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역사를 주재(主宰)하시는 하느님, 가해 연중 제29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가연중29주일> idol, 신상, 우상

인쇄

. [121.190.18.*]

2020-10-16 ㅣ No.2115

 

[내용 추가 일자: 2023년 10월 19일] 

게시자 주 1: (1) 오늘의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게시자 주 2 다음에 있습니다. 본글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5.htm 에 접속하면, 본글 중에서 제시되고 있는 출처 문헌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의 인터넷 주소, http://ch.catholic.or.kr/pundang/4/q&a.htm 에 접속하면, 본글의 제목이 포함된, "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제공의 모든 게시글들의 제목들의 목록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i) 2006년 12월 16일에 개시(開始)하여 제공 중인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날마다 영어 매일미사 중의 독서들 듣고 보기, 그리고 (ii) 신뢰할 수 있는 가톨릭 라틴어/프랑스어/영어 문서들 등은,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손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  (PC용, 날마다 자동으로 듣고 봄) [주: 즐겨찾기에 추가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m (스마트폰용) [주: 네이버 혹은 구글 검색창 위에 있는 인터넷 주소창에 이 주소 입력 후 꼭 북마크 하십시오]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341.htm <----- 필히 시청 요망

 

"KF94 마스크 미착용, 착용 시의 커다란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실험 동영상들 - 오미크론 출현 이전인 2021년 10월 14일에 확보한 자료들임" 제목의 졸글에 추가된 중요한 방역 수칙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 [첫 공지 일자: 2022년 7월 17일(다해 연중 제16주일)]

(1) [PC 혹은 노트북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바로 아래의 주소를 클릭하면, New American Bible (NAB)에서 발췌된 오늘의 영어 전례성경 본문(즉,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들을, 화답송 등과 함께, 청취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에, 이어지는 제(2)항 으로 이동하여 안내대로 하십시오.][원 출처: 미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http://ch.catholic.or.kr/pundang/4/cbs/Cycle_A/Ordinary/a_ot_29_mp3 <----- 여기를 클릭하라  


[스마트폰의 경우]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제시된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듣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십시오:
(i) 위의 주소를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고 가만히 있으면 가지게 되는 작은 메뉴판 한 개에서, 다른 브라우저로 열기를 선택하십시오. 그런 다음에, (ii) 사용 중인 스마트폰에 이미 열려있는 본글의 브라우저를 찾아서 거기로 이동한 후에,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있는 주소를 누르면, 이들 제1독서, 제2독서, 그리고 복음 말씀 본문들을 눈으로 읽으면서 이들을 또한 귀로 들을 수 있습니다.

 

2006년 12월 10일(다해 대림 제2주일)부터 지금까지 바로 아래의 제(2)항에 안내된 English Bible Study 까페[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영어 성경공부 자료실]에서 필자가 지속적으로 전달 제공해온 자료이므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바로 위의 제(1)항에서 듣게 되는 NAB에서 발췌된 영어 전례성경 본문들 등을 또한 눈으로 직접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lub.catholic.or.kr/community/asp/club/attboard/read.asp?type=attboard&schcode=pundang4biblestudy&seq=8&id=1292 <----- 또한 필독 권고   

 

이것도 또한 여기에 진작에 올려드릴 수도 있었으나, 혹시라도 거부감을 가지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그동안 그러지 않았던 것인데,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 바로 위에 제(1)항제(2)항 제공의 정보들을 반복적으로 꾸준히 함께 활용하면,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상, 게시자 주 2 끝) 

[이상, 2023년 10월 19일자 내용 추가 끝]

 

 

가해 연중 제29주일 온라인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자료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동영상 청취 주소: http://pds.catholic.or.kr/Archives/300/1/gnattboard/2839/32/가해연중제29주일.mp4 <----- 여기를 클릭하여 청취(聽取) 혹은 시청(視聽)하십시오 

가해 주일 전례성경공부/영어성경공부 묵상 동영상 목록: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3.htm  
동영상 교재: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해 II, 가톨릭출판사, 2008년.

동영상 교안(敎案)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115.htm

 

 

시작 기도: 대성호경, 주님의 기도

 

이 십자성가 표적(表迹)으로써, (이마 위에 +)

우리의 주님이신 천주께서는 (입 위에 +)

우리의 원수들로부터 우리를 구하소서. (가슴 위에 +)

성부와 (이마 위에 손끝을 찍음) 

성자와 (배 위에 손끝을 찍음) 

성령의 이름으로. (왼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은 후에 그리고 곧바로 직선으로 이동하여 오른쪽 어깨 위에 손끝을 찍음) 

아멘.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빛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소서!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저희에게 잘못한 이들을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아멘.

