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PRO MULTIS(많은 이들을 위하여) - 교황 베네딕토 16세 교서, 용어 번역과 교리 교육 1122_

인쇄

필독권고 [218.55.90.*]

2015-06-15 ㅣ No.1642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질문 1: 성경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로의 번역에 있어, 그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는 무엇인지요?

--------------------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아래의 제2항에 발췌된 문헌은,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에서 제공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러나 그 내용이 국내의 성직자 및 수도자들께서, 특히,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작업에 종사하는 분을께서,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상당히 중요한 내용이라는 생각에,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별도의 시간을 내어 마련한 우리말 번역문과 함께, 전달해 드리게 되었습니다 (주: 초벌 번역 완료 일자: 2015년 6월 16일).

 

질문 1: 성경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로의 번역에 있어, 그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는 무엇인지요?

 

1-2. 질문 1에 대한 답변: 그 실천적 원리는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littérale) 입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어, 아래의 제2항에 발췌된, 독일 주교회의 의장인 대교구장님을 수신자로 하는, 2012년 4월 12일자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서한/교서를 차분히 그리고 여러 번 읽도록 하십시오.

 

이 원리 아래에서 번역 작업에 임한다는 것은 다음을 충족시킴을 말할 것입니다: 번역자는, (i)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 그 자체와 (ii) 해석(interpretation)/주석(exegesis)을 반드시 구분하여야 하고, 그리고 (iii) 직역 번역 과정에서 또한 번역자가 자신의 해석(interpretation)/주석(exegesis)을, 결과물로서 산출되는, 번역문의 본문 중에 번역문의 일부가 되도록 삽입하여서는 결코 아니 됩니다. 그리고 (iv) 결과물로서 산출된 번역문을 번역대본의 원 언어로, 소위 말하는, 역 번역(reverse translation)을 하였을 때에, 바로 이 역 번역문이, 번역대본의 원 문장의 구조까지 포함하여, 번역대본의 원 문장과 가능한 한 충실하게 일치하여야 합니다.

 

2. 베네딕토 16세 교황님의 교서 [제목: pro multis(많은 이들을 위하여)]

출처 1: http://w2.vatican.va/content/benedict-xvi/en/letters/2012/documents/
hf_ben-xvi_let_20120414_zollitsch.html
 

출처 2: http://w2.vatican.va/content/benedict-xvi/en/letters/2012/documents/
hf_ben-xvi_let_20120414_zollitsch.pdf

 

(발췌 시작)

LETTER OF HIS HOLINESS POPE BENEDICT XVI
PRO MULTIS (많은 이들을 위하여)
TO H.E. MSGR. ROBERT ZOLLITSCH
ARCHBISHOP OF FREIBURG
PRESIDENT OF THE EPISCOPAL CONFERENCE OF GERMANY

 

From the Vatican, 14 April 2012

 

Your Excellency, Dear Archbishop,

 

친애하는 대주교님 각하(閣下),

 

During your visit on 15 March 2012, you informed me that there is still no unanimity among the bishops of the German-speaking world with regard to the translation of the words “pro multis” in the Eucharistic Prayers of the Mass. There seems to be a risk that in the new edition of Gotteslob that is due to be published shortly, some parts of the German-speaking world wish to retain the translation “for all”, even if the German Bishops’ Conference should agree to use “for many”, as requested by the Holy See. I promised that I would write to you on this important matter, in order to circumvent a division of this kind at the very heart of our prayer. This letter that I am addressing through you to the members of the German Bishops’ Conference will also be sent to the other bishops of the German-speaking world.

 

2012년 3월 15일 당신의 방문 동안에, 당신께서는 저에게, 미사 중의 감사 기도(Eucharistic prayers)들에 있어 "pro multis" 라는 단어의 번역에 관하여 독일어를 말하는 세상(the German-speaking world)의 주교님들 사이에 전원 이의(異議) 없음이 여전히 아님을, 알려주셨습니다. 곧 출판될 예정인 Gotteslob 의 새로운 판(edition)에 있어 독일어를 말하는 세상의 일부 지역들이, 심지어 독일 주교회의(German Bishops' Conference)가, 성좌(聖座)에 의하여 요청되었듯이, "많은 이를 위하여(for many)" 를 사용하는 것을 동의함에도 불구하고, "모든 이를 위하여(for all)" 라는 번역을 계속 유지하는 것을 원한다는 한 개의 위험이 있는 것 같습니다. 바로 이 중요한 문제(matter)에 대하여, 우리의 기도문의 바로 그 심장(heart)에 바로 이러한 종류의 어떤 분할(a division)을 회피하기(circumvent) 위하여, 당신께 글을 쓸 것이라고 제가 과거에 약속하였습니다. 독일 주교회의의 구성원들 쪽으로 당신을 통하여 제가 보내고 있는(am addressing) 바로 이 서신은 독일어를 말하는 세상의 다른 주교님들께도 장차 또한 발송될 것입니다.

