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15일 성조 이사악과 리브가(레베카)♬As the Deer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3-15 ㅣ No.1662

 

Meeting of Isaac and Rebecca- CASTIGLIONE, Giovanni Benedetto

Oil on canvas, 124 x 175 cm. The Hermitage, St. Petersburg

 

축일:3월15일

성조 이사악과 리브가(레베카)

구약성서 인물. 이스라엘

 

 

이사악 Isaac

Sant' Isacco Patriarca
Isacco = Dio gli sorride, salvezza di Dio, dall'ebraico

 

아브라함과 사라의 외아들. 그의 이름은 `웃다’ 또는 `미소짓다’라는 뜻을 지닌 히브리어 에서 유래하였는데

이는 사라가 늙은 나이에 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웃었다는 이야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느님은 아브라함에게 그가 많은 후손을 갖게 될 것이며 그 후손들은 팔레스티나 땅을 물려받게 될 것이라고 약속하였다

(창세 12:7, 13:14-17, 15:18-21).

그러나 사라가 너무 늙었기 때문에 아기를 낳는 것은 불가능해 보였다.

그래서 사라는 아브라함으로 하여금 사라의 하녀 아가와의 사이에서 아기를 낳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해서 태어난 이스마엘은 하느님이 약속한 아들이 아니었다.

 

이사악이야말로 믿음의 자식이며 그를 통해서 하느님의 언약이 실현되었다 (창세 17:15-19, 로마9:7).

하느님이 아브라함에게 이사악을 제물로 바칠 것을 요구한 것은 아브라함의 믿음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었다(창세 22:1-18).

 

이사악이 그의 아버지에 의해 죽음 직전에까지 이르고

하느님에 의해 목숨을 건짐을 신학자들은 예수의 희생과 부활을 상징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사악이 가나안의 여인과 결혼할 경우 아브라함의 혈통이 더럽혀지게 되므로

아브라함의 고향인 메소포타미아의 처녀 레베카가 이사악의 아내로 선택되었으며(창세 24:1-67),

이 둘사이에서 에사오와 야곱이 태어난다.

(가톨릭대사전에서)

 

 

 

마태오복음 22:32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이요, 이사악의 하느님이요, 야곱의 하느님이다.’ 하시지 않았느냐?

이 말씀은 하느님께서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이들의 하느님이라는 뜻이다."

 

 

마르코복음 12:26

너희는 모세의 책에 있는 가시덤불 대목에서 죽은 이들의 부활에 관한 글을 읽어보지 못하였느냐?

거기서 하느님께서는 모세에게 ’나는 아브라함의 하느님이요, 이사악의 하느님이요, 야곱의 하느님이다.’ 하셨다.

 

 

보시니 참 좋았다(성서가족을 위한 창세기 해설서) 245-253쪽에서

 

아브라함의 희생 봉헌(22,1-19)
  아브라함은 일찍 일어나(22,3) 번제를 올릴 준비를 하고 떠난다. 이처럼 희생제사를 드리러 특정한 곳으로 떠나는 것은 성조시대가 아닌 후대의 성지순례 관습이 반영된 것이다. 그에게 있어 참된 희망은 이사악이 아니라 하느님이었고 그분의 말씀이었다.
그는 하느님의 말씀에 따라 과거에 그의 고향과 친척과 아비의 집을 떠났듯이(12,1-3) 이제 또 다시 하느님의 말씀에 따라 이사악 때문에 이루어질 수 있는 모든 미래를 포기한다.
이윽고 산이 멀리 보이는 곳에 다다른 아브라함은 종들을 산 아래에서 기다리게 하고 이사악과 단 둘이 산에 오른다(22,4-6).
  긴장된 침묵을 깨뜨린 아브라함과 이사악 사이의 짧은 대화에는 아버지의 깊고 자에로운 마음이 잘 나타나 있다(22,7). 아브라암이 "어린양은 하느님께서 손수 마련하신단다."(22,8)라고 한 것은 앞으로 일어날 일을 미리 예견해서 한 말이 아니라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표현된 그의 바램이자 진실이었다.
  아브라함의 희생봉헌 설화에서 먼저 드러나는 것은 자식까지도 바치는 아브라함의 믿음이다. '하느님의 친구'(야고2,23)라고 불리운 그의 굳은 믿음은 구원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이 이야기의 진정한 뜻은 단지 아브라함의 믿음을 칭송하고 그를 믿음의 본보기로 내세우려는 것만이 아니다. 여기서 중심은 하느님이시다. 오직 그분만이 모든 고통과 문제들을 해결하며 해방을 주실 수 있는 유일한 절대자이시다. 하느님을 중심으로 이 이야기를 살펴 볼 때 이사악 봉헌 설화는 우리가 하느님의 침묵 속에서 갖가지 문제와 고통에 직면할 지라도 하느님께 신뢰하며 그 뜻을 따를 때 진정한 구원과 해방을 체험하게 될 것을 가르친다.


