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18일 오르타의 성 살바토르♬Salvator mundi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3-18 ㅣ No.1667

 
축일 3월18일
오르타의 성 살바토르, Observants
San Salvatore da Horta Professo Francescano 
Santa Coloma de Farnés, 1520 - Cagliari, 18 marzo 1567
Saint Salvator of Horta
Born : 1520 at Santa Columba, Gerona, Spain
Died : 1567 at friary at Cagliari, Sardinia, Italy of natural causes
Beatified : 5 February 1606 by Pope Paul V
Canonized : 17 April 1938 by Pope Pius XI


 

성 살바토르는 스페인의 제로나 교구의 산타 꼴룸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은 매우 가난했는데, 설상가상으로 그가 아기 때에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었다.

그는 이때부터 거리를 헤매다가 바르셀로나에서 신기료 장수가 되었다. 이때 그의 나이는 20세였다.

 

그러나 그의 마음 속에는 수도자가 되려는 열망으로 가득하여 프란치스칸이 되고자 하였다.

처음에는 수도원 부엌일에 고용되었는데, 그의 덕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또르또사 예수 마리아 은둔소로 갔다. 

여기서 그 누구보다도 엄격한 생활을 하였는데,

맹인과 벙어리 그리고 불구자들이 그에게 오면 항상 치유받는 기적이 일어나곤 하였다.

 

그는 항상 맨발로 다녔고, 매일 편태하였으며, 깊고 엄격한 단식을 끊임없이 계속했던 것이다.

그는 특히 성모 마리아와 성 바오로 신심이 투철했는데, 수차례에 걸쳐 성모님의 발현을 목격하였다.

그는 47세의 일기로 선종하였으나, 생전에 이미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었다.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오르타의 성 살바토르는 에스파냐 헤로나(Gerona) 교구의 산타 콜룸바(Santa Columba)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은 매우 가난했는데, 설상가상으로 그는 아기 때에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되었다. 그는 이때부터 거리를 헤매다가 바르셀로나(Barcelona)에서 신기료장수가 되었다. 이때 그의 나이는 20세였다. 그러나 그의 마음속에는 수도자가 되려는 열망으로 가득하여 작은 형제회 회원이 되고자 하였다.
 

   바르셀로나에서 작은 형제회에 입회한 그는 처음에는 수도원 부엌일을 담당하였는데, 그의 덕이 급속도로 성장하여 토르토사(Tortosa)의 예수 마리아 은둔소로 갔다. 여기서 그는 그 누구보다도 엄격한 생활을 하였는데, 맹인과 벙어리 그리고 불구자들이 그에게 오면 항상 치유를 받는 기적이 일어나곤 하였다. 그는 항상 맨발로 다녔고, 매일 편태를 했으며, 길고 엄격한 단식을 끊임없이 계속했다. 그는 특히 성모 마리아와 성 바오로(Paulus)에 대한 신심이 투철했으며, 수 차례에 걸쳐 성모님의 발현을 목격하였다. 그는 47세의 일기로 선종하였으나, 생전에 이미 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었다. 그는 1606년 2월 5일 교황 바오로 5세(Paulus V)에 의해 시복되었고, 1938년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는 살바도르(Salvador)로도 불린다.
(가톨릭홈에서)
 

 

 

■간추린 프란치스칸 영성

복음적 그리스도 중심적 영성 | 사도적 선교적 영성 | 작음과 형제애의 영성

 

복음적 그리스도 중심적 영성

 

1. 프란치스코의 성소의 기초로서의 복음 

  프란치스꼬는 당시의 기존 수도회들의 회칙을 받아들이기를 강력하게 반대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이야기도 못 꺼내게 하곤 하였다. 그 이유는 자신의 복음적 성소 때문이라고 단정지을 수 있다. 프란치스꼬는 긴 회개여정 끝에 복음의 메세지들을 통해 자신의 성소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다. 그는 처음에 은수자의 옷을 입고 은수자처럼 살고자 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뽀르찌웅꿀라 성당에서 "사도들의 파견"(Missio Apostolorum)에 관한 설교(마태 10,7-13)를 들은 후 그의 성소는 보다 구체화되고 확고하게 된다. 여기서 프란치스꼬는 주님께서 그를 사도들처럼 하느님 나라와 회개와 평화를 설교하라고 파견하였음을 깨닫게 된다. 그는 이 말씀을 듣고 "이것이 바로 내가 찾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내가 원하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내 온 정성을 기울여 하고싶어 하던 바이다"(1첼라노 22; 대전기 3,1; 세동료 25)라고 외쳤다.

