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12월9일 성 후안 디에고♬Ave Maria-Pastori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3-12-08 ㅣ No.1512

 

축일:12월9일

쿠아우티틀란의 성 후안 디에고

San Juan Diego Cuauhtlotatzin Veggente di Guadalupe

ST. JUAN DIEGO

1474 Tlayacac, Cuauhtitlan (about 15 miles north of modern Mexico City, Mexico) as Cuauhtlatoatzin

- 30 May 1548 of natural causes

Beatified :9 April 1990 by Pope John Paul II at Vatican City;

confirmed and ceremony held on 6 May 1990 at Mexico City, Mexico

Canonized :31 July 2002 at the basilica of Our Lady of Guadalupe, Mexico by Pope John Paul II

Name Meaning :eagle that talks (Cuauhtlatoatzin)

 

 

1531년 l2월 9일 성모 마리아께서 멕시코 원주민 후안 디에고(Juan Diego)에게 나타난 후

모두 4차례에 걸쳐 메시지를 주었습니다.

이때는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후 스페인이 멕시코를 정복한 지 10년째 되는 해로서

원주민들은 정복자의 폭정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

 

발현 장소는 원주민들이 신전을 세웠던 테페약 언덕이었고,

성모님은 인디언의 피부를 하고 장밋빛 옷에 푸른 망토를 두르고 두 손을 모은 채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으로 발현하였습니다.

 

성모님은 “나는 평생 동정이며,

하느님의 어머니임이 알려지기를 원하고,

어려울 때에 정성을 다해 나를 찾는 이들에게

나의 자비를 드러내도록 이 자리에 성당을 짓기를 바란다”고 하셨습니다.

 

 

성모님은 세상이 혼탁할 때 자주 발현하셨다.

자모(慈母)의 심정을 가득 담은 메시지를 통해 우리들의 나약해지거나

왜곡된 신심을 추스를 것을 간곡히 당부하시고 때로는 경고하셨다.

새로운 세기를 눈앞에 둔 지금 결코 평화롭지만은 않은 세상이다.

성모님의 메시지는 혼란한 이 시기를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가르쳐줄 것이다.

 

 

 

멕시코 과달루페

 

1. 발현지와 시대적 배경

1531년 12월 9일 멕시코가 스페인에 정복 당한 지 10년째 되는 해다.

정복자들의 폭정에 시달리던 원주민들이 이교신의 모친을 위해 신전을 세웠던 테페약 언덕에서 발현.

과달루페란 말은 ’뱀의 머리를 짓밟는 분’이란 뜻의 인디언 말이다.

성모님이 ’과달루페의 성 마리아로 불리길 원한다’는 메시지를 주셨는데

이 말이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옮겨져 순례지의 명칭이 됐다.

 

2. 발현 모습과 목격자

인디언의 피부에 장미빛 옷과 푸른 망토를 두르고 있었다.

손은 합장한 채 고개를 약간 숙인 모습으로 스페인 식민치하에서

맨 처음 입교한 원주민 중 한명인 55세의 환 디에고에게 발현했다.

 

 

3. 메시지와 결과

"나는 평생 동정이며 생명의 창조주이신 하느님의 어머니임이 알려지기를 원한다.

나를 찾는 이들에게 나의 동정심을 보여주도록 정성을 다해 이 자리에 성당을 짓기 바란다."며

디에고의 망토에 성모님의 모습을 새겨주었다.

발현 후 7년 사이에 800만명의 인디언들이 개종했고 전 미주대륙에 복음화의 기틀을 잡는 계기가 됐다.

(성바오로딸수도회홈에서)

 

Our Lady of Guadalupe

과탈루페의 성모님 축일:12월12일

게시판1520번

 

★사적 계시와 성모 발현에 대한 교회의 가르침

 

성모 발현은

성모 마리아가 정상적이고 자연적인 방법을 초월한 특이한 방법으로

어떤 특정인에게 나타난 현상으로 교회에서는 여러 곳의 성모 발현과

그 발현 때 이루어진 사적(私的 )계시를 인정한 바 있습니다.

 

사적(私的) 계시는 공적(公的) 계시의 진설성을 확인하고 재조명할 뿐만 아니라

변천하는 시대의 특수 상황에서 신앙이나 윤리에 관한 가르침을

효과적으로 실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보조적인 계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적 계시가 진실한 것이 되려면 언제나 성서와 전승 및 교회의 가르침에 일치하고,

또 그것을 통해 교회에 유익을 주고 하느님의 영광을 증진시켜야 합니다.