이사악의 혼인(창세24,1-67)
  리브가는 물을 길으러 왔다가 종의 청을 듣고 그에게 마실 물을 줄 뿐만 아니라 급히 서둘러 낙타들에게도 물을 먹였다. 구약성경은 이렇게 일상의 평범한 일에 열심인 여자를 아름답다고 표현한다(창세24,16 참조)
  이사악은 '고개를 들어' 낙타 떼를 보았고 리브가도 '고개를 들어' 이사악을 보고 낙타에서 내려 그에게 존경을 표시했다(여호15,18: 1사무25,23참조). 그들 두사람의 '서로 봄'은 곧 사랑으로 이어진다(창세24,67).
  결국 이 이야기의 주제는 '하느님이 이끄시는 손길'이다. 여기서 직접적인 하느님의 행동은 나타나지 않지만 공동체의 삶뿐아니라 한 개인의 삶 구석구석까지 하느님의 손길이 미친다는 사실이 강조된다. 평범한 일상사와 한 개인의 삶 안에도 하느님의 축복이 머물고 섭리의 손길이 움직이시기에 우리는 '항상 기뻐하고 늘 기도하며 어떤 처지에서든지 감사하게 된다'(1데살5,16-18).

 

 

Rebecca at the Well-SOLIMENA, Francesco

Oil on canvas, 72 x 63 cm.The Hermitage, St. Petersburg

 

리브가(혹은 레베카) Rebecca

리브가는 "그물 끈"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리브가는 이사악의 아내이며, 슬하에 에사오와 야곱의 두아들을 두었다.

리브가는 작은 아들을 더 좋아하여 형의 장자권을 빼앗는데, 야곱을 도와준다.

창세기 22장 - 29장에 그의 생애를 읽어 볼 수 있다.

 

 

창세24,34-67

 

34 그는 입을 열어 말하였다. "제 주인은 아브라함이라고 합니다.

35 제 주인은 야훼께 복을 많이 받아 굉장한 부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양떼와 소떼, 금과 은, 남종과 여종, 낙타와 나귀를 야훼께 많이 받았습니다.

36 안주인 사라는 늘그막에 주인에게 아들을 낳아 드렸는데 주인은 그의 전재산을 그 아들에게 주었습니다.

37 그런데 제 주인은 저에게 맹세하라고 하시면서 이렇게 당부하셨습니다. ’나는 내가 살고 있는 이 곳 가나안 사람의 딸들 가운데서는 며느릿감을 고르지 않겠다.

38 그러니 너는 내 아버지의 가문, 내 일가를 찾아 가서 며느릿감을 골라 오너라.’

39 제가 주인에게 ’만일 신부감이 저를 따라 오려고 하지 않으면 어떻게 할까요?’ 하고 여쭈었떠니

40 주인은 저에게 이렇게 일러 주셨습니다. ’내가 섬겨 온 야훼께서 당신의 천사를 따라 보내시어 제가 가서 하려는 일을 뜻대로 이루어 주실 것이다.

너는 내 아버지의 가문, 내 일가 가운데서 며느릿감을 골라 올 수 있을 것이다.

41 그러니 너는 내 일가들한테로 가기만 하면 네 책임을 다하는 것 이다. 내 일가들이 며느릿감을 내주지 않아도 너는 책임이없다’

42 저는 오늘 그 샘터에 이르러 기도했습니다. ’제 주인 아브라함의 하느님! 제가 띠고 온 사명을 뜻대로 이루어 주시려 거든 이렇게 해 주십시오.

43 지금 제가 샘터에 서 있는데, 혼기가 찬 여자가 물을 길으러 나오면, 항아리에서 물을 한 모금 마시게 해 달라고 말을 걸어 보겠습니다.

44 만일 저에게 물을 마시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제 낙타에게도 물을 길어 주겠다고 나서는 여자가 있으면,

그 여자가 바로 제 주인의 며느릿감으로 야훼께서 정해주신 여자인 줄 알겠습니다.’

45 제가 이렇게 기도를 마치기도 전에 리브가가 항아리를 어깨에 메고 나와 물을 길으러 샘터로 내려 오는 것이 아니겠읍니까?

