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piety 인 세 개의 탁월한 선행들 - 가톨릭 교회 교리서 1444_piety good_works

인쇄

. [218.55.90.*]

2013-10-09 ㅣ No.1457

 

당부의 말씀:

많이 부족한 죄인인 필자의 글들은 어떤 특정인의 감정을 자극하기 위하여 마련된 글들이 결코 아니기에, 다음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지금까지 필자의 글들을 읽고서 필자에 대한 "분노(anger)" 혹은 "질투(envy)"를 가지게 된 분들은, 혹시라도 그분들께 "걸림돌(stumbling block)"일 수도 있는, 많이 부족한 죄인의 글들을 더 이상 읽지 마시기 바랍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2) 그리고 위의 제(1)항의 당부의 말씀을 읽고도 굳이 이 화면의 아래로 스스로 이동하여, 많이 부족한 죄인의 아래의 본글을 읽는 분들은, 필자에 대한 "분노(anger)"와 "질투(envy)" 둘 다를 가지지 않을 것임에 동의함을 필자와 다른 분들께 이미 밝힌 것으로 이해하겠습니다.

(3) 그리 길지 않은 인생 여정에 있어, 누구에게나, 결국에, "유유상종[類類相從, 같은 무리끼리 서로 사귐 (출처: 표준국어대사전)]"이 유의미할 것이라는 생각에 드리는 당부의 말씀입니다.
 





















































+ 찬미 예수님!

 

1. 들어가면서

1-1. 이 글은,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제목: 그리스도인들의 기도(祈禱, prayer)는 선행(善行)일까요?]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1-2. 이전 글의 신약 성경 근거는, 마태오 복음서 6,1에서 예수님께서 "의로운 일"을 말씀하시면서, 곧바로 이어서 이들이 "선행", "기도", 그리고 "단식"임을 또한 예수님께서, 이들 각각에  대한 구체적인 주의의 말씀들과 함께, 직접 말씀해 주심이었습니다.

 

그리고 또한 이미 말씀드렸지만, 성경 본문 전체를 통하여 예수 그리스도께서 직접 "의로운 일" 들이라는 언급과 함께 구체적으로 직접 나열하신 의로운 일들은 이들 "세 개의 탁월한 선행들" 이외에는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지금 이 지적과 관련하여, 신약 성경의 네 복음서들의 권위가 신약 성경의 서간문들의 권위보다 더 월등한 이유는 참 하느님이시고 또한, 원죄 없는, 더 나아가, 완미한(perfect) 참 사람이신 예수님의 말씀들과 위업들이 이들 네 복음서들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임을 결코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들 "세 개의 탁월한 선행들"에 대한 예수님의 가르침은, 이들을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기에 그 예형(type)인, 토빗기 12,8의 대형(antitype)임을 함께 고찰하였습니다.

 

게시자 주 1-2:
(1) 그런데, 예상 밖으로, 우리말본 "공동번역성서" 와 현재의 "새 번역 성경" 둘 다의 토빗기 12,8에는 "단식" 이라는 단어가 누락되어 있기에, 언어 장벽과 문화 장벽 때문에, 대단히 안타깝게도, 이러한 내용(즉, 예형-대형)을 국내의 대다수의 가톨릭 교우님들이 그동안 파악조차 제대로 할 수가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2) 예를 들어, 비록 토빗기 12,1.5-15.20 이, 1979년부터 가톨릭 교회의 전례력에 있어, 홀수 해 연중 제9주간 토요일 제1독서임에도 불구하고, 대단히 슬프게도,

 

(i) 국내의 가톨릭계에서, 우리말로 "기도", "단식", 그리고 "자선"을 언급하는, 인터넷 공간에 올려진, 글들 중에서,

(ii) 예수님께서 이들을 "의로운 일들"이라고 직접 말씀하셨고 그리고

(iii) 이들의 구약 성경 근거가 토빗기 12,8임을 명기한 글들이

 

그동안, 여기를 클릭하면 읽을 수 있는 글[제목: 그리스도인들의 기도(祈禱, prayer)는 선행(善行)일까요?] 이외에는, 전혀 없었음은,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goo.gl/d0Uk3K (클릭하십시오) 
(이상, 게시자 주 끝).