 

사적 계시 및 이에 결부된 신비 현상에 지나친 관심을 가질 때

흔히 오류나 기만에 빠져 신앙 생활에 큰 해독을 끼칠 수가 있습니다.

성모님의 발현 때 전해지는 메시지가 바로 사적 계시에 해당합니다.

 

이 사적 계시의 진실성을 증거하기 위해 흔히 기적이나 신비 현상 등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그 메시지들이 복음 자체는 아닙니다.

교회 역시 그 메시지들이 복음을 대치할 수 없음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모 발현의 어떠한 메시지라도

그것이 공식적인 교도권의 교의에 부합되어야만 진정한 사적 계시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것입니다.

 

[과달루페] [파리] [라살레트] [루르드] [파티마] [바뇌]

 

*성모발현.사적계시와 가르침:게시판681번 참조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Ave Maria-Schubert-Pastori

 

 

 

 

  

  성 요한 디다쿠스(Joannes Didacus, 또는 요한 디다코, 후안 디에고)는 1474년 오늘날 멕시코의 수도인 멕시코시티(Mexico City)의 일부인 쿠아우티틀란에서 태어나 ‘독수리 같이 말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쿠아우틀라토아친(Cuauhtlatoatzin)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는 아나후악(Anahuac) 계곡에서 비교적 문화적으로 성숙한 치치메카족(Chichimeca)의 일원이었다. 평범한 농부였던 그는 50세경에 초기 멕시코 선교를 나온 작은 형제회 베드로 다 간드(Petrus da Gand) 신부로부터 요한 디다쿠스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세례를 받은 후 날이 갈수록 신앙생활을 열심히 하던 그는 에스파냐가 마야, 아즈텍 문명이 융성하던 멕시코를 정복한 지 꼭 10년 후인 1531년 12월 9일 멕시코시티 근방에 있는 프란치스코 수도원 성당의 미사에 참례하기 위해 테페약(Tepeyac) 산을 넘고 있었다. 그날따라 이른 새벽 가시덤불밖에 없던 산 정상에 신비한 기운이 감돌았는데 갑자기 찬란한 빛을 내는 구름 속에서 한 귀부인이 나타나 성 요한 디다쿠스를 불렀다. 그때 그 귀부인은 자신이 은총을 가득히 입은 하느님의 영원한 동정녀 마리아임을 밝히면서 그 장소에 성당을 세우라는 메시지를 주교에게 알리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말을 전해들은 멕시코의 초대주교인 후안 데 수마라가(Juan de Zumarraga)는 그를 믿지 않았다.

   성모님께서는 실망하면서 집으로 돌아오는 성 요한 디다쿠스에게 다시 발현하시어 내일 주교에게 다시 가서 성당을 반드시 세울 것을 전하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주교는 성모님께서 표적을 보여 주신다면 기꺼이 성모님을 위한 성당을 세우겠다고 말하였다. 성 요한 디다쿠스가 이 말을 다시 성모님께 전하자 성모님께서는 징표로써 테페약 산 정상에 올라가서 장미를 주워 주교에게 보이라고 말씀하셨다. 그러나 때는 12월이라 추웠고 또 돌이 많았기 때문에 이 말씀은 불가능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그가 산 정상에 가니 과연 장미꽃들이 있었고 이를 틸마(Tilma, 외투 또는 보자기로 쓰이는 겉옷, 망토)에 담아 주교에게 내보였다. 그 순간 주교는 갑자기 무릎을 꿇고 말았다. 겨울이라 장미꽃이 필 계절도 아니었지만 더욱 놀라웠던 것은 성 요한 디다쿠스의 틸마에 새겨진 그림 때문이었다. 바로 그 귀부인의 모습과 그 옷자락을 한 천사가 받들고 있는 그림이었다. 그 귀부인은 스스로 ‘과달루페(Guadalupe)의 영원하신 동정 마리아’로 불리기를 원하셨고, 그 성화는 테페약 산 정상에 세워진 성당에 모셔졌다. '과달루페'는 '뱀을 부순 여인'이라는 뜻이다.