 

Let me begin with a brief word about how the problem arose. In the 1960s, when the Roman Missal had to be translated into German, under the responsibility of the bishops, there was a consensus among exegetes to the effect that the word “many” in Is 53:11f. is a Hebrew expression referring to the totality, “all”. It would follow that the use of the word “many” in the institution narratives of Matthew and Mark is a Semitism and should be translated “all”. This argument was also applied to the Latin text that was being translated directly, and it was claimed that “pro multis” points beyond the Gospel narratives to Is 53 and should therefore be translated “for all”. This exegetical consensus has collapsed in the meantime: it no longer exists. In the official German translation of the Scriptures, the account of the Last Supper includes the words: “This is my blood, the blood of the covenant, that is poured out for many” (Mk 14:24; cf. Mt 26:28). This highlights something very important: the rendering of “pro multis as “for all” was not merely a translation but an interpretation, a well-founded interpretation then as now, but an interpretation nevertheless, something more than a translation.

 

어떻게 이 문제가 발생하였는지에 관하여 한 마디의 짧은 말과 함께 제가 시작하고자 합니다. 1960년 대에, 이 주교님들의 책임 아래에서 로마 미사 경문이 독일어로 번역되어야 하였을 때에, 이사야서 53,11f 에 있는 "많은 이들(many)" 이라는 단어기, "모든 이(all)" 이라는 전체(the totality)에 대하여 언급하는 표현이라는 취지 쪽으로(to the effect) [성서] 해석자(exgetes)들 사이에서 한 개의 일치된 의견(a consensus)이 있었습니다. 마태오 복음서 26,26-28마르코 복음서 14,22-26의 [성찬례] 제정(制定) 이야기(institution narratives)들에 있는 "많은 이들(many)" 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한 개의 셈 말투(a Semitism)이며 그리하여 마땅히 "모든 이(all)" 로 번역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결과로서 뒤따랐을 것입니다(would follow). 바로 이러한 논법(argument)은 [히브리어로부터] 직접적으로(directly) 번역되어 왔던 라틴어 본문 쪽으로 또한 적용되었으며, 그리하여 “pro multis” 는 이 복음서 이야기들을 넘어서 이사야서 제53장 쪽으로 향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모든 이들을 위하여(for all)" 로 마땅히 번역되어야 한다고 과거에 주장되었던 것입니다. 바로 이러한 해석은 그 사이에(in the meantime) 다음과 같이 이미 무너졌습니다: 이 해석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성경 본문의 공적인 독일어 번역본에 있어, 최후의 만찬에 대한 서술은 다음의 단어들을 포함합니다: "이는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내 계약의 피다" (마르코 복음서 14,24; 마태오 복음서 26,26 참조). 이것은 다음과 같은 대단히 중요한 그 무엇(something)을 돋보이게 합니다: pro multis"모든 이들을 위하여(for all)" 로 옮기는 행위(rendering)는 단순히 한 개의 번역(a translation)뿐만이 아니라 또한 한 개의 해석(an interpretation)이었는데, 이것은 지금처럼 당시에도 한 개의 잘 기초를 둔 해석인,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개의 번역(a translation)보다 더한 그 무엇(something)인, 한 개의 해석(an interpretation)이었습니다.

 

In a certain sense, this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as one of the principles that governed the translation of liturgical books into modern languages immediately after the Council. It was realized how remote the Bible and liturgical texts were from the linguistic and conceptual world of people today, so that even in translation they were bound to remain largely unintelligible to worshippers. It was a new development that the sacred texts were now being made accessible to worshippers in translation, and yet they would remain remote from their world, indeed that remoteness was made manifest for the first time. So it seemed not only justifiable but even necessary to build interpretation into the translation and in this way to speak more directly to the listeners, whose hearts and minds these words were intended to reach.

 

어떤 의미에 있어, 번역(translation)과 해석(interpretation)의 바로 이러한 융합/결합(fusion/combination)제2차 바티칸 공의회 직후에 전례 서적(liturgical books)들의 현대 언어들로 번역을 지배하였던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s)들 중의 하나였습니다. 성경과 전례 본문들이 오늘날의 사람들로 이루어진 언어적 및 개념적 세상으로부터 얼마나 멀리에 있는지를, 그리하여 그 결과 심지어 번역으로(in translation) 그들이 예배자(worshippers)들에게 대량으로(largely) 이해할 수 없는 상태로 남아있도록 구속되고 있음(were bound to)을 알아차리게 되었습니다. 이 성스러운 본문들이 번역으로 예배자들에게 이제 입수될 수 있게 마련되고 있음은 한 개의 새로운 발전이었으나, 그러나 여전히 이 본문들은 그들의 세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남아있었을 것인데, 정말로 바로 이 멀리 떨어져 있음(remoteness)이 처음으로 드러내어지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해석(interpretation)을 이 번역(the translation) 안쪽에 쌓아 올리는(build) 것은 그리하여, 청중들의 심장(hearts)들마음(minds)들 쪽으로 이들 말씀(words)들이 도달하는 것이 의도되었던, 청중들에게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더 직접적으로(directly) 말하는 것은, 정당화 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또한 심지어 필요한 것처럼 과거에 생각되었습니다.

