response to Objection 5(반론 5에 대한 답변)에서, 바로 위의 제(2)항에 전달해드린 교부 루피노의 해설에 성 레오 1세 대 교황님(St. Leo I, the Great, 400-461년)께서도 동의하셨고 또 성 토마스 아퀴나스 본인도 또한 동의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03.htm  <----- 필독 권고

(발췌 시작)

Objection 5. Further, Augustine (Tract. xxix in Joan.) expounding the passage, "You believe in God, believe also in Me" (John 14:1) says: "We believe Peter or Paul, but we speak only of believing 'in' God." Since then the Catholic Church is merely a created being, it seems unfitting to say: "In the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Church."

 

반론 5. 더구나, 아우구스티노(Augustine)는 "하느님 쪽으로(in) 믿고 또 내 쪽으로 믿어라(You believe in God, believe also in Me)" (요한 14,1) 라는 구절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Tract. xxix in Joan.)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우리는 베드로(Peter) 혹은 바오로(Paul)을 믿으나(believe), 그러나 우리는 하느님 '쪽으로(in)' 믿는 행위에 대하여 오로지 말합니다." 그렇다면 가톨릭 교회는 단순히 한 개의 창조된 있음(a created being)이기 때문에,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 쪽으로(in)" 라고 기도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Reply to Objection 5. If we say: "'In' the holy Catholic Church," this must be taken as verified in so far as our faith is directed to the Holy Ghost, Who sanctifies the Church; so that the sense is: "I believe in the Holy Ghost sanctifying the Church." But it is better and more in keeping with the common use, to omit the 'in,' and say simply, "the holy Catholic Church," as Pope Leo [Rufinus, Comm. in Sym. Apost.] observes.

 

반론 5에 대한 답변. 우리가 "거룩한 가톨릭 교회 쪽으로(in)" 라고 말한다면, 이것은 우리의 믿음(faith, 신덕)이, 교회를 거룩하게 하는 성령께로 향해지고 있는(is directed to) 정도에 까지에 있어 입증되는(verified) 것으로서 받아들여져야 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그 의미(the sense)는 "저는 교회를 거룩하게 하는 성령 쪽으로 믿습니다(believe in)" 입니다. 그러나, [대] 교황 레오(Pope Leo I, the Great, 400-461년)가 주시하듯이(observes), '쪽으로(in)' 를 생략하고, 그리고 단순히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를" 라고 말하는 것이 더 나으며 그리고 통상적 사용과 더 일치합니다(in keeping with)[Rufinus, Comm. in Sym. Apost.].(*)

 

-----

(*) 번역자 주:

(1) 따라서, "believe in something(someone)" 라는 영어 번역 표현은, 그 대상 something(someone)이 하느님이 아닌 피조물일 경우에만, "believe something(someone)" 과 동의어로 사용될 수도(may) 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0월 6일]

(2) 그리고 바로 위의 제(1)항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글 [그리스 신학의 라틴어 번역자로 널리 알려진, 교회의 라틴 교부인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사도 신경 주해(Comm. in Sym. Apost.)]의 제36항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22.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이상, 발췌 끝)

(이상, 게시자 주 끝)

 

3.

3-1. 질문 1: 위의 제1항에서 파악된 문제가 왜 발생하게 되었을까요?

 

질문 1에 대한 답변: 다른 이유도 있을 수도 있을 것이지만 특히, 많이 부족한 죄인이 생각할 때에,

 

(i) 첫 번째로,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 연대를 알 수 있는, 1997년에 처음 공인 출판된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번역 대본이, 1997년에 처음 공표된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아니고, 1992년에 초판 공인 발행된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이었던 데에 그 주된 원인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http://en.wikipedia.org/wiki/Catechism_of_the_Catholic_Church

 

(ii) 두 번째로, 위의 제2-2항에서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 아닌 두 개의 서로 다른 프랑스어 표현들 "croire en""croire à" 이, 대응하는 영어 표현들로의 번역 작업 과정에서, 위의 제2-3항에서 보듯이, 모두 동일한 영어 표현 "believe in" 으로 중첩 번역된 데에 그 원인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의 세속의 French-English Dictionay 을 들여다 보면, "croire en""croire à" 모두 영어로 "believe in" 으로 번역되고 있는데,

http://www.wordreference.com/fren/crois

 

그러나 위의 게시자 주 2-4항에서 말씀드린 바를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마련하기 위하여 영어로 번역 작업에 종사한 분들이 이미 잘 알고 있었더라면, 이들 둘 다를 모두 동일한 표현 "believe in" 로 결코 번역하지 못하였을 것입니다.

