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2일(3월6일) 프라하의 성녀 아네스 동정♬Jesu,joy of mans desiring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3-02 ㅣ No.1643

 

축일 3월2일(3월6일)
프라하의 성녀 아네스, Poor Clare
Sant' Agnese di Boemia Principessa, badessa
Praga, Repubblica Ceca, 1211 – 2 marzo 1282
Etimologia: Agnese = pura, casta, dal greco
Saint Agnes of Prague
Also known as : Agnes of Bohemia
Born : 1205 at Prague, Bohemia (modern Czech Republic)
Died : 6 March 1282 at Saint Saviour convent, Prague, Bohemia of natural causes
Beatified : 1874 by Pope Pius IX
Canonized : 12 November 1989 by Pope John Paul II at Rome, Italy 

 

성녀 아녜스는 1205년경 보헤미아의 왕 프레미슬라우스의 딸로 태어났다. 황제의 청혼을 거절하고 1236년 왕궁 근처에 가난한 자매 수도원을 지어 동정녀들을 살게 한 후 스스로 그곳에 입회하였고 오랫동안 수도원장으로 봉사하였다. 성녀 클라라와 특별한 우정을 나누었고 여러 번에 걸쳐 서신 교환을 하였다. 1280년에서 1283년 사이에 선종하였다.

 

*성녀 클라라(축일:8월11일.게시판1312번.1313번. 성클라라수도회창설자.문장:성체 현시대)

*프라하의 성녀 아네스는 성 벤체슬라오(축일:9월28일.게시판1389번.체코슬로바키아의 수호성인)의 후손이며,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축일:11월17일.게시판1474번.재속프란치스코회의 수호성녀)의 사촌 자매이다.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3월2일 프라하의 성녀 아네스 (2회)  
 성녀 클라라가 쓴 편지 중에 남아 있는 네 통의 편지 수신인인 프라하의 아네스 성녀의 생애는 다음과 같다. 1205년 거룩한 동정녀이며 순교자인 아네스의 축일 전날에 보헤미아 왕, 프리미스라우스 오토카 1세의 딸이 태어났다. 그녀는 세례 때 성녀 아네스의 이름을 받았다. 헝가리의 성 엘리사벳의 숙모인 어머니는 어린 딸이 놀랄 만큼 진지함을 알고 기뻐하였다.

그 당시 관습에 따라 공주는 세 살 때 실레지아의 공작의 아들과 약혼하고 당시 헤드위그 성인이 장상으로 있던 트레브니츠에 있는 실레지아 수도원으로 보내져서 교육을 받았다. 3년 후에 약혼자가 죽자 그녀는 보헤미아 도잔에 있는 수도원으로 보내졌다.  성 헤드위그에 의해 뿌려진 성덕의 씨가 싹트기 시작했다. 그러나 여러 제왕들의 청혼에 시달린 그녀는 그레고리오 9세 교황에게 중재해 줄 것을 간청하여 마침내 자유를 얻었다.

그후 아네스는 거룩한 신랑과 결합하기 위하여 수도생활을 열망하였다. 가난한 클라라회 명성이 보헤미아까지 자자하여 아네스는 프라하 수도에 가난한 클라라회 수도원을 세웠다. 성녀 클라라는 5명의 수녀를 보내주었다. 아네스와 7명의 젊은 귀족여성들이 이 수도원에 들어갔다. 얼마 안 되어 그녀는 그들 가운데 기도의 열정에 있어서, 순명과 수도적 수련에 있어서, 극기와 겸손에 이르기까지 덕행의 모범으로 두드러졌다. 수도원장직을 받아들이라는 교황의 명령은 겸손한 그녀에게 큰 시련이었다. 그녀는 그 직함을 지니지 않고 그저 “장상 수녀”로 불리는 것을 허락을 받았다. 거룩한 어머니 성녀 클라라의 거룩한 열정을 닮은 열정으로 가난을 지켰다. 그녀는 왕인 오빠가 보내는 왕가의 선물을 거절하고 수녀들이 개인적인 소유물을 지니는 것을 용인하지 않았다.
  천상의 덕이 가득했던 그녀는 40년 동안 하느님께 봉사하고 1282년 3월 2일에 천상으로 돌아갔다.

 

기도
오 하느님, 복된 아네스 동정녀로 하여금 왕궁 생활의 즐거움을 경멸하고 당신의 십자가를 겸손하게 따르게 하여 천상 높은 곳으로 들어올리셨으니, 저희에게 그녀의 중재와 모범을 통하여 영원한 영광에 함께 하게 하소서.  영원히 살아계시고 다스리시는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묵상
그리고 이 세상에서 순례자나 나그네같이 가난과 겸손 안에서
주님을 섬기며 신뢰심을 가지고 동냥하러 다닐 것입니다.
그리고 주님이 우리를 위하여 이 세상에서 스스로 가난한 사람이 되셨으니
부끄러워할 것이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지극히 사랑하는 나의 형제 여러분을
하늘나라의 상속자와 왕이 되게 하고, 물질에 가난한 사람이 되게 하면서도,
덕행에 뛰어나게 하는 지극히 높은 가난의 탁월성입니다.
지극히 사랑하는 형제들, 이 가난에 완전히 매달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 때문에
하늘 아래서는 결코 다른 어느 것도 가지기를 원치 마십시오.  -작은 형제들의 제 2회칙 6장-
(재속프란치스코 한국국가형제회홈에서)

 

 

성녀 클라라가 프라하의 성녀 아녜스에게 쓴 편지    

 

프라하의 아녜스가 누구이며 그녀가 어떻게 클라라를 알게 되었을까?

