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완덕(完德) 및 성덕(成德)이라는 용어들에 대하여 1094_ 540_ [번역오류_완덕] [번역오류_완전] [번역용어_완미]

인쇄

작성중입니다 [175.115.221.*]

2011-09-15 ㅣ No.1108

+ 찬미 예수님
 
이 글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대단히 중요한 신학 용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제목의 필자의 졸글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
 
우선, 다음은 위의 제목의 글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내용 연결 관계로 가져왔습니다:
 
[발췌 시작: 2011년 9월 15일]
 
4. 지금부터는, 영어로 "perfection"으로 번역이 되는 신학적 용어를 우리말로 번역을 할 때에, 어떠한 조치를 취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대단히 중요한 신학 용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제목의 글의 제3-2항의 제(i)-(ii)항들을 만족하는 우리말 번역문을 확보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 사항: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대단히 중요한 신학 용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제목의 글의 중간 결론 1,2 및 3들에서, "complete" 라는 단어가 "완전한"으로 우리말 번역이 되고 있기에, "perfect"라는 단어를 "완전한"이 아닌 다른 어떤 단어로 번역을 하여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왜 "완전한"이 아닌 다른 우리말 단어로 번역을 하여야 하는지는 아래의 제4-2, 4-3, 및 4-4항을 읽어 내려가면 저절로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4-1. (St. Joseph 판 BAB 부록인 Bible Dictionary 에 주어진 "perfect" 용어에 대한 설명)
 
우선 이 성경 사전에 주어진 "perfect" 단어의 설명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발췌 시작)
 
PERFECT. In the ancient text, this word indicates someone who avoids sin and practicies the law. The passage in which Jesus says: "Be perfected as your heavenly Father is perfect" (Mt 5, 48) signifies - according to its context - that one must imitate the divine mercy and impartiality. In a single passage (Mt 19, 21) Jesus speaks of the perfection of the disciple who goes beyond his ordinary duties. St. Paul uses the term perfect of the "spiritually mature" Christians who know true wisdom and want all men to be perfect in Christ (1 Cor 2, 6ff).
 
PERFECT. 고대의 본문에 있어, 이 단어는 죄(sin)를 피하고(avoids) 그리고 법(the law)을 실천하는(practices) 어떤 자를 나타냅니다. 예수님께서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perfect) 것처럼 너희도 완전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be perfected)" (마태오 복음서 5,48) 라고 말씀하시는 절은 - 그 문맥에 따라 - 우리가 하느님의 자비와 공명 정대(mercy and impartiality를 본받아야만 함을 나타냅니다. 단 한 개의 절(마태오  복음서 19,21)에서 예수님께서는 자신의 통상적인 임무들을 능가하는 제자의 perfection에 대하여 말씀하십니다. 성 바오로는 참된 지혜을 하는 "영적으로 성숙한(spiritually mature)" 그리스도인들에게 이 perfect 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perfect 되기를 원합니다 (1코린토 2,6 및 이어지는 몇 개의 절들).
 
-----
(*) 번역자 주: 마태오 복음서 5,48에서 영어로 "perfect"로 번역되는 신학적 용어를 "새 번역 성경"에서 "완전한"으로 번역하였기에, 있는 그대로 발췌하였으나, 그러나 "완전한"으로 번역한 것은, 이 글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번역 미숙/오류이다.
-----
(이상, 발췌 끝)
----------
 
이 설명으로, 어느 정도 "perfect" 라는 용어의 의미를 알게 되었으나, 그러나 여전히 부족하다는 생각입니다.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93항으로부터, "perfection" 이라는 용어가 신학적으로 근본/기본 개념을 지니고 있음을 이미 알게 되었습니다.
 
4-2.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설명)
 
다음은 Modern Catholic Dictionary에 주어진 "perfection" 용어의 정의(definition) 입니다:
 
 
PERFECTION

That in which nothing is lacking which, according to its nature, it should possess. That is absolutely perfect, which in itself has all possible excellence and excludes all deficiencies. Only God is absolutely perfect. That is absolutely perfect. That is relatively perfect which has a finite nature and possesses all the advantages corresponding to its nature. The Church teaches that God is infinite in every perfection. Creatures are as perfect as they are like God, and moral perfection consists in becoming like Christ, who is infinite God in human form.
 
