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상담신앙상담 게시판은 비공개 게시판으로 닉네임을 사용실 수 있습니다. 답변 글 역시 닉네임으로 표기되며 댓글의 경우는 실명이 표기됩니다.

q Re:많이 헷갈리는데요...

인쇄

안성철 [221.155.255.*]

2005-08-05 ㅣ No.3619

 + 찬미 예수 +

 

한국 가톨릭 대 사전 참조

 

♦ 이교(離敎) : <라> schisma  <영>  schism

 

교회 공동체로부터 고의적인 이탈, 이탈한상태 혹은 그 상태에 있는 그리스도교 교인의 단체.  이의 대표적인 단체로 그리스도교 정교회를 들수 있다.

갈라진 금을 뜻하는그리스어(αχίαμα)에서 유래한 이말을 바울로는 교회의 일치와 평화를 위협 하는 견해의 차이 라는 의미로 사용 하였고(1고린토1,10 ; 11,18; 12,25), 초대 교회는주교의 합법적인 권위에 순종 하기를 거부 함으로써 교회의 친교에서 이탈 하는 것을 지칭하였다. 이교는 친교의 이탈 이라는 점에서 이단과 같으나, 그 이탈의 원인 면에서 볼 때 우리가 신앙 이해의 차이인데 대하여 전자는 교회의 재치권에 대한 배척이라는 점에서 서로구별 된다.

이교의 개념이 발전한 데는 치뿌리아노와 아우구스티노에 힘 입은바 크며 그레고리오 개혁(11세기)의 영향을 받았다. 그 개념은 또한 교회론의 발전에 크게 의존 하였다. 가톨릭 개혁 신학은 ‘이교’의 신학적 성격을수정 하는길을 열었다. (이하생략)


이교(異敎) <라> paganismus  <영> paganism

 

그리스도교 이외의 모든 종교나 종교형식, 또는유일 신교 이외의 모든 종교나 종교 형식을가리키는 말.

이교(異敎)라는 의미의 말은 성서에서 이방인(異邦人) 이라는 말로 처음 나타나는데, 구약 성서에서의 이방인(goim)은 이스라엘을 제외한 모든민족을 지칭 하는 말로 민속적, 민족적 구별 보다는 종교적 대립에 의한 구별로 사용 되었고 신약 성서에서의 이방인은 하느님의 계시를 받지 못한 민족, 즉, 유태 민족을 제외한 모든 민족을지칭 하는 말로 사용 되었으며 그 뒤 이방인 이라는 말은 4세기 말 시작된 성서의 라틴어 역 과정에서 젠테스(gentes)로, 다시 파가니(pagani)로 변하였고, 그 의미로 이교도 라는 의미로 변하였다.

이교는 하느님과 세계를 혼동한 피조물이 하느님으로부터 이탈, 스스로 신격화와 반역, 하느님의 영광을 가로 채는 일, 악마에의 복종, 우상숭배 등의 형태로 나타나고 여기에종교적형식이 더해져 그리스도교와 대립되는 하나의 종교를 이루게 된다.


 열교(裂敎)  <라>  haeresis  <영> heresy

 

이단을 일컫는 말. 19세기 이래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특히 개신교의 여러 종파를 열교라 하였다.

열교는 전적으로 자신을 하느님께 맡기고 그분의 가르침에 순명해야 할 믿음의 기본 자세를 떠나, 자신의 이해관계나 자신의 합리성을 기준으로 계시진리에 대한 비판과 취사 선택을 하는 것으로, 절대 주이신 인류의 구세주께 대한 불 충실함을 드러내는 행위이다.

열교인의 면책 가능성에 대하여 제1차 바티칸공의회는 회의적으로 대답하며 은총은 스스로 포기 하지 않는 자를저 버리지 않는다고 하였다.(Denz.3013). 한 신학자는 “자신을 온전히   하느님께 맡기고 생활하는 가톨릭 교인으로서 결코신앙을 바꿔야 하겠다는 양심의결론에도달할수 없다.”(B. Haring. Das Gesetz Christi ǁ, 84)고 하였다.

따라서 열교의 가능성은 인간이 오만과 아집, 그리고 감정이 작용하여 이루어 진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한 지방이나 부족 전체가 공동체에서 이탈하게 되는수가 있다.이런 경우에는 개인의 양심에관한 문제보다는 공동 의식, 관습,일체감 등이 작용하여 분열의 고통을보게된다. 과거 16 세기의소위종교 개혁이 그 예이며 현대에와서는 국가주의 민족주의의 희생으로 교회가 분립의 고통을겪게되었다.이런 경우에는 그 탓을 누구에게돌리기보다는 인간의 허약성과 교회 공동체의 일체감 부족에서 생겨 나게된 공동 죄악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한다. 이와같은 정신이 제 2 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표시 되었으며 서로 용서를청하는 아름다움과 교회 재 일치를 다짐하는 노력이 생겨 나게 되었다. 이런 경우 지체의 고통을 전체의 고통으로 받아 들이고(1고린토12,26) 서로 판단 하기 보다는 공통점을 찾으며 역사와 시대적 상흔을 인내로써 극복하고 노력 해야한다.(일치교령 참조)   


 이단(異端) <라> haeresis  <영>  heresy

 

세례 받은 사람이 가톨릭의 교의(敎義) 중 일부를거부 하는 행위, 또는거부 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공동체,

이 말은 특정 이론을 지지 하는 행위, 또는 지지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 하였는데, 이런 의미로 사용된 예는 바리사이 ‘파’(사도15,5), 나자렛 ‘도당’(사도24, 5) 등의 경우이다. 한편 이 말은 이교(離敎)의 뜻으로(1고린토11,19), 육정이 빚어내는 일의 하나로(갈라디아 5,20), 또는 해로운 교설을 도입하여 주님을 부정하는 거짓 교사들의 행위를 가리키는 말로(2베드로 2, 1) 사용되었다. 후자의 경우 즉, ‘이단’을그리스도의 가르침에서 이탈한 교설을 지칭 하는 말로 사용한 선례(2베드로 2, 1)는 교회사를 통하여 존중 되어 왔다.

교부들은 그리스도 교회의 진리에서 벗어난 이단의 위험을 경고 하였다. 이단자는 진리의적이며 (Ambrosius), 하느님의 말씀을 왜곡하는 자로서 하느님의 말씀 보다 자신의 견해를 앞 세우는 자이므로 그리스도 교인은 진리에 머므르기 위해서 사도의 교리와 교회의가르침을 따라야한다.(Lyons의 Irenaeus), 교회와 일치하여 살아가야 한다.(Cyprianus), 초대 교회때 교회의 신앙적 일치에서 떨어져 나간 이단은 중죄에 해당 하였으므로 이단에 빠진 자는 오랜 기간의 참회 과정을 거쳐 안수를 받고 나서 교회의 일원으로 복귀 할수 있었다. 다만 이단자의 가정에서 태어나 그리스도 교회에 입교 하려는 자에게는 이단의 책임을 물을수 없으므로 참회 과정을 생략 하고 안수를 하였다.(이하생략) 

 



166 0댓글쓰기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