 

 

복습 0: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주일 전례성경 학습자들을 위한 입문자료 모음 동영상을 청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세례를 받으신 새교우님들께서 꼭 청취하실 것을 요청드립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79.htm

 

복습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실재론(realism)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에 대하여, 실재론을 인정하는 자들 중에서만 오로지 그리스도교 부활 신앙 등을 인정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다" 제목의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78.htm

 

복습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느님이 한 말단인, 적어도 3자들 사이에 있어, "경의/존중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9.htm

 

복습 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악"(evil), "윤리적 악"(moral evil), "죄"(sin), 원죄"(original sin) 등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8.htm  

 

복습 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시기"(jealousy)"질투"(envy)의 차이점에 대한 글들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envy_vs_jealousy_concept_error.htm  

 

복습 5: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자/하느님의 아드님"(the Son of God)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0.htm


복습 6: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은총"(grace)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7.htm 

 

복습 7: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광"(glory) 이라는 용어와, "영광을 발하는"(glorious), "영광을 더하다"(glorify), "자랑하다"(glory in) 등의 그 파생어들의 정의(definitions)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45.htm  

 

복습 8: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하늘 나라(천국)"(the kingdom of heaven)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를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80.htm 

[제목: 하늘 나라(천국)의 흔적이 있는 곳과 지상의 그 현존처는 구분하여야]

 

복습 9: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 1225-1274년)"신학 대전"(Summa Theologiae)에 제시된 '애덕'(charity)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 등에 대한 글[제목: 애덕(charity)이라는 덕; 게시일자: 2013-11-04]을 학습할 수 있다[본문 중에 포함된 key word: Christoph Cardinal Schönborn]: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65.htm  

 

복습 10: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그리스도교 교의 신학, 성서 신학, 그리고 영성 신학에 있어 핵심 용어인 '완미(完美)'(perfection)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에 대한 글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perfection.htm

 

복습 11: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심장(heart), 즉, 성체 성혈에 의하여 구약 성경의 유관 예언들이 구현된 그리스도교 고유한 구속/속량(Redemption) 신비와 관련하여, 구약 성경 및 신약 성경의 유관 부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성경 용어인 ‘Cor/heart’을, 글자 그대로, ‘심장’으로 직역 번역(literal translation)을 하지 않고, 대신에, ‘마음’(mind)으로 잘못 번역을 한 심각한 번역 오류에 대하여 지적하는 필자의 졸글들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히브리서 9,28; 이사야서 53,12 :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51.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mon.htm

 

히브리서 10,7; 칠십인역 시편 40,6-8[7-9]: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2063.htm 

[제목: 칠십인 역 시편 40,6-8 및 히브리서 10,5-7: 을 마련해 주셨다 vs 대중 라틴말본 및 마소라본 시편 40,7-9: 귀를 열어 주셨다???; 게시일자: 2020-06-15]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tue.htm

 

히브리서 10,12; 시편 110,1: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wed.htm 

 

히브리서 10,17; 예레미야 31,33-34: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ot_3_wed.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01.htm <----- 필독 권고 

[제목: 하느님께서 접촉하시는 우리의 신체 부위는 어디?; 게시일자: 2015-01-07]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04.htm <----- 필독 권고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6.htm <----- 필독 권고

[제목: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우리말 번역 작업 자체가 해석/주해 작업이어서는 아니 됩니다; 게시일자: 2015-02-17]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_lent_5.htm;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_ot_8.htm 

 

복습 1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516항, 제517항, 그리고 제518항에서, (i) 성부 하느님의 계시, (ii) 구속/속량 신비, 그리고 (iii) 총귀(總歸)/총괄복귀(總括復歸) 신비로 구성된다고 가르치는, 예수님의 신비/오적(奧跡)(mysteries)들에 공통인 특징들 중의 하나인, 이 세상의 질서가 아담과 하와가 원죄를 범하기 이전의 원 상태, 즉, ‘코스모스(cosmos)’로 회복되기 시작하였음을 말하는, 예수님의 부활에 의하여 이미 개시된, 성경 용어인 ‘총귀(總歸)/총괄복귀’(總括復歸, recapitulation, recapitulatio)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 등에 대한 글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필독하도록 하십시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recapitulation_of_St_Irenaeus.htm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1583년과 그 이후에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새 창조’의 핵심 성경 용어인 'recapitulation/recapitulatio'의 차용 번역 용어로서 채택된 ‘총귀(總歸)’라는 용어의 출처와 기원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915.htm 

(이상, 복습 끝) 

 

게시자 주: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제2차바티칸 공의회 직후인 1969년에 개정되어 도입된 가톨릭 교회의 보편 교회 전례력에, "세계 전교 주일"(World Mission Day)[주: 올해의 경우, 10월 마지말 주일의 직전 주일인, 10월 18일임]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학인할 수 있습니다: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Index-Sundays.htm 

http://catholic-resources.org/Lectionary/2002USL-Sanctoral.htm 

https://bible.usccb.org/bible/readings/101820.cfm 

 