  이 순간에 프란치스꼬가 즉시 새로운 수도회를 창설해야겠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를 따르고자 하는 첫동료들이 생기자 그는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삶이 무엇인지를 복음서를 통해 찾고자 하였다. 그래서 첫 동료들과 함께 산 니꼴로 성당으로 가서 그 당시 만연했던 대중신심인 소위 "사도들의 제비뽑기"(Sortes Apostolorum)를 통해 복음서를 세번 펼쳐보았다. 이렇게 해서 뽑은 세 구절은

1) "완전하게 되려거든 가지고 있는 것을 모두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고나서 나를 따르라"(마태 19,21). 2) "여행중에 아무것도 지니고 다니지 말라"(루가 9,3). 3) "나를 따르려면 자기자신을 부정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마태 16,24) 였다. 모두 그리스도를 따르라는 주제였고, 이에 프란치스꼬는 "이것이 우리의 생활이요, 우리와 앞으로 우리를 따르게 될 이들의 회칙입니다"(대전기 3,3; 세동료 29; AnP 11)고 하였다.

  프란치스꼬는 이렇게 복음을 통해서 자신의 성소를 찾게 되었으며, 그리하여 그는 "거룩한 복음의 양식에 따라 살아야 할 것을 주님 친히 가르쳐 주셨다"(유언)고 말한다. 그래서 프란치스꼬는 당시의 수도생활이 초대교회 공동체의 삶을 이상으로 제시한 반면,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삶을 이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2.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의 생활양식
  프란치스꼬는 자신과 형제들의 삶을 "순종하며 소유없이 정결하게 살면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르는 것"(2회칙 1,1)으로 제시한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지상에서 사셨던 것처럼 산다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당시 일반화 되어 있었던 정주적(定住的)인 수도승적인 양식을 거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예수님과 사도들처럼 일정한 거주지 없이 순회설교적인 생활 양식을 기본 생활양식으로 삼게 된다. 프란치스꼬의 글 안에 "주님께서 말씀하십니다." 혹은 "사도가 말합니다."라는 표현들을 자주 발견하게 되고, 초대교회 공동체의 아름다운 모습을 기술하고 있는 사도행전의 내용을 발견할 수 없는 것이 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프란치스꼬가 발견한 예수 그리스도의 모습은 당시 교회가 갖고 있던 그리스도 상과는 거리가 먼 것이었다.   

3. 가난하시고 겸손하시며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 중심주의

  프란치스꼬의 시대는 교황권이 절대적인 경지에 오른 시기였고 따라서 교회의 입장에서는 황금기인 시대였다. 지상의 왕권은 교황권에 예속되어 있었다. 이 시대를 풍미한 그리스도관은 부활,승천하셔서 전능하신 하느님 오른 편에 앉아계시면서 지상의 대리자를 통해 통치하시고, 영광중에 재림하시어 심판하실 왕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교회는 그리스도를 대신해서 세상을 통치하고, 세속의 권세는 영적인 권세인 교황권에 굴복해야만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프란치스꼬가 복음서를 통해서 발견한 그리스도는 그와 정반대되는 모습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스도는 "가난하시고 겸손하시며 십자가에 못박히신 분"이라는 것이다. 바로 그것을 통해 그리스도는 우리를 구원하셨다는 것이다. 따라서 프란치스꼬와 그의 제자들이 따르게 될 그리스도는 영광의 그리스도가 아니라 가난하게 사셨고 겸손하게 사셨으며 결국 우리의 구원을 위해 십자가에 벌거벗은 채로 못박히셨던 그 그리스도인 것이다. 이러한 그리스도관은 교회와 모든 크리스챤에게 회개를 거듭 요청하게 된다.  
 