아녜스는 1205년에 프라하에서 태어난 공주이다. 그녀의 아버지는 보헤미아의 Premsyl Ottokar I세 임금(1197-1230)이고, 어머니는 헝가리의 Arpad 왕조 출신 Constance이다. 아녜스의 사촌 자매가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수호성인인 헝가리의 성녀 엘리자베스이다.  

 

아녜스가 3살밖에 되지 않았을 때, 믿을만한 전통에 의하면 Silesia의 공작의 아들인 Boleslaus와 약혼을 하게 되었는데, 이 사람이 금방 세상을 뜨게 되었다. 그녀는 Premonstratensian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한 때 그녀는 후에 헨리 4세 황제가 되는 프레데릭 2세 황제의 아들과 약혼을 하게 되었다. 그 당시, 그는 오스트리아의 Luke Leopold 공작의 궁정에서 살았었다. 그래서 아녜스는 그 궁정으로 보내졌지만, 헨리가 Leopold의 딸과 결혼하는 바람에 그녀의 약혼은 후에 그녀의 아버지에 의해서 파기되었다. 아녜스는 프라하로 되돌아왔는데, 그 때 영국의 헨리 3세로부터 다시 한 번 약혼 신청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젊은 공주는 동정 서원을 하였고, 모든 혼인 신청을 거절하였다.

 

 

성녀 클라라와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1225년에 첫 번째 작은 형제들이 오게 되었다. 아녜스는 그들을 통해 아시시의 클라라와 그녀의 자매들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한 편, 그녀의 사촌인 엘리자베스는 성 프란치스코가 창설한 참회자들의 회에 가입하여, Marburg에 병원을 짓고,거기에서 병자들을 돌보며 살았다.

 

1230년 아녜스의 아버지 Premsyl Ottokar I세가 죽자 그녀는 아시시의 성녀 클라라의 생활양식에 따라 자발적으로 가난의 삶의 받아들이기로 결심하였다. 그녀의 오빠인 Wensenslaus I세가 1232년에 그녀에게 땅을 주어서 거기에 성 프란치스코에게 봉헌하는 병원을 지어 그 병원을 Crosiers of the Red Star(빨간 별이 새싹들? - 이들은 나중에 성 아오스딩의 회칙을 받아들인 봉사단체이다) 에게 맡겨 운영하도록 하였다.

 

그녀는 또한 작은 형제들을 위하여 성당과 수도원을 지어 주었고, 1233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게 명확히 청원하여 자신의 삶을 인준 받은 후, 트렌트에서 그녀의 삶에 함께 하고자 들어온 가난한 자매들을 위해 수도원을 지어 주었다. 아녜스는 성 다미아노의 가난한 자매들이 받아들인 복음적 삶이 양식에 따라 살기를 원했다. 그녀는 1282년에 프라하에서 죽었으며, 1874년에 비오 9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9년 11월 12일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녀를 시성하였다.  

 

 

성 다미아노 수도원 회랑

 

클라라는 아녜스에게 여러 편의 편지를 썼다. 4개의 편지가 다 보존되어 있다.
첫 번째 편지는 1234년 6월 11일 이전에 쓰여졌다. 이때는 아녜스가 아직 서원을 하기 전이었다. 클라라는 그녀를 아직 “보헤미아의 위대한 왕 각하의 따님”이라고 부르고 있다.
두 번째 편지는 1234-1239년 사이에 쓰여진 것인데, 이때 작은 형제회의 총장은 엘리아 형제였다. 이 편지에서 엘리아 형제가 언급되고 있다. 

세 번째 편지는 1238년으로 연대를 추정하는데, 그것은 1237년에 그레고리오 교황이 클라라회원들에게 시토회원들처럼 금육을 지키라고 권함에 따라 금육을 지키는 것과 관련한 어렴움들에 대한 답을 이 편지에서 쓰고 있기 때문이다. 이 편지는 또한 자신이 성 프란치스코에게 봉헌하여 지은 병원(혹은 간호시설)이 다른 수도 단체에 의해 관리되어서 그녀 자신은 현세의 관심에서 자유로워지고 싶어한다는 것이 언급하고 있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는 이 생각에 대해 애초에는 반대하였으나, 후에는 Crosiers of the Red Star에게 병원을 넘겨주는 것을 받아들였다. 

마지막 편지는 한참 후인 1253년에 쓰여지는데, 이때는 클라라가 죽을 무렵인데, 연대를 그렇게 보는 이유는 이 편지에서 클라가 자신의 동생 아녜스를 언급하면서, 아녜스가 클라라의 죽음 몇 달 전에 Monticelli 수도원으로부터 돌아왔다고 쓰고 있기 때문이다.  

 

 

성 다미아노 수도원 회랑의 다른 모습

 

이 편지들은 상당히 신비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이 편지들은 여성적 영성의 다양한 주제들을 발전시키고 있다: 특히 그리스도의 신비적인 정배에 관하여; 봉헌된 동정성; 가난의 찬미; 가난하고 못박히신 그리스도의 관상; 육화의 신비 안에서의 복되신 동정녀; 단식과 금식에 관한 실질적인 규정들; 그리스도의 여러 신비들 안에서 관조되는 그분의 겸손.   

여기서 우리는 이 편지들에 대해서 몇 가지 질문들을 던지는 것으로 자족함이 좋겠다. 보헤미아의 아녜스에게 보낸 편지들은 1,2,3, 또는 4LAg라고 표기될 것이다.  

 

“자매는 그분을 사랑할 때 정결하고,

        그분을 만질 때 더 깨끗해지고,   

        그분을 맞일할 때 그대는 동정녀입니다”(1LAg 8)    

 

“가난을 사랑하고 포옹하는 이들에게는 영원한 부(富)를 부여하는, 오 복된 가난이여!  