   그 후 성 요한 디다쿠스는 주교의 허락을 받고 성당 옆 작은 오두막집에 살면서 과달루페의 성모를 찾아오는 순례자들에게 성화를 보여주면서 성모님의 발현 과정과 의미를 설명하였다. 매일 수천 명씩 개종하더니 마침내 발현 후 8년 만에 우상 숭배와 매년 2만 명 이상의 여자와 어린이들을 피의 제물로 '뱀신'에게 바치는 인신 제사에 빠져 있던 멕시코인 900만 명이 세례를 받고 가톨릭 신자가 되었다. 선교사의 활동만으로는 감히 상상도 못할 일이었다. 1709년 4월 27일 테페약 언덕에 과달루페 성모님을 위한 두 번째 큰 성당을 다시 설립하여 축성식을 갖고 과달루페 성모님을 멕시코의 수호자로 선포하자 당시 유행하던 전염병이 자취를 감추는 기적도 일어났다. 그 후 과달루페의 성모는 멕시코인들의 신앙 속에 깊이 자리하였고, 국가의 중요한 시기마다 당신 백성들을 돌보아 주었다고 신자들은 깊이 믿고 있다.

   성 요한 디다쿠스는 성모님으로부터 선택받은 자로 인정받기보다는 내적인 정화를 통해 하느님을 위한 기도와 가치가 충만한 삶을 살았다. 그는 1548년 5월 30일 생을 마감하면서 과달루페 성모님을 위해 만들어진 최초의 성당에 안치되었다. 그는 1990년 4월 9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그해 5월 6일 멕시코시티에서 시복 승인 기념식이 열렸다. 이어서 그는 2002년 7월 31일 멕시코 과달루페의 동정 마리아 대성당에서 같은 교황으로부터 성인품을 받았다.
 

 참고자료
  라피엣 오리건 저, 임찬원 역, 과달루페의 성모 마리아, 서울(성요셉출판사), 2006년. 
  양진홍 편, 과달루페 성모님과 함께하는 여정, 서울(과달루페 외방 선교회 한국지부), 2010년.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권 - '과달루페의 성모',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1994년, 506-507쪽. 
  한국교회사연구소 엮음, 송영웅 옮김, 오늘 성인(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들) - ‘성 후안 디에고 콰우틀라토아친’,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14년, 499-503쪽. 
(가톨릭홈에서)

 

 

멕시코 과달루페 성모 발현 목격 후안 디에고 등 시성 확정

 

[바티칸=외신종합]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지난 12월 18일 시성에 필요한 기적을 공식 인정 받은 호세 마리아 에스크리바 신부(사진 오른쪽)와 파드레 비오 신부(가운데) 후안 디에고 등 세 명을 시성하기로 했다고 공식발표했다.

교황청 시성성 장관 호세 사라비아 마르틴 추기경은 에스크리바 신부(1902~1975)는 오푸스 데이(Opus Dei)의 창설자로 지칠 줄 모르는 열정으로 평신도의 거룩함을 증진했고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우리 시대의 사회에 복음을 선포했다고 말했다.

추기경은 또 파드레 비오 신부(1887~1968)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영적 아들로 겸손한 카푸친회 수사이며 기도와 고해성사에 평생을 헌신함으로써 세상을 놀라게 한 인물로 성흔을 보여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깊이 연결되어 있었다고 말했다.

후안 디에고는 1931년 12월 멕시코에서 과달루페의 성모 발현을 목격한 것으로 유명하다.

[가톨릭신문, 2001년 1월 1일]

 

 

교황 순방 중 2명 새 성인 선포

과테말라 페드로 신부, 멕시코 후안 디에고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8월 1일 멕시코 시티의 과달루페 성모 대성당에서 후안 바티스타와 히야친토 데 로스 안젤레스를 복자 반열에 올리는 시복식을 거행했다.


[외신종합] 교황의 순방 기간 중 2명의 성인과 2명의 복자들을 선포한 것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교회에 있어서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교황은 7월 31일 인디안 출신으로 과달루페 성모 발현을 목격한 후안 디에고를 성인으로 선포했다.

교황은 새 성인의 탄생을 선포하면서 『그리스도교 신앙은 결코 인종이나 문화에 구별을 두지 않는다』며 『토착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어버리는 일이 없이 복음을 받아들임으로써 그는 새로운 인류의 깊은 진리를 발견했다』고 말했다.

최초의 인디안 출신 성인이 된 후안 디에고는 1474년에 태어나 1548년에 타계했다.

한편 교황은 하루 전인 30일에는 과테말라에서 또 다른 성인 페드로 데 산 호세 데 베탄쿠르(1626~1667)의 시성식을 거행했다.