4. 회개생활

  공생활을 시작하면서 예수께서 선포하신 첫 발설말씀은 "회개하라, 하느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마르 1,15)는 것이었다. 프란치스꼬는 자신과 초기동료들을 "아씨시의 회개자들"이라 불렀다. 프란치스꼬는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회개의 삶을 살아야 한다고 스스로 인식하였다. 그에게 있어 회개는 마음의 변화요, 의식의 변화, 시각의 변화였다(참조: 유언 1-3). 실제로 그와 초기동료들이 교황님으로부터 회칙을 구두로 인준받고 처음으로 받은 공식소명은 바로 하느님 나라와 회개와 평화를 설교하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프란치스칸들은 먼저 자신들이 회개하고 회개했다는 증거를 삶으로 보이고, 그리하여 다른 사람들을 회개에로 초대할 소명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사도적 선교적 영성

 

1. 모든 계층 안의 크리스챤에게 개방된 영성  

   교회 안에서의 수도생활의 역사를 보면, 어떤 수도생활 양식은 성직자 중심이고, 또 어떤 생활양식은 극히 수도승적(평수사 중심)이었다. 프란치스꼬는 성직계에 속하든 평신도계에 속하든, 또 출신 신분이 귀족이든 평민이든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었고 모두를 받아들였다. 마치 예수의 제자들인 사도들이 계급과 신분의 지장없이 불리움을 받은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란치스꼬는 여자들을 위한 프란치스칸적인 생활양식을 창설하였으며(제2회: 글라라회), 평신도들을 위해서도 프란치스칸적인 생활양식을 창설하였다(제3회: 재속 프란치스꼬회). 이리하여 신분, 계급 여하에 상관없이 모두가 가난하시고 겸손하시며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를 따를 수 있다는 자신의 확신을 실현에 옮긴 셈이다.      
 

2. 교회 안에서의 영성

   프란치스칸의 거룩한 복음을 따르는 생활은 교회 안에서 교회를 위한 생활이다. 프란치스꼬는 시초부터 자신의 성소가 올바른 것인지의 여부를 교회가 가려주기를 희망하였다. 그래서 그는 자신과 초기 형제들이 선택한 생활양식을 교황성하로부터 인준받으려고 노력하였다. 당시의 복음적 운동들은 프란치스꼬처럼 거룩한 복음에 따라 사는 삶을 주창하였지만, 교회에 반기를 들며 교회 없는 삶의 구조를 추구함으로써 이단에 빠지는 오류들을 범하기도 하였다. 프란치스꼬는 이러한 이단적인 오류들을 깊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근본적인 이유를 교회 안에서의 삶을 택하지 않은데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교회는 그리스도 친히 사도들을 주추삼아 세운 것이기 때문에 교회를 통해서 확인되지 않는 삶이란 바로 그리스도로부터 확인되지 않은 삶이 되고 말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그는 자주 형제들이 교회와 교회의 성직자들에게 최대한의 존경과 사랑을 드리라고 명했으며, 입회의 조건에 있어서도 "가톨릭 신앙과 교회의 성사"에 대한 시험을 전제로 하기도 하였다. 어떤 속화되고 불쌍한 사제를 만난다해도 그들을 존경하고 사랑하라고도 가르쳤다. 이렇게 거룩한 복음을 따르는 생활과 거룩한 교회 안에서의 생활은 본질적으로 분리불가능한 요소였다. 그래서 그는 회칙의 마지막 부분에서 단호하게 선언하고 있다: "형제들은 거룩한 교회의 발 아래 항상 매여 순종함으로, 가톨릭 믿음의 기초 위에 굳건히 서서 우리가 굳게 서약한 가난과 겸손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거룩한 복음을 실행하도록 합시다"(2회칙 12,4).   
 

3. 삶의 영성

   거룩한 교회 안에서의 삶은 필연적으로 교회의 사명에 이바지하도록 이끌어준다. 이러한 교회의 사명에 이바지하는 프란치스칸적인 방법은 어떤 사업이나 거창한 활동을 통해서라기보다는 무엇보다도 삶으로써 자신들이 크리스챤이요 회개자임을 증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프란치스칸 카리스마는 어떤 수도회들의 카리스마처럼 어떤 사업이나 고유 목적을 위해 생겨난 것이 아니라, 철저하고도 근본적으로 복음을 삶으로써 그 삶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프란치스꼬는 "생활 혹은 삶"이란 용어를 자주 사용하며 그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작은 형제들의 회칙과 생활은..." "이 생활을 받아들이려는 이들은..." 그래서 프란치스칸 영성은 사업이나 활동보다는 형제적인 삶, 회개의 삶, 복음적 생활이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이나 활동은 삶의 결과로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삶을 통해 스스로 복음화 되고 또 복음화 시키는 것이 작은형제들의 제일차적인 과제일 것이다.     
 

