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신앙생활 Q&A 코너

사도행전 18,18에서의 서원(a vow)에 대하여 [성경용어_나지르인]

인쇄

[122.128.44.*]

2011-05-29 ㅣ No.1055

 
 
 
사도행전 18,18
 
 
바오로는 한동안 그곳에 머물렀다가,형제들과 작별하고 프리스킬라와 아퀼라와 함께 배를타고 시리아로 갔다.바오로는 서원한 일이 있었으므로,떠나기 전에 켕크레애에서 머리를 깍았다.
 
 
질문:
 
바오로는 왜 켕크레애에서 머리를 깍았을까요??
 
 
----------
 
답글:
 
찬미 예수님
 
1.
 다음은 "주석 성경"에 주어진 사도행전 18,18에 대한 주석입니다:

(발췌 시작)
자신을 주님께 봉헌하는 '나지르인 서원'을 하게 되면 그 봉헌 기간이 끝날 때까지 머리를 잘리서는 안 된다(레위 6,1-21). 그러나 이 구절의 이야기는 이러한 나지르인 서원 규정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여러 가지로 해석된다.
(이상, 발췌 끝).
 
2.
다음은 NAB 사도행전 18,18에 대한 주석입니다:

출처: http://www.usccb.org/nab/bible/acts/acts18.htm 

(발췌 시작)
[18] He had his hair cut because he had taken a vow: a reference to a Nazirite vow (see Numbers 6:1-21, especially, 6:18) taken by Paul (see also Acts 21:23-27).

[18] 그는 이미 서원하였던 일이 있었으므로 머리를 깎았다: 바오로에 의하여 취하여졌던 나지르인 서원(민수기 6,1-21, 특별히 6,18을 보라)에 대한 언급이다(사도행전 21,23-27을 또한 보라).
(이상, 발췌 및 우리말 번역 끝).
 
이 NAB 주석은, "바오로에 의하여 취하여졌던 나지르인 서원에 대한 언급" 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내용 추가 일자: 2012년 7월 15일]

게시자 주: "나지르인(Nazarite)"은 예수님과 예수님의 제자들에 대한 칭호(title)인 "나자렛 사람들(Nazarenes)"과는 전혀 다름에 유의하라.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 권유

"나자렛 사람들"에 대한 글들을 읽을 수 있다.

그리고 평생 나지르인(lifelong Nazarites)들로의 예(examples)들로서,"삼손(판관기 13,4f,.7;16,17)", "사무엘(1사무엘 1,11), 그리고 "세례자 요한(루카 복음서 1,15)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 자료:

"가톨릭 교회의 말씀 전례에 따른 성경공부 해설서" (클릭하십시오) (출판사: 가톨릭출판사, 엮은이: 소순태),

(i) 다해-1 성가정 축일 대체 제1독서(1사무엘 1,20-22.24-28)의 제22절 해설(필독을 권고함);

(ii) 가해-II, 나해-II, 혹은 다해-II 성 요한 세례자 탄생 대축일 전야 복음 말씀(루카 복음서 1,15)의 제15절에 대한 해설. 

그리고 총 6권이 한 질을 이루는 이 해설서 시리즈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는, 다음의 주소들에 접속하면 읽을 수 있는,

(iii) 매년 12월 19일 제1독서(판관 13,2-7.24-25ㄱ)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Dec19.htm

(iv) 짝수해 연중 제1주간 화요일 제1독서(1사무엘 1,9-20)에 대한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

http://ch.catholic.or.kr/pundang/4/navarre/baptlord_tue.htm

(v) 민수기 6,1-3에 대한 NAB(New American Bible) 주석:

http://old.usccb.org/nab/bible/numbers/numbers6.htm

[1-3] Nazirite: from the Hebrew word nazir, meaning "set apart as sacred, dedicated, vowed." The nazirite vow could be either for a limited period or for life. Those bound by this vow had to abstain from all the products of the grapevine, from cutting or shaving their hair, and from contact with a corpse. They were regarded as men of God like the prophets; cf Amos 2:11-12. Examples of lifelong nazirites were Samson (Judges 13:4-5, 7; 16:17), Samuel (1 Sam 1:11), and John the Baptizer (Luke 1:15). At the time of Christ the practice of taking the nazirite vow for a limited period seems to have been quite common, even among the early Christians; cf Acts 18:18; 21:23-24, 26.

