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음동성당 게시판

십자성호

인쇄

지학남 [obbji] 쪽지 캡슐

2003-06-12 ㅣ No.2456

십자성호에는 어떤 뜻이 있나요?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오른손 끝으로 아래와 같이 십자를 긋습니다.

성부(이마에)와

성자(명치에)와

성령(왼쪽가슴에)의 이름으로(오른쪽 가슴에)

아멘(두손을 모은다)

 

우리는 전례나 개인 기도의 시작과 끝뿐만 아니라 하루 일과나 각종 모임의 시작과 끝에 자주 십자성호를 긋습니다. 심지어 열심한 교우들은 음료수를 마실 때조차 꼭 십자성호를 긋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활 중에 일어나는 아주 작은 행위 하나하나에 십자성호를 긋는 이유는

테르툴리아노 교부가 "어떤 동작을 할 때마다, 옷을 입고 신발을 신을 때 ㆍㆍㆍ일상 생활의 모든 동작마다 우리는 십자표를 긋는다"라고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일상 생활에서 이뤄지는 모든 일을, 비록 작고 하찮은 일이라 할지라도 하느님과 연관시키고, 하느님께 감사하기 위해서입니다.

이처럼 십자성호는 비록 간단한 동작이지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십자가는 원래 고대 중동 지방의 사형 도구였지만,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희생되신 이후 그리스도교 신앙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교회는 이미 초세기부터 여러 형태의 십자 표시를 전례나 사적인 기도 등에서 애용하였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마와 가슴 및 어깨에 긋는 전형적인 십자성호는 원래 5세기경부터 나타났지만, 이것이 전례나 개인 기도 등에 널리 쓰이기 시작한 것은 13세기경부터입니다.

특히 이 동작은 중세 초기에 성삼 기도문과 겹쳐지면서 더욱 일반화되었습니다.

이마와 가슴 및 양 어깨에 십자성호를 긋는 뜻은 이들 부위가 인간의 몸과 마음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마나 입술 및 가슴에 십자 표시를 하는 것은 ’작은 십자성호’라고 하는데, 이미 중세기 이전부터 애용되었으나 전례 안에 들어온 것은 12세기 이후부터입니다.

현재는 미사 때 복음 봉독 직전에만 이 십자성호를 긋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설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복음 말씀을 머리로 깨닫고 입으로 선포하며 마음으로 받아들여 실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합니다.

 

사람이나 사물에 십자표를 그리는 행위는 4-5세기부터 안수의 의미로 하기 시작하였는데 축성, 축복, 사죄, 구마 등을 위한 것입니다.

현행 예식에서는 미사 때의 축성, 참회 예식의 사죄, 각종 예식 끝의 파견 축복 등에서 하고 있습니다.

 

모든 종류의 십자 표시는 십자가상 죽음을 통해 구원을 완성하신 그리스도를 상징하기 때문에,

그 자체로 짤막하고 명료한 신앙 행위가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십자 표시를 통해 인간에게 빛과 구원을 주신 그리스도의 인성, 특히 그분의 수난과 부활을 믿고 고백하며 생활 안에 실천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 정의철(생활성서 98.1) -

 



27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