 

Up to a point, the principle of translating the content rather than the literal meaning of key texts is still justified. Since I constantly have to say liturgical prayers in a variety of languages, though, it strikes me that the different translations sometimes have little in common and that often the common text underlying them can scarcely be detected. Some banal elements have also crept in, which are real impoverishments. So over the years it has become increasingly clear to me personally that as an approach to translation, the principle of structural as opposed to literal equivalence has its limits.(*) In accordance with insights of this kind, the instruction for translators Liturgiam Authenticam, issued on 28 March 2001 by the Congregation for Divine Worship, shifted the focus back onto the principle of literal equivalence, without of course requiring a one-sided verbalism. The important insight underpinning this instruction is the above-mentioned distinction between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both for Scripture and for liturgical texts. On the one hand, the sacred text must appear as itself as far as possible, even if it seems alien and raises questions; on the other hand the Church has the task of explaining it, so that within the limits of our understanding, the message that the Lord intends for us actually reaches us. Not even the most sensitive translation can take away the need for explanation: it is part of the structure of revelation that the word of God is read within the exegetical community of the Church – faithfulness and drawing out the contemporary relevance go together. The word must be presented as it is, with its own shape, however strange it may appear to us; the interpretation must be measured by the criterion of faithfulness to the word itself, while at the same time rendering it accessible to today’s listeners.

 

어떠한 점에 이르기까지, 기조(基調) 본문(key texts)들의 자구적 의미(literal meaning)보다는 오히려 그 내용(the content)을 번역하는 이 원리는 여전히 정당화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다양한 언어들로 전례 기도문들을 지속적으로 기도하여야 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번역문들이 때로는 소량(little)을 공통으로 가지고 있음이 그리하여 그들 아래에 있는 공통의 본문이 거의 인지될(detected) 수 없음이 저를 자주 때립니다(strikes). 어떠한 진부한(banal) 요소들이 또한 이미 슬며시 기어들었는데. 이들은 실제로 피폐(疲弊, impoverishments)들 입니다. 그래서 지난 수 년에 걸쳐, 번역 쪽으로 한 접근으로서,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아니고, 언어 구조 대응의 원리/언어 구조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non littérale, mais structurelle)(*)가 그 한계들을 가지고 있음이 개인적으로 저에게 더욱 더(increasingly) 분명하게 되어 왔습니다. 바로 이러한 종류의 톨찰(insights)들과 일치하여, 경신성사성에 의하여 2001년 3월 28일자로 발포된 진정한 전례(Liturgiam Authenticam) (<--- 클릭하십시오) 라는 번역자들을 위한 훈령(instruction for translators)은 초점을, 당연히 [언어 구조 대응의 원리/언어 구조 등가의 원리 하에서 처럼] 어떤 일방향적 언어적 표현을 요구함 없이,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littérale) 쪽으로 본래 자리로(back) 옮겼습니다. 바로 이 훈령에 버팀목을 대는(underpinning) 중요한 통찰은 번역(translation)과 해석(interpretation) 사이에 있는 위에서 언급된 구분(distinction) 입니다. 성경 본문 및 전례 서적들 둘 다를 위하여 이것은 필요합니다. 한 편으로, 성스러운 본문은, 심지어 그것이 이질적이고(alien) 그리하여 질문을 제기한다고 하더라도, 가능한 한 그것 자체로서(as itself) 반드시 나타나야(appear) 하고, 다른 한 편으로, 우리의 이해의 한계들 안쪽에서, 주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의도하시는 메시지가 현실태적으로(actually) 우리에게 도달하도록, 교회는 그것을 설명하는 임무( task)를 가집니다. 심지어 가장 민감한 번역마저도 다음과 같이 설명에 대한 필요를 제거할 수 없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이 교회의 해석 공동체(the exegetical community) 안쪽에서 읽혀짐은 계시(revelation)의 구조의 바로 그 일부입니다 - 충실함 및 동시대의 적절성을 바깥으로 도출함은 함께 나아갑니다. 이 말씀은, 아무리 그깃이 우리에게 이상하게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그 고유한 모양(shape)과 함께, 있는 그대로 반드시 제시되어야 하며,(**) 그리고 그해석(the interpretation)은, 오늘의 청중들에게 접근하기 쉽도록 이 말씀을 옮김(rendering)과 동시에, 이 말씀 자체에 대한 충실함(faithfulness)이라는 기준에 의하여 반드시 측정되어야(be measured) 합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6월 17일]

-----

(*) 번역자 주:

(1) 대단히 유감스럽게도 그리고 납득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영어본에 번역 미숙/오류가 있다는 생각이며, 다음에 있는 프랑스어본의 대응하는 문장을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http://w2.vatican.va/content/benedict-xvi/fr/letters/2012/documents
/hf_ben-xvi_let_20120414_zollitsch.html

 

그리고 이 지적과 관련하여, 본글의 주제와 무관한 다음의 주소에 있는 지적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43.htm

 

(2) 여기서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littérale)로 언급된 바는,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가 또한 소장 중인 NAB 혹은] 다음의 출처에서 "형식적 등가 접근"(formal-equivalence approach)을 말하고, 그리고 여기서 "언어 구조 대응의 원리"/"언어 구조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structurelle)로 언급된 바는 다음의 출처에서 "언어 구조 등가 접근"(structural-equivalence approach)을 말한다는 생각이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839/__PV7.HTM

(발췌 시작)

Preface to the Revised Edition of the New Testament [of NAB(New Americal Bible)]

[NAB (New American Bible)의] 신약 성경의 개정판에 대한 서문

 

...