      가난을 소유하고 또 소유하기를 열망하는 이들에게는 하느님께서 하늘나라를 약속하시고

      의심할 여지없이 영원한 영광과 복된 생명을 주시리니, 오 거룩한 가난이여!  

 

      말씀 하시자 존재하게 되었고 또 그렇게 존재한 하늘과 땅을 다스리셨으며  

      지금도 다스리시는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황송하옵게도 무엇보다 특별히 포옹하신,

      오 성스러운 가난이여!“(1LAg 15-17).    

 

“오히려 가난한 동정녀여, 가난하신 그리스도를 포옹하십시오”(2LAg 18).    

 

"고귀하신 여왕이여, 그대의 정배를 닮으려는 열망으로 바라고, 깊이 생각하고, 관상하십시오“(2LAg 20).    

 

“그대의 마음을 영원의 거울 앞에 놓으십시오.

그대의 영혼을 영광의 광채 속에 두십시오.

그대의 마음을 신적 실체의 형상 가운데에 두고,

그대의 전존재를 관상을 통하여 하느님의 모습 안에서 변화시키십시오.

그러면 당신을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태초부터

하느님 몸소 마련해 놓으신 분의 벗들이 느끼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3LAg 12-14).  

 

“동정녀께서 잉태하시고 거룩한 태중의 작고 은밀한 곳에 보셨고,

동정의 품에서 기르신 그 위대한 하느님의 지극히 감미로우신 어머니께 매달리십시오”(3LAg 18-19).  

 

“그러므로 지극히 사랑하는 자매여, 주님 안에서 부탁하고 간청합니다:

그대가 지켜 온 단식은 무분별하고도 불가능한 것으로 내가 알고 있는데

이 엄격함을 지혜롭고 신중하게 삼가시고...”(3LAg 40).    

 

“예수 그리스도의 정배요. 오, 왕후이신 자매여,

이 거울을 매일 들여다보시고 지존하신 임금님의 딸과 지극히 정결한 정배가 단장해야 하는

모든 덕행의 꽃과 의복으로 속속들이 단장하고...

 

먼저, 거울의 맨 밑에서부터 보시고,

말구유 위에 강보에 싸여 주워 계시는 그 가난을 깊이 바라보십시오.

오, 놀라운 겸손이여, 오, 기막힌 가난이여!

천사들의 임금이시고 하늘과 땅의 주인이신 분이 구유에 누어 계시다니!

다음으로, 거울의 중간을 보시고 그분께서 인류의 구속을 위하여 겪으신 무수한 수고와 고통

그리고 그분께서 지니신 겸손과 함께 복된 가난을 깊이 바라보십시오.

이제 끝으로 거울의 맨 위를 보시고 십자가 나무 위에서 고통 당하시고

거기에서 가장 수치스런 죽음을 맞이하시기를 원하신 그분의 표현할 수 없는 사랑을 깊이 바라보십시오”

(4LAg 15; 19-23).

 

- 작은형제회홈에서www.ofm.or.kr -

 

 

성녀 클라라와 자매들이 사용하였던 성 다미아노 성당 가대

* 참고:    성녀 글라라의 편지들 
 

  글라라의 편지들은 복음의 실행에 전적으로 마음을 바친 영혼과 예수 그리스도 및 마리아를 뒤따르는 영혼을 그리면서 자기 자매들을 이 길로 이끌려는 열의를 보이고 있다. 글라라의 편지들은 자신이 체험한 사랑을 드러내는 것이다 :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과 그 실천 방법, 관상생활과 그 방법이 그것이다.

  이 편지들은 글라라의 영성을 파악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회칙과 유언은 글라라가 봉헌된 생활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우리에게 말해 주고 있는 반면에, 편지들은 하느님과 단순하고도 심오한 일치를 이룬 그녀의 내적 생활을 보여주고 있다.

  글라라가 말하고 있는 관상의 길과 영성은 그 당시에는 아주 독특한 것이었다. 글라라는 당대의 시대 풍조와 정신에 아주 탁월하게 개방적이었고, 프란치스꼬가 그녀에게 불어넣어 준 복음 정신을 잘 이해하였다.

  복녀 아녜스에게 보낸 편지들의 신빙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으며, 또한 와딩(Wadding)의 연대기에서만 전해지고 있는 브르쥬의 에르멘뚜르디스 자매에게 보낸 편지도 그 신빙성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

  프라하의 복녀 아녜스는 1203년에 태어났다. 그녀는 1232년에 작은 형제들을 프라하에서 알게 되었고, 작은 형제들을 위하여 성당과 수도원을 지어 주었으며 병원도 지었다. 그리고 즉시 작은 형제들의 생활에 매력을 느껴, 1234년 6월 11일(성령강림 대축일)에 아녜스는 병원 근처에다 수녀원을 지은 다음에 다른 곳에서 글라라회 자매들을 데리고 와 함께 수도생활을 시작했다. 그 때부터 그녀는 글라라와 서신 왕래를 하기 시작하였고, 글라라와 마치 경쟁이나 하듯이 엄격한 생활양식을 실천하였다. 아녜스는 이 수녀원에 54년간 살았고, 1282년 3월 2일 세상을 떠났다. 아녜스는 일생 동안 한 번도 글라라를 만난 적은 없었다. 그녀는 교황 비오 9세로부터 1874년에 복녀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에르멘뚜르디스는 쾰른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고, 1240년에 고향을 떠나 은둔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녀는 지금의 벨지움에 있는 브르쥬로 가서 12년간 은둔생활을 하였고 그러다가 아씨시의 글라라에 관한 소식을 전해 듣고서는 성녀를 만나기 위하여 아씨시를 방문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글라라를 만났는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 그녀는 은둔소로 다시 돌아와 자기의 은둔소를 글라라회 수녀원으로 바꾸었고, 그 후에 그 지방에다 많은 글라라회 수녀원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프라하의 복녀 아녜스에게 보내신 편지 Ⅰ : 글라라는 이 편지를 아녜스가 수녀원에 입회하기 전인 1234년에 썼다. 공주인 아녜스가 그렇게 어려운 생활을 받아들였다는 소문이 전 세계에 퍼져 이것이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 준 사건이 되었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1234년 8월 30일에 아녜스에게 쓴 편지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글라라는 이 편지에서 아녜스에게 공경과 존경심을 표하는 동시에, 이승의 영화와 하늘나라의 복(福)을 대조하면서 그녀에게 용기와 격려를 보내고 있다.