 

그리고, 만약에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번역 대본이었더라면, "credo in"은 영어로 "believe in"으로 직역 번역이 되고 그리고 "credo""believe" 로 직역 번역이 되어, 지금 지적한 이 문제는 결코 발생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iii) 세 번째로, 영어로 번역 작업에 종사한 분들이 다음의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750항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였더라면, 바로 위의 제(ii)항에서 지적한 지역 언어로 번역과정에서의 내용 전달 장애/오류는 결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FRA0013/__P20.HTM

(발췌 시작)

750 Croire que l’Église est " Sainte " et " Catholique ", et qu’elle est " Une " et " Apostolique " (comme l’ajoute le Symbole de Nicée-Constantinople) est inséparable de la foi en Dieu le Père, le Fils et le Saint Esprit. Dans le Symbole des apôtres, nous faisons profession de croire une Église Sainte (" Credo [...] Ecclesiam "), et non pas en l’Église, pour ne pas confondre Dieu et ses œuvres et pour attribuer clairement à la bonté de Dieu tous les dons qu’Il a mis dans son Église (cf. Catech. R. 1, 10, 22).

(이상, 발췌 끝)

 

(iv) 따라서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납득할 수 없는 점은,  다음의 문장에 전치사  "A(À, à)" 가 왜 있는가? 입니다:
JE CROIS A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왜냐하면, 바로 이 프랑스어 문장을, 단순하 세속의 French-English Dictionary에 의존하면서, 영어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소제목으로 등장하는,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번역되기 떄문입니다:
I BELIEVE IN THE HOLY CATHOLIC CHURCH.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19일]

게시자 주 3-1: 프랑스어본 사도신경 구절 "à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에, "à" 가 있는 이유는 위의 게시자 주 2-3, 질문 2에 대한 답변에 주어져 있습니다. 이 답변에 의하여,

 

JE CROIS A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는 다음과 같이 영어로 직역 번역됩니다:

 

I believe the holy Church to be Catholic. [저는 믿나이다 거룩한 교회가 보편적임을].

[이상, 2014년 11월 19일자 내용 추가 끝]

 

3-2. 바로 위의 제3-1항(iv)에서 납득할 수 없다고 말씀드린 바로 이 표현은 사실은 프랑스어본 사도 신경에 있습니다. 다음은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 제32항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ompendium_ccc/documents/
archive_2005_compendium-ccc_fr.html

(발췌 시작)

[프랑스어본 사도 신경]

Symbole des Apôtres

 

Je crois en Dieu, le Père tout puissant, Créateur du ciel et de la terre.

 

Et en Jésus Christ, son Fils unique, notre Seigneur; qui a été conçu du Saint-Esprit, est né de la Vierge Marie, a souffert sous Ponce Pilate, a été crucifié, est mort et a été enseveli, est descendu aux enfers; le troisième jour est ressuscité des morts, est monté aux cieux, est assis à la droite de Dieu le Père tout-puissant, d’où il viendra juger les vivants et les morts.

 

Je crois en l’Esprit Saint, à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à la communion des saints, à la rémission des péchés, à la résurrection de la chair, à la vie éternelle. Amen.

 

[라틴어본 사도 신경]

Symbolum Apostolicum

 

Credo in Deum Patrem omnipoténtem, Creatórem cæli et terræ, et in Iesum Christum, Fílium Eius únicum, Dóminum nostrum, qui concéptus est de Spíritu Sancto, natus ex María Vírgine, passus sub Póntio Piláto, crucifíxus, mórtuus, et sepúltus, descéndit ad ínferos, tértia die resurréxit a mórtuis, ascéndit ad cælos, sedet ad déxteram Dei Patris omnipoténtis, inde ventúrus est iudicáre vivos et mórtuos.

 

Et in Spíritum Sanctum, sanctam Ecclésiam cathólicam, sanctórum communiónem, remissiónem peccatórum, carnis resurrectiónem, vitam ætérnam. Amen.

(이상, 발췌 끝)

 

바로 위에 발췌된 라틴어본 사도 신경과 프랑스어본 사도 신경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

 

라틴어 구절 "sanctam Ecclésiam cathólicam"이

프랑스어 구절 "à la sainte Église catholique"로 번역된 것을 쉽게 알 수 있는데,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바로 이 프랑스어본 사도 신경이, 위의 제2-3항에서 보듯이,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차례췌되었고, 그리고 그러한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번역 대본으로 삼아 영어로 번역을 하여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마련하다보니,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차례에서 위의 제2-4항과 같은 문제, 즉, 이 글에서 지적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는 생각입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4년 11월 19일]

게시자 주 3-2: 프랑스어본 사도신경 구절 "à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에, "à" 가 있는 이유는 위의 게시자 주 2-3, 질문 2에 대한 답변에 주어져 있습니다.

