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Ia q67 빛: 창조의 첫 번째 날의 일 < 창조의 날들 [신학대전여행]

인쇄

신학대전여행 [175.115.208.*]

2012-02-24 ㅣ No.1173

----------
번역자 주: 다음은,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의 약 600여 개에 달하는 각 문항(Questions)들에 대한 "압축된 바꾸어 말하기"인 Paul J. Glenn 몬시뇰(1893-1957)의 저서: "A Tour of the Summa(신학대전여행)"의 Ia q67, 빛: 창조의 첫 번째 날의 일 전문이며, 그리고 하반부의 글은, 상반부의 글의 제1항에 대응하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 대전, Ia q67, 구분 그 자체의 일, 제1항 전문이다.
----------


67. Light: Work of the First Day of Creation

67. 빛: 창조의 첫 번째 날의 일

1. Light means what the eye requires so that it may see and also what the mind requires that it may understand. We constantly use the word light in both senses; we speak of the light of day, and we also say that an explanation of a problem or difficulty "throws light on the subject."

1. 빛(light)은 눈(the eye)이 보기 위하여 요구하는 바 그리고 또한 마음(the mind)이 이해하기 위하여 요구하는 바를 뜻합니다. 우리는 이들 두 의미들로서 이라는 단어를 끊임없이 사용하며, 그리하여 우리는 낮(day)의 빛에 대하여 말하며, 그리고 우리는 또한 어떤 문제 혹은 어려움에 대한 어떤 설명이 "대상(the subject) 위에 빛을 던진다" 라고 말합니다.

-----
번역자 주: 여기서 "빛(light)"이라는 용어의 의미 혹은 정의(definition)가 주어지고 있다.
-----

2. Light in its meaning as the illumination of the bodily universe is not a substance.

2. 빛은, 형체를 가지는 우주(the bodily universe)에 대한 조명(illumination)으로서의 그 의미에 있어, 어떤 본체(a substance)가 아닙니다.

3. Bodily light is an active quality which pertains to a luminous bodily substance. The effect of ligh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substances from which it comes.

3. 형체를 가지는 빛(bodily light)은 어떤, 빛을 발하는, 형체를 가지는, 본체에 속하는 어떤 활동적인 성질입니다. 빛의 효과는 그것이 나오는 서로 다른 본체들에 따라 다릅니다.

4. It is suitable that the creation of light be the work of the first day, for in light other works may fittingly proceed.

4. 빛의 창조가 첫 번째 날의 일인 것은 적절한데(suitable), 이는 빛 안에서 다른 일들이 적합하게(fittingly) 진행될 수도(may) 있기 때문입니다.

----------
우리말 번역문 출처: http://club.catholic.or.kr/tourofsumma
영어본 원문 출처: http://www.catholictheology.info/summa-theologica/summa-part1.php?q=468

====================

출처 1: http://www.newadvent.org/summa/1067.htm
출처 2: http://www.intratext.com/IXT/ENG0023/__P31.HTM

신학 대전 Ia

Question 67. The work of distinction in itself

질문 67. 구분 그 자체의 일
 

We must consider next the work of distinction in itself. First, the work
of the first day; secondly, the work of the second day; thirdly the work
of the third day.

이어서 우리는 구분 그 자체의 일을 고찰하여야 합니다. 첫 번째로, 첫 번째 날의 일, 그리고 두 번째로, 두 번째 날의 일, 그리고 세 번째로 세 번째 날의 일.

Under the first head there are four points of inquiry:

첫 번째 표제 아래에서 질문에 있어서의 네 개의 요지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1. Is the word light used in its proper sense in speaking of spiritual things?
2. Is light, in corporeal things, itself corporeal?
3. Is light a quality?
4. Was light fittingly made on the first day?

Article 1. Whether the word "light" is used in its proper sense in speaking of spiritual things?

제1항. 영적인 사물들에 대하여 말함에 있어 "빛"이라는 단어가 그 고유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지?

Objection 1. It would seem that "light" is used in its proper sense in spiritual things. For Augustine says (Gen. ad lit. iv, 28) that "in spiritual things light is better and surer: and that Christ is not called Light in the same sense as He is called the Stone; the former is to be taken literally, and the latter metaphorically."