  프라하의 복녀 아녜스에게 보내신 편지 Ⅱ : 이 편지는 아녜스의 수도생활 초기인, 엘리아 형제가 작은 형제회의 총봉사자로 있던 시기에 씌어진 것이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편지를 1235 - 1236년 사이에 씌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오래 된 사본에서는 이 편지에 “훌륭한 생활양식에 대한 굳센 항구심”이라는 부제(副題)속에 항구할 수 있는 비결을 제시하고 있다. 즉 그 비결은 가난하신 그리스도를 사랑 안에서 끊임없이 바라보는 생활이라는 것이다.

  프라하의 복녀 아녜스에게 보내신 편지 Ⅲ : 이 편지는 1238년 초에 쓴 것이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아녜스에게 씨토회 수도자들처럼 완전한 금육을 요구했다. 이에 아녜스가 단식재와 금육재에 관하여 글라라에게 문의를 하였고, 글라라가 아녜스에게 답서를 보낸 것이 바로 이 편지다. 더 나아가서 글라라는 아녜스에게 기도와 가난에 엄격한 생활을 지혜롭게 하도록 격려를 보내고 있다.

  프라하의 복녀 아녜스에게 보내신 편지 Ⅳ : 몬떼첼리 수도원에 거주하던 글라라의 친동생인 아녜스가 글라라의 임종을 지켜보기 위하여 성 다미아노 수녀원으로 돌아온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 편지는 1253년 글라라가 임종하기 얼마 전에 쓴 것이다. 이 편지는 우리가 글라라의 전생애를 통해서 느낄 수 있는 그녀의 찬란한 사랑을 반사하고 있다. 글라라는 그리스도의 신비를 거울의 비유를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브르쥬의 에르멘뚜르디스 자매에게 보내신 편지 : 루까 와딩에 의하면, 글라라가 에르멘뚜르디스에게 두 통의 편지를 썼다고 한다. 그러나 루까 와딩은 그 원본들을 전해 주지 않고 이 두 통의 편지를 하나로 요약해서 이렇게 전해 주고 있다. 문장의 성격은 글라라의 그것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그 정신만큼은 글라라의 것이다.
(프란치스꼬회 한국관구 옮겨엮음,아씨시의 성프란치스꼬와 성녀 글라라의 글,분도출판사,2002,236-238쪽)



  성녀 클라라(Clara, 8월 11일)는 보헤미아 혹은 프라하(Prague)의 성녀 아녜스로 불리는 그녀를 '나의 반쪽'이라고 불렀다. 성녀 아녜스는 성 벤체슬라우스(Wenceslaus, 9월 28일)의 후손으로 부친의 이름은 1197년에 보헤미아의 왕좌에 오른 오토카르 1세(Ottokar I)이다. 또 헝가리의 성녀 엘레사벳(Elisabeth, 11월 17일)과는 사촌간이다. 

  성녀 아녜스는 불과 세살 때에 슐레지엔(Schlesien, 실레지아)의 공작인 하인리히의 아들인 볼레슬라우스(Boleslaus)와 약혼하고, 약혼자의 어머니가 세운 수도원에서 성장하였다. 그러나 그녀가 6세 때에 약혼자가 죽음으로써 보헤미아로 돌아왔고, 9세 때에는 프레데릭 황제의 아들인 하인리히와 약혼하여 이번에는 오스트리아로 가서 독일어와 그곳의 풍습을 익혀야 했다.

  그러나 성녀 아녜스는 늘 하느님께 굳은 신앙을 표현하고자 애썼으며, 자기 혼자서 매우 엄격한 생활을 하며 덕을 닦았다. 그녀는 차츰 나이가 들면서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는 동정생활을 갈구하면서 일이 꼭 그렇게 되도록 기도한 결과, 또다시 파혼이 되어 고향으로 되돌아왔다. 그러나 이번에는 또다시 잉글랜드(England)의 헨리 3세로부터 청혼을 받았다. 그녀는 더욱 열렬히 기도하고 고행하며 화려한 궁중 의상 밑에 고행복을 입고 지냈다. 그녀는 새벽 일찍 일어나 맨발로 성당을 다녀오기가 일쑤였다.    

  그러는 사이 그녀는 28세의 미모의 여성이 되었다. 온갖 청혼을 물리친 그녀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Gregorius IX)에게 편지를 보내어 도움을 청하였다. 그 결과 결혼에서 자유롭게 된 그녀는 자신을 전적으로 하느님께 봉헌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마침내 1236년에 클라라 수녀회에 입회하였다. 그녀는 성 프란치스코(Franciscus, 10월 4일) 정신의 올바른 계승자로 살았다. 비록 공주 출신이었지만 수녀원의 하찮은 일까지 자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놀라운 성덕을 쌓다가 77세의 일기로 선종하였다. 그녀는 1874년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1989년 11월 1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가톨릭홈에서)

   

 

[복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함께 읽는 성인전]
성녀 보헤미아의 아녜스 - 공주, 수도원 창설자
번역 송영웅 바오로(봉명학원 재단이사)
 
성녀 보헤미아의 아녜스(Agnes of Bohemia, 1211-1282)는 보헤미아(지금의 체코 공화국 서부)를 통치하던 오토카르(Ottocar) 왕과 헝가리 왕국의 공주인 콘스탄스(Constance) 왕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가 프라하(Prague)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역사학자들은 그녀를 프라하의 아녜스(Agnes of Prague)라고도 부른다.
 