 

1-3. 다른 한편으로, 다해인 올해 2013년은, 특히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학습하여야 하는 "신앙의 해"인데, 이번 글에서는, 이들 "세 개의 탁월한 선행들" 을 직접 언급하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의 가르침들을 함께 학습하고자 합니다.

 

2.
2-0. 우선적으로, 여기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본문 중에서, "almsgiving", "fasting", "prayer" 단어들을 포함하고 있는 항들이 제575항, 제1434항, 그리고 제1969항, 이렇게 세 개임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1.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문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75항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ccc_css/archive/catechism/p122a4p1.htm 

(발췌 시작)
575 Many of Jesus' deeds and words constituted a "sign of contradiction",321 but more so for the religious authorities in Jerusalem, whom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often calls simply "the Jews",322 than for the ordinary People of God.323 To be sure, Christ's relations with the Pharisees were not exclusively polemical. Some Pharisees warn him of the danger he was courting;324 Jesus praises some of them, like the scribe of Mark 12:34, and dines several times at their homes.325 Jesus endorses some of the teachings imparted by this religious elite of God's people: the resurrection of the dead,326 certain(#) forms of piety (almsgiving, fasting and prayer),327 the custom of addressing God as Father, and the centrality of the commandment to love God and neighbor.328

 

-----
321 Lk 2:34.
322 Cf. Jn 1:19; 2:18; 5:10; 7:13; 9:22; 18:12; 19:38; 20:19.
323 Jn 7:48-49.
324 Cf Lk 13:31.
325 Cf. Lk 7:36; 14:1.
326 Cf. Mt 22:23-34; Lk 20:39.
327 Cf. Mt 6:18.
328 Cf. Mk 12:28-34.
-----

 

575. 예수님의 위업(deeds)들과 말씀(words)들의 다수는 "모순에 대한 표징(sign of contradiction)"을 형성하였으며(constituted),321 그러나 보통의, 하느님의, 백성의323 경우보다, 요한에 따른 복음서가 단체적으로(simply) "유다인들(the jews)"322 이라고 자주 부르는, 예루살렘에 있는 종교 지도자들의 경우에 더 그러하였습니다. 확실하게, 바리사이들과 예수님의 관계들은 오로지(exclusively) 논쟁적인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일부 바리사이들은 그분께서 생각 중이셨던 위험에 대하여 그분께 조심시키고324,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마르코 12,34의 율법 학자처럼, 그들 중의 일부를 칭찬하시며, 그리고 여러 번 그들의 집들에서 저녁 식사를 하십니다.325 예수님께서는, 다음과 같은, 하느님의 백성의 바로 이 종교적 상류층 사람들(religious elite)에 의하여 전해졌던(imparted) 가르침들의 일부를 공개적으로 인정하십니다(endorses): 죽은 이들의 부활326,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의 형태(forms)들(#)[자선 제공(almsgiving), 단식(fasting) 그리고 기도(prayer)](**)327, 하느님을 아버지(Father)로 부르는 관습(custom)(***), 그리고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의 중심성(centrality).328

 

-----
(*) 번역자 주: "piety(pietas)"를 그 자구적 어의(語義)/의미(literal sense)에 따라, "공경/받듦" 혹은 "효경/효심" 등으로 번역하는 대신에,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로 직역 번역한 근거/이유는 다음의 글들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piety_concept_error.htm 

 

[내용 추가 일자: 2015년 6월 13일]

(#) 번역자 주:

(1) 다음에 있는, 라틴어 정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75항 및 프랑스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75항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75항을 정밀하게 비교/검토하면, 바로 여기서 "certain" 이라는 단어가 영어본으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추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말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을 삭제하였다:

http://www.vatican.va/archive/catechism_lt/p122a4p1_lt.htm
#Paragraphus 1 IESUS ET ISRAEL

http://www.intratext.com/IXT/FRA0013/__P1K.HTM

 