[이상, 2014년 11월 19일자 내용 추가 끝]

 

3-3. 더구나, 만약에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마련되기 이전의 시기에 영어본 사도 신경의 본문에서 이미 "I believe in the holy catholic Church" 로 번역이 되어 널리 사용되어 왔다면, 바로 위의 제3-2항에서 말씀드린 바는, 영어로의 번역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더욱 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받아들여져 간과(看過)되었을 것이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4.

이번 항에서는 이 글의 끝으로, 1987년 10월 22일 주일에 거행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교황직 취임 미사 직후의 첫 삼종기도(Angelus) 강론 말씀을 함께 들여다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티칸 광장에 운집한 군중들을 대상으로 하여 주신 강론 말씀이기에, 이 첫 삼종기도 강론 말씀의 라틴어 정본은 교황청 홈페이지에서 제공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출처 1: http://www.vatican.va/holy_father/john_paul_ii/angelus/1978/index_it.htm

(발췌 시작)
Angelus, 22 ottobre 1978
[Francese, Italiano, Portoghese, Spagnolo]

 

[이탈리아어본에서 발췌]

Per vivere intensamente questo momento storico, dovevamo fare la professione di fede in comune, che recitiamo ogni giorno nel Credo degli apostoli: “Credo nella santa Chiesa cattolica”, e nel Credo niceno-costantinopolitano: “Credo la Chiesa, una, santa, cattolica e apostolica”.

 

[프랑스어본에서 발췌]

La messe solennelle d’ouverture de mon ministère de Successeur de Pierre est à peine terminée. Afin de vivre intensément ce moment historique, nous devions professer ensemble notre foi commune, que nous récitons chaque jour au Credo des apôtres : « Je crois en la sainte Église catholique » et au Credo de Nicée-Constantinople, « Je crois l’Église une, sainte, catholique et apostolique. »

 

[포르투칼어본에서 발췌]

Terminou há pouco a Missa solene de inauguração do meu ministério de Sucessor de Pedro. Para vivermos com intensidade este momento histórico, devíamos fazer a profissão de fé em comum, que rezamos todos os dias no Credo dos Apóstolos: "creio na santa Igreja católica", e no Credo niceno-constantinopolitano: "creio na Igreja, una, santa, católica e apostólica".

 

[스페인어본에서 발췌]

Acaba de terminar la solemne Misa de inauguración de mi ministerio de Sucesor de Pedro. Para vivir intensamente este momento histórico, hemos tenido que hacer en común la profesión de fe que recitamos todos los días en el Credo de los Apóstoles: "Creo en la Santa Iglesia católica", y en el Credo Niceno-Constantinopolitano: "Creo en la Iglesia una, santa, católica y apostólica".

 

출처 2: http://www.ewtn.com/library/PAPALDOC/JP2ANGL1.HTM

[게시자 주: 당시의 상황에 대한 언급이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이탈리아어체로 또한 제공되고 있는, 이 첫 삼종기도 강론 말씀의 영어본에서 발췌]

(발췌 시작)

I wish to resume the magnificent habit of my Predecessors and recite the "Angelus" together with you, dear Brothers and Sisters. The solemn Mass for the inauguration of my ministry as Peter's Successor has just ended. To live intensely this historic moment, we had to make the profession of faith in common, which we recite every day in the Apostles' Creed: "I believe in the Holy Catholic Church", and in the Nicene-Constantinople Creed: "I believe the Church to be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친애하는 형제들 그리고 자매들이여, 저는 저의 전임자들의 장대한 습관을 재개(再開)하는 것을(*) 그리하여 여러분들과 함께 "삼종기도(Angelus)"를 합송하는 것을 원합니다.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저의 직무 취임을 위한 장엄 미사가 방금 끝났습니다.(#) 바로 이 역사적 순간을 열정적으로(intensely) 살기 위하여, [이 미사 중에서] 우리는 공통으로(in common) 신앙 고백을 하여야 하였는데(had to), 이 고백은 사도 신경에서 다음과 같이: "저는 믿나이다 거룩하고 보편적인 교회(I believe in the Holy Catholic Church)", 그리고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에서 다음과 같이: "저는 교회가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적이고 그리고 사도로부터 이어옴믿나이다(I believe the Church to be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 라고 날마다 우리가 합송합니다.