4. 선교적 영성

   교회 안에서 교회의 사명에 이바지하도록 불리움받은 작은 형제들은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인 선교에로 열려있기 마련이다. 프란치스꼬 역시 초기부터 이러한 선교적 열정에 북받쳐 수차례에 걸쳐 선교여행을 떠났으며, 순교의 열정에 사로잡혀 있었다. 특별히 당시 그리스도교와 가장 적대적이었던 이슬람교도들을 한 형제로 받아들이고 화해의 사신으로서의 역할을 수행코자 하였다. 그 결과 성지탈환의 이유로 십자군 전쟁이 수차례에 걸쳐 일어나고 있던 상황에 그는 동방으로 건너가 홀몸으로 이슬람의 술탄을 만나 평화와 화해의 정신으로 한 형제임을 느끼게 해주었다. 그 이후 지금까지 성지 이스라엘은 작은 형제들의 배타적인 선교지로 사도좌는 인정하고 있고, 회교도들도 작은 형제들만을 로마교회의 공식적인 대표자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사부요 스승의 선교적 모범은 작은 형제들의 마음과 역사 안에서 늘 살아 숨쉬고 있다. 이러한 선교적 열정의 덕분으로 전 세계 거의 모든 나라에 그리스도교와 프란치스카니즘을 심어왔고 또 오늘날에도 아프리카, 러시아, 중국, 태국 등 선교 프로젝트들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프란치스칸 성소는 본질적으로 선교적이라고 할 수 있다.  

 

 

 

작음과 형제애의 영성

프란치스꼬회의 공식명칭은 "작은 형제회"(Ordo Fratrum Minorum)이다.

이 명칭은 바로 프란치스칸 영성을 요약해 주고 있다. 작음(minoritas)과 형제애(fraternitas)를 바탕으로해서 복음적 삶을 영위한다는 것이다.


  이 작음의 정신은 그 안에 가난과 겸손이라는 덕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은형제들은 가난하시고 겸손하신 그리스도의 제자들로서의 삶을 본질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가난한 자가 되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하나가 되며 그들로부터 복음화되고 복음화시키는 것을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인식한다. 또한 가난한 자들처럼 일과 노동을 통해 땀흘려 일하고 소박하고 단순한 생활을 영위하며 모든 것을 가난한 이들처럼 하느님께 신뢰하며 복음적 불안정의 삶을 살아간다. 이렇게 일과 노동은 생계유지의 제일차적인 수단이며 나머지는 하느님의 자비하심에 의존하며 그분이 보내주시는 은인들의 애긍을 통해서 살아가게 된다.


  형제애의 정신은 사랑과 순종을 전제로 한다. 프란치스꼬는 수도회 개념보다는 형제회 개념을 더 중시하였다. 우리 모두는 맏형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모두가 한 형제들이라는 것이다.

이 형제애는 "어머니가 자식을 기르고 돌보는 이상으로 형제들 상호간에 기르고 돌보는 정신"이다. 이러한 형제애는 가난 안에서도 기쁨이 넘치는 공동체를 가능케 한다. 형제 상호간의 사랑과 애정어린 순종은 기쁨의 영성을 프란치스칸 영성의 특징적인 요소로 부각시켜 준다. 이렇게 공동체 안에서 체험되는 형제애는 신분계급 여하를 막론하고 모든 이에게로 확장된다. 선인이든 악인이든 크리스챤이든 이교도이든 원수이든 강도이든 성한 사람이든 병자들이든 모든 이가 한 아버지 하느님의 자녀로서 받아들이도록 해 준다. 더 나아가 프란치스꼬가 그랬듯이 이 형제애는 자연과 우주 만물에 대한 사랑으로 더욱더 확장된다. 바로 우주적인 형제애, 만인의 형제가 되는 것이 프란치스칸 형제애의 본질이다.