PERFECTION
 
거기에 자신의 본성에 따라, 자신이 지녀야만 하는 어떠한 것도 결핍(缺乏)/결여(缺如)되지(lacking) 않은 바로 그런 상태(that)를 말합니다. 그 자체로(in itself) 모든 가능한 탁월(excellence)을 가지며 그리고 모든 결핍(deficiencies)들을 배제하는 바로 그런 상태는 절대적으로 perfect 합니다. 오로지 하느님만이 절대적으로 perfect 합니다. 바로 이것이 절대적으로 perfect 인 것입니다. 유한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자신의 본성에 대응하는 모든 이점(利點, advantages)들을 소유하고 있는 바로 그런 상태는 상대적으로 perfect 합니다. 교회는 하느님께서 모든 perfection 에 있어 무한하다(infinite)고 가르칩니다. 피조물들은 그들이 하느님 같은 만큼 perfect 하며, 그리고 윤리적(moral) perfection은, 인간의 형상으로 무한한 하느님이신, 그리스도 같이 되는 것을 주된 부분으로 가지고 있습니다(consists in).
 
-----
 
이 용어 사전의 정의로부터, 이제 우리는 "perfection"의 의미 혹은 개념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이제 남은 것은, 이에 대응하는 기존에 사용 중인 우리말 단어를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입니다.
 
만약에 지금까지 사용 중인 우리말 단어 중에 적절한 단어가 없을 경우에는, 필요하다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야 할 것인데, 이럴 필요성이 없음은, 다음의 제4-4항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4-3. 다음은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perfection" 용어에 대한 설명의 첫 부분입니다. 위의 제4-2항정의(definition)에 만족하지 않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또한 함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Christian and Religious Perfection
 
A thing is perfect in which nothing is wanting of its nature, purpose, or end. It may be perfect in nature, yet imperfect inasmuch as it has not yet attained its end, whether this be in the same order as itself, or whether, by the will of God and His gratuitous liberality, it be entirely above its nature, i.e. in the supernatural order. From Revelation we learn that the ultimate end of man is supernatural, consisting in union with God here on earth by grace and hereafter in heaven by the beatific vision. Perfect union with God cannot be attained in this life, so man is imperfect in that he lacks the happiness for which he is destined and suffers many evils both of body and soul. Perfection therefore in its absolute sense is reserved for the kingdom of heaven. 
 
그리스도인 및 수도자의 Perfection
 
어떤 사물은 그 본성(nature), 목적(purpose), 혹은 끝(end)에 있어 아무런 부족함(wanting)이 없는 점에 있어 perfect 합니다. 그것은 본성에 있어 perfect  일 수도 있으나, 그러나 그것이 자신의 끝(end)을, 하여간 이 끝이 자기 자신과 동일한 순서(order)에 있거나, 혹은, 하느님의 의지와 당신의 무상의 관대함(gratuitous liberality)에 의하여, 이 끝이 전적으로 자신의 본성보다 위에, 즉, 초자연적 순서/질서(supernatural order)에 있든지간에, 획득하지 못한 한 perfect  하지 않을(imperfect) 것입니다. 거룩한 계시(Revelation)로부터 우리는 사람의 유일한 궁극적 끝(the ultimate end)이, 여기 지상에서 은총(grace)에 의하여 그리고 이후에 하늘에서 지복직관(the beatific vision)에 의하여 하느님과 결합 상태(union)에 있는, 초자연적인 것임을 배웁니다. 하느님과의 perfect 결합은 이 세상의 삶에서 획득 될 수 없으며, 그래서 사람은 그가 예정되어 있는 행복이 부족한(lacks) 점에 있어 그리고 몸과 영혼 둘 다에 기인하는 많은 악(evils)들을 겪는(suffers) 점에 있어 perfect  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perfection은 그 절대적 의미에 있어 하늘 나라(kingdom of heaven)를 위하여 유보되어 있습니다(is reserved for).