그래서 저는 리브가에게 물 한 모금만 달라고 했습니다.

46 그랬더니 리브가는 어깨에서 얼른 항아리를 내려 놓으며 마시라고 하면서 나의 낙타들에게도 물을 길어 주겠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물을 마셨습니다. 리브가는 낙타들에게도 물을 길어 주었습니다.

47 저는 리브가에게 뉘 댁 따님이냐고 물었습니다. 그랬더니 브두엘의 딸이요 나홀과 밀가의 손녀라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그의 코에 코고리를 걸어 주고 두 팔목에 팔찌를 끼워 주고 나서

48 야훼께 엎드려 경배하고 제 주인 아브라함의 하느님을 찬양하였습니다. 그분은 저를 이렇게 바로 인도해 주시어 주인님의 조카딸을

주인댁 아드님의 아내감으로 찾아 내게 하셨습니다.

49 그러니 이제 제 주인에게 참 호의를 베풀어 주시려거든 그렇다고 말씀해 주십시오. 아니면 그렇지 않다고 말씀해 주십시요. 그래야 저도 제 갈길을 찾겠습니다.

50 그러자 라반과 브두엘이 "이 일은 야훼께서 하시는 일인데 우리가 어찌 좋다 싫다 하겠읍니까?" 하며 승낙하였다.

51 "리브가가 여기 있으니 데리고 가십시오. 야훼께서 말씀하신대로 당신 주인의 며느리로 삼으십시오."

52 아브라함의 종은 그 말을 듣고 땅에 엎드려 야훼께 경배하고 53 금은 패물과 옷가지들을 리브가에게 건네고 그의 오라버니와 어머니에게도 선물을 주었다.

54 그와 그의 일행은 융숭한 대접을 받고 하룻밤 편히 쉬었다. 이튿날 아침, 모두가 일어났을 때 아브라함의 종이 주인에게 돌아 가야겠다고 하자,

55 리브가의 오라버니와 어머니가 만류하고 나섰다. "좀 더 집에 두었다가 데려 가십시오. 열흘만이라도 두었다가 데려가십시오."

56 그러나, 아브라함의 종은 "붙잡지 마십시오. 제가 여기에 찾아 온 목적을 야훼께서 이렇게 뜻대로 이루어 주셨으니, 주인에게 돌아 가야 하겠습니다.

떠나게 해 주십시오" 하고 듣지 않았다.

57 그들이 말하였다. "그러시다면 그애를 불러서 물어 봅시다."

58 그들은 리브가를 불러서 "이 어른과 같이 갈 마음이 있느냐?" 물어 보았다. 리브가가 대답하였다. "예, 가겠습니다."

59 그러자 그들은 누이 동생 리브가와 그의 유모를 아브라함의 종과 그의 일행에 딸려 보내며

60 리브가에게 복을 빌어 주었다. "누이야, 너는 억조창생의 어머니가 되어라. 네 후손은 원수들의 성문을 부수고 그 성을 빼앗아라."

61 리브가는 몸종들과 함께 낙타를 타고 그 사람을 따라 나섰다. 이리하여 그 종은 리브가를 데리고 길을 떠나게 되었다.

62 그 때 이사악은 라하이 로이라는 샘이 있는 사막 지방에 와서 살고 있었다. 그 곳은 네겝땅이었다.

63 저녁때가 되어 이사악은 들에 바람쐬러 나왔다가 고개를 들어 낙타 떼가 가까이 오고 있는 것을 보았다.

64 리브가도 고개를 들어 이사악을 보고 낙타에서 내려

65 아브라함의 종에게 물었다. "들을 가로 질러 우리 쪽으로 오시는 저분은 누구입니까?"

종이 대답하였다. "제 주인입니다." 리브가 는 종의 말을 듣고 너울을 꺼내어 얼굴을 가렸다.

66 아브라함의 종은 그동안의 경위를 낱낱이 이사악에게 보고하였다

67 이사악은 리브가를 천막으로 맞아 들여 아내로 삼았다. 이사악은 아내를 사랑하며 어머니 잃은 슬픔을 달랬다.

 

 

 

 

♬As the Deer

update 2007.3.14.