아녜스는 당시 공주들이 받아야 할 소양 교육과 공주가 수행하여야 할 역할에 대한 교육을 트레브니즈(Trebnitz)에 있는 시토회 수녀들(Cistercian Nuns)에게서 받았다. 아녜스는 공주로서 필요한 교육을 받기 위해 그 수도원에 갔지만 오히려 그곳에서 수도성소의 은총을 받았다.
 
그러나 왕국으로 돌아와 공주로서 생활을 하다 보니 수도성소를 키워가기에는 너무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당시의 관습대로 아녜스 공주도 3살 때 이미 슐레지엔 공작의 아들 볼레슬라우스(Boleslaus)와 약혼한 상태였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볼레스라우스가 어린 나이에 죽자 그녀는 다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레데릭 2세의 아들 헨리(Henry) 왕자와 약혼하였다. 그러나 헨리 왕자가 정치적인 이유로 오스트리아 공작의 딸과 결혼하자 헨리 왕자의 아버지인 프레데릭 2세는 이전부터 아녜스를 눈여겨 보면서 배우자감으로 아주 훌륭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자신이 아녜스에게 청혼하였다. 그리하여 아녜스는 세 번째로 약혼하게 되었다.
 
부모 밑에서 엄격한 교육을 받았고 자녀로서 부모에게 효도하여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지만, 수도성소를 느끼고 있던 아녜스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에게 시집가는 것을 거부하였다. 아녜스가 완강하게 이 결혼을 거부하자 궁정의 관리들도 황제와 결혼하는 것이 얼마나 좋은 것인지 설득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아녜스는 혼자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게 되자 이 문제를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게 탄원하였다. 교황께 황제와 약혼한 관계를 무효로 해주기를 청한 것이다. 교황 그레고리오 9세와 유럽의 왕족들은 벌써부터 아녜스가 수도성소에 대한 강한 열망을 품고 있음을 알고 있었다. 사태가 이쯤에 이르자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인 프레데릭 2세는 이렇게 한탄하였다고 한다. “아녜스 공주가 만일 다른 남자와 결혼하기 위하여 나의 청혼을 거절하였다면 내 칼로 이를 응징했겠지만 공주가 천상의 임금님을 정배로 맞이하기 위하여 나와 파혼을 하겠다고 하니 내가 이를 어떻게 막을 수 있겠소.”
 
외가 쪽으로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Elizabeth)과 친척인 아녜스는 엘리사벳 성녀가 왕비였을 때 작은 형제회 제3회 회원으로 살다가 나중에는 수녀가 되어 마르부르크(Marburg)에서 살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 당시 유럽의 궁정에서는 엘리사벳 왕비가 수녀가 되어 자신의 생애를 온전히 하느님께 봉헌한 것에 매우 감동을 받고 있었다. 그러면서 어떻게 하여 한 나라의 왕비가 전격적으로 수도원에 들어가 수녀로서 온 생애를 겸손과 청빈의 삶에 온전히 투신할 수 있었는지에 대하여 매우 의아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아녜스 공주는 엘리사벳 성녀가 하느님의 은총에 응답한 것임을 알고 있었으므로 자신도 그 성녀와 같은 열정으로 하느님의 은총에 전적인 응답을 하겠다고 결심하였다.
 
1225년 작은 형제회(Friars Minor) 수사들이 프라하에 도착하여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정신을 소개하였다. 아녜스 공주는 수도회의 정신에 매료되어 자신도 일생을 이 영성에 따라 살기로 결심하였다. 그리고 오빠인 벤체슬라우스(Wenceslaus) 1세에게 청하여 상당한 토지를 하사받고 그 땅에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들을 위한 병원을 지었다. 그리고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기증하여 수사들이 이를 운영하게 하였다. 아녜스 공주는 또한 이 병원에서 일할 사람들을 위해 붉은 별 십자군 형제회(Confraternity of the Crusaders of the Red Stars)를 창설하였다.
 
1234년 아녜스는 성녀 글라라의 가난한 자매 수도회(the Poor Clare Convent)의 성 구세주(Savior) 수도원을 프라하에 세웠다. 그러나 이 수도원이 글라라회의 정신과 규칙을 제대로 살고 있는지가 궁금하였다. 그래서 이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아시시에 있는 성 글라라(Clara, 1194-1253) 수녀에게 편지를 보내면서 자신이 세운 수도 공동체를 도와주기를 청하였다. 이에 응답하여 글라라는 아시시에서 5명의 수녀를 프라하에 파견하여 이 봉쇄 수녀원이 글라라회의 정신에 따라 훌륭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아녜스와 글라라는 서로 만나지는 못하였지만 20년 이상 서로 편지를 주고받으면서 수도자롯 교분을 돈독히 쌓아갔다. 1234년 성령 강림 대축일에 아녜스는 성 구세주 수도원에 입회하였다. 그리고 그 수도원에서 거의 50년을 은둔 수도자로 생활하였다. 아녜스는 많은 사람들로부터 수도자의 모범이라는 칭송을 받았고 수도자로서 연륜이 쌓이자 수도원 원장이 되었는데 그녀의 탁월한 덕행은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아녜스는 병을 치유하는 은사와 예언하는 은사를 받았다. 그래서 그녀는 앞으로 일어날 일들에 대하여도 말하였는데 그 가운데는 오빠인 벤체슬라우스 1세가 오스트리아 공작과 전쟁을 하게 된다는 것과 그 전쟁에서 오빠가 승리할 것이라는 예언도 있었다. 아녜스는 프라하의 성 구세주 수도원에서 46년 동안 글라라회 수녀로 살다가 1282년 선종하였다.
 
