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20일(3월19일) 파르마의 복자 요한♬태양의 찬가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6-08-15 ㅣ No.1942

 

축일:3월20일(3월19일)
파르마의 복자 요한,  I Order
Beato Giovanni (Buralli) da Parma
Parma, 1208 circa - Camerino, 19 marzo 1289
Blessed John of Parma
Also known as Giovanni di Parma, John Buralli
Born : 1209 at Parma, Italy
Died : 1289 at Greccio, Italy
Beatified : 1777 by Pope Pius VI (cultus confirmed)


  
  작은 형제회의 제7대 총장인 요한 부랄리(Joannes Buralli)는 이탈리아 파르마 출신으로 25세 때에 작은 형제회 회원이 되었다. 그는 즉시 파리(Paris)로 가서 공부를 하고 사제로 서품된 후에는 볼로냐(Bologna), 나폴리(Napoli) 그리고 로마(Roma)에서 신학을 가르쳤다. 그의 설교는 매우 뛰어났기 때문에 수많은 군중들이 몰려들곤 하였다. 1247년 그는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강인하고 배짱이 센 사람으로 인내심도 많았기 때문에 수도회 내외의 어려운 문제들을 잘 풀어나갔다.
 

   그는 자주 부엌일하는 수사들을 거들어 준 것으로 유명할 뿐 아니라 침묵을 사랑하고 화해의 정이 깊어서 쓸데없는 말은 삼갔다. 그가 영국을 방문했을 때에는 국왕 헨리 3세가 문밖으로 나와 보잘것없는 그를 껴안아 영접했고, 프랑스의 상스(Sens)를 찾았을 때에도 국왕 루이 9세가 그의 기도와 축복을 청할 정도로 공경을 받았다. 또한 그는 교황으로부터 임명 받은 동방 황제의 교황 대사로서 봉사하기도 했다.

  1257년에 그는 총장직을 사임하고 성 보나벤투라(Bonaventura, 7월 15일)를 후임자로 뽑았다. 그는 그레치오(Greccio)의 은둔소로 은퇴하여 30여 년 동안 잊혀진 사람으로 살며 수덕생활에 전념하였다.
(가톨릭홈에서)
 

*프랑스 국왕 루이(루도비코) 9세: 재속프란치스코회 주보성인(축일 8월25일)
 

 

Greccio

 

파르마의 요한(1247-1257년) 7대 총장


과거로의 복귀:
리옹총회에서 선출되었으며, 이 새 총장의 선출 소식을 듣고 에지디오 형제는 "오기는 잘 오셨는데 너무 늦게 오셨군요!" 하고 외쳤다. 그는 당시 형제회를 정비하는 데 적합한 인물로 학문과 지식에서도 특출했지만 프란치스코의 이상에도 아주 헌신적이었다. "형제회란 건물은 학문과 덕행이라는 두 기둥 위에 세워진다."고 그는 말했다. 그러나 전자가 더 우세해지고 있는 현상에는 동의하지 않았다. 그의 통치 규범은 자신의 모범이었다.
 

그는 초기의 열정과 옛 전통으로 돌아감을 목표로 제시했다. 관구들간의 상호이해를 증진시킴으로서 형제회의 정신을 보다 잘 통합하고자 총회를 이탈리아와 알프스 산 너머에서 번갈아가며 열리도록 조정했다.

 

그에게는 프란치스코 성인의 유언이 회칙의 가장 훌륭한 해석이었기에 교황 특권의 반대자가 되었다.

형제회 외부 반대자들과의 논쟁에서는 작은형제들의 모범과 겸손으로써 답하기를 바랬다.
그는 모든 관구들을 걸어서 방문했고, 가는 곳마다 회칙과 유언에 충실하라고 권고했다....

... 파르마의 요한은 40대의 바뇨레지오의 보나벤투라를 지명하고 나서 그레치오의 은둔소로 물러갔다.
(김창재다미아노OFM, 강의록 간추린 프란치스칸 역사, 2006 프란치스칸 영성학교 40쪽에서..)