 

-----
(*) 번역자 주: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1987년 10월 22일 주일 13시 20분 경에 끝난 교황 즉위 미사에 이어 곧바로 당일 13시 25분에 이 교황님께서, 당신의 교황 즉위식을 경축하기 위하여 바티칸 광장에 모였던 전 세계의 가톨릭 신자들을 위하여, 당일 13시 30분 삼종기도를 이들과 함께 함께 합송하기 직전에 이탈리아어로 말씀해 주신,(#) 당신의 첫 삼종기도 연설/강론 말씀[따라서,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첫 번째 교황 문헌일 가능성이 대단히 큼]의 바로 이 첫 서두 말씀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이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23.htm

 

(#) 번역자 주: 이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다음의 L'Osservatore Romano 제공의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첫 삼종기도 연설문/강론 말씀의 영어본 전문의 앞부분을 읽도록 하라:
http://www.ewtn.com/library/PAPALDOC/JP2ANGL1.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위의 발췌문들에서 보듯이, 라틴어 정본 사도 신경 대신에, 지역 언어본 사도 신경들과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들로부터 교회에 대한 조항을 발췌되었는데, 이들 다섯 개의 지역 언어본 사도 신경들 모두에서 특히 라틴어 전치사 "in" 에 대응하는 지역 언어 전치사가, 예를 들어, 영로 "believe" 로 번역되는 단어 바로 다음에 추가되어 있으나, 그러나 이들 다섯 개의 지역 언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들 중에서 이탈리아어본프랑스어본 그리고 영어본들 이렇게 세 개의 지역 언어본들에서 라틴어 전치사 "in" 에 대응하는 지역 언어 전치사가, 영어로 "believe" 로 번역되는 단어 바로 다음에 추가되어 있지 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장차 지역 언어들로의 번역 과정에서 라틴어 전치사 "in" 에 대응하는 지역 언어 전치사가 지역 언어본 사도 신경에 무분결하게 추가되는 문제를 벌써 우려하였는지,

 

(i) 일찌기 교부 루피노(Rufinus, 340/350-410년)는 라틴어 정본 사도 신경에 대한 자신의 주석에서 이에 대하여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여 구체적으로 지적하였고, 그리고

 

(ii)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는 자신의 저술인 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a1 faith(믿음, 신덕), a9, Response to Objection 5(반론 5에 대한 답변)에서, 라틴어 전치사 "in" 에 대응하는 지역 언어 전치사가 추가되었을 때에 해당 문장의 의미가 어느 정도에까지 구체적으로 제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자신의 설명과 함께, 그리고 더 나아가,


(iii)  교부 루피노의 지적에 동의하는 성 레오 1세 대 교황님(St. Leo I, the Great, 400-461년)의 견해에 본인도 또한 동의한다는

 

구체적인 서술문을 남겼다는 생각입니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위의 게시자 주 2-4와 이 주에 제시된 출처들 제공의 문헌들을 차분히 여러번 읽도록 하십시오.

 

(iv) 특히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는 사도 신경 조항 중의 교회에 대한 조항과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 중의 교회에 대한 조항이 당연히 동일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당신의 첫 삼종기도(Angelus) 강론 말씀에서 우리들에게 가르치셨다는 생각이며, 그리고 

 

(v) 더구나,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토미스트(Thomist)인 것은 널리 알려져 있기에, 위의 게시자 주 2-4항에서 말씀드린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ca), IIa IIae, a1 faith(믿음, 신덕), a9, Response to Objection 5(반론 5에 대한 답변)에서의 내용을 이 교황님께서 이미 익히 알고 계셨을 것임을 필자는 확신합니다.

 

(vi) 따라서, 지역 언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라틴어 전치사 "in" 에 대응하는 지역 언어 전치사의 무분별한 추가 문제를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께서 당신의 첫 삼종기도 강론 말씀에서 간접적으로 지적하셨다는 생각입니다.

 

특히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첫 삼종기도 강론 말씀 영어본에서의 다음의 영어본 니케아 콘스탄티노플 신경교회에 대한 조항이, 이들 두 라틴어 정본 신경들에서의 교회에 대한 조항의 의미를 대단히 정확하게 전달하고 있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교회가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적이고 그리고 사도로부터 이어옴믿나이다(I believe the Church to be one, holy, catholic and apostolic)." ----- (**)

 

(vii)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만약에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님의 첫 삼종기도라틴어 본문이 바로 위의 (i)-(iii)의 내용을 이미 알고 계신 분에 의하여 마련되어 이미 존재하고 있다면, 이 라틴어본의 해당 단락에 그러한 오류는 전혀 있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게시자 주 4: 이 글은 다음에 있는 글에 이어지는 글이기에, 다음에 있는 글을 또한 꼭 읽으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예를 들어, 위의 (**)에서 사용되고 있는 동사 "믿는다(credo, believe)"성 아우구스티노(St. Augustine, 354-430년)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48.htm <----- 대단히 중요한 글이며 필독 권고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26시간 (자료 조사 포함) 

 



1,371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