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창동성당 게시판

3월11일 파브리아노의 복자 요한 리히 사제♬사순절psalmus

인쇄

유화정 [wjyou57] 쪽지 캡슐

2004-03-10 ㅣ No.1654

 

축일 3월11일
파브리아노의 복자 요한 리히 사제,  Observants
Beato Giovanni Righi da Fabriano
Fabriano, 1489 circa – Cupramontana, 1539
Blessed John Righi of Fabriano
Also known as : Joannes de Fabriano, Johannes Baptista Righi
Born : 1469 at Fabriano, Ancona, Italy
Died : 1539 of natural causes
miracles reported at his gravesite
Beatified : 1903 (cultus confirmed)

 

   이탈리아 안코나(Ancona)의 파브리아노에서 태어난 요한 세례자 리기(Joannes Baptista Righi)는 아주 겸손한 프란치스코회 사제였지만 그의 엄격한 생활은 사막의 교부들을 능가할 정도였다.
   그는 흔히 한 주간 동안을 꼬박 음식 없이 지냈고, 주님 공현 대축일부터 부활 대축일까지 단식재를 지켰다. 그러나 주일과 목요일만은 제외하였다.
   밤 기도가 끝난 후에도 그는 밤새도록 성당에 남아 혼자 기도하였다. 그는 키가 작고 또 얼굴이 여위었어도 추위를 아랑곳하지 않았다. 그에 대한 공경은 1903년에 승인되었다.
(가톨릭홈에서)
 

 

 

 

                         San Damiano Crucifix

 

 

■작은형제회(프란치스코회) 간추린 역사

 

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는 1209년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1182~1226)에 의해 창설되었다.

성인은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 자유분방하고 야심많은 청년기를 보내던 중

일련의 계시와 나환자와의 만남을 통해 기도와 보속의 회개 생활을 시작하였다.

 

성인의 모범에 감명을 받은 젊은이들이 그를 따르기 시작했고,

날이 갈수록 형제들의 수는 많아져 결국 공동생활의 필요성에 의하여 1209년(혹은 1210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간단한 회칙을 구두로 인준을 받았다.

 

그리고 다시 1223년 회칙을 재작성하여 교황 호노리오 3세로부터 대칙서로 인준 받게 되었다.

이것이 오늘 날에도 프란치스칸 생활의 기초가 되고 있는 작은 형제들의 회칙이다.

 

성인은 ’제2의 그리스도’라고 할만큼 철저히 복음적 삶에 투신하였으며,

무엇보다도 가난과 겸손 안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르려고 하였다.

 

그러기에 당시의 엄격하였던 여러 수도회들과는 달리

회의 명칭을 "작은 형제회"(Ordo Fratrum Minorum)라고 하였다.

 

그리고 1211년에는 관상 수녀회로서 프란치스꼬 제2회인 "클라라회"를,

1221년에는 평신도들을 위해 제3회인 "재속 프란치스코회"를 세워

많은 형제 자매들이 대가족을 이루게 되였다.

 

또한 성인은 철저히 겸손의 길을 걸었으며.

1224년 라베르나 산에서 깊은 관상과 기도 끝에 오상(五傷)까지 받으신 성인의 신심은

많은 이들을 복음적 생활에로 이끌어 왔다.

지금까지 약 800여 년에 달하는 프란치스코회의 역사를 통해서 본회는 수많은 성인 성녀들을 모시게 되었다.

 

한편 한국 진출은 1937년 9월, 캐나다 관구 소속의 두 형제가 입국하여

대전시 목동(현재의 수련소)에 자리잡고부터 시작되었다.

그후 일제 치하의 고초와 6.25 동란으로 인하여 폐쇄되었다가 1955년에 다시 돌아와

파괴된 수도원을 재건하고 본격적인 한국에서의 프란치스칸 생활을 전개하였다.

1969년에는 <한국 준관구>로 승격되고. 1987년 12윌 10일, 한국 진출 50주년을 기념하여

층본부로부터 "한국 순교 성인 관구"로 인가받아 오늘날의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작음과 형제애의 영성
프란치스꼬회의 공식명칭은 "작은 형제회"(Ordo Fratrum Minorum)이다.
이 명칭은 바로 프란치스칸 영성을 요약해 주고 있다.


작음(minoritas)과 형제애(fraternitas)를 바탕으로해서 복음적 삶을 영위한다는 것이다.