 

*아시시의 복자 에지디오 축일:4월23일,게시판1724번
*바뇨레지오의 성 보나벤투라 주교학자 축일:7월15일,게시판1274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야고바형제가 주문하여 그렸다는 '눈물 흘리는 성 프란치스코' 초상화(그렉치오)  2005년 성지순례 사진.

가장 오래된 프란치스코성인의 초상화라고 한다.
 

 

San Francesco a Greccio(눈물 흘리는 성프란치스코-그렉치오 성당)

 

"우리가 자랑할 수 있는 것은 곧 우리의 연약함이며,

매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지는 일입니다."(권고5)

 

 

그렉치오의 구유동굴의 벽화, 2005년 성지순례 사진

 

왼쪽은 프란치스코 성인이 강생의 신비를 재현한 성탄 그림이고

오른쪽은 성서 상의 아기예수님의 성탄 모습이다.

 

 

 

성프란치스코의 임종 - 포르치운쿨라의 건너감 경당

 

복되신 프란치스코의 유언


   1) 주님이 나 프란치스꼬 형제에게 이렇게 회개생활을 시작하도록 해 주셨습니다 : 내가 죄중에 있었기에 나병환자들을 보는 것이 나에게는 너무나 역겨운 일이었습니다. 2) 그런데 주님 친히 나를 그들에게 데리고 가셨고 나는 그들 가운데서 자비를 베풀었습니다. 3) 그래서 내가 그들한테서 떠나올 때에는 역겨웠던 바로 그것이 내게 있어 몸과 마음의 단맛으로 변했습니다. 그리고 그 후 얼마 있다가 나는 세속을 떠났습니다.

 

   4) 그리고 주님이 성당에 대한 크나큰 신앙심을 주셨기에, 다음과 같은 말로 단순하게 기도하곤 했습니다: 5) "주 예수 그리스도여, 당신의 거룩한 십자가로써 세상을 구속하셨사오니, 우리는 여기와 전 세계에 있는 당신의 모든 성당에서 주님을 흠숭하며 찬양하나이다."

 

   6) 그 후 주님이 거룩한 로마교회의 관습을 따라 생활하는 사제들에 대한 큰 신앙심을 주셨고 또한 지금 도 주시기에, 만일 그분들이 나를 학대한다 해도 그분들이 받은 품(品) 때문에 나는 그분들에게 달려가기를 원합니다. 7) 그리고 내가 솔로몬이 가졌던 그 정도의 많은 지혜를 가지고 있고, 속화된 불쌍한 어떤 사제 들을 만난다 해도, 그분들의 뜻을 벗어나 그들이 거주하는 본당에서 설교하고 싶지 않습니다. 8) 그리고 그 분들과 또 다른 사제들을 마치 나의 주인인 듯이 두려워하고 사랑하며 존경하기를 원합니다. 9) 그리고 그 분들 안에서 나는 하느님의 아드님을 알아 뵙고, 그분들이 나의 주인이므로 그분들 안에서 죄를 보고 싶지 않습니다. 10) 내가 이렇게 하는 이유는 사제 자신들도 성체를 영하고 사제들만이 다른 이들에게 분배하는 주님의 지극히 거룩한 몸과 피가 아니고서는 이 세상에서 하느님의 지극히 높으신 아드님을 내 육신의 눈으 로 결코 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11) 그리고 누구든지 이 지극히 거룩한 성사를 무엇보다도 공경하고 경배 하며 귀중한 장소에 보시기를 원합니다. 12) 지극히 거룩하신 주님의 이름과 말씀이 기록된 책을 부당한 곳 에서 발견하면, 나는 그것을 주워 모으기를 원하고, 또한 다른 이들도 그것을 주워 모아 합당한 곳에 모시 기를 부탁합니다. 또한 우리는 모든 신학자들과 우리에게 영과 생명을 넣어 주는 사람들로서 받들어 존경해 야 합니다.