(작은형제회홈에서 www.ofm.or.kr

 

 

♬Salvator mundi-Taize

 

 

 

 

 

 

 

 

 

 

 

 

 

 

 

 

 

 

 

 

 

 

 

 

 

 

 

 

 



 
San Salvatore da Horta Professo Francescano
18 marzo 
Santa Coloma de Farnés, 1520 - Cagliari, 18 marzo 1567

Nacque nel dicembre 1520 a Santa Coloma de Farnés, in Catalogna (Spagna). Rimasto orfano molto presto, dopo un periodo di prova nell'abbazia benedettina di Montserrat, scelse definitivamente la via della povertà entrando nel convento francescano di Barcellona, dove fece la professione religiosa nel 1542. Trasferito a Tortosa cominciò a essere conosciuto per i suoi poteri di taumaturgo. Malgrado l'umiltà con cui lo viveva, questo dono gli causò incomprensione da parte dei confratelli. Per anni peregrinò da un convento all'altro e ovunque si ripeteva lo stesso copione: prodigi e nuove inimicizie. Fu persino denunciato all'Inquisizione che non trovò nulla contro di lui. Conobbe un po' di pace nel convento di Santa Maria di Gesù a Cagliari dove giunse nel 1565. Morì il 18 marzo 1567. Pio XII l'ha canonizzato il 17 aprile 1938. (Avvenire)

Martirologio Romano: A Cagliari, san Salvatore Grionesos da Horta, religioso dell’Ordine dei Frati Minori, che si fece umile strumento di Cristo per la salvezza dei corpi e delle anime. 


Ecco un santo che a causa del carisma di operare troppi miracoli, passò parecchi guai nella sua vita. Salvatore nacque del dicembre 1520 a Santa Coloma de Farnés nella Catalogna (Spagna), i genitori di cui si conosce solo il cognome Grionesos, lavoravano assistendo gli ammalati del piccolo ospedale della zona e di cui in seguito ne ebbero la direzione.
Rimasto orfano giovanissimo, andò a Barcellona dove si mise a fare il calzolaio per sostenere la sorella minore Blasia. Non appena questa sorella si sposò, Salvatore poté così in piena libertà, scegliere la vita religiosa da sempre desiderata; lasciata Barcellona andò nella famosa abbazia benedettina di Montserrat per un periodo di prova, ma la sua vocazione di umiltà e povertà ebbe la sua attuazione, dopo l´incontro con i francescani, entrando il 3 maggio 1541 nel loro convento di Barcellona.
Si distinse subito per le sue virtù e pietà, fece la professione religiosa nel maggio del 1542 e trasferito poi a Tortosa dove fu impiegato in tutti i servizi più faticosi, che espletò con prontezza e diligenza; ma cominciarono pure i guai per lui; dotato di poteri taumaturgici, operava prodigi su prodigi e la sua fama di dispensatore di miracoli, che lo rendevano oltremodo popolare, suscitò l´incomprensione dei confratelli e l´ostilità dei superiori, i quali infastiditi da tanto clamore lo ritennero un indemoniato e presero a trasferirlo da un convento all´altro.
Dovunque arrivasse i prodigi proseguivano, i frati si mettevano le mani nei capelli e giocoforza si armavano di pazienza con quel confratello laico professo, che faceva perdere la loro pace. Da Tortosa, fu inviato prima a Belipuig e verso il 1559 ad Horta nella provincia di Tarragona in Catalogna, dove restò per quasi 12 anni, compiendo anche qui numerosi miracoli, gli fu mutato anche il nome in fra´ Alfonso, nel tentativo di allontanarlo dai fedeli, ma alla fine fu trasferito anche da qui.
Giunto a Reus lo attendevano ulteriori persecuzioni e un altro allontanamento a Barcellona, che era sede della famigerata Inquisizione spagnola e a cui Salvatore venne perfino denunziato, uscendone comunque trionfante con l´umiltà e la carità dei santi.
Infine ultima tappa del suo doloroso calvario itinerante, fu il convento di S. Maria di Gesù a Cagliari in Sardegna, giungendovi nel novembre del 1565, trovando finalmente qui un´oasi di pace, pur continuando i fatti straordinari che l´avevano accompagnato per tutto quel tempo, procurandogli dolori, sofferenze, incomprensioni; in altre parole beneficando la vita degli altri e avvelenandosi la sua.
Colpito da una violenta malattia, fra´ Salvatore da Horta, morì a Cagliari il 18 marzo 1567 fra il dolore di tutta la città, che ancora oggi ne venera le reliquie nella Chiesa di S. Rosalia; il corpo del santo è custodito in una preziosa urna di bronzo dorato, arricchita di pregiati cristalli. L´urna è sistemata visibile, sotto la mensa dell´altare maggiore al centro del presbiterio, attorniata da quattro angeli oranti in marmo bianco.
Da qui, il culto per il taumaturgo, laico professo dei Frati Minori Francescani, crebbe e si estese in tutta la Spagna e Portogallo; il 15 febbraio 1606 dietro richiesta del re Filippo II di Spagna, il papa Paolo V gli accordò il titolo di beato, confermato il 29 gennaio 1711 da papa Clemente XI.E il 17 aprile 1938, papa Pio XI lo canonizzò, stabilendo la festa liturgica per l´umile santo, perseguitato perché troppo miracoloso, al 18 marzo.