-----
 
4-4. (대만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천주교 용어 사전에 주어진 설명)
 
다음은 중국어 천주교 용어 사전에 실린 것입니다:
 
 
perfection:全德;完美;成全;成德
 
 
여기서
 
(i) 全德 및 成德 한자어들은 덕(德) 이라는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러나, 여기서 "행동에 좋은 영향을 끼치는 습관"으로 정의되는 신학적 용어인 virtue 가, 여기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클릭한 후에 "정의들" 항을 참고하라), 덕(德) 으로 번역이 되고 있기에, 대단히 곤란하고,
 
(ii) 그리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성전(成全) = 통합(統合)「3」, 즉 『심리』여러 요소들이 조직되어 하나의 전체를 이룸. 또는 그런 일.
 
로 설명하고 있기에 곤란하나,
 
(iii) 그러나 완미(完美)라는 단어에 대한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명은, 다음의 제4-5항에 있듯이, "perfection"의 의미에 매우 적합니다.
 
비록 독자에 따라 완미(完美) 라는 단어가 약간 생소할 수도 있으나,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사용 중인 한자 단어들 중에 완미(完美) 가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러지 않고서야, 표준 국어 대사전에 이 한자어의 의미가 주어져 있겠는지요?  
---
 
 
4-5.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의 설명)
 
다음은 표준 국어 대사전에 주어진 완미(完美)라는 한자 단어의 설명입니다:
 
 
완미(完美): 완전하여 결함이 없음.
-----
 
이 단어의 설명이 위의 제4-2항의 첫 문장에 주어진 정의(definition)대단히 근접한다는 생각입니다.
 
 
5. (결론: "perfection" 에 해당하는 용어의 우리말 번역 용어 제안)
 
5-1. 비록 표준 국어 대사전에 실린 "완전" 이라는 단어의 설명도 위의 제4-2항의 첫 문장에 주어진 설명에 대단히 근접하기는 하나, 그러나 이 단어는, 이미 "complete""완전한" 으로, 그리고 "completely""완전히" 혹은 "완전하게" 로 번역을 하고 있기에, 이 번역 단어와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 "perfection" 단어를 확실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perfectly" 를 "완미(完美)하게", 
 
"perfect""완미(完美)한",
 
"imperfect" "완미(完美)하지 않은", 
 
"perfection""완미(完美)" 로 번역할 것을 제안합니다.
 
참고 사항: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대단히 중요한 신학 용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제목의 직전의 글의 제2-1-1항에서 "perfectly" 단어는 약16번, 그리고 이 직전의 글의 제 2-1-2항에서 "completely" 단어는 약12번, 따라서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이들 두 단어들은 약28번 사용되고 있으나, 그러나 우리말 가톨리 교회 교리서 본문에 대하여 "완전히" 단어로 검색을 하면 약72건이 검색되며, "완전하게" 단어로 검색을 하면 약39건이 검색됩니다. 따라서, 약111건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숫자 111은 숫자 28보다 너무 큰 숫자입니다.
 
5-2. 그러므로, 신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근본/기초 개념을 가지고 있는 단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 용어를, 새 번역 성경 및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 있어, 현재의 "완전성" 혹은 "완전함" 등으로부터, "완미(完美)" 로 교체하는 것이,
   
꼭 필요한 조치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가 어느 지역 언어로 번역이 되더라도, 동일한 내용을 반드시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5-3. 그리고 이러한 조치를 취하면,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대단히 중요한 신학 용어인 perfection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제목의 이 글인 이 글의 직전의 글의 제3-2항의 제(i)-(ii)항들을 만족하게 되어, 예를 들어, 별도로 영어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들여다 보지 않고서도,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내용을 신학적으로 좀 더 명쾌하게 이해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상, 발췌 끝].
 