(2) 그런데, 다음에 있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575항에서는 "forms of piety" 가 단순히 "신심 행위(자선, 단식, 기도)" 로 번역이 되었는데, 이것은 명백한 번역 오류이다: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page=246

 

이는, 예를 들어, 다음의 주소를 클릭하면, 영어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영어로 다르게 번역되는 용어들이 우리말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본문에서 모두 동일하게 "신심 행위" 로 번역된 항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http://www.albummania.co.kr/gallery/view.asp?seq=157803&path=110610121307&rpage=1&epage=1023&stext=신심 행위

 

번역 오류 지적에 대하여는, 다음의 주소에 있는 글[제목: 대중 신심??? piety와 devotion(s)의 차이점]을 꼭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619.htm <----- 필독 권고

[이상, 내용 추가 끝]

 

(**) 번역자 주: "세 개의 탁월한 선행들(the three eminent good works)"로 불리는, 신약 성경의 본문 중에서 유일하게 예수님께서 의로운 일들이라고 구체적으로 나열하면서 말씀하셨던(마태오 복음서 6,1-18), 자선 제공(almsgiving), 단식(fasting) 그리고 기도(prayer)의 구약 성경 근거는 토빗기 12,8이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글은 다음에 있다. 클릭한 후에 제4항부터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44.htm

 

(***) 번역자 주: 하느님을 아버지(Father)로 부르는 관습(custom)이, 예수님에 의하여 처음으로 시작되지 않았음이 여기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아람어로 아버지에 해당하는 단어인 "아빠(Abba)" 라는 기도 중의 호칭의 첫 사용 시기에 대한 다음의 글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192.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2.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문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434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4B.HTM

(발췌 시작)
1434 The interior penance of the Christian can be expressed in many and various ways. Scripture and the Fathers insist above all on three forms, fasting, prayer, and almsgiving,31 which express conversion in relation to oneself, to God, and to others. Alongside the radical purification brought about by Baptism or martyrdom they cite as means of obtaining forgiveness of sins: effort at reconciliation with one's neighbor, tears of repentance, concern for the salvation of one's neighbor, the intercession of the saints, and the practice of charity "which covers a multitude of sins."32

 

-----
31 Cf. Tob 12:8(토빗 12,8); Mt 6:1-18(마태오 6,1-18).
32 1 Pet 4:8(1베드로 4,8); Cf. Jas 5:20(야고보 5,20).
-----

 

1434 그리스도인들의 내면적 참회(interior penance)는 다수의 그리고 다양한 방식들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성경 본문과 교부들은 무엇보다도, 본인에, 하느님에, 그리고 다른 이들에 관련하여 회심(conversion)을 표현하는, 단식(fasting), 기도(prayer), 그리고 자선 제공(almsgiving)이라는 세 개의 예절/형식(forms)들을 주장합니다.31 세례(Baptism) 혹은 순교(martyrdom)에 의하여 초래되는 근본적 정화(the radical purification)에 추가하여(alongside) 그들은 죄들에 대한 용서의 획득을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의 것들을 열거합니다(cite): 자신의 이웃과의 화해(reconciliation)에 있어 노력, 회개(repentance)(*)의 눈물들, 자신의 이웃의 구원을 위한 배려(concern), 성인(saints)들의 전구(intercession), 그리고 "많은 죄를 덮어주는" 애덕(charity)의 실천.32

 

-----
(*) 번역자 주: "회심(conversion)""회개(repentance)" 는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신학적 용어가 아니다. 이에 대하여서는 다음의 글의 제3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94.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2-3. 다음은,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영문본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1969 전문입니다:

 

출처: http://www.vatican.va/archive/ENG0015/__P6W.HTM

(발췌 시작)
1969 The New Law practices the acts of religion: almsgiving, prayer and fasting, directing them to the "Father who sees in secret," in contrast with the desire to "be seen by men."24 Its prayer is the Our Father.25