 

   14) 그리고 주님이 몇몇 형제들을 나에게 주신 후 아무고 내가 해야 할 것을 나에게 보여 주지 않았지만, 지극히 높으신 분께서 친히 거룩한 복음의 양식(樣式)에 따라 살아야 할 것을 나에게 계시하셨습니다. 15) 그리고 우리 생활을 받아들이려고 찾아오는 사람들은 가지고 있던 모든 것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었고 또 한 안팎으로 기운 수도복 한 벌과 띠와 속옷으로 만족하였습니다. 17) 우리는 그 이상 더 가지기를 원치 않 았습니다. 18) 우리는 성무일도를 바쳤습니다. 글아는 형제들은 다른 성직자들처럼 바쳤고, 글 모르는 형제 들은 "주의기도"를 바쳤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성당에다 거처를 마련해야 할 때에도 매우 기뻐했습니다. 19) 그리고 우리는 배우지 못한 사람들이었으며 모든 이에게 복종하였습니다. 20) 그리고 나는 손수 일하였 고 또 일하기를 원하며 다른 모든 형제들도 올바른 일에 종사하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21) 일할 줄 모르는 형제들은 일을 배워야 하고, 일의 보수를 받을 욕심 때문이 아니라 모범을 보여 주며 한가함을 피하기 위해 서 일을 배울 것입니다. 22) 그리고 우리가 일을 보수를 받지 못할 때에는 집집마다 동냥하면서 주님의 식 탁으로 달려갑시다.

 

   23) "주님이 당신에게 평화 주시기를 빕니다"하고 우리가 해야 할 인사를 주님이 나에게 계시해 주셨습니 다.

   24) 형제들을 위해 지은 성당이나 초라한 집이나 다른 건물이 회칙에 따라 서약한 거룩한 가난에 맞지 않 으면 형제들은 절대로 받아들이지 말 것을 명심할 것입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항상 "나그네나 순례자"같이 기거하십시오(1베드 2,11).

   25) 나는 모든 형제들에게 순종으로 단호히 명합니다 : 형제들이 어디에 있든지, 직접 혹은 간접으로, 설교 하기 위해서나 지기 몸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서나 성당이나 다른 건물을 위해서 어떠한 증서도 로마 교황청 에 감히 신청하지 말 것입니다. 26) 오히려 환영받지 못하거든 하느님의 축복 속에 회개생활을 하기 위해 다른 지방으로 피하십시오.

   27) 그리고 나는 이 형제회의 총봉사자께, 그리고 그분이 임의로 나의 수호자로 정해 주는 그 형제에게 순 종하기를 간절히 원합니다. 28) 그리고 그분은 나의 주인이기에, 그분의 듯과 순종을 벗어나서는 어디에 가 지도 무엇을 하지도 못할 정도로 그분의 수중에 매여 있기를 원합니다. 29) 그리고 비록 내가 우매하고 병 약한 사람이지만, 회칙이 정하는 대로 나에게 성무일도를 읽어 줄 형제 한 분을 항상 모시기를 원합니다.

   30) 그리고 다른 모든 형제들도 수호자 형제들에게 이와 같이 순종해야 하고 회칙에 따라 성무일도를 바 쳐야 합니다. 31) 그리고 회칙에 따라 성무일도를 바치지 않고 다른 형식으로 변경하려고 하는 사람이나 혹 은 가톨릭 신자가 아닌 듯한 형제를 발견하게 되면, 어디서든지 이런 형제를 만나는 곳마다, 형제들은 모두 그를 만난 곳에서 가장 가까운 관할 보호자 형제에게 데리고 갈 순종의 의무가 있습니다. 32) 그리고 보호 자는, 그를 그의 봉사자의 손에 직접 넘겨 줄 때까지 자기 손에서 도망갈 수 없도록 감옥에 주야로 갇혀 있 는 사람처럼 엄중하게 지킬 단호한 순종의 의무가 있습니다. 33) 그리고 봉사자는 그 형제를 전 형제회의 주인이며 보호자요 감사관이신 오스띠아 추기경에게 보낼 단호한 순종의 의무를 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형제를 추기경에게 넘겨줄 때까지 몇몇 형제를 임명하여 그를 감옥에 갇혀 있는 사람처럼 주야로 지키게 할 것입니다.