교황은 시성식에서 프란치스코 제3회 소속의 페드로 성인이 『300년 전 스페인에서 건너와 원주민들을 대상으로 복음을 전파하고 특별히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의 벗이 됐다』며 그의 정신을 기리며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증진하기 위해 노력해 줄 것』을 호소했다.

또한 교황은 8월 1일 멕시코 과달루페 대성당에서 지난 1700년에 신앙을 지키기 위해 순교한 복자 후안 바티스타와 히야친토 데로스 안젤레스 등 인디안 2명에 대한 시복식을 거행했다.

[가톨릭신문, 2002년 8월 11일]

 

 

교황청 후안 디에고 복자 등 9위 시성

 

- 교황청이 2월 26일 시성 일자를 확정한 복자들. 과달루페 성모 발현 목격자로 유명한 멕시코의 후안 디에고, 카푸친 수도회의 오상의 비오 신부, 오푸스 데이 창립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몬시뇰(왼쪽부터).


[바티칸시티=CNS]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2월26일 오상의 비오 신부와 과달루페 성모발현으로 유명한 후안 디에고 오푸스 데이 설립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 몬시뇰 등 모두 9위 복자들에 대한 시성 일자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교황은 복자 후안 디에고의 시성식을 오는 7월30일 멕시코시티에서 거행하며 다음날에는 과테말라에서 복자 페드로 데 산 호세 데 바탄쿠르의 시성식을 주재한다. 이에 앞서 교황은 7월23일부터 27일까지 세계 청소년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캐나다를 방문한다.

교황은 또 오상의 비오 신부로 알려진 복자 파드레 비오의 시성식을 6월16일에 오푸스 데이의 창시자 복자 호세마리아 에스크리바의 시성식을 10월6일에 각각 거행한다.

멕시코 원주민 농부로서 과달루페의 성모 발현을 목격한 후안 디에고는 그 동안 실제 인물이었는지의 여부가 논란이 돼 왔으나 교황청 관계자들은 그가 1474년 경에 태어나 1524년경 멕시코에 온 초기 프란치스코회 선교사들에 의해 세례를 받았다고 밝혔다. 하느님께 자신을 온전히 바치고 마리아 신심을 전파하는 데에 힘을 쏟았던 후안 디에고는 1548년에 세상을 떠났다고 관계자들은 덧붙였다.

복자 에스크리바는 1902년 스페인에서 태어나 1925년에 사제품을 받았으며 1928년에 평신도 영성 운동인 '오푸스 데이'(하느님의 사업이라는 뜻)를 창립했다. 그는 1975년에 타계했으며 199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복됐다.

이탈리아 출신의 비오 신부는 고해성사를 집전과 가난한 이들과 고통받는 이들을 위한 자선 사업 그리고 그리스도를 본받기 위한 금욕의 실천으로 유명한 카푸친 수도회 사제로서 1968년 81세의 나이로 선종했다.

또 복자 페드로 데 베탄쿠르는 17세기 베들레헴 수도회의 설립자로서 과테말라의 가난한 이들과 병자들을 위한 일에 헌신했다. 복자 베탄쿠르는 특히 가난을 탁월하게 실천함으로써 '아메리카 대륙의 성 프란치스코'라는 애칭을 갖고 있다.

교황은 또 이들 외에 다른 5위의 복자들에 대한 시성식을 5월 19일에 거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시성되는 복자들은 스페인 출신의 아우구스티노회 사제 알론소 데 오로즈코(1500∼1591, 1882년 시복), 이탈리아 카푸친회원 이그나지오 다 산티아(1686∼1770), 칼라브리아 출신의 프란치스코회원 우밀레 다 비시나노(1582∼1637, 1882년 시복), 이탈리아 출신으로 브라질에 건너가 원죄없으신 잉태의 작은 자매회를 세운 파울리나 도 코라카오 아고니잔테 데 헤수스(1865∼1942), 역시 이탈리아 출신으로 섭리의 베네딕도 수녀회 창립자 베네데타 캄비아지오 프라시넬로(1791∼1858)다. 특히 복녀 프라시넬로는 결혼 생활 2년 후 남편과 동의 하에 부부가 아닌 남매로 살다가 수녀원에 들어갔고 마침내 수도회를 세운 인물이다.