그리고 우리나라는. 필자가 아는 한, 아직도 "전교 대상 국가"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세계 전교 주일, 제1독서(이사야 2,1-5)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학습하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adv_1.htm 
[주: 가해 대림 제1주일 제1독서와 동일함; 우리말 졸번역 제공]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세계 전교 주일, 복음 말씀(마태오 복음서 28,16-2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학습하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ascen.htm  

[주: 가해 주님 승천 대축일 복음 말씀과 동일함]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세계 전교 주일, 제2독서(로마 10,9-18)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을 학습하면서 묵상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St_Andrews_Nov30.htm 

[주: 11월30일 성 안드레아 사도 축일 제2독서와 동일함]

(이상, 게시자 주 끝)

 

 

<가연중29주일> 가해 연중 제29주일  

 

 이사야 45,1.4-6; 마태오 복음서 22,15-21; 1테살로니카 1,1-5ㄴ

 

 

"가톨릭 교회의 말씀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가 II, 제355-366쪽

 

오늘의 제1독서 중에서:  

 

"나는 주님이다. 다른 이가 없다. 나 말고는 다른 신이 없다. 너는 나를 알지 못하지만 나 너를 무장시키니 해 뜨는 곳에서도 해 지는 곳에서도 나밖에 없음을, 내가 주님이고 다른 이가 없음을 알게 하려는 것이다." (이사야 45,5-6)   

 

오늘의 복음 말씀 중에서:

 

“황제의 것은 황제에게 돌려주고, 하느님의 것은 하느님께 돌려 드려라.” (마태오 복음서 22,21ㄴ) 

 

오늘의 제2독서 중에서:

 

"하느님께 사랑받는 형제 여러분, 우리는 여러분이 선택되었음을 압니다. 그것은 우리 복음이 말로만이 아니라 힘과 성령과 큰 확신으로 여러분에게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1테살로니카 1,4-5ㄴ)

 

 

오늘의 전례성경이 가르치는 바를 학습하기 위하여,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합시다.  

 

A.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여기서 말하는 ‘신상(神像)’, 즉, ‘잡신(god)의 상(像, image)’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 차용 번역용어로서 ‘신상(神像)’이라는 용어가 1584년에 초간된 "천주성교실록"의 초판에 수록된 "조전천주십계", 제1계명에서 이미 사용되었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졸글을 읽을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766.htm

 

B. 그리고 또한, 바로 위의 주소에 접속하면, ‘잡신(god)의 상(像, image)’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 차용 번역용어로서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예수회 소속의 신부님들에 의하여 이미 1584년에 도입되어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온 ‘신상(神像)’이라는 용어가, 그러나 중국 본토에 선교사로 파견된 개신교회 측의 첫 번째 선교사인 로버트 모리슨에 의하여, 1814년경에 이르면 ‘偶像’(우상, idol)이라는 용어로 처음으로 교체되기 시작하였음을 실증적으로(positively) 입증/고증하는 글을 읽을 수 있다. 

 

C.

(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신덕'(faith), '애덕'(love, charity, caritas), 그리고 '망덕'(hope)으로 구성된 ‘향주삼덕’에 대한 성 토마스 아퀴나스(St. Thomas Aquinas)“신학 대전”의 가르침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092.htm

 

(i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신덕'(faith)이 포함되는 속적(generic) 개념인 '믿음'(faith)에 대한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faith.htm

 

(iii)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애덕'(love, charity, caritas)이 포함되는, 속적(generic) 개념인 "사랑'(love)에 대한 글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concept_of_love.htm

 

(iv)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애덕'(love, charity, caritas)'망덕'(hope)이, 소위 말하는 '신성적 사랑'(divine love)에 포함됨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intro2divine_love.htm

 

D. 라틴어 어원이 ‘justus’이며 형용사가 ‘정의로운’(just)인 명사 ‘정의’(justice)의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정의(definition)는


(i) 마태오 복음서 20,13-14,
(ii) 가해 연중 제17주일 3분 복음/교리 묵상란에 있는 CCCC 381 - 정의(justice)는 다른 이들에게 그들의 몫(due)을 주기 위한 확고하고 지속적인 의지(will)를 뜻한다(엮은이 번역),

그리고
(iii) http://ch.catholic.or.kr/pundang/4/ce_justice.htm을 필히 참조하라.

(iv) http://ch.catholic.or.kr/pundang/4/cr_justice.htm도 또한 참조하라.