 

The primary aim of the revision is to produce a version as accurate and faithful to the meaning of the Greek original as is possible for a translation. The editors have consequently moved in the direction of a formal-equivalence approach to translation, matching the vocabulary, structure, and even word order of the original as closely as possible in the receptor language. Some other contemporary biblical versions have adopted, in varying degrees, a dynamic-equivalence approach, which attempts to respect the individuality of each language by expressing the meaning of the original in a linguistic structure suited to English, even though this may be very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Greek structure. While this approach often results in fresh and brilliant renderings, it has the disadvantages of more or less radically abandoning traditional biblical and liturgical terminology and phraseology, of expanding the text to include what more properly belongs in notes, commentaries, or preaching, and of tending toward paraphrase. A more formal approach seems better suited to the specific purposes intended for this translation.

 

이 개정의 제1목표는 한 개의 번역본(a translation)을 위하여 가능한 한 그리스어 원본의 의미에 정확하고 그리고 충실한 한 개의 본(a version)을 산출하는 데에 있습니다. 그 결과 편집자들은, 수용체 언어(receptor language) 안에서 가능한 한 가깝게(closely) 원문의 어휘, 구조, 그리고 심지어 단어 순서도 대응케 함으로써(matching), 번역 쪽으로 어떤 형식-등가 접근(a formal-equivalence approach)이라는 방침(direction) 안에서 이미 움직였습니다. 일부 다른 동시대의 성경 본들은, 바뀌는 정도들 안에서, 어떤 동적-등가 접근(a dynamic-equivalence approach)을 이미 채택하였는데, 이 접근은 [그리스어] 원문의 의미를 영어(English)에 적합한 어떤 언어 구조(a linguistic structure) 안에서, 심지어 이 구조가 대응하는 그리스어 구조로부터 대단히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현함으로써 각 언어의 개별성(individuality)을 존중하고자 노력합니다. 바로 이러한 접근이 신선하고 그리고 빛나는 옮김(renderings)들로 자주 귀착할지라도(while), 이 접근은, (i) 전통적인 성경의 그리고 전례의 용어(terminology) 및 어법(phraseology)을 더 많이 혹은 더 적게(more or less) 근본적으로 포기함(abandoning)이라는, (ii) 주(notes)들, 주석(commentaries)들, 혹은 설교 행위(preaching)에 더 고유하게 속하는 바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본문을 팽창시킴(expanding)이라는, 그리고 (iii) (알기 쉽게) 바꾸어 말하기(paraphrase)를 향하는 경향이 있음이라는, 불이익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욱 더 형식 접근(formal approach)을 할수록 바로 이 번역을 위하여 의도된 구체적인 목적들에 더욱 더 적합한 것 같습니다.

 

...

The Feast of St. Jerome

September 30, 1986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3) 이들 두 원리들의 차이점에 대하여, 다음에 있는 글도 또한 참고하라:

http://www.bible-researcher.com/nida1.html

 

(**) 번역자 주: 다음의 글 [제목: 성경 본문의 무오성(inerrancy)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의 입장] 에 발췌된 교황님들의 가르침들 및 아래의 제3-2항에 안내된 문헌들을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9.htm <----- 필독 권고

----- 

[이상, 2015년 6월 17일자 내용 추가 끝] 

 

In this context, the Holy See has decided that in the new translation of the Missal, the words “pro multis” should be translated as they stand, and not presented in the form of an interpretation. In the place of the interpretative explanation “for all”, the simple rendering “for many” must appear. Let me take the opportunity to point out that neither Matthew nor Mark uses the definite article, so it is not “for the many”, but “for many”. If this decision makes a great deal of sense, as I hope it does, in terms of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and exegesis, I am also aware that it poses an enormous challenge to those with the task of explaining the word of God in the Church, since to the ordinary church-goer it will almost inevitably seem like a rupture at the heart of the sacred. They will ask: did Christ not die for all? Has the Church changed her teaching? Can she do so? May she do so? Are there reactionary forces at work here to destroy the heritage of the Council? We all know from experience of the last fifty years how deeply the alteration of liturgical forms and texts touches people’s souls. How greatly perturbed people will be, then, by a change in the text at such a key moment. This being so, when the decision was made to opt for the translation “many”, in view of the difference between translation and explanation, it was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that a thorough catechesis would be needed to prepare the way for this translation in the various language regions: the bishops would have to help the priests, and through them the lay faithful, to understand exactly what this is about. Prior catechesis i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adoption of the new translation. As far as I am aware, no such catechesis has yet taken place in the German-speaking world. The purpose of my letter is urgently to ask all of you, my dear Brother Bishops, to develop a catechesis of this kind, to discuss it with the priests and to make it available to the lay faithful.