반대 1. "빛"은 영적인 사물들에 있어 그 고유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아우구스티노(Augustine)가 "영적인 사물들에 있어 빛은 더 나은 것이고 그리고 더 확실한 것이며, 그리고 그리스도께서는 당신께서 거룩한 돌(Stone)이라고 불리듯이 동일한 의미로 거룩한 빛(Light)이라고 불리지 않는데, 이는 전자(the former)는 글자 그대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후자(the latter)는 은유적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Gen. ad lit. iv, 28) 라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
번역자 주: 우리말로의 번역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한 한 문장 중의 두 개의 구절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의 바뀜 때문에, 영어 원문에서와는 달리, 여기서 말하는 "전자(the former)"는 "거룩한 빛"을 가리키고, "후자(the latter)"는 "거룩한 돌"을 가리킴에 유의하라.
-----

Objection 2. Further, Dionysius (Div. Nom. iv) includes Light among the intellectual names of God. But such names are used in their proper sense in spiritual things. Therefore light is used in its proper sense in spiritual matters.

반대 2. 더 나아가, 디오니시오(Dionysius)는 거룩한 빛을 하느님에 대한 지성적 이름들 중에 포함시킵니다. 그러나 그러한 이름들은 영적인 사물들에 있어 그들 고유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그러므로 빛은 영적인 사안들에 있어 그 고유의 의미로 사용됩니다.

Objection 3. Further, the Apostle says (Ephesians 5:13): "All that is made manifest is light." But to be made manifest belongs more properly to spiritual things than to corporeal. Therefore also does light.

반대 3. 더 나아가, 이 사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밖으로 드러나는 것은 모두 빛으로 밝혀집니다."(에페소 5,13). 그러나 분명하게 되어야 하는 것은 유형의 사물들보다도 영적인 사물들에 더 고유하게 속합니다. 그러므로 빛도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On the contrary, Ambrose says (De Fide ii) that "Splendor" is among those things which are said of God metaphorically.

이와는 달리, 암브로시오(Ambrose)는 "광채(Splendor)"는 은유적으로 하느님에 대하여 말해지는 바로 그러한 것들 중에 있다 (De Fide ii) 라고 말합니다.

I answer that, Any word may be used in two ways--that is to say, either in its original application or in its more extended meaning. This is clearly shown in the word "sight," originally applied to the act of the sense, and then, as sight is the noblest and most trustworthy of the senses, extended in common speech to all knowledge obtained through the other senses. Thus we say, "Seeing how it tastes," or "smells," or "burns." Further, sight is applied to knowledge obtained through the intellect, as in those words: "Blessed are the clean of heart, for they shall see God" (Matthew 5:8). And thus it is with the word light. In its primary meaning it signifies that which makes manifest to the sense of sight; afterwards it was extended to that which makes manifest to cognition of any kind. If, then, the word is taken in its strict and primary meaning, it is to be understood metaphorically when applied to spiritual things, as Ambrose says (De Fide ii). But if taken in its common and extended use, as applied to manifestation of every kind, it may properly be applied to spiritual things.

저는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어느 단어든지 두 가지 방식들로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즉, 그 원래의 적용으로 혹은 그것의 더 확대 해석된 의미로. 이것은, 원래 감각의 작용에 적용되는, 그러고 나서, 그것이 감각들 중에서 가장 고상하고 그리고 가장 신뢰할 수 있기에, 통상의 말에 있어 다른 감각들을 통하여 획득되는 모든 지식으로 획장되는, "시력(sight)" 이라는 단어에서 분명하게 보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맛이 어떤지 봄", 혹은 "냄새가 어떤지 봄", 혹은 "열기가 어떤지 봄" 이라고 말합니다. 더 나아가, 시력은, 다음의 표현에서처럼, 지성을 통하여 획득되는 지식에 적용됩니다: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마태오 복음서 5,8).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빛(light)이라는 단어에 있어서도 그러합니다. 그 가장 중요한 의미에 있어 이 단어는 시력이라는 감각에 분명하게 만드는 바로 그것을 나타내며, 그리고 그 이후로 이 단어는 어떤 종류의 인지에 분명하게 만드는 바로 그것으로 확대 해석되었습니다. 만약에, 이러한 방식으로, 이 단어가 그 엄격하고 가장 중요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면, 이 단어는 영적인 사물들에 적용될 때에, 암브로시오가 말하듯이 (De Fide ii), 은유적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만약에, 모든 종류의 분명하게 드러남에 적용되듯이, 그 통상적 그리고 확대 해석된 사용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이 단어는 영적인 사물들에 고유하게 적용될 수도 있습니다.

The answer to the objections will sufficiently appear from what has been said.
위의 반대들에 대한 답변은 이미 말해진 바로부터 충분하게 가시적일(appear) 것입니다.

(이하 생략).

----------
번역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1,340 2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