 

E. 마르코 복음서를 기록한 요한 마르코는, 또한 사도라고 불리는, 바르나바의 사촌(cousin)이다.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수석 편집자에 의하여 마련된 마르코 복음서 입문을 참조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33.htm 

 

 

F.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가톨릭 교회의 교황 교도권에 매우 충실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오늘의 독서들에 대한 해설들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a_ot_29.htm

 

G. 출처: http://ch.catholic.or.kr/pundang/4/clerus/homilies/a_ot_29.htm <----- 전문 필독 권고

[주: 교황청 성직자 및 수도자들을 위한 홈페이지 제공]

(발췌 시작) 

THEME of the READINGS


오늘의 독서들의 주제

 

God is the Lord of the empires and of history. Cyrus reigns over the immense Persian empire (First Reading), but God reigns over Cyrus and providentially makes him his mediator in his plans regarding history. Give to God what belongs to God, the Gospel teaches us, and to the kings and emperors what belongs to them. To God, the plan and purpose of history; to them, the action and onward evolution of history. There is no doubt about the fact that it is the power of God and of his Spirit that is mysteriously present in the vicissitudes that make up the fabric of history (Second Reading).

 

하느님은 제국들의 및 역사의 주님이십니다. 키루스(Cyrus, 공동번역성서: 고레스)는 광대한 페르시아 제국을 통치하나(제1독서),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키루스를 통치하시고 그리고 섭리에 의하여(providentially) 그를 역사에 관한 당신의 계획들에 있어 당신의 중보/중개자(mediator)로 심으십니다. 하느님께 속하는 바는 하느님께 바치고, 그리고 임금들과 황제들에게 속한 바는 그들에게 바쳐라고, 오늘의 복음 말씀은 우리들에게 가르칩니다. 하느님께는 역사의 계획과 목표를, 그리고 그들에게는 역사의, 행동들 및 전진하는, 전개를. 역사의 짜임새(fabric)를 구성하는 부침(浮沈i)/흥망(興亡)(vicissitudes)에 신비하게(mysteriously) 현존하는 것이 바로, 하느님의 및 당신의 성령의, 힘(power)이라는 사실에 관하여 어떠한 의심도 있지 않습니다(제2독서).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 3분 복음/교리 묵상

 

CCCC 596. (주님의 기도에서) “우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는 무엇을 의미합니까?
CCC 2846-2849, 2863


우리는 성부이신 우리의 하느님께서 우리를 홀로 두지 마시고 그리고 유혹의 지배(power) 아래에 두지 마실 것을 청원합니다. 한편으로는, 선함 안에서 우리를 자라게 하는 시련(a trial)과 우리를 죄와 죽음 쪽으로 인도하는 유혹(a temptation) 사이에서 어떻게 식별할 것인가에 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혹을 받게 됨(being tempted) 그리고 유혹에 동조함(consenting) 사이에서 어떻게 식별할 것인가에 대하여, 우리가 알게 되도록 도와주실 것을 성령께 청원합니다. 이 청원은 당신의 기도로써 유혹을 극복하셨던 예수님께 우리를 결합하게 합니다. 이 청원은 경계(vigilance)라는 은총(grace)(*1)과 최후의[즉, 임종 시점의] 끈기(final perseverance)(*2)라는 은총을 요청합니다(엮은이 번역).

 

(*1)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은총’(grace)이라는 용어의 정의(definition) 등을 학습할 수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555.htm  

 

(*2)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인내, 끈기, 그리고 최후의 끈기의 커다란 차이점에 대하여 학습할 수 있다. 필청/필독을 권고드린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칠죄종들_중의_한_개인_분노의_통제를_위한_필수적인_덕들인_겸손_겸화_인내_끈기_2974.htm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29_c2846.htm

 

CCCC 597. 우리는 왜 “악에서 구하소서”라고 청원함으로써 주님의 기도를 끝내는지요?
CCC 2850-2854, 2864


여기서 “악(Evil)”은 하느님을 반대하는 사탄(Satan)이라는 인격체(person)를 나타내며 악은 “온 세상을 속이는 그자”(요한 묵시록 12,9)입니다. 이 악마에 대한 승리는 이미 그리스도에 의하여 성취되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인간 가족(human family)이 사탄과 사탄의 일들로부터 자유롭게 될 것을 기도합니다. 우리는 또한, 악마(Evil One)로부터 장차 확실하게(definitely) 우리를 자유롭게 하실 분인 그리스도의 재림을 기다리면서, 평화(peace)라는 소중한 선물과 끈기(perseverance)라는 은총을 청원합니다(엮은이 번역).

 

주: 교황청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영어 등의 외국어로 된 위의 CCCC 문항들 및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제공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해당 항목들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http://ch.catholic.or.kr/pundang/4/a_ot_29_c2850.htm  

 

 

마침 기도: 성모송, 영광송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기뻐하소서!

주님께서 함께 계시니 여인 중에 복되시며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천주의 성모 마리아님,

이제와 저희 죽을 때에

저희 죄인을 위하여 빌어주소서.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243 2

추천

Sun_T_SOH,신성적_사랑(divine_love)의_세_종류들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