이 작음의 정신은 그 안에 가난과 겸손이라는 덕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작은형제들은 가난하시고 겸손하신 그리스도의 제자들로서의 삶을 본질적인 것으로 여기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가난한 자가 되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과 하나가 되며
그들로부터 복음화되고 복음화시키는 것을 자신들의 정체성으로 인식한다.
또한 가난한 자들처럼 일과 노동을 통해 땀흘려 일하고 소박하고 단순한 생활을 영위하며
모든 것을 가난한 이들처럼 하느님께 신뢰하며 복음적 불안정의 삶을 살아간다.
이렇게 일과 노동은 생계유지의 제일차적인 수단이며 나머지는 하느님의 자비하심에 의존하며
그분이 보내주시는 은인들의 애긍을 통해서 살아가게 된다.

 

형제애의 정신은 사랑과 순종을 전제로 한다.
프란치스꼬는 수도회 개념보다는 형제회 개념을 더 중시하였다.
우리 모두는 맏형이신 그리스도 안에서 모두가 한 형제들이라는 것이다.
이 형제애는 "어머니가 자식을 기르고 돌보는 이상으로 형제들 상호간에 기르고 돌보는 정신"이다.
이러한 형제애는 가난 안에서도 기쁨이 넘치는 공동체를 가능케 한다.
형제 상호간의 사랑과 애정어린 순종은 기쁨의 영성을 프란치스칸 영성의 특징적인 요소로 부각시켜 준다.
이렇게 공동체 안에서 체험되는 형제애는 신분계급 여하를 막론하고 모든 이에게로 확장된다.
선인이든 악인이든 크리스챤이든 이교도이든 원수이든 강도이든 성한 사람이든 병자들이든
모든 이가 한 아버지 하느님의 자녀로서 받아들이도록 해 준다.
더 나아가 프란치스꼬가 그랬듯이 이 형제애는 자연과 우주 만물에 대한 사랑으로 더욱더 확장된다.
바로 우주적인 형제애, 만인의 형제가 되는 것이 프란치스칸 형제애의 본질이다

(작은형제회홈에서 www.ofm.or.kr)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축일:10월4일.게시판676번,1403번.
*성 프란치스코의 거룩한 상흔 축일:9월17일.게시판644번,1369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사순절psalmus

 

 

 

 

 

 

 

 

 

 

 

 

 

 

 

 

 

 

 

 

 

 

 

 

 

 

 

 

 

 

 
Beato Giovanni Righi da Fabriano
11 marzo 
Fabriano, 1489 circa – Cupramontana, 1539

Nato a Fabriano, dalla nobile famiglia Righi, intorno al 1470, Giovanni visse la spiritualità cristiana appresa in famiglia con uno slancio cavalleresco ancora tutto medievale. Professo francescano, visse nel convento di Forano e poi, per raggiungere maggior perfezione, si fece solitario in una grotta detta «La Romita», a Massaccio. Visse in penitenza e austerità, pregando, leggendo i Padri e spendendosi per le persone con cui veniva in contatto. Morì nel 1539 ed è sepolto e venerato nella chiesa francescana di San Giacomo Della Romita a Cupramontana (Ancona). (Avvenire)

Martirologio Romano: A Cupramontana nelle Marche, beato Giovanni Battista Righi da Fabriano, sacerdote dell’Ordine dei Frati Minor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001-10-17

 

 

 

 

Blessed John Righi of Fabriano
Also known as
Joannes de Fabriano
Johannes Baptista Righi


Memorial
11 March


Profile

Joined the Franciscans in 1484 at Forano, Italy. Lived as a hermit at Cupramontana, Ancona, Italy, preaching and caring for the sick.

Born
1469 at Fabriano, Ancona, Italy
Died
1539 of natural causes
miracles reported at his gravesite
Beatified
1903 (cultus confirmed)


Additional Information
Book of Saints, by the Monks of Ramsgate
Our Sunday Visitor’s Encyclopedia of Saints, by Matthew Bunson, Margaret Bunson, and Stephen Bunson

MLA Citation
“Blessed John Righi of Fabriano”. Saints.SQPN.com. 11 March 2012. Web. {today’s date}.



 


February 9
Bl. John Baptist Righi of Fabriano
1469-1539
 
Joined the Franciscans in 1484 at Forano. Lived as a hermit at Cupramontana, Ancona, preaching and caring for the sick. Miracles reported at his gravesite. He was born in 1469 at Fabriano, Ancona, Italy and died in 1539 of natural causes.

 

 

 

 

 



432 0

추천 반대(0)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