1989년 11월 12일 로마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보헤미아의 아녜스를 성인으로 선포하였다. 교황은 시성식에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성녀 보헤미아의 아녜스는 시대적으로 매우 오래전에 살았던 분이지만 이분이 그리스도인으로서 보인 탁월한 믿음과 영웅적이라고 할 수 있는 뛰어난 자비심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빛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오늘을 사는 우리를 성녀 자신의 삶으로 초대하고 있으며 우리의 삶을 다시 돌아보게 합니다.”
[교회와 역사, 2011년 6월호]
 




 

 

♬Jesu,joy of mans desiring-Guitar Duo

 

 

 

 

 

 

 

 

 

 

 

 

 

 

 

 

 

 

 

 

 

 

 

 

 
Sant' Agnese di Boemia Principessa, badessa
2 marzo 
Praga, Repubblica Ceca, 1211 – 2 marzo 1282

Figlia del sovrano boemo Otakar I, Agnese nacque a Praga nel 1211. Nel 1220, essendo promessa sposa di Enrico VII, figlio di Federico Barbarossa, Agnese fu condotta a Vienna ove visse sino al 1225 quando, rotto il fidanzamento, tornò a Praga per consacrarsi a Dio. Grazie ai Frati Minori, venne a conoscenza della vita spirituale di Chiara d'Assisi. Rimase affascinata da questo modello e decise di imitarne l'esempio. Fondò il monastero di San Francesco per le «Sorelle Povere o Damianite» nel 1234. Insieme a Santa Chiara si adoperò per ottenere l'approvazione di una nuova ed apposita regola che ricevette e professò. Agnese divenne badessa del monastero, ufficio conservò per tutta la vita. Morì il 2 marzo 1282. Numerosi miracoli furono attribuiti alla principessa badessa che venne beatificata da Pio IX nel 1874 e canonizzata da Giovanni Paolo II nel 1989. (Avvenire)

Etimologia: Agnese = pura, casta, dal greco


Martirologio Romano: A Praga in Boemia, ora Repubblica Ceca, sant’Agnese, badessa, che, figlia del re Ottokar, rifiutate nozze regali per essere sposa solo di Cristo, abbracciò la regola di santa Chiara nel monastero da lei stessa edificato, in cui volle osservare con rigore la povertà.