 

바로 이러한 문맥 안에서, 성좌(聖座, the Holy See)는, 미사 경문의 새로운 번역에 있어, “pro multis”  라는 단어들이 그들이 있는대로(stand) 마땅히 번역되어야 하며, 그리고 한 개의 해석(an interpretation)의 형태로 제시되지 말아야 함을 이미 결정하였습니다. 해석적 설명인 "모든 이를 위하여(for all)" 의 자리에,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many)" 라는 단체적(simple) 옯김이 반드시 나타나야 합니다. 마태오 혹은 마르코 어느 누구도 정관사를 사용하지 않으며, 그래서 그것은 "대다수의 이들을 위햐여(for the many)" 가 아니고, 다만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many)" 임을 지적하기 위하여 제가 이 기회를 택하고자 합니다. 번역(translation)과 주해(exegesis) 사이의 근본적인 관계에 있어, 정말로 그러할 것임을 제가 희망하듯이 바로 이 결정이 다량의 의미를 지닌다면, 이 결정이 교회 안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설명하는 임무를 가진 분들께 한 개의 엄청난 도전을 제시함을 제가 또한 알고 있는데, 이는 보통의 교회에 가는 자에게 이 결정이 성스러운 것(the sacred)들의 심장(heart)에 어떤 파열(a rupture)처럼 거의 불가피하게 보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다음과 같이 질문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모든 이들을 위하여 죽지 않으셨나? 교회가 그 가르침을 이미 바꾸었나? 교회가 그렇게 말할 수 있나? 교회가 그렇게 할 수도 있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유산을 파괴하고자 하는 반작용의 힘들이 여기에 일하고 있나? 지난 오십 년의 경험으로부터 전례의 형식들과 본문들의 변경이 얼마나 깊게 사람들의 영혼들을 점촉하였는지 우리 모두는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러한 어떤 기조(基調)의 순간에 이 본문에 있는 어떤 변화에 의하여 사람들이 장차 얼마나 크게 교란될 것인지. 바로 이러한 까닭으로(this being so), 번역(translation)과 설명(explanation) 사이에 있는 그 차이점의 관점에서, "많은 이들(many)" 이라는 번역을 선택하는 이 결정이 내려졌을 때에, 동시에 어떤 철저한 교리 교육이 다양한 언어 지역들에서 바로 이러한 번역을 위한 길을 준비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될 것임이 다음과 같이 제정되었습니다: 주교들은 사제들을 도와드려야 할 것이며, 그리고 그들을 통하여 열심인 평신도들은 바로 이것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를 정확하게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사전 교리 교육은 이 새로운 번역의 채택을 위한 본질적 조건입니다.(*) 제가 알아차리고 있는 한, 그러한 교리 교육은 독일어를 말하는 세상에 여태까지 전혀 개최되지 않았습니다. 저의 서신의 목적은, 저의 친애하는 형제 주교님들인 여러분들 모두에게 바로 이러한 종류의 어떤 교리 교육을 개발할 것을, 사제들과 함께 이 교육을 논의할 것을 그리하여 열심인 평신도들에게 이 교육이 입수될 수 있을 것을, 긴급히 요청드리기 위하여서 입니다. 

 

-----

(*) 번역자 주: 바로 이 지적과 이어지는 교리 교육에 대한 말씀은, 다음의 글들의 제3-5-1항에서 게시자 주 (2) 로 이미 안내해 드렸던,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전례문, 성경 등의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로의 번역 지침서인, 2001년 5월 7일자 교황청 경신성사성 문헌[제목: Liturgiam authenticam, 제40-43항]에 근거하고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5_Liturgiam_authenticam.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6_Liturgiam_authenticam.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7_Liturgiam_authenticam.htm

-----

  

The first element in such catechesis would have to be a brief explanation as to why the word “many” was rendered as “all” in the translation of the Missal prepared after the Council: in order to express unequivocally, in the sense willed by Jesus, the universality of the salvation that he brought. The question immediately arises: if Jesus died for all, then why did he say “for many” at the Last Supper? And why do we retain these words of Jesus for the institution? Here it must be added straight away that according to Matthew and Mark, Jesus said “for many”, while according to Luke and Paul he said “for you”, which seems to narrow the focus even further. Yet it is precisely this that points towards the solution. The disciples know that Jesus’ mission extends beyond them and their circle, they know that he came to gather together the scattered children of God from all over the world (Jn 11:52). Yet this “for you” makes Jesus’ mission quite concrete for those present. They are not simply anonymous elements within some vast whole: each one of them knows that the Lord died precisely for me, for us. “For you” covers the past and the future, it means me, personally; we, who are assembled here, are known and loved by Jesus for ourselves. So this “for you” is not a narrowing down, but a making concrete, and it applies to every eucharistic community, concretely uniting it to the love of Jesus. In the words of consecration, the Roman Canon combined the two biblical formulae, and so it says “for you and for many”. This formula was then adopted for all the Eucharistic Prayers at the time of the liturgical reform.