[내용 추가 일자: 2011년 9월 14일]
 
(i) 다음은, Merriam-Webster Unabridged Dictionary (클릭하십시오) 에 주어진, "perfection" 이라는 단어의 어원 및 사전적 정의입니다. 특히 이 Merriam-Webster Dictionary들에서는, 시중의 대부분의 영영사전들과는 달리, 이 단어가 영어권에서 사용되기 시작할 시기부터 연대순으로 단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기에, 특히 첫 부분인 제1항 및 제2항에 주어진 가장 오래된 이 단어의 의미들은, 이 단어의 어원의 의미를 거의 그대로 가지고 있음에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Main Entry: 1per·fec·tion

Etymology: Middle English perfeccioun, from Old French perfection, from Latin perfection-, perfectio, from perfectus (past participle of perficere to complete, perfect) + -ion-, -io -ion -- more at 1PERFECT

1 a obsolete :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finished : COMPLETION, WHOLENESS b : the condition of having reached full development : MATURITY, RIPENESS perfection -- Agnes Repplier> c : an exemplification of supreme moral or physical excellence perfection
-- Max Peacock>
2 a : freedom from fault or defect : correspondence with or approximation to an ideal concept : FLAWLESSNESS perfection and wonder of leaf, berry, sand whorl -- E.B.Garside> perfection of preparation and mounting -- City Library Bulletin Springfield (Massachusetts)> perfection -- Allen Johnson>; specifically : SAINTLINESS perfection like Buddha's -- A.M.Fairbairn> b : an unsurpassable degree of accuracy or excellence : CULMINATION perfection upon earth nowadays -- Richard Semon>
3 : the act or process of freeing from faults or drawbacks : IMPROVEMENT, REFINEMENT perfection of the fountain pen> perfection of a Christian -- D.J.Unger>
4 a : skillful execution : complete mastery of technique : PROFICIENCY, VIRTUOSITY <perfection is what we strive for constantly in the ballet -- Moira Shearer> perfection and complexity -- Geographical Journal> b archaic : a trait or skill acquired by education or practice : ACCOMPLISHMENT
5 : triple time in mensural notation
synonym see EXCELLENCE
 
참고: 위의 사전의 제1항 및 제2항에 주어진 "perfection" 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설명에 의거하더라도, 이 단어가 "완전함(completion)", "전체의 상태(wholeness)", "결함이 없는 상태(flawlessness)", 그리고 "오점이 없는 상태(stainless)"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동등하게 대단히 잘 대응하는 우리말 번역 용어가, 위의 제4-5항의 표준국어대사전에 그 의미가 주어진, "완미(完美)"임을 재차 확인하였습니다.
 
(ii-1)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총53개의 항들에서 "perfection"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에서 "perfection" 이라는 용어가 제293 항에서 두 번, 제302항에서 세 번, 제310항에서 두 번, 제2013항에서 두 번, 그리고 제2028항에서 두 번 사용되고 있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음)

(ii-2)
그리고,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총5개의 항들에서 "perfections"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41항에서 "perfections"라는 용어가 두 번 사용되고 있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음)
 
(iii)그러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의 경우에는, 다음의 10개의 항들에서 "perfection"의 번역 용어로 "완덕"이라는 한자어를 사용중임을 확인하였습니다:
 
829, 1832, 1953, 2013, 2015, 2028, 2103, 2359, 2550, 2690

(iv) (건의/요청 사항) 따라서 위의 제5항에서 제안한 바와 동일한 이유로,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 중의 다음의 항들에서,
 
829, 1832, 1953, 2013, 2015, 2028, 2103, 2359, 2550, 2690
 
"완덕"이라는 번역 용어 모두 "완미(完美)"교체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그리고, "perfections"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 제1832항의 경우에는"완미(完美)들"로 교체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게시자 주: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본문 중에서 "perfection" 혹은 "perfections"로 번역되는 표현들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어떤 번역 용어로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비교/검토의 글은 별도로 작성하여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참고: 위의 게시자 주에서 언급하고 있는 별도의 글의 시작은 여기서 부터입니다.
 
작성 중입니다.  


1,351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