Giovanni Paolo II, durante il suo lungo pontificato, se da un lato non ha mancato di proporre agli uomini di oggi dei modelli di santità a loro vicini nel tempo, non ha però disdegnato anche di elevare agli onori degli altari alcune significative figure visute nei primi secoli del secondo millenio, tra le quali la principessa Sant’Agense di Boemia oggi festeggiata.
Figlia del sovrano boemo Premysl Otakar I e della regina Costanza, sorella di Andrea II re d'Ungheria, Agnese nacque a Praga nel 1211. Sin dall’infanzia fu oggetto di svariati progetti di fidanzamento indipendentemente dalla sua volontà, cosa comune a quel tempo meramente per speculazioni politiche e convenienze dinastiche. All’età di tre anni fu affidata alle cure della duchessa di Slesia, la celebre Santa Edvige, che l’accolse nel monastero cistercense di Trzebnica e le insegnò i primi elementi della fede cristiana. Tre anni dopo fece ritorno a Praga e venne poi affidata alle monache premonstratensi di Doksany ove ricevette un’adeguata istruzione.
Nel 1220, essendo promessa sposa di Enrico VII, figlio dell'imperatore Federico II Barbarossa, Agnese fu condotta a Vienna presso la corte del duca d’Austria: qui visse sino al 1225 rimanendo sempre fedele ai principi e ai doveri della morale cristiana. Rescisso infine il patto di fidanzamento, ritornò a Praga ove poté dedicarsi ad una più intensa vita di preghiere e di opere caritative. Dopo una matura riflessione, decise di consacrare a Dio la sua verginità. Pervennero alla corte di Praga nuove proposte nuziali per la giovane principessa boema: quella del re inglese Enrico III, che svanì, e quella del Barbarossa presentata prima a re Otakar nel 1228 ed una seconda volta a re Venceslao nel 1231.
Papa Gregorio IX, cui Agnese aveva chiesto protezione, intervenne riconoscendo il voto di castità della principessa, che in tal modo acquistò la libertà e la felicità di consacrarsi a Dio libera dai sotterfugi del mondo secolare. In quel periodo giungevano a Praga quali predicatori i Frati Minori, grazie ai quali venne a conoscenza della vita spirituale che conduceva in Assisi la vergine Santa Chiara secondo lo spirito francescano. Rimase affascinata da questo modello e decise di imitarne ad ogni costo l’esempio: usufruendo dei propri beni fondò tra il 1232 ed il 1233 a Praga l’ospedale di San Francesco e per dirigerlo l’Ordine dei Crocigeri della Stella Rossa. Allo stesso tempo fondò il monastero di San Francesco per le “Sorelle Povere o Damianite”, ove lei stessa entrò l’11 giugno 1234, giorno di Pentecoste.
Agnese professò duqnue solennemente i voti solenni di castità, povertà ed obbedienza, pienamente consapevole del valore eterno di questi consigli evangelici, e si cimentò nel praticarli con esemplare fedeltà per tutti i suoi giorni. La verginità finalizzata al regno dei cieli costituì l’elemento fondamentale della sua spiritualità. Lo spirito di povertà, che già in precedenza l’aveva indotta a distribuire ai poveri i suoi beni, la spinse a rinunciare totalmente ad ogni proprietà per seguire Cristo povero ed ottenne inoltre che nel suo monastero si praticasse addirittura l’esproprio collettivo. Lo spirito di obbedienza la condusse a conformare sempre più la sua volontà a quella divina che scopriva nella lettura del Vangelo e nella Regola di vita che la Chiesa le aveva donato. Insieme a Santa Chiara si adoperò per ottenere l’approvazione di una nuova ed apposita Regola che, dopo fiduciosa attesa, ricevette e professò con estrema fedeltà.
Poco dopo la professione Agnese divenne badessa del monastero, ufficio che dovette conservare per tutta la vita, esercitandolo con umiltà e carità, con saggezza e zelo, considerandosi sempre come “sorella maggiore” delle monache sottoposte alla sua autorità. La notizia dell’ingresso di Agnese in monastero suscitò ammirazione in tutta ammirazione Europa e tutti coloro che ebbero modo di entrare in contatto con lei poterono testimoniare le sue virtù, come concordemente attestano anche le memorie biografiche: specialmente ammirato era l’ardore della sua carità verso Dio e verso il prossimo, “la fiamma viva dell’amore divino che ardeva continuamente nell'altare del cuore di Agnese, la spingeva tanto in alto, per mezzo dell'inesauribile fede, da farle ininterrottamente cercare il suo Diletto” e si esprimeva in modo peculiare nel fervore con cui adorava i misteri dell’Eucaristia e della Croce del Signore, nonché nella devozione filiale alla Madonna contemplata nel mistero dell’Annunciazione.
L’amore del prossimo, continuò anche dopo la fondazione dell’ospedale a tenere spalancato il suo cuore generoso ad ogni forma di aiuto cristiano. Amò la Chiesa implorando dalla bontà di Dio per i suoi figli i doni della perseveranza nella fede e della solidarietà cristiana. Collaborò con i papi del sue tempo, che per il bene della Chiesa non mancavano di sollecitare le sue preghiere e le sue mediazioni presso i sovrani boemi, suoi familiari. Nutrì sempre un profondo amore per la sua patria, che beneficiò con opere caritative individuali e sociali, nonché con la saggezza dei suoi consigli sempre volti ad evitare conflitti di ogni sorta ed a promuovere la fedeltà alla religione cattolica dei suoi padri.
Negli ultimi anni di vita Agnese sopportò con immutata pazienza i molteplici dolori che afflissero lei e l’intera famiglia reale, il monastero e la Boemia, causati da un infausto conflitto e dalla conseguente anarchia, nonché dalle calamità naturali che si abbatterono sulla regione e la conseguente carestia. Morì infine santamente nel suo monastero il 2 marzo 1282. Numerosi miracoli furono attribuiti all’intercessione della principessa defunta, ma il culto tributatole sin dalla morte ebbe il riconoscimento papale solo il 28 novembre 1874 con decreto del Beato Pio IX. Il Sommo Pontefice Giovanni Paolo II ha infine canonizzato Agnese di Boemia il 12 novembre 1989 nella Basilica Vaticana.

Autore: Fabio Arduino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7-02-27

 


Saint Agnes of Prague
Also known as
Agnes of Bohemia

Memorial
2 March


Profile
Born a Princess, the daughter of King Ottokar I and Queen Constance of Bohemia. Relative of Saint Elizabeth of Hungary.

Educated by Cistercian nuns at Trebnitz, Germany. Though she early perceived a call to religious life, Agnes was for years promised into a series of arranged marriages for political reasons. At age three she was promised to a prince named Boleslaus. When he died prior to the marriage, she was betrothed to Prince Henry, son of the Holy Roman Emperor Frederick II. When Henry chose to marry another, young Agnes was betrothed to Emperor Frederick himself. With the help and intervention of Pope Gregory IX, though affronted, Frederick released Agnes from her marriage obligations, acknowledging that he had lost her to the king of heaven.

She built a Franciscan hospital on land donated by her brother, King Wenceslaus I. She then established the Confraternity of the Crusaders of the Red Star to staff it and its related clinics. She later built a Franciscan friary, and in 1234, Poor Clare convent of Saint Saviour in Prague (in modern Czech Republic) with the aid of five nuns sent by Saint Clare of Assisi herself. Agnes entered the convent of Saint Saviour herself on Pentecost Sunday 1234, eventually became its abbess, and spent 50 years in the cloister.

Agnes was always free with her wealth in service of the poor. She enjoyed cooking for the other sisters, and mending the clothes of lepers. She had the gifts of healing and prophecy, and was given to ecstasies. Though they never met, she and Saint Clare of Assisi kept up an extensive correspondence for two decades, and some of the letters have survived to today.

Born
1205 at Prague, Bohemia (modern Czech Republic)
Died
6 March 1282 at Saint Saviour convent, Prague, Bohemia of natural causes
Beatified
1874 by Pope Pius IX
Canonized
12 November 1989 by Pope John Paul II at Rome, Italy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Catholic Encyclopedia, by Stephen M Donovan
John Paul II’s Book of Saints, by Matthew Bunson and Margaret Bunson
New Catholic Dictionary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Readings
Agnes of Bohemia, although she lived in a period far removed from ours, still remains a shining example of the Christian faith and heroic charity, which invites us to reflection and imitation. She is an example of courage and spiritual help for the young people who generously consecrate themselves to the religious life; for all those who follow Christ; she is a stimulus of charity practiced toward everyone with total dedication, overcoming every barrier of race, nation or mentality; she is the heavenly protectress of our difficult daily journey. To her we can therefore turn with great trust and hope. - Pope John Paul II, during the canonization recognition of Saint Agnes

 

MLA Citation
“Saint Agnes of Prague”. Saints.SQPN.com. 12 May 2012. Web. {today’s date}.