 

그러한 교리 교육의 첫 번째 요소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후에 준비되었던 미사 경문의 번역에 있어 왜 "많은 이들(many)" 이라는 단어가 "모든 이(all)" 로 옮겨졌는지에 대하여(as to), 다음과 같은 한 개의 간략한 설명이어야 할 것입니다: 예수님에 의하여 의도되었던(willed) 의미로, 당신께서 가져오셨던 구원의 보편성을 모호하지 않게(unequivocally) 표현하기 위하여서 였습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이 즉시 제기됩니다: 예수님께서 모든 이을 위하여 죽으셨다면, 그분께서는 최후의 만찬에서 왜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many)" 라고 말씀하셨는지요? 그리고 왜 우리는 [성찬례] 제정(制定)을 위하여 예수님의 이러한 말씀들을 우리는 왜 보존하여야 하나요? 여기서, 마태오 복음서와 마르코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님께서 "많은 이들을 위하여" 라고 말씀하셨으나, 이와는 달리, 루카 복음서와 바오로(Paul)에 따르면 당신께서, 초점을 심지어 한층 더 좁히는 것으로 생각되는, "너희를 위하여(for you)" 라고 말씀하셨음이, 곧장 반드시 첨언되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yet) 그 해답을 향하여 가리키는 것은 정확하게 바로 이 말씀에 있습니다. 제자들은 예수님의 사명이 그들을 너머까지 확장함을 알고 있으며, 그들은 당신께서 이 세상 전체로부터 하느님의 흩어진 자녀들을 함께 모으기 위하여 오셨음을 알고 있습니다(요한 복음서 11,52). 그렁에도 불구하고(yet) "너희를 위하여(for you)" 라는 말씀이 예수님의 사명을 [그 자리에] 참석하였던 자들에 대하여 아주 구체적이 되도록 합니다. 다음과 같이 그들은 단체적으로(simply) 어떠한 광대한 전체 안쪽에 있는 익명의 요소들이 아닙니다: 그들 중의 각자는 정확하게 나를 위하여, 우리를 위하여 주님께서 죽으셨음을 알고 있습니다. "너희를 위하여(for you)" 는 과거와 미래를 덮으며(covers), 그것은 인격적으로(personally) 나를 의미하며, 그리하여, 우리 자신들을 위하여. 여기에 모이게 된 자들인 우리가 예수님에 의하여 알게 되고 그리고 사랑받게 됩니다. 그래서 "너희를 위하여(for you)" 라는 바로 이 말씀은 한 개의 좁히는 행위(a narrowing down)가 아니고, 한 개의 구체적으로 만드는 행위(a making concrete)이며, 그리하여 이 말씀은, 예수님의 사랑(love) 쪽으로 자신을 구체적으로 결합하는(concretely uniting), 각 성찬례 공동체(eucharistic community)에 적용됩니다. 축성의 말들로, 로마 미사 전문(典文)(Roman Canon)은 이들 두 개의 성경 정식들을 결합시켰으며, 그리하여 그 결과 이 전문(典文)은 "너희를 위하여 그리고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you and for many)" 라고 기도합니다. 그런 다음에 바로 이 정식은 전례 개혁의 시기에 [미사 중의] 감사 기도(Eucharistic Prayers)들 모두를 위하여 채택되었던 것입니다.

 

Once again, though, we ask: why “for many”? Did the Lord not die for all? The fact that Jesus Christ, the incarnate Son of God, is the man for all men, the new Adam, is one of the fundamental convictions of our faith. Let me recall just three Scriptural texts on the subject: God “did not spare his own Son but gave him up for us all”, as Paul says in the Letter to the Romans (8:32). “One has died for all,” as he says in the Second Letter to the Corinthians concerning Jesus’ death (5:14). Jesus “gave himself as a ransom for all,” as we read in the First Letter to Timothy (2:6). So the question arises once more: if this is so clear, why do we say “for many” in the Eucharistic Prayer? Well, the Church has taken this formula from the institution narratives of the New Testament. She says these words out of deference for Jesus’ own words, in order to remain literally faithful to him. Respect for the words of Jesus himself is the reason for the formulation of the Eucharistic Prayer. But then we ask: why did Jesus say this? The reason is that in this way Jesus enables people to recognize him as the Suffering Servant of Is 53, he reveals himself as the figure to whom the prophecy refers. The Church’s respect for the words of Jesus, Jesus’ fidelity to the words of “Scripture”: this double fidelity is the concrete reason for the formulation “for many”. In this chain of respectful fidelity, we too take our place with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words of Scripture.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다시 한 번 더 다음과 같이 질문합니다: 왜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many)" 입니까? 주님께서는 모든 이를 위하여 죽지 않으셨는지요? 강생하신 하느님의 아드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모든 사람들을 위한 사람인 새 아담(the New Adam)이시라는 사실은 우리의 신앙의 근본적인 확신들 중의 하나입니다. 이 주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성경 본문들을 다만(just) 상기하고자 합니다: 바오로가 로마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8,32)에서 말하듯이,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친아드님마저 아끼지 않으시고 우리 모두를 위하여 그분을 내어주셨던 분이셨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에 관하여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두 번째 서간 (5,14)에서 그가 말하듯이, "한 분께서 모든 이를 위하여 돌아가셨습니다." 티모테오에게 보낸 첫 번째 서간 (2,6)에서 우리가 읽듯이, 예수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모든 이의 몸값으로 내어 주신 분이십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질문이 다시 한 번 더 제기됩니다: 감사 기도(Eucharistic Prayer)에서 왜 우리는 왜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many)" 라고 기도하는지요? 과연(well), 교회는 바로 이 정식을 신약 성경의 [성찬례] 제정 이야기로부터 이미 취하였습니다. 교회는 예수님의 고유한 말씀들에 대한 존중(deference)으로부터, 그분께 글자 그대로 충실하게 머물러 있기 위하여, 이러한 말들을 말합니다. 예수님 당신 자신의 말씀들에 대한 존중(respect)는 이 감사 기도(Eucharisticc Prayer)의 정식화(formulation)에 대한 이유입니다. 그러나 그렇다면 우리는 다음을 질문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왜 바로 이러한 말씀을 하셨는지요? 그 이유는 바로 이러한 방식으로 예수님께서 사람들이 이사야서 제53장의 고통받는 종(the Suffering Servant)으로서 당신을 알아차리는 것을 허락하시고, 그자에 대하여 이 예언이 언급하는 인물(figure)으로서 당신 자신을 당신께서 드러내심에 있습니다. 예수님의 말씀들에 대한 교회의 존중(respect), "성경 본문(Scripture)"의 말씀들에 대한 예수님의 충실성: 바로 이러한 이중의 충실성이 "많은 이들을 위하여(for many)" 라는 정식화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입니다. 존중하는 충실성의 바로 이러한 사슬 안에, 성경 본문의 말씀들에 대한 한 자구적 번역(a literal translation)과 함께 우리도 또한 우리의 자리를 차지합니다.