 

-----
24 Cf. Mt 6:1-6; 16-18.
25 Cf. Mt 6:9-13; Lk 11:2-4.
-----

 

1969 [예수 그리스도의] 새 법(the New Law)은, "사람들이 보아서 알게 되는 것"을 바라는 욕망(desire)과 대조적으로, 그들을 "남몰래 보고 계시는 성부"를 향하도록 하는,  다음의 경신덕 행위(the acts of religion)들을 실천합니다: 자선 제공(almsgiving), 기도(prayer) 그리고 단식(fasting).(*)24 이 새 법의 기도는 주님의 기도(Our Father)입니다.(**)25

-----
(*) 번역자 주:
(1) 오로지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이라는 윤리덕을 실천하는 자들 중에서 경신덕(religion)을 실천하는 자들이 있을 수 있음을 기억하라. 경의(敬意, respect)/존중(尊重, esteem)과 함께 당연한 의무들에 대한 충실(piety) 이라는 윤리덕의 실천에 있어 그 대상이 하느님일 경우에, 그 실천은 하느님을 향하여 나아가기에, "윤리적 선(moral good)"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당연하게(naturally) 윤리적으로 선한 행위(morally good acts)에 포함되며, 따라서 이들은 "세 개의 탁월한 [윤리적] 선행(the three eminent goood works)들"이라고 불리는 것인데, 그 결과 이들 선행들은, "경신덕(religion)"정의(definition)에 의하여, 당연하게(naturally) 경신덕 행위(the acts of religion)들의 실천에 포함된다.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에 있다. 클릭한 후에 제3항을 읽도록 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4
44.htm
 

 

(2) "윤리(morality)", "윤리적 선(moral good)", "선행(good works)들" 등의 용어들의 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에 있으니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284.htm <----- 필독 권고

 

(3) 경신덕(religion)정의(definition)는 다음의 글들에 있으니 또한 필독하라: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99.htm (제2-3항)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1337.htm (신학 대전 IIa IIae, q81)

 

(**) 그리스도교 전례에서 "주님의 기도"를 바치게 된 역사적 배경 설명은 다음의 글에 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soh/770.htm
-----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내용 추가 일자: 2013년 10월 24일]

 

3.
이글의 말미에 첨부한 부록 혹은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미국 워싱톤 DC 대교구 소속의 메릴랜드 주 Mitchellville, Holy Family Church의 주임 신부이신 Joseph Jenkins 신부님의 글 [제목: Faith, Justification & Works(믿음, 의화 및 일들)]을 읽을 수 있습니다.

다해인 올해는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학습하여야 하는 신앙의 해"인데, 이 미국인 신부님의 글 중에서 특히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본문들을 인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십시오. 국내의 가톨릭 교회의 성직자들께서도 또한 "습관적으로 이렇게 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http://fatherjoe.wordpress.com/instructions/catechesis/questions/faith-justification-works

 

게시자 주: 영어가 가능하신 분들께서는, 우선적으로, 바로 위의 주소에 있는 글의 제일 마지막에 나열된 예수님에 의하여 명해진 일들(선행들)(works commanded by Jesus)을 먼저 살펴본 다음에, 본문을 처음부터 읽도록 하십시오. 신약 네 복음서에 기록된 하느님이신 예수님의 말씀들의 권위(authority)가 신약 서간문에 기록된 사도들(여기에는 성 바오로도 포함)의 설교들의 권위보다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월등히 뛰어남을 항상 유념하여야 할 것입니다.

[이상, 내용 추가 끝].

 

----------
작성자: 교수 소순태 마태오 (Ph.D.)

====================

 

<< 부 록 >>

Dear Christine,

Christine, you give the impression that Catholics go out of their way to violate Scriptural teaching. Such is not the case. We may understand certain important passages differently than Fundamentalists who have borrowed heavily from Luther and Calvin, but we regard the bible in high esteem as divine revelation.