   34) 그리고 형제들은 "이것이 또 하나의 회칙이다"하고 말하지 말 것입니다. 이 글은 우리가 지키기로 주 님께 약속한 회칙을 보다 더 가톨릭 신자답게 실행하도록, 나 작은 형제 프란치스꼬가 축복받은 나의 형제 여러분에게 남기는 회고요 권고와 충고, 곧 나의 유언이기 때문입니다.

   35) 그리고 총봉사자와 다른 모든 봉사자들과 보호자들은 순종으로 이 말에 아무것도 덧붙이거나 삭제하 지 말아야 합니다. 36) 그리고 형제들은 이 글은 회칙과 같이 항상 소지할 것입니다. 37) 그리고 개최하는 모든 회의에서 회칙을 읽을 때 이 글도 읽을 것입니다.

  38) 그리고 나는 성직형제와 평형제를 막론하고 나의 모든 형제들에게 단호히 순종으로 명합니다 : 회칙과 이 글에 "이렇게 알아들어야 한다"는 해석을 덧붙이지 마십시오. 39) 이와 반대로 주님이 나에게 회칙과 이 글을 단순하고 순수하게 말하게 하고 또 기록하게 해 주신 것과 같이 여러분도 해석하지 말고 단순하고 순수하게 이해하며 거룩한 행동으로 끝날까지 실행하도록 하십시오.

   40) 이것을 실행하는 사람은 누구나 하늘에서는 지극히 높으신 아버지의 축복을 충만히 받고, 땅에서는 지 극히 거룩하신 위로자 성령과 하늘의 모든 천사들과 성인들과 함께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축복을 충만히 받 기를 비는 바입니다. 41) 그리고 여러분의 보잘것없는 종 나 프란치스꼬 형제는 여러분이 이 지극히 거룩한 축복을 내적 외적으로 받으리라는 것을 여러분에게 할 수 있는 데까지 확언하는 바입니다.

 



건너감 경당의 내부모습

 

우리 사부 성 프란치스꼬의 축복 (2첼라노 191)

오! 지극히 사랑하는 형제들, 그리고 영원히 축복받은 아들들,

내 말을 듣고 여러분의 아버지의 음성을 들 으십시오 :

우리는 큰 것을 약속했고 우리에게는 더 큰 것이 약속되어 있습니다.

약속한 것을 지키고 약속 된 것을 갈망합시다.

쾌락은 일시적이고 형벌은 끝이 없습니다. 고통은 짧고 영광은 영원합니다.

부르심을 받은 사람은 많지만 뽑힌 사람은 적습니다.

누구든지 자기의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 아멘.

 

*아시시의 성프란치스코 축일:10월4일,게시판1403번

*성프란치스코의 거룩한 상흔 축일:9월17일,게시판1369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 태양의 찬가

 

 

 

 

 

 

 

 

 

 

 

 

 

 

Beato Giovanni (Buralli) da Parma
19 marzo 
Parma, 1208 circa - Camerino, 19 marzo 1289

Al secolo Giovanni Buralli, entrato nell’ordine verso il 1233, dopo gli studi a Parigi e l’insegnamento a Bisogna, Napoli e Parigi nel 1245, fu eletto ministro generale a Lione nel capitolo del 1247.

Martirologio Romano: A Camerino nelle Marche, beato Giovanni Buralli da Parma, sacerdote dell’Ordine dei Minori, che papa Innocenzo IV inviò come legato ai Greci, per tentare di ristabilire la loro comunione con i Latini. 