[평화신문, 2002년 3월 10일]

 

 

 

 

 

 

 

 

 

 

 

 

 

 

 

 

 

 

 

 

 

 

 

 

 

 

 

 

 

 

 

 

 

 

 

 

 

 

 

JUAN DIEGO

 

Also known as

Juan Diego Cuautlatoatzin; Cuauhtlatoatzin

Memorial

9 December

Profile

Born an impoverished free man in a strongly class-conscious society. Farm worker, field labourer, and mat maker. Married layman with no children. A mystical and religious man even as a pagan, he became an adult convert to Christianity around age 50, taking the name Juan Diego. Widower in 1529. Visionary to whom the Virgin Mary appeared at Guadalupe on 9 December 1531, leaving him the image known as Our Lady of Guadalupe. On 20 December 2001 a second miracle attributed to Juan Diego’s intervention was decreed by the Congregation and approved by Pope John Paul II.

Born

1474 Tlayacac, Cuauhtitlan (about 15 miles north of modern Mexico City, Mexico) as Cuauhtlatoatzin

Died

30 May 1548 of natural causes

Beatified

9 April 1990 by Pope John Paul II at Vatican City; confirmed and ceremony held on 6 May 1990 at Mexico City, Mexico

Canonized

31 July 2002 at the basilica of Our Lady of Guadalupe, Mexico by Pope John Paul II

Name Meaning

eagle that talks (Cuauhtlatoatzin)

Readings

Let not your heart be disturbed. Do not fear that sickness, nor any other sickness or anguish. Am I not here, who is your Mother? Are you not under my protection? Am I not your health? Are you not happily within my fold? What else do you wish? Do not grieve nor be disturbed by anything.

 

- Our Lady to Juan Diego, 9 December 1531

--------------------------------------------------------------------------------

At the dawn of Mexican evangelization Saint Juan Diego holds a place all by himself; according to tradition, his indigenous name was Cuauhtlatohuac, "The eagle who speaks".

 

His lovable figure is inseparable from the Guadalupe event, the miraculous maternal manifestation of the Virgin, Mother of God, both in iconographic and literary memorials as well as in the centuries-old devotion which the Mexican Church has shown for this Indian so loved by Mary.

 

Similar to ancient Biblical personages who were collective representations of all the people, we could say that Juan Diego represents all the indigenous peoples who accepted the Gospel of Jesus, thanks to the maternal aid of Mary, who is always inseparable from the manifestation of her Son and the spread of the Church, as was her presence among the Apostles on the day of Pentecost.

 

The information about him that has reached us praises his Christian virtues: his simple faith, nourished by catechesis and open to the mysteries; his hope and trust in God and in the Virgin; his love, his moral coherence, his unselfishness and evangelical poverty.

 

Living the life of a hermit here near Tepeyac, he was a model of humility. The Virgin chose him from among the most humble as the one to receive that loving and gracious manifestation of hers which is the Guadalupe apparition. Her maternal face and her Saint image which she left us as a priceless gift is a permanent remembrance of this. In this manner she wanted to remain among you as a sign of the communion and unity of all those who were to live together in this land.

 

The recognition of the cult which for centuries has been paid to the layman Juan Diego takes on a special importance. It is a strong call to all the lay faithful of this nation to assume all their responsibilities, for passing on the Gospel message and witnessing to one faith active and working in the sphere of Mexican society. From this privileged spot of Guadalupe, ever-faithful heart of Mexico, I wish to call on all the Mexican laity, to commit themselves more actively to the re-evangelization of society.

 

The lay faithful share in the prophetic, priestly and royal role of Christ (cf. Lumen Gentium, 31), but they carry out this vocation in the ordinary situations of daily life. Their natural and immediate field of action extends to all the areas of human coexistence and to everything that constitutes culture in the widest and fullest sense of the term. As I wrote in the Apostolic Exhortation Christifideles Laici: "In order to achieve their task directed to the Christian animation of the temporal order, in the sense of serving persons and society, the lay faithful are never to relinquish their participation in public life, that is, in the many different economic, social,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cultural areas, which are intended to promote organically and institutionally the common good" (n. 42).

 

Catholic men and women of Mexico, your Christian vocation is, by its very nature, a vocation to the apostolate (cf. Apostolicam Actuositatem, 3). Therefore, you cannot remain indifferent before the suffering of your brothers and sisters: before the poverty, corruption and outrages committed against the truth and human rights. You must be the salt of the earth and the light of the world (cf. Mt 5:13-14). Thus the Lord says once more to us today: "Let your light shine before men that they may see your good works and glorify your Father who is in heaven" (Mt 5:16).