Il nome Salvatore è molto diffuso nell´Italia Meridionale e in particolare in Sicilia, anche nelle varianti Turi, Turiddu; bisogna però dire che il nome Salvatore più che al santo di cui abbiamo parlato, si riferisce almeno in Campania, a Gesù Salvatore e la cui festa della "Trasfigurazione di Gesù" è al 6 agosto.
Il santo spagnolo di Horta è molto venerato anche nel Comune di Orta di Atella, in provincia di Caserta, che per puro caso ha il nome come la città spagnola, che identifica il santo francescano.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2-06-29

 

 

 

 

 

 


Saint Salvator of Horta
18 March

Profile

Shepherd. Shoemaker. Franciscan lay brother at Barcelona, Spain. Cook, beggar and porter at the friary in the Horta-Guinardó area of Barcelona. Miracle worker and healer. His cell became a destination for sick pilgrims; said to have cured as many as 2,000 in a single day.

Born
1520 at Santa Columba, Gerona, Spain
Died
1567 at friary at Cagliari, Sardinia, Italy of natural causes
Beatified
5 February 1606 by Pope Paul V
Canonized
17 April 1938 by Pope Pius XI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Catholic Online
Kirken i Norge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MLA Citation
“Saint Salvator of Horta”. Saints.SQPN.com. 18 March 2010. Web. {today’s date}.

 

 


March 18
St. Salvator of Horta
1520 - 1567
 
Born at Santa Colomba, Gerona, Spain, he was orphaned as a child and became a shoemaker before joining the Franciscans in Barcelona as a lay brother.

As a lay brother of the Franciscan friary of Horta, near Tortosa, Spain, Salvator worked for many years as a humble cook in the friary. He was assigned to begging alms for the order. While begging, he met the sick, who asked for his prayers. Upon his making the sign of the cross over them, many were healed. His reputation for miracles drew multitudes to the friary. The situation soon became so overwhelming that Brother Salvator was secretly transferred to another friary, near Horta. But the faithful soon discovered the fact, and flocked to Horta. Among those healed through the friar's prayers was a ten-year-old girl, blind from birth, who immediately upon kneeling with her parents before an image of the Madonna and Child to pray for a cure, said to her father, "How beautiful is the little child whom our Lady bears in her arms!" Her parents at once realized that their prayer for the girl's eyesight had been granted. Given to almost constant prayer, and devoted to the Blessed Sacrament, Brother Salvator was overheard in his prayers familiarly conversing with Christ and our Lady. His cell became a destination for sick pilgrims; said to have cured as many as 2,000 in a single day.

On his deathbed, at the friary of Caliari, Sardinia, he embraced a crucifix, kissing the Lord's wounds, and uttering as his final words the names of Jesus and Mary.     He worked for many years as a humble cook in the friary of Horta, near Tortosa,. During his life, he was known for his many and severe austerities and his miracles. He was canonized in 1938
 

 

 

Den hellige Salvator av Orta (1520-1567)

Minnedag: 18. mars
 
Den hellige Salvator av Orta (1520-1567) 
Den hellige Salvator Grionesos (sp: Salvador) ble født i desember 1520 i Santa Coloma de Farnés i bispedømmet Girona (sp: Gerona) i Katalonia i Spania. Hans foreldre var fattige og arbeidet begge nattskift på det lokale sykehuset og mottok de syke fattige. Deres sønn var kjent blant skolekameratene ganske enkelt som «Hospital Salvator». Han ble foreldreløs mens han var barn og flyttet til Barcelona, hvor han ble skomakerlærling. Han tjente også som gjeter og som tjener for benediktinerne i helligdommen i Montserrat.