Giovanni, figlio del nobile Alberto Buralli, fu avviato allo studio dallo zio, cappellano dell'ospizio di San Lazzaro, ed ebbe l'incarico di insegnare Logica nella Scuola cattedrale. A circa 25 anni entrò nell'ordine dei Minori, quando era ministro generale frate Elia. A Parigi, dove si era portato per perfezionarsi negli studi dopo la professione, fu ordinato sacerdote. Si diede da prima alla predicazione con successo per il contenuto dottrinale, per la forma piacevole della presentazione, per il felice timbro della voce: conosceva la musica ed era un buon cantore. In seguito insegnò allo Studium bolognese, a Napoli e a Parigi (1245), dove commentò la Bibbia e le Sentenze.
Nel 1247 nel capitolo generale di Lione fu eletto Ministro generale. Visse anni difficili, per i dissensi presenti nell'Ordine sull'osservanza pratica della povertà.
Decise perciò di visitare le varie comunità dei paesi europei, dando esempio di molta umiltà, di prudenza e di severa austerità. Nel 1250-51 fu incaricato da Innocenzo IV, che lo definì "angelo di pace", di condurre trattative con l'imperatore greco per l'unificazione delle chiese, senza raggiungere risultati positivi. La sua simpatia per gli Zelanti e l'adesione ad alcune tesi di Gioacchino da Fiore lo portarono alle dimissioni da Ministro generale (1257), dove fu sostituito da San Bonaventura. Si ritirò a Greggio dove visse per trent'anni in grande austerità.
La morte lo colse a Camerino, quando aveva intrapreso un nuovo viaggio di conciliazione verso la Grecia.
Il suo culto fu approvato da Pio VI nel 1777. L'ufficio fu concesso all'Ordine francescano nel 1780 ed esteso agli Stati ducali il 24 aprile 1781.

Autore: Simone Bruni

Fonte:  
 Ufficio Liturgico Diocesi di Parma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3-01-13

 



 

Blessed John of Parma
Also known as
Giovanni di Parma
John Buralli

Memorial
20 March


Profile

Franciscan. Priest. Taught theology at Bologna and Naples. Seventh minister general of the Franciscans from 1247-1257. Visited Franciscan provinces of different countries, including England. Papal legate to Constantinople. Retired to Greccio, Italy.

Born
1209 at Parma, Italy
Died
1289 at Greccio, Italy
Beatified
1777 by Pope Pius VI (cultus confirmed)


Patronage
Parma, Italy


Additional Information
Catholic Encyclopedia, by Livarius Oliger
For All The Saints, by Katherine Rabenstei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MLA Citation
“Blessed John of Parma”. Saints.SQPN.com. 20 March 2012. Web. {today’s date}.

 

 

 

 


March 20
Blessed John of Parma
1209-1289
 
John Buralli, the seventh minister general of the Franciscans, was born at Parma in the year 1209, and he was already teaching logic there when at the age of twenty-five, he joined the Franciscans. He was sent to Paris to study and, after he had been ordained, to teach and preach in Bologna, Naples and Rome. He preached so well that crowds of people came to hear his sermons, even very important persons flocked to hear him. In the year 1247, John was chosen Minister General of the Order of Franciscans. He had a very difficult task because the members of his community were not living up to their duties, due to the poor leadership of Brother Elias.

Brother Salimbene, a fellow townsman who worked closely with John, kept an accurate record of Johns activities. From this record, we learn that John was strong and robust, so that he was always kind and pleasant no matter how tired he was. He was the first among the Ministers General to visit the whole Order, and he traveled always on foot. He was so humble that when he visited the different houses of the Order, he would often help the Brother wash vegetables in the kitchen. He loved silence so that he could think of God and he never spoke an idle word. When he began visiting the various houses of his Order, he went to England first. When King Henry III heard that John came to see him, the King went out to meet him and embraced the humble Friar. When John was in France, he was visited by St. Louis IX who, on the eve of his departure for the Crusades, came to ask John's prayers and blessing on his journey. The next place John visited was Burgundy and Provence. At Arles, a friar from Parma, John of Ollis, came to ask a favor. He asked John if he and Brother Salimbene could be allowed to preach. John, however, did not want to make favorites of his Brothers. He said, "even if you were my blood brothers, I would not give you that permission without an examination." John of Ollis then said, "Then if we must be examined, will you call on Brother Hugh to examine us?" Hugh, the former provincial was in the house, but since he was a friend of John of Ollis and Salimbene, he would not allow it. Instead, he called the lecturer and tutor of the house. Brother Salimbene passed the test, but John of Ollis was sent back to take more studies. Trouble broke out in Paris where John had sent St. Bonaventure who was one of the greatest scholars of the Friars Minor.