 

 

 

 

 

 

 

 

 

 

Sant' Isacco Patriarca
25 marzo
Etimologia: Isacco = Dio gli sorride, salvezza di Dio, dall'ebraico
 
Figlio di Abramo e Sara, padre di Esaú e Giacobbe. Visse piú a lungo di Abramo, meno nomade di lui, meno ricco di figli, meno favorito di visioni soprannaturali, per quello almeno che il Genesi narra di lui.
Erede delle divine promesse, rinnovategli da Iahweh dopo la morte di Abramo, intensamente devoto, sembra il tipo dell'umile che, nel nascondimento, si rimette sempre fiducioso alla volontà di Dio.
Sara nonagenaria dà alla luce Isacco, cosí chiamato per il riso di meraviglia e di gioia di Abramo, quando un anno prima gliene fu promessa e annunziata la nascita. Il figlio della promessa fu cosi anche il figlio del miracolo. Alcuni moderni hanno pensato che Isacco fosse un nome teoforico con l'apocope del finale el=Dio sorrida, cioè "sia favorevole". Senza recriminazioni, mansueto ed ossequiente, il giovane Isacco si lascia legare e porre sull'ara per essere immolato a Dio, nella prova rifulse la santità di Abramo e la profonda pietà del figliolo Gen. 22).
Isacco sentì fortemente la perdita di Sara, sua madre; ogni sera si recava nella solitudine della campagna per dare sfogo al suo dolore e meditare sui disegni della Provvidenza divina a rassegnazione del suo animo affranto. E in tale atteggiamento avvenne il suo incontro con Rebecca, che il vecchio Eliezer portava con sé dalla Mesopotamia. Isacco l'amò teneramente e la prese quale sua unica sposa. Aveva allora quarant'anni, ma Rebecca era sterile. Compreso della missione affidatagli dalla Provvidenza divina, non secondo nella fede al padre suo che morendo, lo lasciava erede legittimo della benedizione messianica, Isacco non dubitò dell'avvenire: "fece preghiere al Signore per avere il dono della posterità desiderata, e il Signore lo esaudì e fece che Rebecca concepisse". E Rebecca diede alla luce due gemelli: Esaú e Giacobbe, che sarà, per divina elezione, l'erede delle promesse. Alla nascita dei due gemelli, Isacco aveva sessant'anni. A centotrenta anni, avendo perduto la vista e credendo vicina la morte, Isacco volle benedire il suo primogenito Esaú; ma il furbo gemello, aiutato dalla madre carpí al vecchio genitore la benedizione speciaie che gli attribuiva i diritti di primogenitura. Isacco anche qui, nelle circostanze che avevano favorito Giacobbe, vide il volere clell'Eterno e non ritrattò la sua benedizione.
Morí ad Hebron a centottanta anni c fu sepolto da Esaú e Giacobbe nella tomba di famiglia, nella grotta di Macpelah, dove egli aveva piamente tumulato Sara ed Abramo. Il suo ricordo è vivo nel V.T.; s. Paolo ricorda l'elezione divina di Isacco ad unico erede delle divine nromesse, con l'esclusione di Ismaele e degli altri figli di Abramo, per dimostrare come eredi e partecipi della salvezza messianica non sono tutti i discendenti carnali di Israele, ma l'Israele di Dio, gli imitatori della fede di Abramo.
La Chiesa ha onorato Isacco come figura o tipo di Gesú, non in una sola azione, come nella maggior parte degli altri tipi, ma in tutta la sua vita: nel preannunzio della nascita, fatto dagli angeli ad Abramo, nella nascita, nelle vicende della sua vita particolarmente nella sua volontaria immolazione, quando si lasciò trattare quale vittima innocente, portando sulle sue spalle le stesse legna necessarie per l'olocausto (s. Ambrogio).
Il Cristo viene denominato "un secondo Isacco". La stessa Rebecca viene considerata figura della Chiesa, scelta per divenire la sposa di Cristo. L'incontro di Eliezer con Rebecca prefigura l'Annunciazione e il matrimonio di Rebecca con Isacco viene considerato figura del matrimonio della Vergine con s. Giuseppe.
In quella che i latini chiamano terza domenica d'Avvento, i greci celebrano la memoria dei santi "Propatri del Salvatore", e principalmente dei tre piú illustri, cioè Abramo, Isacco e Giacobbe, cui accenna il Menologio di Basilio al 16 dicembre. La loro solennità è posta dai Siri nella feria III dopo Pasqua; dagli Armeni, nel sabato della prima settimana dopo la Trasfigurazione e al 28 mesore (21 agosto.) dai copti.
La Chiesa latina ha posto, dopo il sec. IX, la sua memoria al 25 marzo in parecchi martirologi: immolatio Isaaci Patriarchae, ricordando anche gli altri patriarchi, in relazione con la passione del Cristo.
Autore: Francesco Spadafora



348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