 

Just as we saw earlier that the “for you” of the Luke-Paul tradition does not restrict but rather makes concrete, so now we recognize that the dialectic “many” – “all” has a meaning of its own. “All” concerns the ontological plane – the life and ministry of Jesus embraces the whole of humanity: past, present and future. But specifically, historically, in the concrete community of those who celebrate the Eucharist, he comes only to “many”. So here we see a threefold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y” and “all”. Firstly, for us who are invited to sit at his table, it means surprise, joy and thankfulness that he has called me, that I can be with him and come to know him. “Thank the Lord that in his grace he has called me into his Church.” Secondly, this brings with it a certain responsibility. How the Lord in his own way reaches the others – “all” – ultimately remains his mystery. But without doubt it is a responsibility to be directly called to his table, so that I hear the words “for you” – he suffered for me. The many bear responsibility for all. The community of the many must be the lamp on the lamp-stand, a city on the hilltop, yeast for all. This is a vocation that affects each one of us individually, quite personally. The many, that is to say, we ourselves, must be conscious of our mission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 whole. Finally, a third aspect comes into play. In today’s society we often feel that we are not “many”, but rather few – a small remnant becoming smaller all the time. But no – we are “many”: “After this I looked, and behold, a great multitude which no man could number, from every nation, from all tribes and peoples and tongues,”, as we read in the Revelation of Saint John (7:9). We are many and we stand for all. So the words “many” and “all” go together and are intertwined with responsibility and promise.

 

루카-바오로 전승(Luke-Paul tradition)의 "너희를 위하여(for you)" 가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구체적으로 만든다는 것을 일찌기 우리가 보았음과 꼭 마찬가지로, 또한 이제 우리는 변증법적(dialectic) "많은 이들(many)" -  "모든 이(all)" 이 그 고유한 어떤 의미를 가짐을 알아차립니다. "모든 이(all)" 는, 예수님의 삶과 사역이 과거, 현재, 미래의 인류의 전체를 포옹하는, 존재론적 평면(ontological plane)에 관계합니다. 그러나 종(種)적으로 보아(specifically), 역사적으로, 성찬례를 경축(慶祝)하는/거행(擧行)하는(celebrate) 자들로 이루어진 구체적인(concrete) 공동체 안에 있는, 오로지 "많은 이들(many)" 쪽으로만 당신께서 오십니다. 그래서 여기서 우리는 "많은 이들(many)" 과 "모든 이(all)" 사이에 있는 관계(relationship)의 어떤 3겹의 의미(a threefold meaning)를 봅니다. 첫 번째로, 당신의 식탁에 앉도록 초대받은 우리들을 위하여, 이 관계는, 당신께서 저를 이미 부르셨음 때문에(that), 제가 당신과 함께 있을 수 있음 그리하여 당신을  알게 됨 때문에, 놀라움, 기쁨(joy) 그리고 감사드림을 의미합니다. "당신의 은총으로 당신의 교회 안쪽으로 당신께서 이미 저를 부르셨음 때문에 주님께 감사드리십시오." 두 번째로, 바로 이 부름은 그것과 함께 어떤 확실한 책임(a certain responsibility)을 가져옵니다. 어떻게 주님께서 당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모든 이(all)" 라는 다른 이들에게 도달하시는지는 궁극적으로 당신의 신비(mystery)로 남아 있습니다. 그러나 의심할 여지 없이 당신의 식탁 쪽으로 직접적으로 부름을 받게 되어, 그리하여 그 결과 제가 "너희를 위하여(for you)" 라는 단어(words)들을 듣는 것은 한 개의 책임이 됩니다 - 당신께서 저를 위하여 고통을 겪으셨기 때문입니다. 이 많은 이들은 모든 이를 위한 책임을 집니다(bear). 이 많은 이들로 이루어진 공동체는 반드시 등잔대 위에 있는 등잔이, 언덕 위에 있는 한 개의 도성(a city)이, 모든 이를 위한 누룩이 되어야 합니다. 바로 이것은 우리들 각자를 개별적으로(individually), 아주(quite) 인격적으로(personally) 영향을 끼치는 한 개의 소명(a vocation)이 됩니다. 이 많은 이들은, 말하자면, 우리 자신들은, 전체를 향하여 책임이라는 우리의 사명에 대하여 반드시 의식하여야 합니다. 끝으로, 어떤 세 번째 양상이 작동하기 시작합니다(come into play). 오늘날의 사회 안에서 우리가 "많은 이들(many)" 이 아니고 오히려, 언제나 더 작아지는 한 명의 작은 남은 자인 소수(few)라고 자주 느낍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습니다 - 다음과 같이 우리는 "많은 이들(many)" 입니다: 성 요한의 묵시록 (7,9)에서 우리가 읽듯이, "그 다음에 내가 보니, 아무도 수를 셀 수 없을 만큼 큰 무리가 있었습니다.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에서 나온." 우리는 많은 이들이며 그리고 우리는 모든 이를 대표합니다(stand for). 그래서 "많은 이들(many)" 과 "모든 이(all)" 라는 단어들은 함께 가며 그리하여 책임(responsibility) 및 약속(promise)과 서로 얽히게 됩니다.