Blessed John went to Paris and was so humble and persuasive that the University Doctor who had caused the trouble, could only reply, "Blessed are you, and blessed are your words". Then John went back to his work at restoring discipline to his Order. Measures were taken to make sure the Friars obeyed the Rules of the Order. In spite of all his efforts, Blessed John was bitterly opposed. He became convinced that he was not capable of carrying out the reforms that he felt was necessary. So he resigned his office and nominated St. Bonaventure as his successor. John retired to the hermitage of Greccio, the place where St. Francis had prepared the first Christmas crib. He spent the last thirty years of his life there in retirement. He died on March 19, 1289 and many miracles were soon reported at his tomb. His feast day is March 20th. 

 


Blessed John of Parma
Minister General of the Friars Minor (1247-1257), b. at Parma about 1209; d. at Camerino 19 Mar., 1289. His family name was probably Buralli. Educated by an uncle, chaplain of the church of St. Lazarus at Parma, his progress in learning was such that he quickly became a teacher of philosophy (magister logicæ). When and where he entered the Order of Friars Minor, the old sources do not say. Aff&oGrave; (Vita, p. 18, see below) assigns 1233 as the year, and Parma as the probable place. Ordained priest he taught theology at Bologna and at Naples, and finally read the "Sentences" at Paris, after having assisted at the First Council of Lyons, 1245. Through his great learning and sanctity, John gained many admirers, and at the general chapter of the order at Lyons in July, 1247, was elected minister general, which office he held till 2 Feb., 1257. We may judge of the spirit that animated the new general, and of his purposes for the full observance of the rule, from the joy felt (as recorded by Angelus Clarenus) by the survivors of St. Francis's first companions at his election, though Brother Giles's words sound somewhat pessimistic: "Welcome, Father, but you come late" (Archiv. Litt., 11, 263). John set to work immediately. Wishing to know personally the state of the order, he began visiting the different provinces. His first visit was to England, with which he was extremely satisfied, and where he was received by Henry III (Anal. Franc., I, 252). At Sens in France St. Louis IX honoured with his presence the provincial chapter held by John. Having visited the provinces of Burgundy and of Provence, he set out in Sept., 1248, for Spain, whence Innocent IV recalled him to entrust him with an embassy to the East. Before departing, John appears to have held the General Chapter of Metz in 1249 (others put it after the embassy, 1251). It was at this chapter that John refused to draw up new statutes to avoid overburdening the friars (Salimbene, "Mon. Germ. Hist. Script.", XXXII, 300). Only some new rubrics were promulgated, which in a later chapter (Genoa, 1254) were included in the official ceremonial of the order, beginning: Ad omnes horas canonicas (last published by Golubovich in "Archivum Franc. Hist.", III, Quaracchi, 1910). The object of John's embassy to the East was the reunion of the Greek Church, whose representatives he met at Nice, and who saluted him as "angel of peace". John's mission bore no immediate fruit, though it may have prepared the way for the union decreed at the Council of Lyons in 1274.