[1-3] 나지르인: "성스러운, 봉헌된, 서원된 것으로서 따로 떼어둔"을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인 nazir(나지르) 로부터 유래한다. 나지르인 서원(the nazirite vow)은 어떤 제한된 기간 동안 혹은 평생 동안 둘 중의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서원에 의하여 묶여진 자들은 포도의 모든 산출물들로부터, 자신들의 머리를 깎거나 혹은 수염을 깎는 것으로부터, 그리고 시체를 접촉하는 것으로부터 삼가야만 하였다. 그들은 예언자들처럼 하느님의 사람들로서 간주되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아모스 2,11-12를 참조하라. 평생 나지르인들의 예들은 삼손(판관 13,4-5.7; 16,7), 사무엘(1사무엘 1,11), 그리고 세례자 요한(루카 복음서 1,15). 그리스도의 시기에, 심지어 초기의 그리스도 사람들 사이에서도, 어떤 제한된 기간 동안 나지르인 서원을 하는 관습은 이미 당히 통상적이었던 처럼 보이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사도행전 18,18; 21,23-24.26을 참조하라.

참고: 위의 NAB에 주어진 주석은, St. Joseph 판 NAB의 부록인 Bible Dictionary에 주어진 "Nazarite"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이상, 내용 추가 끝].
 
3.  
그런데... "주석 성경" 의 주석에서 (레위 6,1-21) 을 (민수 6,1-21) 로 바로 잡아야 합니다. 레위 6,1-21은 나지르인에 대한 언급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류 정정 요청: 주석 성경. 신약 제514쪽, 주석 제22번에 있는 (레위 6,1-21) 을 (민수 6,1-21) 로 바로 잡아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4.
다른 한 편으로, 위에 발췌한 "주석 성경"의 주석은,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있는, 프랑스어 공동번역 성경(TOB) 사도행전 18,18의 주석과 동일하지 않습니다:
 
 
위의 주소에 접속한 후에, 주석 k) 를 보십시오:
 
Il s'agit du voeu dit de nasiréat, qui obligeait, entre autres, à garder les cheveux longs pendant un certain temps (Nb 6,9-18). Peut-être y a-t-il confusion avec le voeu indiqué en 21,23-27, ou bien le voeu fait à Cenchrées n'est-il accompli qu'à Jérusalem.
 
(영어 졸번역) 
It is about the vow said of Nazirite, who made, among others, the long hair keep during certain time (Nb 6,9-18). Perhaps there could be a confusion with the vow indicated in 21,23-27, or else the vow made in Cenchrées is accomplished only in Jerusalem.
 
(우리말 졸번역) 
이것은 나지르인에 대하여 말해지는 서원에 관한 것인데, 나지르인은, 다른 것들 중에서, 특정한 기간 동안에 긴 머리를 유지하였다 (민수 6,9-18). 아마도 21,23-27에 나타내어진 서원과 혼란일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켕크레애에서 하게 된 서원은 오직 예루살렘에서 성취하게 된다.
 
따라서, TOB의 주석은, 위의 "주석 성경" 에 실린 우리말 주석과 상당히 다르며, 위에서 이미 검토한, NAB 주석의 연장선 상에 있다는 생각입니다.
 
 
5.
 또 다른 한 편으로, 다음은 매년 부활 제6주간 금요일 제1독서(사도행전 18,9-18) 제18절에 주어진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해설입니다:
 
18. The vow taken by a "Nazarite" (one "consecrated to God") is described in the sixth chapter of the Book of Numbers. Among other things it involved not cutting one's hair (to symbolize that one was allowing God to act in one) and not drinking fermented drinks (meaning a resolution to practise self-denial). It is not clear whether it was Paul or Aquila who had taken the vow; apparently the vow ended at Cenchreae, for the votee's hair was cut there(이 서원을 하였던 자가 바오로(Paul)였는지 혹은 아퀼라(Aquila)였는지 분명하지 않으며, 언뜻 보기에 이 서원은 켕크레애(Cenchreae)에서 끝났던 것 같은데, 이는 서원자의 머리가 거기서 깎였기 때문입니다). For more information, see the note on Acts 21:23-24.
 
 
따라서, 위의 나바르 성경 주석서의 설명은, NAB와 TOB의 주석의 연장선 상에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는, NAB(1970년 초판), TOB(1975년 초판), 나바르 성경 주석서(2000년쯤 영어본 출판) 모두, 사도행전 18,18에서의 서원을 "나지르인 서원"이라고 주석하고 있으며, 거기에다 나름대로의 견해를 추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내용 수정 및 추가 일자: 2012년 7월 15일]

6.

6-1. "나지르인 서원"에 대하여서는 민수기 6,1-21을 꼭 읽도록 하십시오. 또한 아모스서 2,11-12 을 읽으십시오.

6-2.
그리고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영어 가톨릭 대사전에 주어진 "나지르인(Nazarite)"에 대한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newadvent.org/cathen/10727a.htm 

6-3.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유다 대사전에 주어진 "나지르인"에 대한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http://www.jewishencyclopedia.com/articles/11395-nazarite

6-4. 다음의 주소에 접속하면, 2002년 경향잡지에 게재된, "성경"의 집필에 엄청난 수고를 하신 고 임승필 신부님의 "나지르인""나지르 서원" 전반에 대한 좋은 요약의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 필독 권유

[이상, 내용 수정 및 추가 끝].
----------

7.
지금부터는, 사도행전 18,18을 언급하고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서원(a vow)"에 대한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의 정의(definition) 및 가르침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7-1.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용어집에 주어진 서원(vow)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VOW: A deliberate and free promise made to God, concerning a possible and better good which must be fulfilled by reason of the virtue of religion (2102). Religious vows, the public profession of the evangelical counsels in the Church, have an exemplary value in witnessing to the Kingdom to come (cf. 915).
 