 

Regarding sin, you claim that Catholics and Protestants are in agreement. While it can be contended that such is the case between Catholics and St. Paul, such is not entirely the case with many Protestant sects. The Fundamentalist contends that original sin utterly destroys the divine image in the human person. Thus, nature, in no way whatsoever, can witness to God. Catholics, on the other hand, have a deeper appreciation of the enduring good of creation as reflective of the Creator. Thus, man still possesses the “Imago Dei” and nature testifies to its Creator, God. This is not to say that there have not been pietistic elements in Catholic devotion which resonate with the Protestant notion of man’s utter depravity and wretchedness. Martin Luther, himself a wayward Augustinian priest, was very much influenced by the Brethren of the Common Life who accented man’s unworthiness as no more than a miserable worm. Luther would take this stance so far that regeneration itself becomes nothing more than juridical imputation.

 

Regarding justification and grace I believe you fail to properly understand the Catholic position; indeed, part of the confusion may be in that you make no distinction between “sanctifying or saving” grace and “actual” grace. Sanctifying grace is precisely that “Amazing Grace” about which we sing in chorus and which brings believers in Christ to the gates of heaven. It is here that your words are a bit confusing. You state that “Nowhere in Scripture are there any qualifications on God’s grace.” However, our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with grace, our profession of faith itself, is a qualification. Such things are well grounded in the bible. You quote Ephesians 2:8-9 as if Catholics would find it repulsive; we do not: “For by grace [this is sanctifying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 and this is not your own doing, it is the gift of God — not because of works, lest any man should boast.” The subsequent mention of circumcision puts this text in its proper context. We are not saved by the external works of the Jewish Law, but by the saving activity of Christ.

 

The universal catechism gives this definition of grace: “Our justification comes from the grace of God. Grace is FAVOR, the FREE AND UNDESERVED HELP that God gives us to respond to his call to become children of God, adoptive sons, partakers of the divine nature and of eternal life (cf. John 1:12-18; 17:3; Romans 8:14-17; 2 Peter 1:3-4)” [CCC #1996]. Regarding justification it says the following: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has the power to justify us, that is, to cleanse us from our sins and to communicate to us ‘the righteousness of God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and through Baptism (Romans 3:22; cf. 6:3-4): ‘But if we have died with Christ, we believe that we shall also live with him. For we know that Christ being raised from the dead will never die again; death no longer has dominion over him. The death he died he died to sin, once for all, but the life he lives he lives to God. So you also must consider yourselves as dead to sin and alive to God in Christ Jesus’ (Romans 6:8-11)” [CCC #1987]. “Justification DETACHES MAN FROM SIN which contradicts the love of God, and purifies his heart of sin. Justification follows upon God’s merciful initiative of offering forgiveness. It reconciles man with God. It frees from the enslavement to sin, and it heals” [CCC #1990]. “Justification is at the same time THE ACCEPTANCE OF GOD’S RIGHTEOUSNESS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Righteousness (or ‘justice’) here means the rectitude of divine love. With justification, faith, hope, and charity are poured into our hearts, and obedience to the divine will is granted us” [CCC #1991]. “Justification has been MERITED FOR US BY THE PASSION OF CHRIST who offered himself on the cross as a living victim, holy and pleasing to God, and whose blood has become the instrument of atonement for the sins of all men. Justification is conferred in Baptism, the sacrament of faith. It conforms us to the righteousness of God, who makes us inwardly just by the power of his mercy. Its purpose is the glory of God and of Christ, and the gift of eternal life: ‘But now the righteousness of God has been manifested apart from the law, although the law and the prophets bear witness to it, the righteousness of God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for all who believe. For there is no distinction: since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they are justified by his grace as a gift, through the redemption which is in Jesus Christ, whom God put forward as an expiation by his blood, to be received by faith. This was to show God’s righteousness, because in his divine forbearance he had passed over former sins; it was to prove at the present time that he himself is righteous and that he justifies him who has faith in Jesus’ (Romans 3:21-26)” [CCC #1992].