  

Your Excellency, dear Brother Bishops, with these thoughts I have tried to set out the basic content of the catechesis with which priests and laity are to be prepared as soon as possible for the new translation. I hope that all of this can at the same time nourish a deeper participation in the Holy Eucharist and thus take its place within the great task that lies ahead of us in the “Year of Faith”. I hope too that the catechesis will be presented soon and will thus become part of the renewal of worship that the Council strove to achieve from its very first session.

 

각하, 친애하는 형제 주교님들이여, 이러한 생각들과 함께 저는, 그것들로써 사제들과 평신도들이 새로운 번역을 위하여 가능한 한 빨리 준비되어야 하는, 교리 교육의 기본 내용을 제시하기 위하여 이미 노력하였습니다. 저는 이것 모두가 동시에 거룩한 성찬례에 어떤 더 깊은 참여를 조장할 것을 희망하고 그리하여 그 결과 이 "신앙의 해" 에 우리들 앞에 놓여 있는 커다란 임무 안쪽에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을 희망합니다. 저는 또한 이 교리 교육이 조만간 제시될 것을 희망하며 그리하여 그 결과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그 바로 첫 번째 회기부터 성취하고자 노력하였던 예배(worship)의 갱신의 일부가 될 것을 희망합니다.

 

With paschal blessings, I remain
Yours in the Lord,

 

BENEDICTUS PP. XVI

 

© Copyright 2012 - Libreria Editrice Vaticana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참고 자료: "literal translation" "catechesis" site:vatican.va 

 

3.

3-1.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2009년 3월 4일자 CNS (Catholic News Service) 제공의 유관 기사를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다음에 발췌된 언급이 있습니다.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의 지역 언어들로의 번역에 있어서의 실천적 원리(practical principle)가, 1960년대 중반에 개최되었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잠깐 동안의 과도기에 용인/묵인되었던 동적 등가의 원리(the principle of dynamic equivalence)로부터, 아무리 늦더라도(*) 2001년을 기점으로 하여, 전통적 원리인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littérale)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출처: http://www.catholicnews.com/data/stories/cns/0901004.htm

(발췌 시작)

The cardinal said that while earlier Mass translations were done under the translation principle of dynamic equivalence, which does not need to stick closely to the original words, the more recent translations use the principle of literal equivalence, as specified in the 2001 Vatican guidelines on translations, "Liturgiam Authenticam" ("The Authentic Liturgy").

 

이 추기경님께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더 이른 시기의 미사 경문 번역문들은 동적 등가의 번역 원리(the translation prniciple of dynamic equivalence) 아래에서 행하여졌는데, 그것은 원 단어들에 가깝게 집착할 필요가 없으나, 더 최근의 번역문들은, 번역문들에 대한 2001년 바티칸 지침들인 "Liturgiam Authenticam" ["The Authentic Liturgy(진정한 전례)"]에 상술(詳述)되어 있듯이,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를 사용합니다.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6월 17일] 

-----

(*) 게시자 주: 다음의 글 [제목: 성경 본문의 무오성(inerrancy)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의 입장] 에 발췌된 교황님들의 가르침들 및 아래의 제3-2항에 안내된 문헌들의 공표 연도들을 또한 참고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79.htm <----- 필독 권고

-----

 

3-2. 그리고 다음에 있는, "1993년 교황청 성경위원회,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n the Church" 과 "1997년 성경의 자국어 번역에 관한 교황청 규정 모음" 등도 참고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va2001trans_guide.htm

 

3-3. 끝으로, 1960년대 중반 이후에 지역 언어인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리고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생각에 위의 제2항에서 지적된 번역 오류인 "for all(모든 이를 위하여)" 보다 훨씬 더 심각한 번역 오류로 생각되는, 자구 대응의 원리/자구 등가의 원리(le principe de la correspondance littérale)대단히 심각하게 모순인 첫 번째 예(example)가 다음에 있으니 클릭하여 꼭 읽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41.htm <----- 필독 권고

[이상, 2015년 6월 17일자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16시간 (자료 조사 포함).

 



1,369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