Den 3. mai 1541 trådte han som tyveåring inn som legbror i fransiskanerordenens observant-gren (Ordo Fratrum Minorum Observantiae – OFMObs) i deres kloster Santa María i Barcelona. Om dagen arbeidet han i kjøkkenet, hvor hans ydmykhet og fromhet vitnet om en dyp lengsel etter et liv i nærhet av Gud, mens han om natten søkte denne nærheten i bønn.

Etter sin løfteavleggelse ble han sendt til klosteret Santa María de Jesús i Tortosa, hvor han først var kokk, deretter portner og almissetigger. De helbredelsene han utførte mens han var ute og tigget, gjorde ham snart kjent for hele befolkningen i byen. Så store folkemengder beleiret hver dag klosteret og tryglet om hans forbønner for deres plager, at hans overordnede sendte ham under falskt navn til en avsidesliggende kommunitet i fjellene, ikke langt fra byen Orta (Horta) ved Tortosa i Katalonia.


 Der tilbrakte Salvator de fleste av sine 27 år som ordensbror, men ikke i den glemsel som var planlagt for ham. Folkemengder som på en eller annen måte var informert om hans nærvær, strømmet til klosteret og forlangte å få treffe den ydmyke broderen. På sin vanlige måte påla han dem å gå til skrifte og kommunion og gjorde korsets tegn over dem, og de ble helbredet. Over 2.000 pilegrimer ankom hver uke.

Igjen klaget brødrene over den forstyrrelse disse menneskemengdene førte med seg, og igjen ble broder Salvator sendt bort, denne gangen til Reus, hvor nøyaktig det samme skjedde. Folkemengdene ankom med åpenbar sikker visshet om Salvators nærvær i Reus. Til slutt vendte han tilbake til sitt første kloster i Barcelona, hvor miraklene fortsatte. En venn der advarte ham en gang mot faren for forfengelighet. Salvador svarte: «Jeg er ikke annet enn en sekk med halm, hvis verdi forblir den samme enten den er på loftet, i kjelleren eller i stallen!»

Uansett hvor berømt han ble, uansett hvor mange mennesker, både kongelige og alminnelige mennesker, som kom for å treffe ham fra Spania, Portugal, Frankrike, forble broder Salvador den samme. Han gikk alltid barføtt, pisket seg hver dag og holdt lange og strenge faster. Han var spesielt hengiven til Vår Frue og den hellige Paulus, som det ble sagt at viste seg for ham ved flere anledninger, spesielt på hans dødsleie. I 1560 ønsket kong Filip II at han flyttet til Madrid for å bo i kongepalasset og be for den kongelige familie. Også den hellige Frans Borgia, som da fortsatt var hertug av Candia, tilbød ham gjestfrihet noen dager i sitt palass.


 I 1565 sendte hans overordnede ham til klosteret Santa Maria di Gesù i Cagliari på Sardinia. Der var han høyt æret av folket da han ble alvorlig syk og døde den 18. mars 1567, 47 år gammel. I hans begravelse deltok enorme menneskemengder. Han ble saligkåret den 5. februar 1606 av pave Paul V (1605-21), og saligkåringen ble ratifisert den 29. januar 1711 av pave Klemens XI (1700-21). Han ble helligkåret den 17. april 1938 av pave Pius XI (1922-39). Hans minnedag er dødsdagen 18. mars. Hans navn står i Martyrologium Romanum.

 


St. Salvator of Horta
Feastday: March 18

1567
Franciscan confessor. Born at Santa Colomba, Gerona, Spain, he was orphaned as a child and became a shoemaker before joining the Franciscans in Barcelona as a lay brother. He worked for many years as a humble cook in the friary of Horta, near Tortosa, dying at the friary of Caliari, Sardinia. During his life, he was known for his many and severe austerities and his miracles. He was canonized in 1938.

 

 

 

 

 

 

 

 

 

 

 

 

 

 



337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