서원(VOW): 경신덕(the virtue of religion, 敬神德)의 이유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실행할 수 있는 더 나은 선(good)에 관하여, 하느님께 하게 되는 신중하고 자유로운 약속을 말한다(CCC 2102). 교회 안에서 복음적 권고[evangelical counsels, 복음삼덕(福音三德)]들에 대한 공개 고백(public profession)인 수도회의 서원(religious vows)들은 오게 될 하느님의 나라(the kingdom)에 대하여 증거함에 있어 모범적인 가치를 가진다(cf. CCC 915).
 
-----
 
참고 7-1-1: 위에서 복음적 권고들[복음삼덕(福音三德)]은 청빈(poverty),순결(chastity), 순명(obedience)을 말합니다. 
 
-----
 
7-2. 다음은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102항에 주어진 서원의 정의(definition)입니다:
 
"경신덕(the virtue of religion, 敬神德)의 이유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실행할 수 있는 더 나은 선(good)에 관하여, 하느님께 하게 되는 신중하고 자유로운 약속을 말한다"
 
 

CCC 2102 "A vow is a deliberate and free promise made to God concerning a possible and better good which must be fulfilled by reason of the virtue of religion,"21 A vow is an act of devotion in which the Christian dedicates himself to God or promises him some good work. By fulfilling his vows he renders to God what has been promised and consecrated to Him. the Acts of the Apostles shows us St. Paul concerned to fulfill the vows he had made.22

CCC 2102 "경신덕(the virtue of religion, 敬神德)의 이유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실행할 수 있는 더 나은 선(good)에 관하여, 하느님께 하게 되는 신중하고 자유로운 약속을 말한다" 21. 서원(a vow)은 그 안에서 그리스도인이 자기 자신을 하느님께 바치거나 혹은 당신께 어떤 선행을 약속하는 헌신의 행위(an act of devotion)를 말한다. 자신의 서원들을 구현함으로써 그는 하느님께 약속되어졌으며 그리고 성별되어졌던 바를 하느님께 바친다. 사도행전은 성 바오로가 자신이 이미 하였던 서원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관계하였음(concerned)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22. (엮은이 번역)
 
-----
21. 교회법전 제1191조 제1항을 참조하라.
22. 사도행전 18,18; 21,23-23를 참조하라. 
-----
 
게시자 주 1: 여기를 클릭하면,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중앙협의회 홈페이지 제공의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101항을 읽을 수 있습니다. 
 
게시자 주 2: 위의 우리말 교회법전 제1191조 제1항에 말하고 있는 "종교의 덕행""the virtue of religion"에 해당하는 표현의 우리발 번역 표현으로, "the virtue of religion"을 우리말 가톨릭 교회 교리서에서 "경신덕"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즉
 
"종교의 덕행" = "경신덕"
 
입니다. 가톨릭 보편 교회의 문헌들에서 꼭 같은 덕(virtue)을 말하는 "the virtue of religion" 에 해당하는 표현을, 우리나라라는 지역 교회의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문헌에 따라 이렇게 두 개의 다른 표현들로 번역하는 것은, 국내의 독자들이 지역 언어로 번역된 교회의 문헌들을 설사 열심히 학습한다고 하더라도, 그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결코 도움을 주지 않으므로, "경신덕"이라는 한 개의 번역 용어로 통일 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
 
참고 7-2-1: 위의 "서원(a vow)"에 대한 정의(definition)에서 언급하고 있는 경신덕(the virtue of religion, 敬神德)이 어떠한 덕(virtue)을 말하는지 모르면, "서원"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였다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 필독을 권고합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381항 및 가톨릭 교회 교리서(CCC) 제1807항에서, 
 
"하느님에 대한 인간의 정의(justice)", 즉
 
"하느님께 당신의 몫을 드리기 위한 확고하고 지속적인 의지(will)"
 
를 두고서 경신덕(敬神德)이라고 정의(define)함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참고 7-2-2: 따라서 인간덕(human virtues)들 중의 주된 덕들인 사추덕(four cardinal virtues)들 중의 하나인 정의(justice, 의덕)의 한 종류인 덕(virtue)이 바로 이 경신덕인데,
 
 
덕(virtue)정의(definition)가 무엇인지에 대하여 학습 할 수 있습니다.
 
 
---------- 
작성자: 소순태 마태오 교수
작업에 소요된 시간: 약 5시간
 


1,333 1

추천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구글플러스

Comments
Total0
※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0/500)

  •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