 

 

 

March 2
Blessed Agnes of Prague
1205-1282
On the eve of the feast of the holy virgin and martyr Agnes, in the year 1205, a daughter was born to the king of Bohemia, Primislaus Ottokar I. She also received the name Agnes in baptism.  Her mother, who was an aunt of St. Elizabeth of Hungary, rejoiced when she noticed an admirable seriousness in her infant.  At times she saw how the child folded its little hands in the form of a cross, and then, as if absorbed in deep devotion, would lie quite still.

According to the custom of the time, the king’s daughter was betrothed at the age of three years to the son of the duke of Silesia,

 
and hence was sent to the Silesain convent at Trebnitz, where St. Hedwig was superior at that time, to be educated there.  Her betrothed died after three years, and she was then taken to the convent at Doxan in Bohemia, where the seeds of sanctity which had been sown by St. Hedwig budded forth in marvellous bloom. The child appeared to be destined for the heavenly Spouse rather than for an earthly one; but earthly monarchs renewed their suit for her hand.

Emperor Frederick II desired to secure her as the bride of his son and successor to the throne, Henry, and Agnes, who was now a mature young woman, was sent to the court of the German emperor.  But when the union with Henry came to naught as the result of the prayers of the virgin, King Henry III of England sought her hand in marriage, and finally, even Emperor Frederick II himself, whose consort had meanwhile died.  All the opposition raised by Agnes, who desired to belong entirely to the Divine Bridegroom, seemed in vain.  Then she begged Pope Gregory IX to intervene, and as a result she obtained her freedom.  The emperor declared himself satisfied since Agnes chose not a human being but the God of heaven in preference to him.

Now, however, Agnes strove to embrace the religious state in order to achieve her union with the Divine Bridegroom.  The fame of Poor Clare convents had reached Bohemia, and Agnes resolved, with the assistance of her brother, who had meanwhile ascended the royal throne, to establish a convent of Poor Clares in the capital city of Prague.  Pope Gregory cheerfully gave his consent, and, at his command, St. Clare sent five sisters from the convent of St. Damian in Assisi, to Prague.  Agnes and seven other young women of the highest ranks of society entered the new convent together with these sisters.

Within a short time Agnes distinguished herself among them as a model of virtue; in fervour at prayer, in obedience, in religious discipline, in self-denial, and in humility.  The command of the pope to accept the position of abbess was a great trial for her humility; however, she obtained permission not to carry the title, but rather to be known as the “senior sister.”  Holy zeal, similar to that of her holy mother St. Clare, characterized her vigilance regarding the observance of holy poverty; she declined the royal gifts sent to her by her brother, and would not tolerate that any sister possess anything of a personal nature.  God blessed her with the gift of miracles; she recalled to life the deceased daughter of her brother.

Enriched with heavenly merits, she departed from this life in the odour of sanctity, to enter into eternal union with her Divine Bridegroom, on March 6, 1282, having served Him for forty years in the religious state. Devotion to her, which has existed since time immemorial, received apostolic sanction from Pope Pius IX, and her feast, which has long been celebrated in Prague on March 2nd, has been extended to the entire Franciscan Order.

SPOUSE OF CHRIST
Consider how Blessed Agnes treasured the honour of being chosen by Christ as His spouse.  She rejected the crowns of emperors, and kings, the emperor himself admitted that he could not take it ill of her to prefer the King of heaven to himself.  Indeed, there can be no other honourable union, and every Christian family should consider itself highly honoured if one of its members is called to this distinction.  One may not, however, choose the vocation arbitrarily and from any human considerations, for here the word of the Apostle is applicable: “Neither does any man take the honour to himself, but he who is called by God as Aaron was” (Heb 5:4). -- Let no one insist on following the vocation without being called to it, and on the other hand, let no one who is called be prevented from following it.
Consider that every Christian should, in a certain sense, be a spouse of Christ.  By the mouth of the prophet the Lord says to every soul devoted to Him: “And I will betroth you to Me in faith” (Os 2:20), and concerning heaven, to which every one of us is called.  He speaks in terms of the parable of the ten virgins who went out to meet the bridegroom (Matt 25:1).  No matter in what state you are living, or what your associations are with other people, your soul is a spouse of Christ ever since the day of your baptism, and it must persevere until death in fidelity to Him.  All the love and attachment we feel for human beings must be idealized and ennobled by out love for Christ, and at no time may human affections make us swerve in out fidelity to Him. -- Have you persevered in your loyalty to Him?
Consider how easily the glamour, the honours, and the riches of the world delude us and shake our fidelity towards Christ.  We are not all so strong as Blessed Agnes was.  Hence, we should be on guard, and not direct our glance to this alluring glamour.  Rather, we should pray with the Psalmist: “Turn away my eyes that they may not behold vanity” (Ps 118:37), and if the devil endeavours to lure us, and if he offers all the riches of this world as a reward for yielding to him, then we should say with Christ: “Begone, Satan, for it is written, the Lord you God shall you adore and Him only shall you serve” (Matt 4:10).

PRAYER OF THE CHURCH
O God, who didst raise the virgin, Blessed Agnes, to the heights of heaven through her contempt of the pleasures of life at the royal court and her humble following of Thy cross, grant, we beseech Thee, that by her intercession and imitation, we may merit to be partakers of eternal glory. Who livest and reignest forever and ever.  Amen.
 

 

 



705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