 

Juan Diego too shines before you, raised by the Church to the honours of the altar; we can invoke him as the protector and the advocate of the indigenous peoples.

 

- Pope John Paul II at the beatification of Saint Juan Diego, 6 May 1990

 

 

 

 

 

 

 

 

 

 

San Juan Diego Cuauhtlotatzin Veggente di Guadalupe

 

9 dicembre

 

 

1474 circa - Guadalupe, 1548

 

Nel dicembre 1531 la Madonna apparve a Guadalupe, in Messico, scegliendo come suo interlocutore un povero indio, Juan Diego, nato verso il 1474 e morto nel 1548, che prima di convertirsi al cattolicesimo portava un affascinante nome azteco, Cuauhtlotatzin, che sta a significare “colui che parla come un’aquila”. Cuauhtlotatzin fu tra i primi a ricevere il battesimo, nel 1524, all’eta’ di cinquant’anni, con il quale gli fu imposto il nuovo nome cristiano di Juan Diego, e con lui venne battezzata anche la moglie Malintzin, che prese a sua volta il nome di Maria Lucia. Rimasto vedovo dopo solo quattro anni di matrimonio, oriento tutta la sua vita a Dio. Dopo le apparizioni della S. Vergine sulla collina del Tepeyac visse santamente per 17 anni in una casetta che il vescovo Zumarraga gli aveva fatto costruire a fianco della cappella eretta in onore della Vergine di Guadalupe. Giovanni Paolo II nel 1990 lo ha dichiarato beato, per proclamarlo infine santo nel 2002.

 

 

 

Con lo sbarco degli spagnoli nelle terre del continente latino-americano aveva avuto inizio la lunga agonia di un popolo che aveva raggiunto un altissimo grado di progresso sociale e religioso. Il 13 agosto 1521 segno’ il tramonto di questa civilta. Tenochtitlan, la superba capitale del mondo atzeco, fu saccheggiata e distrutta. L’immane tragedia che ha accompagnato la conquista del Messico da parte degli spagnoli, sancisce per un verso la completa caduta del regno degli aztechi e per l’altro l’affacciarsi di una nuova cultura e civilta originata dalla mescolanza tra vincitori e vinti.

E’ in questo contesto che, dieci anni dopo, va collocata l’apparizione della Madonna a un povero indio di nome Juan Diego, nei pressi di Citta del Messico. La mattina del 9 dicembre 1531, mentre sta attraversando la collina del Tepeyac per raggiungere la citta’, l’indio e’ attratto da un canto armonioso di uccelli e dalla visione dolcissima di una Donna che lo chiama per nome con tenerezza. La Signora gli dice di essere "la Perfetta Sempre Vergine Maria, la Madre del verissimo ed unico Dio" e gli ordina di recarsi dal vescovo a riferirgli che desidera le si eriga un tempio ai piedi del colle. Juan Diego corre subito dal vescovo, ma non viene creduto.

Tornando a casa la sera, incontra nuovamente sul Tepeyac la Vergine Maria, a cui riferisce il suo insuccesso e chiede di essere esonerato dal compito affidatogli, dichiarandosene indegno. La Vergine gli ordina di tornare il giorno seguente dal vescovo, che, dopo avergli rivolto molte domande sul luogo e sulle circostanze dell’apparizione, gli chiede un segno. La Vergine promette di darglielo l’indomani. Ma il giorno seguente Juan Diego non puo’ tornare: un suo zio, Juan Bernardino, e gravemente ammalato e lui viene inviato di buon mattino a Tlatelolco a cercare un sacerdote che confessi il moribondo; giunto in vista del Tepeyac decide percio’ di cambiare strada per evitare l’incontro con la Signora. Ma la Signora e la’, davanti a lui, e gli domanda il perche’ di tanta fretta. Juan Diego si prostra ai suoi piedi e le chiede perdono per non poter compiere l’incarico affidatogli presso il vescovo, a causa della malattia mortale dello zio.