In his generalate occurred also the famous dispute between the Mendicants and the University of Paris. According to Salimbene (op. cit., XXXII, 299 sqq.), John went to Paris (probably in 1253), and by his mild yet strenuous arguments strove to secure peace. It been in connection with this attack on the Preachers and the Minors that John of Parma and Humbert of Romans, Master General of the Dominicans, published at Milan in 1255 a letter recommending peace and harmony between the two orders (text inWadding, 111, 380). The "Introductorius in Evangelium &AEelig;ternum" of Gerard of S. Donnino (1254), John's friend, having been denounced by the professors of Paris and condemned by a commission at Anagni in 1256 (Denifle, "Arch. f. Litt.", I, 49 sqq.), John himself was in some way compromised--a circumstance which, combined with others, finally brought about the end of his generalate. He convoked a general chapter at Rome, 2 Feb., 1257. If Peregrinus of Bologna [Bulletino critico di cose francescane, I (1905), 46] be right, Alexander IV secretly intimated to John that he should resign, and decline re-election should it be offered him. On the contrary, Salimbene (1. c., 301 sqq.) insists that John resigned of his own free will. The pope may have exerted some pressure on John, who was only too glad to resign, seeing himself unable to promote henceforth the good of the order. Questioned as to the choice of a successor, he proposed St. Bonaventure, who had succeeded him as professor at Paris. John retired to the Hermitage of Greccio near Rieti, memorable for the Christmas celebrated there by St. Francis. There he lived in voluntary exile and complete solitude; his cell near a rock is still shown. But another hard trial awaited him. Accused of Joachimism, he was submitted to a canonical process at Cittá della Pieve (Umbria), presided over by St. Bonaventure and Cardinal John Gaetano Orsini, protector of the order. The mention of this cardinal as protector brings us to a chronological difficulty, overlooked by all modern writers, who assign the process against John to 1257; for Alexander IV (1254-61) retained the protectorship (Anal. Franc., 696, 710; Mon. Germ. Hist.: Scr., XXXIII, 663, 681-2); and Cardinal Orsini became protector, at the earliest, at the end of 1261; see Oliger in "Arch. Francisce. Hist.", III, 346.

Angelus Clarenus tells us that the concealed motive of this process was John's attachment to the literal observance of the rule, the accusation of Joachimism, against which he professed his Catholic Faith, being only a pretext. Other sources, however (Anal. Franc., 111, 350, 698), speak of retractation. The same Clarenus relates that John would have been condemned had it not been for the powerful intervention of Innocent IV's nephew, Cardinal Ottoboni Fioschi, later Hadrian V (concerning whose letter to the judges see Arch. f. Litt., II, 286; Orbis Seraphicus, I, 120). John certainly did not profess the dogmatical errors of Joachimism, though he may have held some of its apocalyptic ideas. Upon his acquittal he returned to Greccio, and continued his life of prayer and work. It was there that an angel once served his Mass (Salimbene, 1.c., 310; Anal. Franc., 111, 289), and that in 1285 he received the visit of Ubertin of Casale, who has left a touching account of this meeting ("Arbor Vitæ", Venice, 1485, V, 3). Hearing that the Greeks were abandoning the union agreed upon in 1274, John, now 80 years old, desired to use his last energies in the cause of union. He obtained permission of Nicolas IV to go to Greece, but only travelled as far as Camerino (Marches of Ancona), where he died in the convent of the friars, 19 March, 1289. He was beatified 1777; his feast is kept 20 March.

With the exception of his letters scarcely any literary work can with surety be attributed to John. He is certainly not the author of the "Introductorius in Evang. Æternum", nor of the "Visio Fr. Johannis de Parma" (Anal. Franc., 111, 646-49). With more probability can we attribute to John the "Dialogus de vitia ss. Fratrum Minorum", partly edited by L. Lemmens, O.F.M. (Rome, 1902). The "Chronicle of the XXIV Generals" (Anal. Franc., III, 283) ascribes to John the allegoric treatise on poverty: "Sacrum Commercium B. Francisci cum Domina Paupertate" (ed. Milan, 1539), edited by Ed. d'Alençon (Paris and Rome, 1900), who ascribes it (without sufficient reason) to John Parent. Carmichael has translated this edition: "The Lady Poverty, a thirteenth-century allegory" (London, 1901); another English translation is by Rawnsly (London, 1904); a good introduction and abridged version is given by Macdonell, "Sons of Francis", 189-213. Other works are mentioned by Sbaralea, "Suppl. ad Script." (Rome, 1806), 398.

 


Blessed John Buralli, OFM (AC)
(also known as Blessed John of Parma)

Born in Parma, Italy, in 1209; died 1289; cultus approved in 1777. After John was professed and ordained as a Franciscan, he taught theology at Bologna and Naples. In 1247, he was elected the 7th minister general of the Franciscans and held the office for ten years. He visited the Franciscan provinces of different countries, including England, and went to Constantinople as papal legate. He lived out his final 30 years in retirement at the hermitage of Greccio (Attwater2, Benedictines).
 



367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