 

Note that the Catholic Church does not rebaptize those who fall into serious sin and who later return to the sacramental life. Neither do we rebaptize those who were legitimately baptized in various Protestant faiths. This practice illustrates a distinction between the one-time sacrament of faith which brings us into the righteousness of God and the life-long process of sanctification. Confusion in this regard is often the crux of the tension between Catholics and Evangelicals.

While you do not mention it, faith is also defined differently in the Catholic and Evangelical mind. Fundamentalists view faith as a trust in God’s Word which assures salvation through Christ’s atonement. Faith “alone” is the Lutheran formula, although he admitted to perjuring his bible translation to insure this interpretation, exclaiming that he would not change it even if “an angel from God” told him to do so.

 

Touching upon the matter of good works, Catholics traditionally understand faith as loving obedience, the surrender of our very selves to God who has revealed himself in his creation and in human history. Faith, which is itself a divine gift, requires our participatory “free” involvement of the mind and will. Necessarily expressed in good works, faith is actualized by the life of charity. We might say that Christ, who lives in us, is the true source of merit. We do not see any tug-of-war between faith and works. Rather, ours is a lived faith of which charity is a practical element. The universal catechism is quite good on this point: “With regard to God, there is no strict right to any merit on the part of man. Between God and us there is an immeasurable inequality, for we have received everything from him, our Creator” [CCC #2007]. It goes on to say: “The merit of man before God in the Christian life arises from the fact that GOD HAS FREELY CHOSEN TO ASSOCIATE MAN WITH THE WORK OF HIS GRACE. The fatherly action of God is first on his own initiative, and then follows man’s free acting through his collaboration, so that the merit of good works is to be attributed in the first place to the grace of God, then to the faithful. Man’s merit, moreover, itself is due to God, for his good actions proceed in Christ, from the predispositions and assistance given by the Holy Spirit” [CCC #2008]. Ultimately all merits arise from grace, the abiding charity of Christ.

 

The Catholic does not live under the weight of the Law like his Jewish predecessor. Indeed, Jesus came as the fulfilment of the old dispensation and reminded his people that they should be most concerned about the “spirit” of the law which is 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Catholic Christianity sees herself as the family of God which places abiding faith and trust, not in a philosophy but in a person, our Lord Jesus Christ. It may be that outsiders and Catholics poorly catechized never really catch on to this truth.

 

Remember that I want to keep this forum sympathetic to the Catholic Church and to her teachings. Know that I am also asking God’s blessing upon your search for truth.

Have a happy and holy Easter season,

Fr. Joe Jenkins

 

Postscript:

Throwing a final “fly into the ointment” and understanding works as our free acts of surrendering our lives to God in response to the saving activity of Christ and to his call for holiness, the following passages are interesting:

 

WORKS COMMANDED BY JESUS— (Taken from The Living Word in the Living Church by Rev. Daniel A. Murray)

>Jesus acknowledges those who hear the Word of God and keep it (Mark 3:35).

>Do not get angry or use abusive language (Matthew 5:21-26).

>Do not look at a woman lustfully (Matthew 5:27-30).

>Do not divorce your wife (Matthew 5:31-32).

>Do not divorce your husband (Matthew 10:12).

>Do not swear at all (Matthew 5:33-37).

>Do not take revenge, but turn the other cheek (Matthew 5:38-42).

>Love your enemies (Matthew 5:43-48).

>Give alms (Matthew 6:1-4).

>Pray (Matthew 6:5-15).

>Fast (Matthew 6:16-18).

>Feed the hungry / Give drink to the thirsty / Welcome the stranger / Clothe the naked / Care for the sick / Visit the imprisoned (Matthew 25:31-46).

>God rewards good works and punishes evil (Romans 2:6-11; 12:9-21).

>Holy Spirit helps Christians to live as the Lord commands, and to do what pleases him (Col. 1:9-10).

>Christian is justified by good works and not by faith alone (James 2:24).

 



1,335 4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