La Signora lo rassicura, suo zio e’ gia’ guarito, e lo invita a salire sulla sommita’ del colle per cogliervi i fiori. Juan Diego sale e con grande meraviglia trova sulla cima del colle dei bellissimi "fiori di Castiglia": e il 12 dicembre, il solstizio d’inverno secondo il calendario giuliano allora vigente, e ne la stagione ne il luogo, una desolata pietraia, sono adatti alla crescita di fiori del genere. Juan Diego ne raccoglie un mazzo che porta alla Vergine, la quale pero’ gli ordina di presentarli al vescovo come prova della verita’ delle apparizioni. Juan Diego ubbidisce e giunto al cospetto del presule, apre il suo mantello e all’istante sulla tilma si imprime e rende manifesta alla vista di tutti l’immagine della S. Vergine. Di fronte a tale prodigio, il vescovo cade in ginocchio, e con lui tutti i presenti.

La mattina dopo Juan Diego accompagna il presule al Tepeyac per indicargli il luogo in cui la Madonna ha chiesto le sia innalzato un tempio. Nel frattempo l’immagine, collocata nella cattedrale, diventa presto oggetto di una devozione popolare che si e conservata ininterrotta fino ai nostri giorni. La Vergine ha scelto come suo interlocutore un “povero indio”, Juan Diego, nato verso il 1474 e morto nel 1548 a Guadalupe, che prima di convertirsi al cattolicesimo portava un affascinante nome azteco, Cuauhtlotatzin, che sta a significare “colui che parla come un’aquila”. Varie fonti ci tramandano i dati biografici del veggente del Tepeyac: egli e’ un macehual, cioe’ un uomo del popolo, piccolo coltivatore diretto in un modesto villaggio: poco piu di niente, nella societa azteca complessa e fortemente gerarchizzata. Cuauhtlotatzin fu tra i primi a ricevere il battesimo, nel 1524, all’eta’ di cinquant’anni, con il quale gli fu imposto il nuovo nome cristiano di Juan Diego, e con lui venne battezzata anche la moglie Malintzin, che prese a sua volta il nome di Maria Lucia.

Il neoconvertito si distingueva in mezzo agli altri per la sollecitudine nel frequentare la catechesi e i sacramenti, senza badare ai sacrifici che questo richiedeva: si poneva in cammino fin dalle prime ore del giorno per raggiungere Santiago di Tlatelolco, dove i francescani radunavano gli indigeni per catechizzarli. Rimasto vedovo dopo solo quattro anni, Juan Diego orienta la sua vita ancora piu decisamente verso Dio: trascorre tutto il suo tempo fra il lavoro dei campi e le pratiche della religione cristiana, fra cui l’ascolto della catechesi impartita agli indigeni convertiti dai missionari spagnoli. Conduce una vita esemplare che edifica molti. L’esperienza eccezionale vissuta sul Tepeyac s’inserisce in un’esistenza gia’ trasformata dalla grazia del battesimo e cementata dall’incontro con la Madre di Dio che ne potenzia in modo straordinario il cammino di fede, fino a spingerlo ad abbandonare tutto, casa e terra, per trasferirsi in una casetta che il vescovo Zumarraga gli ha fatto costruire a fianco della cappella eretta in onore della Vergine di Guadalupe.

Qui Juan Diego vive per ben 17 anni in penitenza e orazione, assoggettandosi agli umili lavori di sagrestano, senza mai mancare al suo impegno di testimoniare quanto Maria ha fatto per lui e puo fare per tutti quelli che con affetto filiale vorranno rivolgersi al suo cuore di Madre.

La morte lo coglie nel 1548, quando ha ormai 74 anni.La sua fama di santita’, che gia’ l’aveva accompagnato in vita, cresce nel tempo fino ai nostri giorni, finche’ nel 1984 si dette finalmente inizio alla sua causa di beatificazione e si pose mano all’elaborazione della Positio, orientata a comprovarne non solo il culto, da tempo immemorabile, ma anche a dimostrare le virtu’ del servo di Dio e a illustrarne la vita, separate il piu’ possibile dal fatto guadalupano. Attraverso una solida base documentale si voleva cioe’ dimostrare che Juan Diego, per i suoi soli meriti di cristiano, era degno di assurgere agli onori degli altari, finche’ ? al termine di un complesso iter ecclesiastico - con il decreto Exaltavit humiles (6 maggio 1990), se ne e’ finalmente concessa la memoria liturgica, fissata al 9 dicembre, data della prima apparizione della “Morenita”. Giovanni Paolo II ha dichiarato beato il veggente Juan Diego nel 1990, per proclamarlo infine santo nel 2002.

 

 

Autore: Maria Di Lorenzo

 



694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